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한강에서 고기잡이를 구경하다42) 漢江觀魚 나는 본래 강가에서 낚시질하는 객으로십 년 동안 도성의 홍진 속에 헤맸노라도성에서 채찍 휘두르며 말이 가는 대로 돌아가니맑은 강가에 꿈속에서 옛 낚시터로 날아가네돌아와 명 받들어 동국으로 가는 길산하 안팎 높이 올라 유람할 만하네첩첩 골짜기 구불구불하니 몇 번이나 수레 멈췄나수많은 봉우리 읍하는 듯하니 수레턱에 기댈 만하여라갑자기 산 끝난 곳에 강물 휘감아 도니높고 낮은 푸른 바위에 멀고 가까운 모래톱이라주인이 객을 사랑하여 맞이해 흐드러지게 노니흰 장막 띠 처마로 집배 만들어 놓았네중류에서 술잔 드니 바야흐로 한가로운데고깃배 왕래하며 다투어 노 젓네촘촘한 그물과 큰 어망 에워싸듯 치니물결 빛깔과 못 그림자 실처럼 분분하네그물에 걸린 큰 물고기 마치 사람처럼 서서미친 듯이 날뛰는 형세 진실로 격렬해라등지느러미 세차게 휘젓다 끝내 꺾이고거품 뿜고 아가미 헐떡여 기가 가슴을 메우네작은 물고기 많이 잡아도 금하지 않으니낚시줄 걸린 물고기들 얼마나 자잘한가활개치며 교만하던 물고기 그물코 하나에 걸리니맑은 못에 깊이 잠겨 있는 것 어찌 배우지 않았는가호종하는 이가 은실 같은 회를 바치니횟감은 눈 흩날리듯 붉은 실 –원문 1자 결락-가마솥에서 우는 놈은 앞서 잡은 물고기이니국 먹고 술 마시며 성대한 모임 이루었네도롱이 털고 그물 거두고서 배에 누우니뱃노래 길게 이어지고 안개와 물 겹겹이라버들 언덕에 배를 한가로이 매 두니청풍명월에 큰 강은 공활하구나 我本江上垂綸客十載京塵迷紫陌紫陌揮鞭信馬歸淸江飛夢舊漁磯朅來將命之東國山河表裡供登陟萬壑縈紆幾駐轅千峰拱揖堪憑軾忽逢山盡繞江流高下蒼巖遠近洲主人愛客邀遊衍素幕茅簷屋作舟把酒中流正容與漁舠來往棹爭擧數罟弘網合若圍波光潭影紛如組巨鱗觸網如人立縱躍狂奔勢良急鬐張鬣怒終摧頹噴沫鼓腮氣塡臆不禁囚縛多小鮮垂銀躍玉何纖纖矜翊陽驕掛一目澄淵胡不學深潛扈人披獻銀絲鱠鱗肉雪飛紅縷【缺】釜中泣者是前魚啜羹玉斝成高會振簑收網臥孤蓬款乃歌長烟水重彩鷁閒維楊柳岸淸風明月大江空 한강에서 물고기를 구경하다 정문부(鄭文孚)가 차운한 주지번(朱之蕃)의 원운(元韻)인 듯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푸른 연에 바람이 불어 이슬 방울이 떨어지다 碧荷風動露珠傾 방당 물줄기 가늘게 대나무 아래로 흐르고샘솟는 물에 어제 내린 비 새로 더해졌네마름과 연 천 줄기 맑고 잔잔한 물결에 솟아 있는데새벽 기운 자욱해 향기로운 안개 스미네밤이슬 연잎 위에 구슬처럼 엉기어여룡43)이 토해낸 듯 동글동글 맺혔네푸른 일산 높이 펼친 듯 위태롭기 쉬운 형세인데저물녘 갑자기 맑은 바람 만났도다완전히 둥글어 정처없이 절로 흔들리니가자마자 도로 오고 흩어졌다 다시 모이네돛에 바람맞아 출렁이는 태을주44)요먼지 이는 버선으로 사뿐사뿐 가는 수선의 걸음이라45)처음에 처마 밑에 있을 적엔 천금처럼 아꼈는데46)끝에 누대에서 떨어질 적엔 깃털처럼 가볍게 여겼네47)구슬 던져 버리니 요 임금의 검소함 배우려 함이요48)옥을 부수니 범증의 노여움 만난 듯하여라49)낭랑한 낙숫물 곧 텅 비니토지신이 근심 머금고 감히 보호하지 못하네은자가 이것을 보고서 긴 생각에 잠기니멍하니 홀로 서 있자 호수에 날 저무네이에 조물주에게 깊은 뜻 있음을 알겠으니어리석은 자는 모르고 통달한 자는 깨닫지세상만사 이리저리 뒤집히나니가득찬 것이 본래 가장 두려운 법이라어찌하여 사람은 진실로 만족할 줄 몰라서끝내 명리 때문에 몸을 망치고 마는가집안에 가득한 금옥 지킬 수 없고득실은 연잎 위의 이슬과 같다네 方塘細通竹下流活水新添夜來雨芰荷千柄揷淸漣曉氣空濛襲香霧宿露凝成葉上珠團團宛出驪龍吐翠蓋高張勢易危向晩忽與淸風遇眞圓無定自搖搖纔去還來散復聚風帆蕩漾太乙舟塵襪輕盈水仙步垂堂初似惜千金墜樓終如輕一羽投珠欲學堯帝儉碎玉疑遭范增怒琅琅落水便成空富媼含愁不敢護幽人見之結長想蒼茫獨立湖光暮乃知造物有深意愚者所昧達者悟世間萬事有翻覆盈滿由來最可懼奈何人苦不知足畢竟身爲名利誤金玉滿堂不能守得失同歸荷上露 여룡 여룡은 검은색 용으로, 턱 밑에 진귀한 구슬을 감추고 있다고 한다. 《장자》 〈열어구(列禦寇)〉에 "천금의 구슬은 반드시 깊은 못 속에 숨어 있는 검은 용의 턱 밑에 있다.[夫千金之珠, 必在九重之淵, 而驪龍頷下.]"라고 하였다. 태일주 태일연주(太一蓮舟)로, 태을신(太乙神)에게 제사지낼 때 쓴 연꽃으로 만든 배이다. 수면 위에서 흔들리는 연잎을 태일연주에 비유한 것이다. 먼지……걸음이라 연의 자태를 신선에 비유한 것이다. 송나라 황정견(黃庭堅)의 〈수선화(水仙花)〉 시에 "능파선자가 버선에 먼지를 날리면서, 물 위를 사뿐사뿐 달빛 아래 걷네.[凌波仙子生塵襪, 水上盈盈步微月.]"라고 하였다. 처마에……아꼈는데 《사기》 〈원앙열전(袁盎列傳)〉에 "천금을 가진 부잣집 아이는 처마 밑에 앉지 않는다.[千金之子, 坐不垂堂.]"라고 하였다. 이는 위험한 곳에 가까이 가지 말라고 경계한 말인데, 여기서는 연잎 가장자리에 이슬이 아슬아슬하게 맺혀 있는 모양을 형용했다. 누대에서……여겼네 연잎에서 떨어지는 이슬을 석숭(石崇)의 애첩 녹주(綠珠)에 비유한 것이다. 석숭의 반대 세력이었던 손수(孫秀)가 녹주를 탐하여 집요하게 요구하였으나, 석숭이 끝내 받아들이지 않자, 손수는 석숭을 제거할 계책을 꾸몄다. 이 때문에 석숭이 반악(潘岳) 등과 정변을 도모하였는데 손수가 계획을 미리 알고 석숭을 소환하였다. 이에 석숭이 녹주에게 "내가 지금 너로 인해 죄를 얻게 되었다."라고 하자, 녹주는 죽음으로 보답하겠다고 말한 뒤 누대에서 몸을 던져 자살하였다. 《晉書 石崇列傳》 구슬……함이요 연잎의 이슬방울이 떨어진 것을 요 임금이 진주를 버린 일에 비유한 것이다. 요 임금과 순 임금이 벽옥(璧玉)을 산에 던지고 진주를 골짝에 던져서 진귀한 보물을 좋아하는 음탕하고 간사한 욕심을 막았다고 한다. 《資治通鑑 唐紀 太宗皇帝 貞觀10年》 옥을……듯하여라 연잎의 이슬방울이 떨어진 것을 범증(范增)이 옥술잔을 부순 일에 비유한 것이다. 범증은 항우(項羽)의 모신(謀臣)으로, 홍문(鴻門)의 연회에서 항우에게 유방(劉邦)을 죽이라고 간하였다. 항우가 이를 듣지 않자, 연회가 끝난 뒤 범증은 항우에게 받은 옥술잔을 부수었다. 훗날 한나라 유방이 형양(滎陽)에서 항우의 공격으로 위기에 빠졌을 때 진평(陳平)의 계략을 받아들여 항우가 범증을 의심하게 만들었는데, 항우의 의심을 받은 범증은 화가 난 나머지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史記 項羽本紀》 《史記 陳丞相世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우미인초63) 虞美人草 진나라 여인은 촉산 속에서 돌로 변하고64)제왕의 딸은 상강 가 대나무에 눈물 흘렸네65)정령이 사물에 의탁해 끝내 사라지지 않으니이 모종의 슬픔과 원한 천년만년 이어지네상심한 것으로는 또한 언덕 위 풀 있으니전생에 우미인이었다고 사람들이 말하누나가녀린 허리로 초왕에게 가장 어여쁨 받았으니66)팔 년 동안 전장을 따라다녔네 秦女化石蜀山中帝子泣竹湘江濱精靈托物竟不滅一般哀怨千千春傷心亦有原上草人道前身虞美人纖腰最怶楚王憐八載追隨戎馬塵 우미인초 우 미인(虞美人)은 항우(項羽)의 애첩이다. 항우가 유방(劉邦)에게 패하여 오강(烏江)에서 죽을 때, 우 미인은 그 전날 밤 항우가 준 칼로 자결하였는데, 그 뒤 우미인의 무덤 위에 풀꽃이 돋아났으므로 사람들이 우미인초(虞美人草)라고 불렀다. 이를 소재로 한 송나라 증공(曾鞏)의 〈우미인초행(虞美人草行)〉 시가 유명하다. 진나라……변하고 진 혜왕(秦惠王)이 촉왕에게 다섯 미녀를 바치자, 촉왕이 다섯 명의 역사를 보내어 맞아오게 하였는데, 미녀를 데리고 오다가 뱀이 산의 굴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는 다섯 역사가 뱀을 끌어내었다. 그러자 산이 무너져 촉나라로 통하는 길이 생겼고, 진나라의 다섯 미녀는 산 위로 올라가서 돌로 변했다고 한다. 《藝文類聚 卷7》 제왕의……흘렸네 제왕의 딸은 요(堯) 임금의 두 딸이며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된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을 가리킨다. 그들은 순 임금이 창오산(蒼梧山)에서 죽자 그쪽으로 달려가 슬프게 울어 눈물이 소상강 가의 대나무에 뿌려졌는데, 그 눈물로 대나무에 반점이 생기게 된 것을 소상반죽(瀟湘斑竹)이라 한다. 《博物志 卷8》 받았으니 대본에 '怶'로 되어 있는데, 문맥에 의거하여 '怶'를 '被'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戶曹判書松溪陳公墓碣銘幷序 松溪陳公當 宣廟壬辰之亂以靑年白衣從李忠武公舜臣屢立戰功錄宣武原從一等勳及 仁廟丁卯之亂大駕失守統領三道戰船入援江華 上引見執手有名將之褒其歿也追 贈戶曹參判後又加 贈判書鄕士林享于興陽之龍岡祠嗚呼盛哉公驪陽人諱武晟字士赳松溪其號也以高麗虎賁衛大將軍寵厚爲鼻祖其後翰林學士梅湖溝以文章鳴世本朝有諱時遇吏曹參判曾祖汶祖世輪德浦僉節使 贈掌隷院判決事考仁海鍾城府使 贈兵曹判參判妣 贈貞夫人潭陽田氏縣監泰成女生於 嘉靖丙寅九月二十四日自在髫齡志氣磊落與群兒遊常作戰陣之狀至成童尤篤於孝悌接人處事皆以忠信和順爲主父母喪廬墓三年好讀書兼習武藝 特除柔遠僉使陞慶興府使移統營虞候及丁卯虜亂以統制中軍陞統領兵觀 王朝廷重北邊擧公爲龜城府使秩滿還京因歸田廬年七十三以戊寅十二月二十九日卒葬于本郡豆原面驛平巽坐原元配朴氏後配韓氏姜氏皆贈貞夫人墓與公合祔姜氏部將億之女三男後平丙子亂錄寧國勳後寔至訓鍊判官後蕃延日縣監長房男弼漢武科副護軍仲房男鳴漢通德郞復漢季房男相漢武科宣傳官佑漢訓鍊判官重漢通德郞曾玄以下不盡錄後孫洪斗定斗將伐石樹阡來請余文者聖元其名也銘曰公有七星實釼兮藏在龍祠尙光焰兮胡不復來定八荒兮我欲招劒涕泗淚兮爲公狀德忠武孫兮斯可足徵慰九原兮昭陽赤奮若泰之下澣德殷宋炳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賀七星劒(2) 劒留嘉號得公鳴愛慕餘光感後生殲厥巨魁緣氣邁售玆義烈用兵精堂堂寶重干金價赫赫勳高一等名瞻彼遺祠因想蹟端宜籩豆亭時明密陽後人朴民秀謹稿劒與忠魂共得鳴龍蛇當日除時生神鋩直掃南蠻蠢寶氣遙干北斗精肝膽相照青萍匣義烈留傳泙竹名莊在遺祠今尙吼露梁水月誓心明傍後孫錫民謹稿啾啾霜氣老龍鳴百世忠魂凛凛生壯略橫行戎馬地神鋩遠射斗牛精傳家長在千城跡報國欽高烈士名夜起行徨前古事千秋猶帶劒光明後孫有根謹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文(2) 右文爲通諭事는 崇節褒功은 我東盛典이오 慕賢揭䖍은 吾儒美事니 方此一道齊會하야 修錄節義할새 區區激昂이 尤有不巳라 張許建祠와 青巖高士를 獨欠亭典則亦豈無百世之公議乎아 貴邑 贈判書松溪陳公이 當龍蛇之亂하야豊功偉烈이 昭如日月하야 旣蒙 朝家之褒 贈호대 而尙欠俎豆之享儀則道內公議가 猶爲慨然이온 況 貴鄕之習熟見聞者乎아 惟願 僉君子는 特推山斗景仰之懷하야 以設苾芬永薦之所를 幸甚이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文(3) 右通諭事孝親忠君人之大倫也凡孝可以山仰一世忠可以風勵百代者士林之欽仰敬服悠久冞切何況孝行忠節兼備於一身者乎竊惟故判書松溪陳公懿行卓蹟昭載於其家狀及勳錄見而知之聞以知之者莫不擊節稱賞則今不必一一提論略擧其大槩自在髫屹屹有大人風致其事親也能盡子職之當爲父母之喪幷皆蘆〖廬〗墓當龍蛇之變公以白衣起義出沒戰陣水陸俱捷終樹大勳以至忠武公之下堂迎謝後又當丁卯之亂諭忠盡節於危急之時 聖上以眞將軍之號特爲許獎至于執手而興歎不已於此數者可知其忠孝之卓然爲世表矣以如是特異名節尙闕俎豆之奉者豈非士林之欠事乎 貴邑旣是 公杖履之鄕則僉君子之濡染興感宜異於他惟願特發祭祀之儀亟成崇奉之禮以副一道多士之望幸甚右敬通于興陽鄕校丁亥四月二十六日光州發文幼學 柳在洪朴聖泰李鉉復金致浩李圭鉉高時瑜奇師顔鄭道黙李采源朴孝興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文(4) 右文爲通諭事伏惟褒獎節 朝家之盛典建祠設 享士林之公議幸際我邦籙無彊儒化大行仰瞻仁天莫不觀感於尙忠義振斯文之 新政則鄙等竊有興起之望者於忠臣烈士之蹟尤有想焉夫驪陽陳氏忠孝故家始著于鄙鄕則己卯名賢進士公之修楔錦江丙子倡義參奉公之隱德剡湖乃若府使 贈戶曹判書松溪先生自髫岺志氣磊犖父母之喪廬墓三載孝著百行之源龍蛇之變敵愾屢忠錄一等之勳昔我先聖朝特賜引見而 下教曰今觀卿之行軍威儀何其壯也又曰當此危亂之時此眞將軍不次擢用官至都護其淸白著蹟尙矣龜城之邑誌也百世之下合有爼豆之祠當建杖屨之鄕贍彼影山之間瀛湖之上何其公議之尙爾寥寥耶玆以齊告惟願 僉君子不以人廢言廣詢一道之衆論函〖亟〗成縟儀之地千萬幸甚右敬通于興陽鄕校丁亥四月二十四日發文羅州幼學 金 科李壽成羅性五洪觀周吳禮堧柳在沆林文漢朴海進鄭遂赫李師聃柳光朝崔若欽崔宅淳金會鍊羅時元金榮一鄭國彬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文(1) 右文爲通諭事崇節褒功我東盛典慕賢揭䖍吾儒美事方此一道齊會修錄節義區區激昂尤有不巳張許建祠青巖高士獨欠享典則亦豈無百世之公議乎 貴邑 贈判書松溪陳公當龍蛇之亂豊功偉烈昭如日月旣蒙 朝家之褒 贈而尙欠俎豆之享儀則道內公議猶爲慨然況 貴鄕之習熟見聞者乎惟願 僉君子特推山斗景仰之懷以設苾芬永薦之所幸甚右敬通于興陽鄕校己未三月 日光州幼學 朴必大 長城幼學 鄭學明高廷濼 李相觀羅州幼學 金溶禧 靈巖幼學 朴履信崔元之 崔 溫全州幼學 金尙直 古阜幼學 孫宗孝柳 濼 崔象斗南原幼學 邊 穮 玉果幼學 權演大朴東寶 沈履鎭靈光幼學 李以鑑 茂長幼學 吳相鳳崔良國 金 琦鄭喆僑 金直海興德幼學 李仁復 咸平幼學 李基晉宋基學 鄭元斌泰仁幼學 閔百允 淳昌幼學 韓學文金載厚 白纘禧同福幼學 河鎭星 任實幼學 洪三宅曺益河 郭思顯金堤幼學 吳準權南平幼學 洪翼鎭 安義宅徐一榮 長興幼學 魏守梁務安幼學 鄭致魯 金鼎秀順天幼學 鄭煥奎趙基鎭谷城幼學 李箕秉高山幼學 崔 濼益山幼學 黃錫胤高敞幼學 金命來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郡守公事蹟 公諱繼宗字奉先掌令之証孫天資魁傑磊落剛明癸卯登武科成宗戊子江原道量田巡察使行雲山郡守 宣廟壬辰倡義率軍深河之役力戰殉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贈兵判公事蹟 公諱檜生有志氣豪雄萬歷十三年乙酉登武科主簿壬亂赴忠武公李舜臣麾下累捷奇功癸巳九月十六日殉于露梁役宣武原從二等功臣勳頒賜錄券 贈兵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仁齋李先生事蹟 公諱坦字廣謙文學被薦持授訓鍊主簿辭不就丙子虜變與安牛山倡義誓死時事日非解組而歸築一精舎與同志友相論經書以此爲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梅谷公事蹟 公諱用賓字任義號梅谷與從兄處士公早遊沙溪金先生門多被推奬丁卯虜亂與監察高循厚同擧義旅扈從東宮於全州募聚兵糧義聲日振俄聞和議祇送東宮於礪山雪涕而還時公年十九未冠東宮以公比之於魯之汪踦公退歸林樊研經究史期望頗重而不幸早世事載沙溪年譜及兩湖擧義錄湖南誌及光州邑誌享于淵祠忠孝祠松沙奇宇萬撰碣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追報堂原韻 壇下構堂何所由後承思竊籍先休山云有塜誰證域水若無源詎望流蠲日苾香堙祀肇媚春花樹契各修終知續舊經新績永永於千萬億秋裔孫時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告由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告由文 㐲以 府君天姿卓犖早得明師門路端的頃聞胡冠賈勇赴敵擬童汪踦儲君之勗退而潛究史編經籍方馳康莊中折其軸吊以斯文遠近悼惜事去百年遺芬尙郁玆用衆論配腏先祠前期告由庶幾鑑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器目錄 簠 簋 籩 豆 爵 豕牲篚 香合 香爐幣帛臺 祝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行初獻禮 謁者引初獻官詣尊所 北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引詣神位前 跪 執事者以爵授初獻官初獻官執爵 獻爵 以爵授執事者 奠于神位前 俯 伏 興 次詣各位尊所 北向立 執尊者擧羃酌酒 引詣各位神位前 跪 摯事者以爵授初獻官 初獻官執爵 獻爵 以爵授執事 奠于神位前 俯 伏 興 少退跪 祝啓簠簋 進獻官之左 東向跪 讀祝 俯 伏興 引降復位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