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序 月出之山聳出南方奇氣參天卽世所謂小金剛也山之西馳平岡而開張局面平正廣?奧曠適宜迥環中規有川阜之明媚有園林之蓊欝指不讓先屈於朗州名村也村曰鳩林由道詵神師而名然此不足以獨當山川之氣之所感必有仁賢遺蹟之留其間而言足聽聞者卽竹亭書院其一也余嘗一入其洞至其院周覽院之規模制度而心甚欽之今有年矣日院之後裔朴友燦郁燦宗持新修院誌抄本而來訪種嘉謂當入刊請置一言於卷端嘉辭以不文而請益摯竊惟是院也五恨朴先生爲主享而配享則之子孤狂之孫壽翁之玄孫雪坡凡三先生而歸樂堂李先生寔居第三位蓋五賢也夫朴氏四賢之髙風峻節純行貞忠歸樂堂之領袖士林已有前賢所稱頌則此院之關重世敎無容更院之所重旣如此而誌又惡可已也烏可已則今日諸君子之擧可謂知所先後要不出闡明其何可忘之義而已凡觀於誌者原夫誌之所以成而傾嚮之誠益勤慮夫誌之或不能繼而憂畏之情益切際此風雨四至異言喧豗之日克奮吾道益孤我安適歸之歎凡於入院之日不徒止於尊仰而必從事於願學之實則斯其爲誌也大矣願諸君子之有以勖焉時重光大淵獻三之日月城金種嘉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書籍 院籍二十九卷農巖集十五卷宋子年譜六卷及愚齋集十五卷石下集觀齋遺稿巴溪世稿合六卷朴松菴實記一卷愼松菴遺稿二卷金春齋遺稿一卷道學淵源三卷呉素圃集二卷梧泉實記一卷朴農汕集二卷朝鮮寰輿勝覽二卷寒碧堂集一卷艮菴集一卷瀯溪集一卷湖南募義錄一卷素隱集一卷再思堂集一卷湖南節義錄一卷棄井集一卷國誌七卷明村遺稿一卷文泮菴集一卷四禮便覽四卷間竹亭勸學契冊一卷海東人物誌二卷韓國故事大典一卷汎朴二千年史二卷遯巖書院誌一卷髙山書院誌一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五恨先生三世行錄 五恨先生諱成乾字陽宗姓朴氏咸陽人系出高麗禮部尙書善高祖之彬文科朝淸大夫尉衛尹致仕諡文元公曾祖季元文科兵部尙書祖思敬文科郡事考彦文科工曹判書坐事萬戶始居錦城後徙靈巖之鳩林里先生資性高潔犖落不羈鳩林又素稱南鄕勝處具有山林湖海之美先生得而樂之卽竹間搆一亭名以間竹吟哦其中若將終身晩登上庠遂中 成化壬辰文科歷錦城教授春秋館記事官昭格署令長水縣監終不肯隨俗俯仰幅巾南還放意林壑以卒享年七十先生没旣乆又經兵燹家乘㪚軼其行治本末官歷歲月旣皆泯泯無徵而平生述作亦尠存錄獨絶句三編傳焉卽此猶想見其曠懷逸韻高出事物之外而再思堂李公嘗爲胤子正言公作亭記所以慕稱先生者甚盛後有君子其將考信於斯焉先生蓋卒於成化末年其後二百餘年鄕人立祠于月出山西麓以祀先生而正言公腏食實辛酉四月日也至癸亥春又以先生孫生員追享焉正言公諱權字而經號孤狂五恨先生之長子也爲人剛直好義少承庭訓操履端方成化丙午中生員弘治壬子登文科歷官泰仁縣監司諫院正言時燕山主淫虐群奸從談網打士林先生正色立 朝危言不避戊午謫配吉州後移海南仍放還田里以正德丙寅卒享年四十二生員公諱奎精字春仲五恨先生第三子武科水使條之子也公性寬厚事親至孝有終身慕鄕黨敬服久而不衰雅好修養不慕營利中 嘉靖戊子生員不復求仕尙成安公震知其賢將薦于 朝公力辭乃已所居宅前闢方池池中壘土爲小島者三自號三島壽翁平生口不言人過獨好爲詩章咏歌其志優逰寬樂以歿其世一世名公如洪領相暹宋參贊純高霽峯敬命皆作詩歌以美之公生于弘治癸丑卒于萬曆庚辰享年八十八其後一百年吾先君謫居靈巖其鄕人父老尙能道公遺事而公之曾孫世卿以霽峯詩五篇屬先君和而歌之公之平生本末槩具於斯云戊寅四月安東金昌協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書雪坡行狀後 陶菴李縡孝者乃百行之源而求忠必孝者信乎朴雪坡之前後行義顚沛勤篤也公諱承源字季悠號雪坡行繕工監參奉 贈嘉善大夫戶曹參判公以至孝事親無違晨夕之奉菽水之供鄕隣莫不稱歎又其文雅稽述先輩罕比其於三亂之倡義此實縉紳之堪愧而誰知一介韋布之能如是斷斷乎 孝廟庚子筵臣尤齋宋時烈同春宋浚吉以前後事奏 聞特贈爵秩以其孫壽聖除禁府都事國家褒賞之典旣如是則公之忠孝朝野之咸稱也於往年其後孫淳愚拱五恨三世行錄屬余爲狀又今年其後孫淳肇寶雪坡文集要余爲跋則竊惟咸陽朴氏之傳家至行爲國髙義實爲都鄙之所難而其後雲仍踵而不泯能襲箕裘者何異吾身之親見者也哉欽而服之無斁於斯而略錄其一二以輔家邦之云三洲李縡謹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五恨先生錦城别曲 我 朝科擧之設其來尙矣姑以錦城一州論之志學之士皷舞於鳶魚之化而藹藹乎于于乎不可勝數然而每當試場得參科目者僅得其一二而多不過三四耳乃今庚子之試九人共登蓮榜皆州之大姓名儒也又況牧伯仲胤亦與焉其爲慶事諸道各官之所未有也愚也幸至於此目擊盛事情不自己?爲詩歌以資後來之士感激之一助云歌曰海之東湖之南羅州大牧錦城山錦城浦亘古流峙爲鍾秀人才景幾何如千年地勝民安物阜再唱爲佳氣葱籠景幾何如大成殿明倫堂前廟後寢東西齋廊左右挾室泮水洋洋手植檜碧松亭齋隱鄕校七十門人三千弟子濟濟蹌蹌爲切磋琢磨景幾何如有時漁經有時獵史再唱爲日就月將景幾何如金牧伯【名春卿】吳通判【名漢】一時人傑 九重分憂千里爲州克勤克儉善政善教仁聲仁聞時致三異爲以德化民景幾何如修明學校尤致意焉再唱爲養育人材景幾何如朴敎授大先生時居臯比施五教叩四端諄諄善誘爲振起文風景幾何如慇斯懃斯函?從容再唱爲師明弟哲景幾何如金叔勳崔貴源父母俱存羅渙興羅慶源兄弟無故羅振文羅處光始起家風金崇祖洪貴校年少才能羅顯羅贇四寸兄弟共占爲蓮榜景幾何如伊樂乎一鄕人材再唱爲十人同年景幾何如笑西施萬喚來淸歌妙舞勝牧丹亞應兒橫吹玉笛下三山桂一枝交彈寶瑟細柳枝一枝花雙伽倻琴詠周南滿園香競乎長鼓舞鼓逢逢磬管鏘鏘五音六律同時俱作爲醉裏歡場景幾何如商山日巫山月偏照書窓再唱爲待使華獨調景幾何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길주에서 객관 벽에 걸린 시에 차운하다 2수 吉州 次客館壁上韻【二首】 용사의 해128)라 나랏일 비통했으니남쪽에서 온 병화가 곤륜산을 녹였네129)못과 누대 황폐해져 묵은 자취 되어버렸고비단 쇠잔해졌으니 옛 향기 추억하네난세에 장차 도연명처럼 취하려 하고130)막다른 길에서 완생의 창광함을 배우고자 하노라131)곁에 있는 사람들 우리 유자 썩었다 비웃지 말라그래도 몇 자 되는 추련을 차고 있다오132)하늘 끝에 떠도는 이 슬퍼할 만하거늘하물며 좋은 날 민둥산에 오름133)에 있어서랴형제를 어디서 만날지 알 수 없고고향의 수유 향기 멀리서 그리워라우연히 돌아가는 꿈 꾸어 근심 이내 그쳤는데이제 막 편지 받아 보니 미칠 듯이 반갑구나변방 기러기 다 보냈으나 사람은 가지 못하니뜰 안 나무의 긴 잎새 소리 어이 견딜거나 歲在龍蛇事可傷南來兵火爍崑岡池臺蕪沒成陳迹羅綺銷沈憶舊香亂世且爲陶令醉窮途欲學阮生狂傍人莫笑吾儒腐猶帶秋蓮尺許長天涯遊子足悲傷況乃佳辰陟岵岡不識弟兄何處會遙憐茱菊故園香偶成歸夢愁仍罷纔得來書喜欲狂送盡邊鴻人未去可堪庭樹葉聲長 용사의 해 해의 지지(地支)가 용인 진(辰)과 뱀인 사(巳)가 든 해로, 용사년에는 흉사(凶事)가 일어난다고 여겨졌다. 《後漢書 鄭玄列傳》 여기서는 왜란(倭亂)이 일어난 임진년(壬辰年)과 계사년(癸巳年)을 가리킨다. 곤륜산을 녹였네 참혹한 병화(兵火)를 비유하는 말이다. 《서경》 〈윤정(胤征)〉에 "곤륜산에 화염이 치솟아 옥석이 모두 탄다.[火炎崑岡, 玉石俱焚.]"라고 하였다. 난세에……하고 도령(陶令)은 진(晉)나라 도연명을 가리킨다. 진나라가 쇠망의 길로 들어서자, 도연명은 팽택 영(彭澤令)의 벼슬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가 세속과 인연을 끊은 채 시주(詩酒)를 즐기면서 지냈다. 《晉書 陶潛列傳》 막다른……하노라 완생(阮生)은 진(晉)나라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을 가리킨다. 완적은 천성이 방달불기(放達不羈)하여, 마음속에 답답한 일이 있으면 수시로 혼자 수레를 타고 나갔다가 막다른 길을 만나면 매양 통곡하고 돌아왔다고 한다. 《晉書 阮籍列傳》 몇……있다오 추련(秋蓮)은 칼집에 연꽃이 아로새겨진 보검으로, 추련을 차고 있다는 것은 전쟁을 앞둔 군사의 기개를 비유한다. 당나라 이백(李白)의 〈호무인(胡無人)〉 tl에 "유성처럼 빠른 화살 허리춤에 꽂고, 번쩍이는 보검을 상자에서 꺼내도다.[流星白羽腰間揷, 劍花秋蓮光出匣.]"라고 하였다. 민둥산에 오름 어버이를 그리워한다는 뜻이다. 《시경》 〈위풍(魏風) 척호(陟岵)〉에 "저 민둥산에 올라가서, 아버님 계신 곳을 바라보네.[陟彼岵兮, 瞻望父兮.]"라고 하였다. 이는 효자가 부역을 나가서 어버이를 잊지 못하는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눈을 읊어 박계길에게 부치다 2수 詠雪 寄朴季吉 二首 날이 추워 오두막에 사립문 닫으니밤에 눈 내려 아침까지도 여전히 개지 않네산의 소나무에 눈 높이 쌓여 특별한 경치 펼쳐지고언 계곡을 눈이 덮어 소리만 들리누나파수의 절룩이는 나귀는 시인의 흥이요139)남관의 파리한 말은 쫓겨난 객의 마음이라140)전답의 노련한 농부에는 미치지 못하나풍년의 징조 집집마다 가득하리라 점치네유인이 일어나 게으르게 찬 이불 끌어안으니모르는 사이에 산촌에 눈이 높이 쌓였어라특별한 경치에 나무에 앉은 까마귀 멀리서 바라보고소리 듣고서야 학이 숲에 있음을 비로소 알았네겨울이 드넓은 바다엔 오지 않았으나한밤중에 깊은 골짜기를 충분히 뒤엎었네그대는 마치 나귀 탄 패수의 객처럼끊어진 다리에서 저물녘에 눈썹 찡그리며 읊조리네141) 天寒白屋掩柴荊夜雪終朝尙未晴高壓山松別有色平沈氷澗但聞聲蹇驢㶚水騷人興羸馬藍關逐客情不及老農南畝畔豐徵占得萬家盈幽人起懶擁寒衾不覺山村雪一尋別色遙看烏在樹聞聲始認鶴捿林三冬不到滄溟闊半夜能平巨壑深君似騎驢灞水客斷橋斜日皺眉吟 파수의……흥이요 당나라 맹호연(孟浩然)이 좋은 시를 지으려고 고심하다가 나귀 등에 타고서 눈발이 휘날리는 파수(灞水) 위에 놓인 다리를 지나갈 때 시상이 떠올랐다고 한다. 《蘇東坡詩集 卷12 贈寫眞何充秀才》 남관의……마음이라 남관(藍關)은 진(秦)나라의 남전관(藍田關)을 가리킨다. 당나라 한유(韓愈)가 〈불골표(佛骨表)〉를 올렸다가 헌종(憲宗)의 노여움을 사서 조주(潮州)로 귀양 가게 되었는데, 귀양길에 남관을 넘어가며 지은 시에 "구름이 진령에 비꼈나니 집은 어디에 있느뇨, 눈이 남관에 가득 쌓여 말이 앞으로 가지 않는다.[雲橫秦嶺家何在? 雪擁藍關馬不前.]"라고 하였다. 《韓昌黎集 卷10 左遷至藍關示姪孫湘》 나귀……읊조리네 당나라 맹호연(孟浩然)이 좋은 시를 지으려고 고심하다가 나귀 등에 타고서 눈발이 휘날리는 파수(灞水) 위에 놓인 다리를 지나갈 때 시상이 떠올랐다고 한다. 송나라 소식(蘇軾)의 〈초상화를 그리는 하충 수재에게 주다[贈寫眞何充秀才]〉 시에 "그대는 못 보았나 눈 속에 나귀 탄 맹호연이, 눈썹 찌푸리고 시 읊느라 산처럼 어깨 으쓱인 것을.[又不見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酒樽【一飮一啄莫非君賜】 山中酒新熟秋氣助芳醇醉裡思京輦停杯望北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素琴【醉必一弄良勝無絃】 獨坐北窓下古琴聲不繁曲中無別意秪是感君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黃卷【開卷肅然是我嚴師】 三千黃卷在左右列昭森最愛文山集燈前萬古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扶安愚磻亭題詠韻 朝陽拍海宿雲開何處商船隔岸回浦上人家如畫▦槳聲伊軋落帆來 右沙津賈舶銀漢西傾曙色寒疏鍾遙在碧山端定知老宿開門出風露侵衣葉滿壇 右水淨晨鍾靈籟有時聞十里幹排雷雨葉凌霜未應虛老空山裡終向明堂作棟樑 右梨峴長松白雲巖▦卽爲家蒼檜連山石逕斜去歲遊人今又至老僧庭畔揀春茶 右蒼窟尋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贈柳孝叔【述】 山窓向夕故人來握手相傳滿滿杯幽趣莫敎兒輩覺暗香和月在寒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題司馬齋壁上 細雨如絲不繫人輕風吹面自沾巾可憐一夜東歸客腸斷江城綠柳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趙怡叔席上送任受初歸覲湖西呼韻走筆 酒盡君莫沽前山看向夕醉極共忘形晤言何歷歷幸遇任受初墻頭得餘瀝把杯樂新知此別寧不惜送君羨君行我心多感激夜深可添觴霜氣寒擁壁去去莫相忘吾亦從茲適臨分折黃花携手不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省先墓宿山直家 山泉終夜聽松下掩柴扉雨壁殘燈在風枝宿鳥飛悲涼心耿耿恩愛夢依依明發孤兒淚重沾墓草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集商隱句 六曲連環接翠帷黃蜂紫蝶兩參差自蒙半夜傳衣後莫道人間摠不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盆梅 矯姿掩抑向誰開蝶夢尋春枕上回莫把淸香輕許與藏花須待故人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金東村【蓍國】 可惜當年手一分天涯消息杳難聞春生南國梅花發明月窓前每憶君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