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跋(2) 裒其衣高其冠博其帶讀其文詩書易春秋習其藝禮樂射御書數明其倫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而周旋乎堂陛之際揖讓乎尊俎之間者一卽是所願學夫子之徒也列案諸君子夫孰非其人其事哉優優哉洋洋哉其可觀哉是以難其人於無案之前重其事於有案之後案之爲案其義其大矣哉今其刊案之役聊揚其頌而頌而無規非古道也若夫其裒者窄其高者側其博者狹其讀乖其理其習尙其末其明倍其常則雖日躋蹌乎杏樹之壇風浴乎沂上之水夫子其肯曰吾與哉眞所謂憂無疆也其頌其規非圭興之敢言儘古人之語之遺意也遂書此于尾歲丙戌淸明節 直員上黨韓圭興書編輯兼發行者尹桂炳咸平鄕校明倫堂發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죽정서원지(竹亭書院誌) 竹亭書院誌 竹亭書院誌 竹亭書院誌 고서-기타 서원향교지 원문 竹亭書院誌 석인본 1 반곽 유계 12행28자 주쌍행 상2엽화문어미 미상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에 있는 조선후기 박성건과 박권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죽정서원의 서원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權司諫【春蘭】文 嗚呼在昔丁酉之歲將母避寇寓于茲土仍拜公於峽裏之村舍瑣尾之際雖不暇挾書而請益觀感之間慕其德則不淺矣今年夏自帶方移宰是府聞公之起居尙康寧便欲趨床下而仰眉宇獲承其靜中所得之餘論官務鞅掌未之果焉孰知下車纔三朔而公忽厭斯世耶云亡之痛不敏之悔徒涕泣而內自訟而已噫槪公之生平則錢若水之勇退元魯山之淸節於公身兼之矣觀公臨死之遺筆則其有得於靜養之工夫者深矣韓子所謂鄕先生沒而可祭於社者非公而誰吾知公精爽必昭昭乎不昧者存焉庶幾諒我微誠歆此一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해 8월에 영흥에 있으면서 앞 시에 차운하여 북청으로 가는 이덕재를 보내다 是歲八月 在永興 次前韻 送德哉之北靑 한나라 초나라의 홍구처럼 양분될 형세요94)장군이 와룡임은 세상이 알지 못하네외로운 성에서 저물녘에 천랑성95)을 보고먼 변방에서 가을에 진운96)을 바라보네노를 두드리며 맹세하는 마음은 조적과 같으니97)밧줄을 청할 길 없으나 종군98)과 같은 나이라99)어여쁘도다, 뉘라서 그대와 교분 맺었는가허리에 찬 칼 말고는 단지 그대만 있구나 漢楚鴻溝勢兩分將軍龍臥世無聞孤城落日看天狼絶塞高秋望陣雲擊楫誓心同祖逖請纓無路等從軍可憐末契誰相托除却腰刀只有君 한나라……형세요 이덕재와 헤어지는 상황을 홍구(鴻溝)의 형세에 비유한 것이다. 홍구는 중국 하남성(河南省) 형양현(滎陽縣)에 있는 운하로, 한(漢)나라와 초(楚)나라가 패권을 다툴 때 이곳을 서로의 경계로 삼았다. 《史記 高祖本紀》 천랑성 침략을 담당하는 별 이름으로, 적군이나 오랑캐의 침략을 상징힌다. 진운 층층으로 두껍게 쌓여서 마치 전진(戰陣)처럼 보이는 구름으로, 옛사람들은 이것을 전쟁의 조짐으로 여겼다. 노를……같으니 적을 물리치고 국토를 회복하겠다는 다짐을 진(晉)나라 조적(祖逖)에 빗댄 것이다. 조적이 군대를 통솔하여 북벌할 때, 장강(長江) 중류에서 노를 두드리며 "중원을 맑게 하지 못하고 다시 건너면 장강과 같아지리.[不能淸中原而復濟者, 齊如大江.]"라고 맹세하였다. 《晉書 祖逖列傳》 종군 대본에는 '從軍'으로 되어 있는데, 문맥에 의거하여 '從'을 '終'으로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밧줄……나이라 한나라 종군(終軍)처럼 적을 물리치고 군공을 세우겠다는 의미이다. 종군이 한 무제(漢武帝)에게 긴 밧줄[長纓] 하나만 주면 남월(南越)의 왕을 묶어와서 바치겠다고 말한 고사가 있다. 《漢書 終軍傳》 훗날 당나라 왕발(王勃)이 〈등왕각서(滕王閣序)〉에서 이 고사를 인용하여 "나는 석 자 띠를 띠는 낮은 관원이고 한 서생일 뿐이다. 밧줄을 청할 길은 없지만, 나이는 종군과 같은 약관의 나이이다.〔勃三尺微命, 一介書生. 無路請纓, 等終軍之弱冠.]"라고 하였다. 이때 정문부의 나이가 23세였으므로, 〈등왕각서〉의 구절을 인용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안변 남천에서 노닐며 유인길과 수창하다 3수 遊安邊南川 與柳寅吉唱酬【三首】 변방에서 떠돌 줄은 본래 생각도 못했으니이곳에서 노닒은 더구나 일생의 기이한 일이라국화 피고 단풍 든 산에 어찌도 이리 늦게 왔는가낚시터 바위에 앉아 느긋하게 있노라취흥은 귀하신 총마사110)라고 어찌 봐주리오한가로운 정취는 백구만이 알아주리아침에 떠올려 보자 꼭 꿈결 같으니아름다운 일은 시 백 편에 부질없이 남아 있네산성을 유람하자는 아름다운 약속 있으니올라가 바라보지 않아도 기이한 흥취 일어나네한해 북쪽엔 가을 기러기 일찍 오고설봉 서쪽엔 석양이 뉘엿뉘엿 지네학선111)의 자취 산하에 남아 있고총사112)의 위엄은 초목도 알도다태수113)의 분방함이야 어찌 말할 것이 있으랴술 취하자 오직 시 읊는 것 좋아하노라황혼에 미인과의 약속 한번 어겼으니만년에 기남자라 칭하기 부끄러워라세상사와 세월 모두 변하였으니장대한 뜻과 늙은이 머리털 함께 쇠하였네무릉도원에 살려는 굳은 결심114)에 혼백은 먼저 떠나갔는데기나라 사람의 깊은 근심115) 내 스스로 아노라눈앞의 허다한 일 점검하니단지 속으로 말할 뿐 시 쓰지 못하겠네 關外萍逢本不期玆遊況復一生奇菊巖楓岸來何晩釣石漁磯坐覺遲醉興肯饒驄馬貴閒情惟許白鷗知朝來想像渾如夢勝事空餘百首詩山城遊賞有佳期不待登臨發興奇瀚海北邊秋鴈早雪峰西畔夕陽遲鶴仙蹤跡山河在驄史風稜草木知太守疏狂何足道醉來惟有愛吟詩黃昏一失美人期末路羞稱男子奇世累年華同變換壯圖老鬢共衰遲桃源計決魂先往杞國憂深我自知點檢眼前多少事只能心語不能詩 총마사 어사(御史)를 가리키는 말로, 여기서는 함경도 어사 유인길을 가리킨다. 한나라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가 되어 총마를 타고 다닐 때 처사가 매우 엄정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를 총마어사(驄馬御史)라고 부르며 두려워하였다. 《後漢書 桓榮列傳 典》 학선 학선(鶴仙)은 신선이 되었다가 천 년 만에 학으로 변해 고향인 요동(遼東)에 돌아왔다는 한나라 정영위(丁令威)를 가리킨다. 《搜神後記 卷1》 총사 총사(驄史)는 어사를 뜻하는 말로, 함경도 어사 유인길을 가리킨다. 태수 안변 부사로 있던 정문부 자신을 가리킨다. 무릉도원에……결심 세상을 떠나 은거하고자 한다는 뜻이다. 진(晉)나라 때 무릉(武陵)의 어부가 우연히 무릉도원에 이르렀는데, 진(秦)나라 때 난리를 피해 들어온 사람들이 그곳에 대대로 살고 있었다는 고사가 있다. 《陶淵明集 卷5 桃花源記》 기나라……근심 옛날 기나라의 어떤 사람이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지면 자기 몸을 붙일 곳이 없게 된다 하여 침식을 폐하고 걱정을 했다는 '기우(杞憂)'의 고사가 있다. 《列子 天瑞》 기우는 보통 쓸데없는 근심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지만, 여기서는 왜적의 침입으로 혼란해진 나라에 대한 근심을 의미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碣銘 【幷序】 洪副學赫周往在正廟晟際朝廷重才行之選苟非學問精邃踐履篤厚地望隆洽者鮮能與焉惟時南崖洪公登薦敍除寢郞斯可以知公之賢也已謹按公諱翼鎭字景進初諱義健又曰仁基號南崖居士我豐山氏以高麗文科國子直學諱之慶爲藝祖洪崖先生諱侃密直使大提學諱侑大提學諱演皆登文科大顯麗代爲東邦望族麗衰郞將諱龜遯高陽獻靖孫府使諱樹我朝莊陵末卜居羅州府使有孫漢義與靜菴先生同年司馬官健元陵參奉己卯禍後居南平絶意仕進昭敬王朝有壺隱諱民彦薦除司僕寺主簿壬辰擧義樹勳光海朝坐誣獄謫寧越仁廟改玉敍職不就蒼崖諱時挺薦除奉事仁廟甲子擧義勤王卽參奉之孫曾公之六世以上也高祖諱益河贈吏曹佐郎曾祖諱以東贈吏曹參議祖諱壽源號酒隱累擧孝廉不起贈左承旨考諱鳳周號石崖英祖己卯生員正祖癸亥文科官承政院同副承旨兼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嘗奉敎釐刊璿源譜優蒙褒賞上萬言疏矯時弊救民瘼望重朝野妣晉州鄭氏馨東女昌寧曺氏夏裕女晉州鄭氏慶文女石崖公有弟曰顯周是爲公之本生考公生於英祖丙戌八月二十日厚禀粹質英峻正明及長出入于夢村金先生三山金先生門專心性理之學間或課以詞章之文辭意活噩汪洋時人稱有大家法正祖甲辰石崖公以宗簿寺主簿釐刊璿源譜告功之日得疾于直中載歸鄕庄公千里侍湯刀圭無闕於驛路紛挐之中旬望之間應接逢迎絡錯道中公處之裕如井井有條序自官僚至輿臺郵卒見者咸稱草野逸才時公年十九而見重於人己如此己酉奉石崖公疏章如京盖石崖公雖病臥江湖而葵藿之忱未嘗小弛國有大事必上章敷猷是歲則荐罹凶荒之餘權貴有拔扈之端故製萬言疏陳救時急務使公仰達于天階公之此行實係家國之重事故送者如堵贐章交賀林上庠德鎭詩曰孰若吾君斯一擧悅親佑國兩兼之眞着實語也庚戌正祖設賓興之科別試經術文章之士正祖親臨考試公獻賦特蒙恩批三上內賜書冊硯墨而賞之丙辰丁石崖公憂哀毁盡禮衿紳之來吊計以累千而咸嘖嘖稱誠禮之備戊午服闋主倅鄭持容擧公才行薦報己未登聞于朝上疏陳農政正祖嘉納稱達時務除英陵參奉不就靜處一室溫燖經傳道日愈肥德日愈積年漸强仕將有行可之仕矣翌年庚申正祖陟方公愈切如喪之痛盖前被殊恩而報效無日故也辛酉七月初五日卒葬南平縣法古川先塋下子坐午向之原公以天賦之美早能力學門路旣正踐履得中有拯世救時之經綸而不汲汲於進就有愛君憂國之丹衷而懇懇於封事其所陳農政正廟雖嘉納而未及措試於當日龍馭奄忽賓天公亦嗇其年壽使斯世末霑其惠甚用慨惜者也配幸州奇氏贈吏曹參議泰良女丁亥九月十七日生乙巳十月初六日卒墓合窆祔左生三男二女男祐德祐吉祐弼坡州廉在學濟州梁得浩二女壻也祐德有二男三女承說承祿男也晉州河錫奎驪興閔致榮咸陽朴萬赫室女也祐吉子祐德子承祿祐弼有二男二女承九承百男也咸安尹誠儉咸安尹文儉室女也廉在學一男性直梁得浩二男曰棨曰㯳曾玄以下甚繁不盡錄嗚呼以公邃學卓行遭値聖明之世而疏陳經濟未試其術山林之日又無幾何未得據師儒之席以助菁莪棫樸之化實有闕於氣化之盛衰非人智力之能及也是豈特公之不幸而已哉承百之子奎植遣男錫意請余掲阡之辭顧此諛學不敢當者然前哲固可仰止也況兼以宗黨兄事之地敦睦不可不講也不敢終辭撮而爲序系以銘曰石翁啓學詩禮有傳三山是師受厥單傳進琢切磋斐然成章蘭香遠播闇然日章獻賦王庭恩批煌煌被選才行寵榮耀煌輪困經綸囊封以陳粒我惟何農政條陳縱承嘉納未及施行龍飛鼎湖玉駕大行胡天降割又嗇公年遺風愈久經百斯年堂構播穫子姓振振特書樹阡公德彌振戊寅三月日族弟嘉善大夫吏曹參判奎章閣副提學赫周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삼가집(三可集) 1책 三可集 三可集 고서-집부-별집류 문집 三可集 朴遂良 목판본 『삼가집(三可集)』 1 半郭 有界 10行20字 註雙行 雙行 上下黑魚尾 미상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박수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94년에 간행한 시문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6) 臨瀛仙府楓岳神山鍾精千年是生一人松貞竹勁玉潤氷淸全性孝友餘力學問可就鈇鉞難脫衰絰金石感誠禍患【一作福】自遠宋興封表先及髙行新政擧選僉曰俊再九重席上遽見白衣之對千載王前更看堯舜之陳暫布弦歌於十室旋思松菊於三逕蒼生卜其出處白首樂於考盤徳不孤矣閒者爲雙事非一也可者至三海岸溪頭草廬數間竹林松塢濁醪一罇随事言行爲軌範而銘人肺肝遇興吟咏作膾炙而騰人牙頰肺肝之銘以肺肝相傳沒世不忘牙頰之騰以牙頰相播永代不泯沈石刻之臨官道雖行旅而猶超敬三孝旌二賢擧並見於一門百世師千載士共傳於萬代 右失姓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4) 事親願孝人子所同厥惟無憾實惟我公制行之粹鄊黨所宗峻若難犯卓乎其洪【一作綽】澹然無求處士之風幽貞名聞徵辟禮隆奉符百里移孝爲忠窮達一致副窺其中頃我作宰式閭必米今我杖銊祭墓以躬酌酒雖單薦誠則豐想公如在交鑑余衷右監司鄭逑【號寒崗萬暦十四年丙戌八月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文(5) 國運中否昔際昏濁創變制禮以日易月迫以滛刑何人不屈公當此時挺然獨立惸惸茹痛三載如一頹波砥柱用振末俗束帛戔戔天闕仄席髙風百世芳躅如昨緬挹前烈九原難作敢陳菲薄庶㡬歆格府使洪聖龜【辛丑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通(4) 伏以尙德尊賢吾黨之盛擧也興學養士世敎之常經也夫何挽近以來世道忽變斯文將墜州郡絶絃誦之聲章甫無籩豆之肄識者憂其蔓草荊榛冥行擿塡之久而何幸今日伏見來通則松汀金先生復設腏享之擧誠非偶然秉彝所同孰不欽感哉生等惟在遐遠故未能晋參於席末替達鄙忱逋慢之誅烏可逃也伏願僉尊殫誠竭力恢張公議亟竣祠事千萬幸甚右答通于 長興鄕校 僉座下癸酉四月 日全州鄕校儒會【李驥遠金京黙李卿承鄭來和高錫順朴炳益李錫柱韓京錫李存喆林秉龍全性輪金永哲沈鎭元李演晦姜翔熙李鍾瑗沈盛潤高錫注李鍾律李丙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通(5) 先賢遺址或設壇或建祠士林之美風盛事而越自戊辰後雖行路指點而莫不齎咨興歎何幸貴鄕士論齊發全省響應有此復設松汀金先生祠宇之擧此乃神有護而天必佑也秉彝所同孰不欽美哉伏願克竣祠事以妥先賢之靈以獎後學之道千萬幸甚右答通于 長興鄕校 僉座下癸酉四月 日綾州鄕校【直員安載萬梁會奎文在浩閔泳奎鄭淳綱尹滋益朴基休李秉英李承福朴炳海具敎承朴魯翊金正熙朴俊東閔京鎬梁會甲鄭淳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通(6) 慕仰師表建設祠宇後學所以崇奉先賢尊慰斯道之義也貴郡松汀金先生道學孝友行義文章炳耀百世而自戊辰後吾黨之齎恨者也今世敎沈弛之時僉君子乃能殫竭其尊賢慕道之誠奉先生祠宇於楊江之遺墟何其壯也何其盛也信知天理有復而吾道之不墜矣望須極加誠力使楊江一區永作千秋尊慕之地幸甚右敬答通于 長興鄕校 僉座下癸酉三月 日寶城鄕校儒會【直員朴泰時安圭容李欽采文貞鎬任正錫李鍾厚安思淳李鉦安圭臣宣炳善李鍑安圭潭李錫朴容柱任泰時朴泰圭丁琯燮韓圭燮李洪來文章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通(7) 伏以扶正綱常莫如尊聖慕賢樹立風敎莫如表門立祠故國有褒崇之典鄕有揭虔之規此洞宇宙亘古今而不易者也挽近世運否剝儒風晦寂何幸貴郡僉章甫感發秉彝之良心益出羹墻之至誠松汀祠宇金先生仍舊址而復設此是上九剝盡而一陽發生九野窮陰而一雷動聲惟在圓顱方趾之類莫不感應況冠儒服儒者孰不同聲相應哉幸須僉尊殫誠捐義克竣祠事使此先賢永世妥靈則斯文幸甚右敬回于 長興鄕校 僉尊座下癸酉五月 日靈巖鄕校【直員曺在良李官淳崔啓洪愼宗鳳朴修根柳春淵曺寧煥柳寅斗崔文烈李會郁金性弼李基雨崔秉晩金鍾國鄭淳晩愼用晟崔東黙朴燦錫崔圭陽金相漠文昌善柳興仁柳寅澤鄭淳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通(8) 恭惟松汀金先生之道學也孝悌也節義也雖街童野叟莫不尊慕而院宇之毁撤緣於世運之有滯孰無指點咨嗟之歎哉何幸列郡僉議同聲相應復立院祠俎豆之儀惟極力竣功一以從隆師之道一以正趨向之方幸甚右敬覆于 長興鄕校 僉尊座下癸酉五月 日康津鄕校儒會所【尹致商吳瑢泰全伯鎭李康欽尹采玉吳道明朴鍾大尹在昌馬相德李敞黙金永根曺明仲趙東皛朴複淳尹在麟文敬植馬興喆金貞鎭金允伍劉義炫尹在芳馬相珉金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決議文 우리는 韓國靑年儒道會(靑儒)의 總意로 다음과 같이 決議한다一. 우리는 民族文化의 正統을 繼承하여 國民倫理를 再建하고 人類敎化에 獻身한다二. 우리는 仁愛의 精神과 忠孝思想을 根幹으로 現代的倫理觀을 定立한다三. 우리는 民族維新의 先鋒이 되며 祖國의 새 歷史創造에 앞장선다四. 우리는 鄕土文化를 啓發하고 地域社會發展을 爲해 積極參與한다五. 우리는 率先垂範, 社會正義實現과 國民福利增進을 爲해 盡力한다六. 우리는 儒道理念의 汎世界的實現을 爲해서 國際協力을 增進한다七. 우리는 宗派을 超越하며 모든 宗敎의 傳統과 名譽을 尊重한다八. 우리는 成均館創設理念을 遵守하고 成均館儒道會와 連絡的인 協力關係을 鞏固히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咸平鄕校財産目錄 所在地 地番 地目 地積 備考大洞面鄕校里 五九○ 垈 一,一八六坪 校宮敷地同 垈 六七 校宮敷地同 山三一 林野 四丁四六反 風致林同 九七三의一 林野 三○六坪 風致林同 九七三의二 垈 三二 風致林同 九七二의三 林野 四二三 鄕校村前同 九七七의一 林野 四○一 鄕校村前同 一○一○의一 林野 一二四 鄕校村前同 九四八 林野 一七三 鄕校村前同 一○六○ 畓 二八二 咸一校同 一○五八의二 畓 一八七 敵産【未登記】同 一―八七 畓 가 三五五 本畓一○九七耕地整理後同 一―一九五 畓 九○七 本畓一,二一○耕地整理後同 一―一九四의四 畓 三○六 本畓一二一○所在地 地番 地目 地積 備考大洞面鄕校里 三七四의一 畓 七六六坪同 三八九 畓 五二四同 一一四一 畓 九六四同 三三七 田 四二三同 八二四의一 田 九一九新光面 一九七一年五月十六日桂川里 六八六의二 畓 八二七 咸一枝 登記新光面伏興里 五五○의一 畓 六七三 同同 五五○의三 畓 四一 同大洞面 一九七五年五月一日鄕校里 八八二 垈 二八八 咸一枝 登記羅山面 一九七九年 月 日三杻里 三一一의九 畓 四三○ 耕地整理後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