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相從今日飮中仚牛背樵歌落晩天江亭時雨知豐歲應見秋風棹酒船到從今無復與君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三可堂 渠家我屋一山林朝夕相輪只寸心缶酒詎能泉下到從今無復與君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五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久雨寫懷 水繞平田闊煙籠碧樹深閉門人不到窓外有鳴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夢中贈友生 悠悠別時意耿耿言可記山郡雨初霽淸陽滿天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滯楚山縣有感 楚山卽井邑別號 遠遊孤抱自沾巾羌笛何人弄夜分回首未堪思母處一聲穿破楚山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集唐句呈可畦趙丈【翊】 孤雲迢遞戀滄洲芳草何年恨卽休江上有樓君莫上長安不見使人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續修咸平鄕校隨行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東齋隨行案 _0001 【甲戌】都有司 金基鍑【字鍾碩號愼菴】 商山人 忠簡公德生后掌議 張泳相【字敬安號止堂】 仁同人 參贊百林后李啓哲【字應七】 咸平人 孝友堂慴后色掌 沈孝澤【字春成】 靑松人 葵菴安枰后李載官【字奉植】 咸平人 生員敦友玄孫_0002 【乙亥】都有司 金東昕【字化善號後翠】 金海人 翠水希訥后掌議 李文範【字東一號逰松】 咸平人 孝友堂慴后沈棋駿【字龍善】 靑松人 葵菴安枰后色掌 羅承龍【字 】 錦城人 松坡珏后鄭文采【字貴童】 河東人 景烈公地后_0003 【丙子】都有司 魯玟杓【字文玉號絅齋】 咸平人 翰林有顔后掌議 尹沃炳【字啓伯號箕隱】 坡平人 秋塘恒植子鄭元植【字乃春】 光山人 追遠堂浚后色掌 金東旭【字 】 金海人 翠水希訥后朴南燮【字聖來】 密陽人 吏參承栗后_0004 【丁丑】都有司 羅烋成【字福慶號松塢】 錦城人 監察世緝后掌議 安基德【字鎭洪】 竹山人 文惠公元衡后朴準容【字贊明】 密陽人 吏參承栗后色掌 趙珍衡【字南衡】 漢陽人 良敬公涓后金正基【字 】 商山人 忠簡公德生后_0005 【戊寅】都有司 李載烈【字豪俊號龍隱】 咸平人 孝友堂慴后掌議 沈棋洪【字敬禹】 靑松人 葵菴安枰后崔炳休【字彥容】 慶州人 文昌侯致遠后色掌 金相玉【字 】 金海人 鶴城君完后全瑜鍾【字 】 天安人 大提學翊后_0006 【己卯】都有司 金鸞洙【字瑞玄號交南】 金海人 翠水希訥后掌議 李啓恒【字永芳號忍齋】 咸平人 孝友堂慴后趙炳雨【字性彥】 漢陽人 忠靖公仁沃后色掌 李相烈【字東一】 慶州人 文忠公齊賢后朴龜培【字 】 密陽人 文景公忠元后_0007 【庚辰】都有司 尹沃炳【字啓伯號箕隱】 坡平人 秋塘恒植子掌議 李珞範【字容三號石溪】 咸平人 孝友堂慴后羅承允【字陽鉉】 錦城人 松坡珏后色掌 俞鍾根【字 】 杞溪人 進士敬止后金大鉉【字 】 光山人 校理錫元后_0008 【辛巳】都有司 張鉉斗【字明玉號林川】 興城人 野憂以吉后掌議 鄭程鉉【字德萬號桂隱】 晉州人 忠莊公璜后尹伊炳【字光玉】 坡平人 東湖滋學孫色掌 李公範【字 】 咸平人 孝友堂慴后金鏡萬【字萬錫】 金海人 嘉善鍊宅后_0009 【壬午】都有司 李圭燦【字致明號小庭】 慶州人 文忠公齊賢后掌議 羅丰柱【字甲洙】 錦城人 松坡珏后李啓煥【字 】 咸平人 孝友堂慴后色掌 趙誠鎰【字 】 漢陽人 忠靖公仁沃后金斗洙【字判玉】 金海人 翠水希訥后_0010 【癸未】都有司 安基彥【字德弘號一樂】 竹山人 文惠公元衡后掌議 鄭炳弘【字德仲】 晉州人 忠莊公苯后金炳柱【字安聲號蓮坡】 金海人 文敬公琢后色掌 陳成寅【字奇銖】 驪陽人 錦沙二孫后牟鍾洙【字 】 咸平人 截江恂后_0011 【甲申】都有司 李文範【字東一號遊松】 咸平人 孝友堂慴后掌議 金珪馹【字君千號弦齋】 光山人 應教孝忠后金基根【字宗範】 商山人 忠簡公德生后色掌 金福鉉【字 】 金海人 鶴城君完后牟鍾表【字 】 咸平人 牧使世蕃后_0012 【乙酉】都有司 金在表【字太業號坎山】 光山人 校理錫元后掌議 李直烈【字 】 固城人 容軒原后金鍊喆【字大聲】 商山人 忠簡公德生后色掌 朴在武【字 】 務安人 楓亭義龍后金炳國【字 】 慶州人 鷄林君稇后_0013 【丙戌】都有司 安鍾泰【字洛中號凡儂】 竹山人 文惠公元衡后掌議 沈錧澤【字聲彩號晩坡】 靑松人 葵菴安枰后金鎬炫【字判天】 商山人 忠簡公德生后色掌 李珍雨【字 】 全州人 完原君{忄+遂}后李文觀【字 】 全州人 襄度公天祐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賞盆池蓮贈白松湖【振南】 我友相逢處壺中別有天莫言蓮葉小終見大如船靑蓮初出水方寸鏡中天今日樽前飮何如太乙船 松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湖舟中贈白松湖洪季通【命亨】 山靑雨初歇西日照船窓別後如相忘杯前有此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唐詩江送巴南水韻 遠浦飛殘雨孤帆帶濕雲今朝送君後吾與白鷗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次成石田【輅】 草廬幽寂在湖濱近水遙岑看更親把酒何心談世事魯山眉宇畫中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呈松溪 興仁門外路綿綿人到松溪雪後天莫道夕陽雲際沒峨嵯山色照杯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奴山業服役無違者三十餘年得病而斃詩以傷之 半生從主服勤多死病無醫柰爾何三尺桐棺聊貿得傷心暮雨葬山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亡室淑夫人奇氏文 年月日夫晴沙居士高用厚悼傷後在晉陽之謫所而聞子之葬期卜于今辰爲文以付歸便俾奠爵而謹告于亡室幸州奇氏之靈吁嗟乎內子胡然而遽至斯耶與子偕老之約虛矣死者不復生四海雖至廣吾將何歸嗚呼疇昔至親至密之情曁暯境離居或關塞千重或風波萬里或圜墻之內相望恨別之思于今一生一死倏焉分岐娟娟眉目不得見而想像痛悼之懷所可道也涕零如雨縱欲爲文而弔之其何能以措辭耶噫吾罪與厄俱重在縲絏者三載去夏哭辛甥之喪氣轉劇精神都癈不如無生負罪應死之人假令自盡與螻蟻何以異而只希他日復與子相見强飯寬遣僅延殘喘惟俟聖明之開釋安知子引決之志已定而不可奪也吾雖下吏而與子不相見者久子上有臨年之慈親下有無依之寡女柰何乎棄之如脫屣而莫之顧耶鬼神無語太空茫茫憑誰問而何處訴耶自前年冬往來簡扎累言積年養獄解脫無期酸苦生涯不如無生惟願遄死以我之身代君之厄則君必速蒙乎天德也云爾吾見之流涕謂婦人之常說豈料其終至於自經也哉行路之人亦爲之咨嗟墮淚而洪鶴谷謂聞者莫不酸鼻云者得其實矣吾一自聞訃以來忽忽無生意傷慟太過危腸若裂痰火上衝廢食嘔血自分爲獄中之鬼幸蒙異數生出圓門聖德如天奚啻骨肉吾實再生之人也無乃子之至誠感天天高聽卑而白日照陰崖之卉耶晉州此行何異還鄕固知聖上以好生之德哀矜乎吾先子殉國之節而宥及于世以示勸忠之典而亦惟子之死實出於爲所天純一惻怛之意則不可謂無助於萬一矣嗚呼子之入棺之越一日吾方幽囹圄中夜不寐忽似夢非夢之間有隔壁而呼我聲審聽之乃子也舊音宛然曰近日必蒙恩焉幸寬心也吾驚寤而起坐泣下沾襟果然未久其言乃符嗚呼異哉李學士子時哀之而製挽詞有匹婦捐生感至尊之句而搢紳間往往以烈婦稱之噫浮生自古然矣脩短雖珠終期於盡死者人之所必不免而死得其所亦無憾矣顧吾之所深悲者耽酒成病狂易失性被他所瞞類瞽行迷竟遭眚災自陷坑埯使子至於此極正所謂吾雖不煞由我而死者不幸近之百年慙痛曷有忘時蘭無香而玉貞折者是誰之過歟翰墨猶新篋衣餘馨而端姿蕙質戢于一木石沈海闊劍別天長此生相見惟有夢想則安得不無涯之痛沒身而不弛哉吾出金吾之日到竹箭洞之故宅撫子之柩與辛氏女相嚮失聲而哭哭▦辛氏女嗚咽而言曰母氏之生也每聞簷鵲之噪則輒出戶跪而祝曰莫是今日爾父蒙恩釋而還家乎否耶旣昏暮而無消息則恒垂淚太息曰必我死爾父其蒙恩乎我言爾其記之其企待之苦度一日如三月則母氏無生之心者非一朝一夕矣嗚呼吾尙忍側耳而聽此言耶急於赴配所父子遂相持大哭而分手出門死別生離之慟隣人之觀者滿墻頭而亦爲之歔欷矣嗚呼彼鳥獸之失喪其群匹者猶爲之鳴號焉蹢躅焉矧爾最靈惡得無情由此觀之莊南華之鼓盆而歌雖曰達於死生要之亦未免於不平之鳴乎嗚呼百年上壽亦是駒隙況未必百年耶使逝者無知長已矣若有知幾何其不相從於地下耶吾知子之精爽殊異乎庸人雖暫聚之形與萬物而共化一片魂識必昭昭乎不昧者在焉外孫之慧而天者壽星養高輩不知夜臺之畔果能得相見而時或抱置之膝上耶吁伉儷之義必不以隔幽明有小減於旣往不知子其亦憐孤蹤之踽踽於嶺海之境而倘能默佑焉使之無疾病而還鄕井耶悲夫吾旅泊于此地之初日捨馬而步往矗石江之湄哭伯氏死節之遺躅而卽返于寓舍之後足迹一不出門庭之外者已三朔于茲矣暑往涼來西風颯然遙憶京華雲山杳綿骨肉分散身世堪憐而秋宵漸長促織鳴悲常孤衴無眠露白星曉江城砧杵傳聲遞響而破壁寒燈形影相弔之光景想冥冥之中子之眼爲吾淚不晴矣每於靜夜月入囱櫺則依依之影皎皎之光猶疑顔色之忽若在傍而其柰飛空之雲照鏡之花可望而不可親何嗚呼自有宇宙以來婦人之備四德而運蹇命薄飮恨而沒者多矣奚獨於子也當初旅櫬之及時南歸者實洛下諸賢哀憐賻恤之德也畢竟葬事得以成禮而無欠缺者皆正郞仲氏與孝原君誨兩姪終始周旋之力也而葬山乃長城新縣之南六里外梧桐里午坐子向之原卽先大夫先妣之墓側而其左又伯嫂之墓也其間相去俱不過十餘步而溪山明麗林木蔥秀眞可謂葬得其地且先妣在世之日常贊子曰新婦善事我噫九原相逢從先妣而謁先大夫之時平生行己必也無愧色而神道妥矣況夫也來此善地湖南稍近眠食粗安宿疾少歇惟是聖恩天地父母幽明之間彌思隕結而已嗚呼自初至今吾頻夢子子辭氣和平言語安詳了無愁怨之狀是子之心瞑目泉壤更無所恫團圓魂魄必自樂於長景明暉之際而柰此在世人何哉嗚呼雖登高山之巓臨滄海之涯啼號涕泣無有已時曾不足以慰子心而塞吾之悲矣獨謹身力學遷善蓋愆而遂世篤忠貞之願報聖上好生之德則方可以塞吾悲而慰子之心矣敢不惕若而自箴焉哉嗟乎此生早晩蒙恩赦而旋桑梓之里省先墓而酬子之墳然後杜門攝養以盡吾齒則志願畢矣不知子其能有以陰騭之耶嗚呼子之斂也旣不得憑尸而奠一杯其窆也又不得擧棺而盡其哀有生慘慽孰與之儔吾實致之其又何尤嗚呼子之生也聰明脫凡吾所讀書聞之輒誦略無滯壅則今也寫送之祭文的應解其槪而其能以諒吾之忱乎焄蒿悽愴必死而不亡者有臨吁嗟乎內子庶僾然而顧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夢先大夫說 乙未之秋七月八日余獨宿于竹齋夢見先大夫撫頂而言曰流光可惜勿惰也仍語及前程事甚長余夢中且悲且喜乃泣而反其辭曰念子無狀以父也爲慈父幽明雖隔亦有怙也先人哂余驚而窹鷄初鳴矣僾然如見口澤之氣了了猶聞余惕然正襟撫髮膚而涕泣夫夜夢一何其審明也豈諱日臨到有所感應而致此耶是知父母愛子之情終不以存亡而少間也嗚呼至哉是爲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전문 箋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중전이 건강이 좋지 않아 죄인을 사면하는 교서를 반포하는 글 中殿失寧頒赦文 잘못이 없이 재액에 걸렸으니약을 쓰지 않는 기쁜 일1)을 점치지 않아도 알아라.선을 쌓아 넘치는 경사가 있으리니이에 사생2)의 은혜를 미뤄 넓혔어라.함께 살면서그들이 다시 시작하게 하려는 것이네.삼가 생각건대, 일찍이 건도와 짝하여끝내 곤의를 바르게 하였어라.유정한 덕3)을 드러내니모두들 천년 뒤의 태사4)라고 칭하였네.공은 사직에 남아 있으니십난 가운데 읍강5)에 부끄럽지 않아라.하늘이 명복의 반포를 시행하였고백성들이 복록의 노래를 널리 전파하였네.어찌 생각이나 했으리, 세자6)가 문안드리다가7)왕비께서 건강이 좋지 않다고 갑자기 전할 줄을.한 달 넘게 병으로 앓아산천도 규벽8)에 응하지 않았어라.그때 혹한의 날씨라인삼, 복령의 탕약도 도움이 되지 못하였네.이에 감옥에 갇힌 죄수들이오랫동안 질곡의 고통당한 것을 생각하였어라.죄가 있건 없건 간에모두 천지에서 같은 기를 받았으니임금이 되건 백성이 되건똑같이 몸에 질병의 아픔이 있누나.만약 억울한 원망이 있다면어찌 천지에 감통하리오.이에 백성의 부모된 마음으로자제들의 허물을 기록하지 않으리.법에 오형이 있으니비록 큰 죄는 반드시 죽이라고 하였어도,여덟 가지를 따져본9) 뒤에 권도를 따라마땅히 잡범은 용서해 주어야 한다.오호라! 죄가 의심스럽거든 가볍게 처리하고공은 의심스럽거든 무겁게 처리하라10) 했으니온 삼한이 은혜를 함께 받도록 하라.어그러진 기는 재앙을 이르게 하고온화한 기운은 상서로움을 이르게 하니백성들과 함께 장수의 지경에 오르게 하노라.그러므로 이에 교시하나니마땅히 자세히 알 것이라 생각하노라. 无忘1)罹災未卜勿藥之喜積善有慶玆推肆眚之恩欲其幷生與之更始恭惟夙配乾道終正坤儀德著幽貞咸稱千載後太姒功存社稷不愧十亂中邑姜天申命服之頒民播福履之詠何圖鶴駕之問寢遽報翟幃之愆和月餘彌留山川未應於圭壁時當嚴沍湯劑無賴於蔘苓爰思囹圄之囚久被桎梏之苦有罪無罪同受氣於生成作君作民均在身之疾痛苟有冤怨何能感通肆以父母之心不錄子弟之過五刑有法雖大憝之必誅八議從權宜雜犯之見宥云云嗚呼罪疑惟輕功疑惟重擧三韓共沐恩波乖氣致灾和氣致祥與百姓同躋壽域故玆敎示想宜知悉 잘못이……일 《주역》 〈무망괘(无妄卦) 구오(九五)〉에 "아무런 까닭이 없이 걸린 병이니, 약을 쓰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 희소식이 있으리라.[无妄之病, 勿藥有喜.]"라고 하였다. 사생 사생(肆眚)은 무의식적으로 범한 실수나 상황이 불운해서 지은 죄는 용서하여 풀어 주는 것을 말한다. 유정한 덕 유한정정(幽閑靜貞)의 준말로 곧 왕비의 정숙한 덕을 말한다. 태사 문왕의 부인이나 무왕의 어머니이다. 십난……읍강 난(亂)은 치(治)의 뜻으로, 주 무왕(周武王)에게 난신(亂臣) 10인이 있었는데, 그중에 무왕의 처 읍강(邑姜)이 들어 있다. 《書經 泰誓》 새자 '학가(鶴駕)'는 《열선전(列仙傳)》에 "주영왕(周靈王)의 태자(太子) 진(晉)이 흰 학을 타고 칠월 칠일 산봉우리에 두어 날을 머물다 떠나갔다."라고 하였는데, 뒷사람이 태자의 행차를 이르게 되었다. 여기서는 태자를 가리킨다. 세자가 문안드리다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仁穆王后)와 세자 광해군을 가리킨다. 규벽 신명(神明)에게 제(祭)를 올릴 때 폐백으로 쓴 것인데, 무왕(武王)이 병이 들자 주공(周公)은 규벽을 가지고 제를 지내면서, 자신이 대신 죽게 해 달라고 하늘에 기도하였다. 여덟 가지를 따져본 형벌을 적용할 때 감안해 주는 여덟 가지 경우를 말한다. 첫째는 의친(議親)인데, 황제의 단문(袒免) 이상의 친족과 황태후의 시마(緦麻) 이상의 친족 및 황후의 소공(小功) 이상의 친족이 해당된다. 둘째는 의구(議舊)인데, 옛 친구가 해당된다. 셋째는 의현(議賢)인데, 큰 덕행이 있는 사람이 해당된다. 넷째는 의능(議能)인데, 큰 재주와 공업(功業)이 있는 사람이 해당된다. 다섯째는 의공(議功)인데, 큰 공훈이 있는 사람이 해당된다. 여섯째는 의귀(議貴)인데, 직사관(職事官)은 3품 이상, 산관(散官)은 2품 이상, 급작(及爵) 1품이 해당된다. 일곱째는 의근(議勤)인데, 큰 노고가 있는 사람이 해당된다. 여덟째는 의빈(議賓)인데, 선대(先代)의 후손으로 국빈(國賓)이 된 자가 해당된다. 《唐律疏議 名例》 죄가……처리하라 《서경》 〈대우모(大禹謨)〉에 법관인 고요(皐陶)가 순(舜) 임금의 살리기 좋아하는 덕을 찬양하면서 "죄가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가벼운 쪽으로 처벌하고, 공이 의심스러울 경우에는 중한 쪽으로 상을 주었다. 그리고 무고한 사람을 죽이기보다는 차라리 형법대로 집행하지 않는다는 비난을 감수하려고 하였다.[罪疑惟輕 功疑惟重 與其殺不辜 寧失不經]"라고 하였다. '忘'은 '妄'의 오류이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