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晉州答通(5) 右文爲奉答事各院來諭這這謹悉而故判書松溪陳公之偉忠壯烈曾所歎服矣湖南章甫旣有獎通況我同鄕士林熟不欲崇奉而壬功丁勳思之寡儔事擊重大呈邑呈營以至轉聞春曹覆啓然後追享可以判定惟願 僉尊且勤且誠期於拔力揚虔之地幸幸甚甚右敬答通于興陽鄕校辛卯正月二十一日忠烈書院新塘書院慶林書院殷烈書院校任幼學 柳之燦許 述姜匡正具 潤李桐晉金星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文(1) 右文爲通諭事酬勳旌忠 朝家之盛典彰烈奠賀士林之公議以故判書松溪陳先生忠節事道內通章嶺儒之炳筆先緖幷發且貴院簡通來到豈無同聲相應之道乎以前頭腏食之意如是敬答其完薦藻之事幸甚右敬答雲院辛卯二月十四日齊院發文幼學 宋銓玉申正泰宋陽熙丁孝道柳遇錫柳奎祿宋仁玉申喆祿申衡祿宋彦玉宋璿煥宋喆欽宋圭欽朴采彬柳日錫李國奎朴相淳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答通 右文爲答通事故判書松溪陳公之偉忠卓節凡有秉彝之良心者孰不欽歎而慕仰哉況又道內發通嶺通繼至而 貴院首發薦藻之議此所謂先獲者也玆以答通望須 僉尊特遵一體之公議以爲餟享之地幸甚右敬通于雲院辛卯二月十五日星院發文幼學 申師泰申震祿宋旭濂韓基廷柳載榮朴震彬宋 {火+允}申廷模宋千祿柳五榮宋壽祿金尙珩曺錫泰柳濬錫朴斗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通文(2) 右文爲通諭事闡發偉忠 朝家之盛典也揄揚卓節士林之公議惟我本縣故判書松溪陳先生之貞忠偉烈昭載國史塗人耳目則道內通章嶺儒通文一体幷起是內秉彝之良心而不謀相符也尙未薦藻非但子孫之臆鬱實是士林之慨惜者也玆以簡通望須 僉尊特發公議之爲腏食之地千萬幸甚右簡通于星院辛卯二月十三日雲院發文幼學 柳煥斗丁孝逽李鎭璣申柱祿宋斗煥柳瑞浩申斗祿宋榮斗宋榮祿柳自榮柳文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興陽鄕校答通(1) 右奉答事孝親忠君人之大倫也孰不欲崇奉而惟我本縣故判書松溪陳先生之偉忠壯烈昭載 國史塗人耳目則凡有秉彝之良心而不謀相符者也旣蒙 朝家之顯秩而道內之炳筆嶺儒之通章一體竝起千載之史蹟昭著百世之公議則特遵薦藻之儀以爲腏食之地千萬幸甚焉興陽士林 申師泰柳煥斗宋銓玉丁孝逽李鎭璣宋斗煥柳瑞浩申震祿韓基廷宋旭濂申斗祿宋榮祿柳自榮朴震彬柳濬錫宋 {火+允}曺錫泰丁孝道申正泰金尙珩李國奎柳遇錫宋仁玉朴采彬宋陽熙柳載榮宋英斗申衡祿朴相淳等三百余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跋 誌者誌其實者也何爲以作也凡有人以後有祖宗有祖宗然後有子孫是以敬祖篤後人道之正常也而不修身職近於飛走五典之敍孝悌之經定矣且以末裔生於千載之下講於千載之上文獻邈然未能講明於先德之萬一是萬裔之所齎恨又何極也誌之作是以作也武烈祠在高興郡豆原面新松天皇山北麓下千山拱賀萬水流派惠風和雨祥雲瑞氣有時以藹然與日月咸享迺吾先祖龜城都護府使妥影之所也雲仍之所景慕處者也然而越昔 高宗戊辰 命各院祠撤毀後未遑復設其裔孫之不勝痛恨者極矣距今九十三年前高宗十九年壬午幸賴糾合裔孫之誠丙舎之重建更新新則新矣舊則舊矣然英靈默佑天理不泯諸般先事鱗次修補玆乃吾門千秋之福慶將此無極矣嗣孫善洙甫繼以纂輯武烈祠誌一部書付諸剞劂氏而頒布于各校院以爲悠久不忘之圖似余不侫綴其所感書之于編末猥忝無雙幸使此役此誌續之無窮尤光於祖宗永垂於百世詩所之貽厥孫謨者此之謂也歟歲次甲寅十一月 日后孫 壽星 謹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무열사지(武烈祠誌) 武烈祠誌 武烈祠誌 고서-기타 서원향교지 원문 武烈祠誌 陳善洙 陳善洙 고흥 연활자본 1 반곽 유계 11행24자 주쌍행 상2엽화문어미 고흥 무열사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신송리에 조선 중기의 무신 진무성(陳武晟, 1566~미상)의 위패를 봉안한 무열사의 사우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武烈祠誌序 夫祠誌者誌祠之實蹟也祠而無誌猶無祠也誌而不實猶無誌也此武烈祠松溪陳公諱武晟妥影之所也公自齠齡孝性根天英勇超倫有倜儻慷慨之志事親極孝生養死葬能盡五者之行當 穆陵壬辰之亂島夷猖獗國危一髮公以忠肝義瞻奮不顧身從忠武公幕大樹敵 愾之勳其貞忠純孝與日月爭光矣 上嘉奬之 特除龜城都獲府使 贈資憲大夫戶曹判書後以列邑士林之薦狀俎豆于興陽龍岡祠不幸上命毁撤後未遑復設其血禪脚下不勝痛恨念玆在玆釋玆在玆刮毛龜背索角馬頭特盡瓣香重修武烈祠行俎豆之禮祠下構一齋爲齊宿具需之所顏曰著存齋噫顧今此日何日天地飜覆綱倫斁敗人皆陷入於財利一粒是分半豆是剖之世其雲仍爲先之誠於此推類可想也已於乎偉哉又刊行祠誌以圖久遠善洙來請其玄晏之役余文極拙病極苦而何敢當大役也辭之不獲已忘畵蚯蚓之聲佛頭布穢可畏歲在甲寅十月下浣 日南陽宋衡柱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숭인의 〈원일의 아침 조회〉 시42)에 차운하다 次李崇仁元日早朝韻 옥 처럼 핀 궁궐 매화 궐 담장을 비추고옥 계단의 방초는 봄빛을 누설하네누대의 경치 방장산43)과 같고의관 갖춘 문무백관이 미앙궁44)에 모였네절역에서 산 넘고 물 건너 와서 공물을 바치고강구에서 밭 갈고 샘을 파며 도당을 송축하네45)태평성대의 문물 지금 한창 전성기이니이 좋은 날 축수하는 잔 올리기에 알맞구나 玉坼宮梅照禁墻瑤階芳草漏春光樓臺物色依方丈文武衣冠集未央絶域梯航歸禹貢康衢畊鑿頌陶唐太平文物方全盛令節端宜稱壽觴 이숭인의……시 이숭인의 〈원일에 봉천전의 새벽 조회에 참석하다[元日, 奉天殿早朝]〉 시를 가리킨다. 이 시는 《도은집(陶隱集)》 권2와 《동문선(東文選)》 권16에 수록되어 있다. 방장산 방장산(方丈山)은 전설에 전해 오는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이다. 미앙궁 미앙궁(未央宮)은 한 고조(漢高祖)가 건립한 궁전으로, 여기서는 임금이 신하들의 조회(朝會)를 받는 곳을 의미한다. 강구에서……송축하네 태평성대에 살면서 성군을 송축한다는 의미이다. 강구(康衢)는 사통팔달(四通八達)로 뚫린 큰 거리를 말하고, 도당(陶唐)은 요 임금을 가리킨다. 요 임금이 천하를 다스린 지 50년 만에 미복(微服) 차림으로 강구에 나가니 아이들이 태평가를 불렀으며, 한 노인은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리며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노라. 우물 파서 물 마시고 밭 갈아서 먹고사니[鑿井而飮, 耕田而食],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슨 상관이 있는가."라고 노래했다. 《十八史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가정32) 곡의 〈봉천전33)에 아침 조회를 하다〉 시에 차운하다 次李稼亭穀早朝奉天殿韻 봄 그늘 아스라이 발을 뚫고 들어와 쌀쌀하니금압의 여향이 박산에 있구나34)전각에 구름 걷혀 어좌가 열리고대궐에서 바람에 이끌려 선관에 올랐네황하가 맑아지는 천재일우 기회 함께 만났으니35)하루에 용안을 세 번 뵈었어라36)조회하고 물러나 돌아올 제 꽃 밑에서 헤어지니37)성에 가득하던 패옥 소리 점차 사라지누나 春陰薄薄透簾寒金鴨餘香在博山鳳殿雲移開寶座龍墀風引步仙官淸河共際千年會晝日三承咫尺顏朝退歸來花底散滿城環佩響闌珊 이가정 이곡(李穀, 1298~1351)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초명은 운백(芸白),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봉천전 현재의 북경(北京) 자금성(紫禁城)의 태화전(太和殿)으로, 명나라 초기에 이름을 봉천전(奉天殿)이라 하고 이곳에서 황제가 조회를 받았다. 금압의……있구나 향로에 향이 남아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금압(金鴨)과 박산(博山)은 모두 향로 이름으로, 오리처럼 생긴 향로 또는 화로를 '금압로(金鴨爐)'라고 하며, 전설 속 박산의 모습을 본떠 만든 향로를 '박산로(博山爐)'라고 한다. 황하가……만났으니 태평 시대를 만났다는 뜻이다. 삼국 시대 위(魏)나라 이강(李康)의 〈운명론(運命論)〉에 "황하가 맑아지면 성인이 출현한다.[夫黃河淸而聖人生.]"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 주(註)에 "황하는 천 년에 한 번 맑아지는데, 맑아지면 성인이 이때에 나온다고 세상에서 전한다.[黃河千年一淸, 淸則聖人生於時也.]"라고 하였다. 《六臣註文選 卷53》 하루에……뵈었어라 임금의 깊은 은총과 예우를 받았다는 뜻이다. 《주역》 〈진괘(晉卦)〉에 "진괘는 강후에게 말을 많이 하사하고 낮에 세 번씩 접견하는 상이다.[晉, 康侯用錫馬蕃庶, 晝日三接.]"라고 하였다. 퇴궐하여……헤어지니 당나라 두보(杜甫)의 〈저녁에 좌액에서 나오다[晩出左掖]〉 시에 "조회하고 물러나올 제 꽃 밑에서 헤어지고, 관청으로 갈 때 버드나무 가에서 정신이 어질하다. [退朝花底散, 歸院柳邊迷.]"라고 한 것을 인용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선종대왕 만장 宣宗大王輓章 큰 덕은 분명코 큰 명에 응하니구오의 비룡에서 때로 용을 타는 것331)을 보누나.크고 어려운 선대의 업 물려준 것332)을 참으로 알아초기부터 더욱 전전긍긍하였어라.몸소 만기를 다스려 한가로운 때가 없고구중궁궐에 거처하며 봄날의 얼음을 걷는 듯하였네.333)충성을 다한 진언을 받아들여 유악에서 도움을 받았고도를 논하여 나라를 다스림은 고굉의 신하에 책임 지웠네.다스림을 지극히 하면서도 온화함에 힘썼고때에 맞는 정사하여 태평성대 기약하였어라.임금의 정성 영토의 한계에 막히지 않아황제의 돌아봄을 많이 받아 하사함이 많았네.열 줄의 조서에서 보전334)을 겸하여 선포하였고아홉 층의 하늘에서 용포를 또 내려주었어라.삼한이 모두 인륜이 펼쳐진 것을 경하하였으며만 백성이 함께 고귀한 호칭 칭송함을 기뻐하였네.길흉은 다만 자신이 초래하는 것335)이라 누가 말하였는가어찌 막힘과 형통함이 서로 갈마드는 것과 같겠는가.고래336) 헤엄쳐 풍파가 일어나니 잠시 놀랐지만번개 후려쳐 우주가 맑아짐을 곧바로 보았어라.성덕을 옥처럼 다듬어서 아름다움이 이에 이르고황은이 하늘처럼 덮어주니 감사함을 어찌 이길 수 있으랴.오직 대의 따라 중하를 높이더니마침내 커다란 토대로 중흥의 기틀 마련하였어라.봉황 수레는 창오의 들판337)을 순수(巡狩)하지 못하고용의 누대에서 기나라 하늘이 무너진 것338)을 통곡하누나.어떤 신하가 금등의 점339)을 본받을 것인가유명은 옥궤340)에 기대어 밝게 드리우셨네.비전341)으로 창덕궁을 중수하였고유궁은 건원릉342)의 옆에 두었어라.천박하고 미천한 신하가 지우를 받아예전 궁궐에서 벼슬살이 하였었지.늙고 병듦을 속이고 동패를 몇 년 찼었던가중년에 은혜로운 부름에 은대로 달려갔었네.변부의 영광을 내려줌도 참으로 분수 넘치는 일이라초상에 달려가 통곡하여도 애통을 풀길이 없어라.대전에서 새로운 해와 달을 처음 보았을 때안중에 오히려 옛날의 법도인가 하였네.다행이 지금 성상의 효도가 전대 왕보다 빛나니다만 영령께선 만만대 이어질 걸 도모해주길 바라네. 大德端宜景命膺飛龍九五睹時乘迪知先業投艱大粤自初年倍戰兢躬御萬機無暇日身居九闕若春氷盡忠納誨資帷幄論道經邦責股肱致理務令和氣在措時期見大猷升宸誠不隔封疆限帝眷偏承錫賚增寶典兼宣十行詔龍袍又下九霄層三韓均慶彝倫敍萬姓同欣顯號稱誰道吉凶惟所召爭如否泰有相仍鯨奔暫駭風波動電掣旋看宇宙澄聖德玉成休式至皇恩天覆感何勝只緣大義尊中夏竟致丕基有再興鳳駕不因梧野狩龍樓已哭杞天崩有臣誰效金縢卜遺命昭垂玉几憑閟殿重修昌德闕幽宮側近健元陵微臣譾薄承知遇禁闥趨蹌記昔曾銅佩幾年欺老病銀臺中歲赴恩徵紆榮邊府誠非分奔哭初哀痛未能殿上載瞻新日月眼中猶是舊觚棱幸今聖孝光前烈惟祝靈圖萬萬承 구오의……것 《주역(周易)》 〈건괘(乾卦) 구오(九五)〉에서 "나는 용이 하늘에 있는 것이니, 대인을 만남이 이로우니라.[飛龍在天 利見大人]"라 하였고, 그 〈단사(彖辭)〉에서 "때로 여섯 용을 타고서 천도를 운행하나니라.[時乘六龍, 以御天.]"라고 하였다. 선조가 왕의 자리에 오른 것을 말한다. 크고……것 《서경》 〈대고(大誥)〉의 "짐에게 크고 어려운 짐을 맡긴다.[遺大投艱于朕身]"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왕위를 잇는 것을 가리킨다. 봄날의……듯하였네 《서경》 〈군아(君牙)〉에 "내 마음의 근심되고 위태로운 것이 마치 범의 꼬리를 밟은 듯, 봄날의 얼음 위를 걷는 듯하다.[心之憂危 若蹈虎尾 涉于春氷]"라는 말이 나온다. 보전 종계변무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즉 조선 건국 초기부터 선조 때까지 200여 년간 명나라에 잘못 기록된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세계(世系)를 명에서 고쳐준 것을 가리킨다. 길흉은……것 《춘추좌전》 양공(襄公) 23년조에 "화와 복은 들어오는 문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부르는 대로 온다.[禍福無門, 惟人所召.]"라고 하였다. 고래 흉포한 왜구를 비유한다. 당나라 이백(李白)의 〈임강왕절사가(臨江王節士歌)〉에 "장사는 분노하는데 큰 바람이 일어난다. 어이하면 의천검(倚天劍)을 얻어서 바다 건너 큰 고래를 벨거나.[壯士憤 雄風生 安得倚天劍 跨海斬長鯨]"라고 하였다. 창오의 들판 '창오(蒼梧)'는 순(舜) 임금이 승하한 곳이다. 《사기(史記)》 〈오제기(五帝本紀)〉에 "순이 제위(帝位)에 오른 지 39년에 남쪽으로 순수(巡狩)하다가 창오(蒼梧)의 들판에서 죽었으므로 강의 남쪽 구의산(九疑山)에 장사 지냈다."라고 하였다. 기나라……것 원래는 기우(杞憂)의 의미였는데, 여기서는 임금이 죽은 것을 가리킨다. 《열자(列子)》 〈천서(天瑞)〉에 "기나라의 사람 중에 천지가 무너져 몸을 의탁할 곳이 없어질까 걱정하여 침식을 폐한 사람이 있었다.[杞國有人 憂天地崩墜 身亡所寄 廢寢食者]"라고 하였다. 금등의 점 금등은 《서경(書經)》의 편명(篇名)이다. 《서경》 〈금등〉에 의하면, 무왕(武王)이 일찍이 병들어 위독했을 때, 주공(周公)이 무왕 대신 자기를 죽게 해 달라고 선왕(先王)께 기도할 적에 먼저 남향으로 세 단(壇)을 만들고, 세 단의 남쪽에 또 단 하나를 만들어 주공이 여기에 북향하고 서서 손수 규(珪)를 잡고 태왕(太王), 왕계(王季), 문왕(文王)에게 기도를 마친 다음, 세 거북으로 점을 쳐 보니 길하여, 바로 그다음 날에 무왕의 병이 나았던 바, 사관(史官)이 그 축책(祝冊)을 쇠사슬로 동여맨 궤(匱)에 넣어 두었던 데서 이 글의 편명을 〈금등〉이라 했다고 한다. 옥궤 주(周)나라 성왕(成王)이 임종(臨終)할 때 옥궤(玉几)에 기대어 강왕(康王)에게 유명(遺命)을 부탁하였다고 한다. 비전 원래 깊은 궁궐을 가리키나 여기서는 왕의 궤연(几筵)을 뜻한다. 건원릉 태조 이성계의 왕릉으로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부 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記 【甲辰八月小甲申朔】 甲辰八月十八日辛丑家大人御前退于宗簿寺直中於直中得疾舁歸鑄洞用星香正氣散二貼童便干汁調服蘇合元五丸中學橋居下主簿命藥也十九日壬寅用星香正氣散一貼順氣祛痰湯一貼竹瀝及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二十日癸卯用星正氣散一貼順氣祛痰湯一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二十一日甲辰用順氣祛痰湯二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益山居蘇生員命藥也二十二日乙巳用天麻順氣散二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咸平居李喪人命藥也二十三日丙午用天麻順氣散一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二十四日丁未用天麻順氣散一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二十五日戊申用天麻順氣散一貼調朱砂三分童便干汁調服淸心元二丸二十六日己酉用天麻順氣散一貼調朱砂三分童便干汁調服淸心元三丸二十七日庚戌用天麻順氣散一貼調朱砂三分二十八日辛亥用天麻順氣散一貼調朱砂三分二十九日壬子休藥九月初一日癸丑用淸神交濟湯一貼咸平李喪人命藥也初二日甲寅用淸神交濟湯一貼初三日乙卯用淸神交濟湯一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一丸初四日丙辰用淸神交濟湯一貼童便干汁調服淸心元一丸初五日丁巳用淸神交濟湯一貼初六日戊午休藥初七日己未李喪人試針四處初八日庚申李喪人試針五處用活血愈風湯一貼初九日辛酉用活血愈風湯一貼初十日壬戌用活血愈風湯一貼十一日癸亥用活血愈風湯一貼十二日甲子用順氣導痰湯一貼銅峴李主簿世珞命藥也十三日乙丑用順氣導痰湯一貼十四日丙寅用順氣導痰湯一貼十五日丁卯用順氣導痰湯一貼十六日戊辰用順氣導痰湯一貼十七日己巳爲歸鄕調治自鑄洞寓所行於行中用順氣導痰湯一貼宿葛山十八日庚午行中用順氣導痰湯一貼宿振威十九日辛未行中用順氣導痰湯一貼宿三街里二十日壬申行中用順氣導痰湯一貼宿孝街二十一日癸酉行中用順氣導痰湯一貼宿陵[岐+乙]二十二日甲戌行中遇雨宿參禮二十三日乙亥雨滯二澁四日丙子宿泰仁邑內二十五日丁丑宿長城四街里二十六日戊寅宿光州樓門二十七日己卯午還家二十八日庚辰芳荷洞安生員來試針六處朴喪人尙權亦來二十九日辛巳安生員試針四處還歸三十日壬午光州居朴喪人試針四處童便干汁竹瀝調用淸心元一丸往羅州藥房問議于宋醫之煥十月初一日癸未試針四處用淸神解語湯一貼童便干汁竹瀝調用淸心元一丸四穴名神門肩隅令曲絶骨初二日甲申試針五處用淸神解語湯一貼五穴名通里曲池合曲三里絶骨初三日乙酉試針六處用淸神解語湯一貼六穴名百會風池肩隅神門三里絶骨初四日丙戌試針五處用淸神解語湯一貼五穴名申脈列缺手三里結骨初五日丁亥試針三處午時又試針三處用淸神解語湯一貼三穴名小尙人中風府午時三穴神脈列缺風池初六日戊子午時試針六處用加味蒼橘湯一貼羅州藥房宋之煥命藥也六穴名神脈肩隅曲池神門三里絶骨初七日己丑試針四處用加味蒼橘湯一貼四穴名神門曲池絶骨中渚初八日庚寅試針二處用加味蒼橘湯一貼二穴名神脈列缺初九日辛卯試針六處用加味蒼橘湯一貼六穴名列缺外關公孫三里軀海神脈初十日壬辰用加味蒼橘湯一貼十一日癸巳休針藥十二日甲午休針藥十三日乙未用淸神解語湯一貼十四日丙申用祛風除濕湯一貼綾州文醫命藥也十五日丁酉午時試針三處用祛風除濕湯一貼三穴名外關中渚陽池十六日戊戌午時試針三處用祛風除濕湯一貼三穴名足臨泣厲兌沖湯十七日己亥午時試針三處用淸神解語湯一貼三穴名足臨泣太白合曲占得漸之巽十八日庚子試針四處用淸神解語湯一貼四穴名足臨泣通曲合曲神門十九日辛丑試針三處用淸神解語湯一貼三穴名外關太沖太淵二十日壬寅試針二處用淸神解語湯一貼二穴名神脈京骨二十一日癸卯巳時試針三處用淸神解語湯一貼三穴名申脈環珧曲池二十二日甲辰用淸神解語湯一貼占得夬之兌二十三日乙巳用淸神解語湯一貼二十四日丙午試針三處用淸神解語湯一貼三穴名神門陽谿支溝二十五日丁未試針三處用淸神解語湯一貼三穴名腕骨太沖臨泣二十六日戊申試針二處二穴名神門三里二十七日己酉試針二處二穴名神門絶骨二十八日庚戌試針六處六穴名肩井肩隅曲池間使三里絶骨二十九日辛亥試針五處五穴名肩井肩隅曲池間使三里十一月初一日壬子試針五處肩井手三里間使下三里絶骨初二日癸丑試針三處肩井曲池三里初三日甲寅試針五處肩井肩隅曲池合曲三里初四日乙卯試針五處肩井肩隅曲池合曲三里初五日丙辰試針六處神門間俟支溝尺澤三陰交崑崙初六日丁巳試針五處曲池間使支溝三陰交崑崙初七日戊午試針三處曲池支溝三陰交初八日己未試針二處曲池大淵右邊初九日庚申試二六處曲池三里二十日辛未試針六處肩井肩隅曲池間使三里絶骨二十一日壬申試針三處間使支溝環跳二十二日癸酉試針四處右曲池左支溝間使三陰交二十三日甲戌試針五處肩井肩隅曲池三里三陰交二十四日乙亥試針三處手三里支溝環跳二十五日丙子試針四處肩井曲池支溝三里二十六日丁丑試針六處肩井肩隅間使支溝絶骨三陰交十二月初六日丁亥試針七處肩井肩隅曲池支溝間使三里絶骨初七日戊子試針六處肩井肩隅曲池支溝間使環跳初八日己丑試針三處間使支溝絶骨初九日庚寅試針五處曲池支溝三陰交間使絶骨十一日壬辰試針一處環跳二十三日甲辰試針六處神門曲池支溝三里絶骨崑崙二十四日乙巳試針五處間使尺澤後谿環跳三陰交二十五日丙午試針五處肩井曲池間使三里環跳乙巳正月二十一日往光州程鴻德藥房問議製加味大補湯入黃芪【密炒】沙蔘白㭉白茯苓當歸【酒洗】川芎白芍藥熟地黃【干汁湯焙】半夏南星【製】各七分烏藥牛膝【酒洗】杜沖【酒炒】木果羌活防風獨活薏苡仁天麻各五分遠志【去骨】石菖蒲附子【炮】沈香【末】木香【未古二末調服】官桂甘草各三分干三棗二無期連服一日二貼丙午年間連用太一復元丹入何首烏【黑太甘草幷水蒸三次】一斤兎絲子【酒蒸三次】六兩山藥山茱萸【酒蒸】四兩杜沖【去絲酒炒】鹿角霜二兩巴戟【酒浸去骨】茴香【酒浸炒】白茯苓牧丹皮【去麤皮酒蒸】牛膝【酒蒸】虎脛骨【酒炙】一兩附子【炮】桂皮七錢右爲末調干汁醇酒作丸梧子大空心粥飮呑下百丸漸次進效【以下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家藏石峯書法後 韓體之不行於世久矣吾未知悅於今者勝夫昔而然耶余爲是慨然發家藏古本編次裝葺以竢後人焉韓子亦一遇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記 【甲辰八月小甲申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生平擬結管鮑情一別乗鸞椘越行肝膽肯將生死變雙閒亭上月分明 右三首四休朴公達人生七十古無多終始哀榮孰有加赫赫芳名留史冊綿綿綿餘慶屬傅家駒光隔眼翻今昔塵路傷心遽哭歌寂寞他年詩酒社空樑落月悵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放浪江湖日月長飄然歸去白雲郷業鐵釣具寒無主依舊春光屬野堂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