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청고집(靑臯集) 4卷 2冊 靑臯集 靑臯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靑臯集 李承鶴 新式鉛活字本 2 有界 10行20字 한자 上2葉花紋魚尾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1962년에 간행한 조선 말기의 학자 이승학(李承鶴, 1857~1928)의 문집. 『청고선생문집(靑臯先生文集)』 해제 1. 이승학(李承鶴)의 생애 『청고선생문집(靑臯先生文集)』은 이승학(李承鶴, 1857~1928)의 문집이다.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皋),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으로, 1510년(중종 5)에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을 추대해 역모를 일으키려 한다는 노영손(盧永孫)의 밀고로 전라도 명양현(鳴陽縣)으로 유배되고, 귀양에서 풀려난 후 담양의 대곡(大谷)에 은거한 이서(李緖)의 후손이다. 고조부의 휘는 정로(定魯)로 문장과 덕행이 있었는데 노사 기정진이 행장을 지었다. 증조부의 휘는 세용(世容)으로 효효처사(囂囂處士)이며, 할아버지는 이규형(李奎亨, 1797~1851), 아버지는 석전(石田) 이최선(李最善, 1825~1883)이고 어머니는 평택 임씨로 1857(철종 8) 전라남도 담양군 창평면 장전리(長田里)에서 출생하였다. 비(妣)는 성주(星州) 이씨 지평 기대(箕大)의 딸이다. 할아버지 이규형은 노사 기정진과 동학이었으나 학문적으로 두드러진 것 같지 않다. 아버지 석전(石田) 이최선(李最善)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을 스승으로 섬기면서 천명(天命)과 인성(人性)의 학문을 듣고 기정진의 문하에서 고제자(高弟子)가 되었다. 고산사(高山祠)에 배향되었다. 이승학은 태어나면서 얼굴이 깨끗하고 빼어났으나 병약하여 옷도 이기지 못할 것 같아 일찍이 학문을 하지 못하고 9세에 비로소 공부하기 시작하였다. 이승학은 9세가 되던 해 어머니를 잃고 12세에 아버지의 스승이기도 한 노사 기정진을 찾아가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총명하고 기억력이 뛰어나 『중용』을 9일 만에 배송(背誦)하기도 하였다. 관례를 올린 후에 노사 기정진을 뵈니 자설(字說)을 지어주면서 격려하고 학문에 힘쓰게 하였다. 노사 선생 문하에 부자가 모두 동문수학하는 경우는 세상에서 드문 일이라며 칭찬하는 말들을 하였다. 이승학은 종신토록 한결같이 어버이를 편안하게 모셨으며 가끔 어버이의 책을 읽고 길게 부르짖으며 눈물을 흘렸다. 집안 사람과 대화할 때 부모를 일컬었으니 지극한 효를 아는 사람이었다. 1882년(고종 19) 전라감사 조강하(趙康夏)가 현량을 추천하였는데 벼슬도 하지 않은 몸으로 궁궐로 나아가 책문(策問)을 지어 천하의 이로운 일과 병폐가 되는 일에 관해 언급하였다. 그는 뒤에 문과 초시에 합격하여 임금님이 술을 내렸는데 당시 책문을 태평십이책(太平十二策)에 비교하였다. 그 뒤 1883년 부친상을 당하여 복제(服制)를 다하고 회시(會試)에 응시했으나 합격하지 못하였다. 당시 삼천((森川) 홍승헌(洪承憲), 강암(剛庵) 이용식(李容植), 영재(寧齋) 이건창(李建昌), 이당(二堂) 이중하(李重夏), 보당(葆堂) 서병수(徐丙壽) 등과 더불어 도리와 의리를 서로 논하고 문장을 이야기하고 사태를 논란하고 돌아왔다. 그 후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같이 환난을 겪으면서 나라를 걱정하였다. 1894년(고종 31) 동학란(東學亂)이 일어났을 때는 동학 농민운동에 반대하다가 사돈인 기재(奇宰)와 더불어 전봉준의 포섭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동학군이 그를 죽이려하자 신변의 불안을 느낀 두 집안은 식구들을 데리고 방장산(方丈山)으로 피신해 있다가 되돌아오기도 했다.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시 의병을 이끌고 강화도까지 간 부친 진사 이최선 공의 우국충정의 정신을 이어받아 1895년(고종 32) 8월 을미사변(乙未事變)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자 왜적 토벌을 기치로 거사, 격문을 전국에 보내어 기삼연(奇參衍), 고광순(高光洵) 등과 함께 호남 최초로 장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주로 송사의 뜻을 받들어 격문을 지어 전라도 각지에 유포시키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진(陣)을 광주로 옮겨서 세를 불렸는데 송사 기우만과 함께 입궐상소하려 했으나 중앙에서 선유사(宣諭使) 신기선(申箕善)을 보내 해산을 권유하자 그날로 군대를 해산하고 담양(潭陽) 수항산(受降山) 아래 산정리(山亭里)에 들어가 수개월을 지내다 돌아왔다. 이후 의병의 주모자로 지목되어 피신 생활을 견뎌야 했다. 1895년 겨울에서부터 1896년 여름까지 송사 기우만과 환난을 같이 하였다. 아버지 이최선이 죽은 날 저녁에 경사자집(經史子集) 5천 여권 책과 좋은 물건이 화마(火魔)에 모두 불탔는데 오랜 세월을 두고 당을 다시 짓고 구당(舊堂)에 친히 영서(迎瑞)라고 편액하였으며, 기문을 지어 사실을 기술하였고 전답을 팔아 서적을 처음과 같이 모았다. 이 때문에 집안 살림이 줄어들게 되어 위로 계모와 아래로 집안 식구를 거느리기 어려웠다. 이에 오직 농사에 힘을 써서 8년을 하니 남의 곡식을 빌리지 않게 되었다. 선생님 문하의 일에는 정성을 다하지 않음이 없었으니 천 리 먼 길 폐백을 싸가지고 혼자 포천(抱川)까지 가서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을 뵙고 노사의 신도비를 받아오려 노력하였다. 1907년 아들 광수가 진도에 유배되어 12월에 해배되었다. 1928년 9월에 아들 이광수가 서울에 있었는데 비방을 막을 방법과 꾀를 일일이 지휘하는 한편, 서원을 세울 적에 몸소 역사(役事)를 독려하고, 문하 제현을 배향하며 기쁜 얼굴빛으로 나의 일이 끝났다고 하였다. 1928년 10월 선조의 묘소에 가서 참배하고 돌아와서 병이 났는데 한마디 언급도 하지 못하고 29일 향년 72세로 세상을 떠났다. 이승학은 선현들의 유집(遺集) 교정에 많이 참여하였으며 한가한 틈에 명산대천을 유람하였다. 동쪽으로 금강산(金剛山), 서쪽으로 영주산(瀛洲山, 변산), 남쪽으로 천관산(天冠山)과 월출산(月出山), 북쪽으로 명나라 요계(遼薊, 베이징과 만주)에 이르기까지 국내의 이름난 산과 누각을 오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 시국에 대해 늘 마음 아파하고 풍속을 보는 것이 답답하다고 여기고 아름다운 경치를 보고서 휘파람을 불며 시를 읊고 돌아왔는데 이에 관한 시를 여러 편 지었다. 이승학은 영달에 뜻을 두지 않고 영재(寧齋) 이건창(李建昌), 이당(二堂) 이중하(李重夏) 등과 교류했으며 아버지 이최선 등이 주장하던 이기설(理氣說)의 학문보다는 주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실천을 중요시하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을 강조하였다. 또한 장전(長田) 마을에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아버지 이최선은 병인양요 때 의병을 일으켰고, 아들인 광수는 나인영(羅寅永)이 주도한 오적암살단의 지도부 일원으로, 3·1 운동에 가담하였으며, 이승학은 한말 의병에 투신하여 자부심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반외세항쟁을 전개하였다. 이처럼 한 집안에서 3대가 모두 민족운동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한말 민족운동사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정부는 공의 공훈을 기려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2. 『청고선생문집(靑臯先生文集)』 구성과 내용 『청고선생문집(靑臯先生文集)』은 이승학(李承鶴, 1857~1928)의 문집이다. 4권 2책의 신활자본으로 1962년 손자 혁(爀)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1962년 기노장(奇老章)의 서문이, 권말에 1962년 여창현(呂昌鉉)의 발문이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1에 시 172수, 권 2에는 책(策) 1편, 「상면암최선생(上勉菴崔先生)」, 「여이영재(與李甯齋)」 등 서(書) 20편, 「사물(四勿)」 등 잡저 10편, 권3~4에 서(序) 6편, 기(記) 11편, 제문 16편, 묘지명 2편, 「서염은유고발(書染隱遺稿跋)」 1편, 부록으로 만사 26수, 제문 2편, 가장(家狀), 묘갈명, 묘표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가장(家狀)은 아들 이광수(李光秀), 묘갈명은 1934년 안동(安東) 김영한(金甯漢), 묘표는 1933년 월성(月城) 김재홍(金在洪)이 지었다. 기노장(奇老章)의 서문에 의하면 이승학은 호걸(豪傑)한 자질로 학문을 닦아서 규모를 넓히고 은미한 뜻을 확장하였으며, 중국의 사대부들이 행한 선왕조의 전례(典禮)를 넓게 펼치니 문사(文辭)가 거침없다고 하였다. 이런 여유로움이 시에 나타나 있으며 필력(筆力)이 굳세고 힘차다고 서술하고 있다. 손자인 춘전(春田) 혁(爀)이 장차 유문을 판각하려고 하면서 두 집안의 세의(世誼)가 돈독하여 서문을 청하였다고 하였다. 권 1에 수록되어 있는 「여년금이십육첨피섬천대책우전정퇴숙우반궁여다사전촉염운(余年今二十六忝被剡薦對策于殿庭退宿于泮宮與多士剪燭拈韻)」은 26세에 추천을 받아 대책을 올리던 때에 성균관의 여러 선비와 운에 따라 지은 시이다. 시의 제목을 살펴보면 동오(東塢) 조의곤(曺毅坤), 난와(難窩) 오계수(吳繼洙), 운람(雲藍) 정봉현(鄭鳳鉉), 소아(小雅) 조성희(趙性憙) 등 호남의 명사들과 교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승학은 간간이 나귀를 타고 동자를 데리고 이름난 산과 누각을 많이 유람했는데, 문일정(聞一亭), 물염정(勿染亭), 망미정(望美亭), 송광사(松廣寺), 송강정(松江亭), 취가정(醉歌亭), 사야당(四也堂), 여존각(如存閣), 몽한각(夢漢閣), 명발헌(明發軒), 석전재(石田齋), 만취정(晩翠亭), 학사루(學士樓) 등에 관한 시가 있다. 「송(松)」, 「은행(銀杏)」, 「추수(楸樹)」, 「행화(杏花)」, 「해당(海棠)」 등 자연을 소재로 읊은 시가 있으며, 「만백석기학사양연(挽栢石奇學士陽衍)」, 「만동오조처사(挽東塢曺處士)」, 「만유석우(挽柳石愚)」, 「만박석음노술(挽朴石陰魯述)」, 「만정운람봉현(挽鄭雲藍鳳鉉)」, 「만기춘담동준(挽奇春潭東準)」 제목에 만(挽)이라고 하였으나, 7언 율시의 시로 만사(挽詞)에 편차하지 않았다. 권2 서(書)에는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영재(寧齋) 이건창(李建昌), 홍승운(洪承運), 송사 기우만, 최영조(崔永祚), 이운승(李運昇), 소아(小雅) 조성희(趙性憙), 가아(家兒) 등에게 보낸 편지가 있다. 「상면암최선생(上勉菴崔先生)」, 「여고오천(與高梧泉)」에는 날로 급하게 변해가는 국사(國事)를 개탄하는 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두 번째 수록된 「기가아(寄家兒)」에는 증조부 효효처사(囂囂處士)의 행장을 받으러 면암 최익현을 만나러 간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 집을 떠난 지 3개월이 되었으며 집안 소식을 들을 길이 없고 내가 어느 곳에 머물렀는지 알지 못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5월 13일 양주(楊州) 판곡(板谷)에서 출발하여, 5월 14일에 포천(抱川) 가덕(嘉德)에 도착해 면암 최익현을 만나 노사 선생의 비문과 효효공의 행장을 부탁하려고 머물렀다. 5월 16일 옥병(玉屛)을 향해 가서 2일 동안 가로리(可老里)에 머물렀다. 5월 20일에 다시 가덕에 도착하니 효효공의 행장이 이미 완성되어 있었으나 노사 선생의 비문은 끝내 사양했다고 전해주고 있다. 책(策) 1편은 1882년 포의(布衣)로 대궐에 들어가 올린 책문으로 천하의 이로운 일과 병폐가 되는 일에 관해 언급하였다. 천지 만물의 이치는 궁(窮)하면 변(變)하고 변하면 통(通)하지만, 결코 도(道) 밖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도가 남기는 것은 다만 시기일 뿐이라고 전제하여, 때를 알지 못하면 일을 성사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어서 『주역』의 64괘(卦)의 변하는 이치를 말하였고, 예(禮)에는 상변(常變)이 있고 시(詩)에는 정변(正變)이 있으며, 읍손(揖遜)의 변을 설명하고 정벌(征伐)·재화(財貨)·용병(用兵)·비인재(備人材)·취사(取捨) 등을 낱낱이 들어 진술하였다. 그 요점은 성(誠)자에 있다고 하며 임금께서는 다하여도 변하지 않는다고 걱정하지 말고 정성을 다하지 못함을 근심해야 할 것이요, 변하여도 통하지 않는다고 걱정하지 말고 정성이 순수하고 완전하지 못함을 두려워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송사 기우만과 주고받은 편지 3편에만 연도(1906, 1907, 1910)가 기재되어 있는데 1906~1910년 사이에 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권3에 「영서당기(迎瑞堂記)」, 「석우기(石愚記)」, 「유옥담기(遊玉潭記)」, 「학천재기(鶴泉齋記)」, 「충의재기(忠義齋記)」, 「명학재기(鳴鶴齋記)」, 「남희정중건기(南喜亭重建記)」, 「순고정기(淳古亭記)」, 「육대조고묘비음기(六代祖考墓碑陰記)」, 「선편유인이씨비음기(先騙孺人李氏碑陰記)」, 「의인박씨효열비음기(宜人朴氏孝烈碑陰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영서당기(迎瑞堂記)」의 내용은 아버지 석전 이최선이 죽는 날 영위에서 불이 나 집안에 소장되어 있던 5천 여권의 책과 기타 좋은 물건이 모두 타버리니 오랜 세월을 두고 당을 다시 짓고 이름을 영서당(迎瑞堂)이라고 편액했다는 사실의 전말(顚末)을 기술한 기문이다. 「학천재기(鶴泉齋記)」, 「명학재기(鳴鶴齋記)」, 「남희정중건기(南喜亭重建記)」, 「순고정기(淳古亭記)」는 담양의 누정에 관한 내용으로, 그중 「남희정중건기(南喜亭重建記)」에는 1857년(철종 8) 부사(府使) 황종림(黃鐘林)이 양로(養老)와 교육(敎育)의 목적으로 두 정자를 지었는데, 북(北)은 관어대(觀魚臺), 남(南)은 남희정(南喜亭)이라 하였으며 노인들에게 부여하여 강학(講學)과 향약(鄕約)의 시행처로 사용했다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무지와유고서(無知窩遺稿序)」에 무지와(無知窩)는 조선 후기의 무신이며 학자 장사식(張師栻)의 시문집을 모아 1931년 장익환이 발행한 문집으로 1926년에 이승학이 작성한 서문이다. 잡저에는 「사물(四勿)」, 「거유(居遊)」, 「지명(知名)」, 「허백실명(虛白室銘)」, 「소변(笑辨)」, 「명교해(名敎解)」, 「시해(視解)」, 「파권론(破權論)」, 「반객설(反客說)」, 「괴구설시동학(愧懼說示同學)」, 「명중양설(名重陽說)」, 「통문(通文)」 등 10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중 수신(修身)을 위하여 하지 말아야 할 네 가지 사항을 적은 「사물잠(四勿箴)」이 있고, 「반객설(反客說)」에서는 농사가 천하의 대본이기는 하지만 호국(胡國)의 사람들과 같이 농사를 짓지 않고 목축과 수렵으로 생활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것은 각각 경영하는 업(業)이 다르기 때문이며 선비도 이와 같다고 말하고 있다. 「허백실명(虛白室銘)」에서 허백실(虛白室)은 청고 이승학이 여가에 독서를 하는 곳이다. 경진년(1880) 봄에 축성하여 겨울에 들어갔으며, 1881년에 허백(虛白)이라고 명명하였고, 1882년에 명(銘)을 지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명교해(名敎解)」에는 '명교(名敎, 유학의 가르침)라는 것은 성인들이 세운 것이다. 세상을 다스리는 데는 이보다 큰 것이 없으니 곧 백성을 교화하고 풍속을 완성하는 근본이 된다. 그 명교의 명회(明晦)에 따라 치란(治亂)의 징후도 달려 있으니 종신토록 이것을 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제백석기학사문(祭栢石奇學士文)」에는 1897년 3월 17일에 올린 제문으로 동문으로 같은 스승님의 가르침을 받고 40년을 서로 의지하며 지낸 기학사를 애통해하고 있다. 「제망실박씨문(祭亡室朴氏文)」에는 52년을 같이 산 부인을 위한 제문을 지어 슬픔을 표현하고 있다. 「조비유인김씨묘지(祖妣儒人金氏墓誌)」, 「부지하인묘지명(不知何人墓誌銘)」 2편의 묘지명이 수록되어 있다. 「부지하인묘지명(不知何人墓誌銘)」은 성명은 정확히 알지 못하나 『명미당집(明美堂集)』에 기록되어 있는 유수(兪叟)의 묘지명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서염은유고문(書染隱遺稿文)」 발문이 1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염은유고(染隱遺稿)』는 차계일(車啓馹)의 문집이다. 부록으로 김재홍(金在洪), 조덕승(曺悳承), 송태회(宋泰會) 등의 만사(挽詞) 26수와 「출후제승구(出后弟承龜)」, 「외생기낙도(外甥奇洛度)」 제문 2편이 있다. 아들 이광수(李光秀)가 지은 가장(家狀)에는 이승학은 아들에게 이르기를 행장(行狀) 등의 글을 다른 사람에게 청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니 '청고만생이모지묘(靑臯晩生李某之墓)'라고 쓰라고 당부하며 스스로 묘지명 두어 구절을 지어서 아들에게 주었다. 그러나 이광수는 장사를 지낼 때 판서 윤용구(尹用求)에게 묘지석에 글씨를 써줄 것을 청하였는데, 여러 선비의 공론에 따라 '조선일사(朝鮮逸士)'라고 썼다. 만생(晩生)이나 일사(逸士)는 모두 '쇠잔한 세상'이라는 뜻인바 만생(晩生)은 자기가 이룬 것이고 일사(逸士)는 공적인 의론이라고 하니, 공의(公議)를 따라 '조선일사'라고 썼다고 하였다. 3. 세부목차 卷 上 詩 : 余年今二十六忝被剡薦對策于殿庭退宿于泮宮與多士剪燭拈韻, 南廟, 鼠相害, 歲除日述懷二首, 傷丙子講話, 詠漢祖, 聞邊報, 春夜二首, 寄郭聖述二首, 東塢曺丈毅坤以詩贈忘拙和呈, 偶吟, 感懷, 難窩吳丈繼洙愛余甚篤告歸不能捨送至十里地感而遂成, 金城吏, 醉後漫筆上小山兩族兄, 悼隣家子, 雜詩, 偶題, 有所思, 采桑, 秋夜, 所處書室甚隘用竹木仍舊稍廣是夜明月滿床欣然賦詩, 學靜子以鷺梅一絶詩見贈謹步五首, 奉和鄭雲藍鳳鉉見寄十一韻, 憫菊圃族兄, 長笑嘆, 聖德山觀音寺行, 老賊行, 奉別權雲卿大雅雲煥, 夢中作, 蘆沙先生挽章, 憶蘆翁用明道哭擴渠韻, 嗟我失依歸, 夢遊崑崙山顚, 閒中得七十韻, 當毗子, 靑靑枝上梧三首, 幽居二首, 辛巳春三月望, 過凰山, 過榮山浦三首, 省先騙墓二首, 是非者, 留別嶺南權二斯文, 擬韓昌黎射訓狐, 寗齋櫃我以詩效嚬以呈, 啄木鳥, 二鳥詩, 記夢, 和卯君除夕韻, 大明梅, 松, 銀杏, 楸樹, 杏花, 海棠, 申將軍故墟, 洛水津, 省外祖騙墓, 和篁林詩社韻五首, 先騙周甲日有感, 人間七夕問, 天上七夕答, 重陽日省先騙墓有感, 丹城訪同門知舊, 三嘉慰艾山鄭哀丈(載圭), 思家二首, 庚寅除夕與同志會山齋, 送別, 自慰, 酒後, 漢館與植齋對話(奇宰), 同松沙陪月皐南洲昆季與山陽昇平諸益遊松廣寺留別(壬辰), 遺愁, 久矣余之廢吟也見陽和日暢遂感而賦詩, 江華鼎足山城, 傳燈寺, 史庫, 慰寗齋, 庚寅開歲之五日嶠南丈人金山石同白水過余謂將遊頭流, 拜月皐趙先生(性家), 寗齋宥還同出貝州路中口號, 留海史安進士登聞一亭, 同安季玉奇松友二益登勿染亭, 次望美亭韻, 同寗齋遊松廣寺, 與牛峯諸益宿松廣寺, 遊仙巖寺, 蝶峙道中, 懷寗齋, 效社諸將韻, 挽栢石奇學士(陽衍), 挽東塢曺處士, 感憤, 訪黃梅泉玹不遇今以書來以詩答, 久雨餘見月, 奉簡寗齋, 謹步小雅趙丈(性憙)寄示韻, 小雅趙丈頗賜款于五家父子付手抄金管錄於迷息托以傳鉢之遠意安知以此從有媛突於其間飜成是非也嘆世情之險濫賦自訟之不敏以三絶志意, 同松沙昆季宿四也堂, 移會夢漢閣, 呈柳石愚, 獨嘆, 松江亭, 醉歌亭, 望美亭, 宿四也堂, 題如存閣, 題夢漢閣, 題明發軒, 謝事, 挽柳石愚, 石田齋珠聯, 次鶴山韻, 讀李白樂府愛其旨深思遠娛其意成句, 出塞曲八首, 擬古十二首, 題晩翠亭, 荒山行, 咸陽學士樓, 哭吳難窩先生, 挽朴石陰(魯述), 挽鄭雲藍(鳳鉉), 挽奇春潭(東準), 登天冠山, 夢裡君王近, 題諸葛澹寧獨釣臺, 江景浦, 謹次外舅興城館閣, 過完山, 到天安三街以寒威留宿, 三五七言, 上元小會, 和朴贊鳳韻, 完山歸路, 鳳山鄕飮酒禮後謹次蘆沙集中韻, 別山陽昇平諸益韻, 到完山留待植齋不至, 訪徐秋帆, 漢館堞坐, 維谷臥松堂與諸益成會, 走與呂氏諸賢善今老白首數公己作九原嗟我之不能營葬許得一壙地若西山之借屛山地眞行禮經殯於我之意也不勝感激于中詩以謝之, 上元日與諸賢留約三山齋望月前日遇雪未行櫃此遣愁 策 : 問天下事無窮而有善變者有不善變者故易日隨時變易以從道所貴乎變易者以其從道也禮之常變詩之正變皆有從道之義歟云云 書 : 上勉菴崔先生, 與李寗齋, 與洪三泉(承運), 與奇松沙(丙午), 答奇松沙(丁未), 與奇松沙(庚戌), 與崔雲齋(永祚), 與李耕齋(運昇), 上趙小雅, 與高梧泉, 上直菴族叔(克善), 答李菊軒(承旭), 答門中僉坐, 與安公瑞, 與安明瑞(啓), 答奇進士(東準), 答李庚萬, 寄家兒, 寄家兒, 寄家兒 雜著 : 四勿, 居遊 知名 好惡 行難, 虛白室銘, 笑辨, 名敎解, 視解, 破權論, 反客說, 愧懼說示同學, 名重陽說, 通文 卷 下 序 : 送魏二斯文赴玉川序, 無知窩遺稿序, 五契案序, 寧齋廬次惜別序, 贈族弟敬順詩序, 書後 記 : 迎瑞堂記, 石愚記, 遊玉潭記, 鶴泉齋記, 忠義齋記, 鳴鶴齋記, 南喜亭重建記, 淳古亭記, 六代祖考墓碑陰記, 先妣孺人李氏碑陰記, 宜人朴氏孝烈碑陰記 祭文 : 祭蘆沙先生文, 祭沙上奇公文, 祭三從敍掌令公文, 祭栢石奇學士文, 祭外叔李小松公文, 祭朴周玉文, 祭高鹿川文, 祭李寧齋文, 祭族叔殷賚文, 祭河瑞下文, 祭從叔石井公文, 先騙回甲日告墓文, 祭阿叔免筵文, 再祭文, 祭亡室朴氏文, 告第二男文 誌 : 祖妣儒人金氏墓誌, 不知何人墓誌銘 跋 : 書染隱遺稿文 附錄 : 挽, 出后弟承龜, 外甥奇洛度, 家狀(李光秀), 墓碣銘(金寗漢 1934), 墓表, 跋(呂昌鉉 196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所處書室甚隘用竹木仍舊稍廣。是夜明月滿床欣然賦詩 竹編新著舊軒東。制度無煩且省工。遠客來時分席好。弟兄隨處對床同。喜迎蔀屋芳樽月。肯羨華堂錦帳風。任地便宜能自得。從今偃仰適於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圃許公傳 南圃許公諱鎰字汝重。家昇州南山下。故自號南圃。許陽川氏也。文敬公珙之後。贈參判渾之子也。公以孝陵乙巳生。儀容俊疑。識畧雄偉。幼不喜與羣兒戱。觀書過目輒記。發爲文磊落自恣。不可控制。早從柳眉巖先生遊。講質奧旨。多出人意表。眉巖每以畏友稱之。公慷慨自豪。不以事物經心。獨慕古今奇偉之人。喜讀忠臣烈士傳。往往爲泣下。嘗與金公德齡任公鉉禹公性傳爲道義交。講磨甚密。及金公起義。解所乘駿馬與之。寄二絶詩以勖之。公早登第。而不喜進取。及龍蛇之訌。八域蕩潰。鑾輿西遷。始松堂兪公泓誦公理學浚識於西崖柳文忠公。至是薦于朝。超拜三浦守禦將兼熊川倅。時前縣監李守仁戰敗死。嶺右諸邑奔潰。公出知縣事。指天誓日。日夜督舟師。沿流截波。出奇制勝。人頗難測。一日敵退屯于天子峯下。朱貴生欲追之。公止之曰。彼兵强機利。銳氣方騰。而遽自退遁。安知不有伏乎。且彼衆我寡。難以力戰。不若堅壁以示弱。而出其不虞則可圖矣。一夜乘彼驕惰。率精兵出間道襲之。斬獲數十級。移陣于加德浦。掃殲殆盡。於是羣小誣公堅壁不戰。遂遞守禦之任。但以一熊縣累衝敵鋒。戮力死戰。頗多立功。時李忠武公以全羅左水使陣于玉浦。公與之助戰。連捷於釜山南海間。燒敵船數十艘。遣朱貴生數探敵情。必通于李公。使子主簿垣判官坤留李公麾下。多所贊畫。躬率長子經歷增四子校尉垠五子通德郞坦。分陣連捷。又與金公大仁鄭公思俊。聲援海澨。屢立奇功。及晉陽急報至。公督兵赴難。爲崔忠毅公後部將。戮力守城。城陷之日。與金崔諸公幷投水。公父子及奴隸。俱無得免。惟主簿判官二公。在外聞變。矢志復讐。縞素從軍。終始依李公幕。挺身血戰。斬獲數十級。殺敵將。燒其船二十。而竟死於戰。朝廷錄公宣武原從勳一等贈刑曹參議。後加贈戶曹參判。又錄判官公二等勳。論曰夫國家有急。忱臣烈士之授命而蹈節者。所在不無其人。然其父子兄弟。皆能視死如歸。下逮僕隸。騈首就義。無一人苟免而相舍者。非其平日家庭間商講義理。見之明而守之確。使其家衆浸肌浹髓。能視義如裘葛飮食之不可離者。不能。由是觀之。公之樹立。蓋有所本矣。非一時慷慨奮激而猝辦之也。間余得公零稿閱之。其上眉巖書一篇。論四七分合。不蹈襲前言。而辭理精明縝密。引譬切當。非後儒拘見所可及也。蓋其本諸內者。明且正。故著於跡者。如彼其磊落耳。使公卓識正見。留待喪亂旣平之日。講道益力。巋然秉拂。則足可師範當世。嘉惠後學。雖百世而彌彰。而年僅五十而遇難立慬。爲斯文一慨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成均進士行廣興主簿陞資憲大夫崔公墓表 公之葬在光州泥橋負坤之坂。而迄今三百七十有年。螭龜剝落。大夫塚而泯泯與匹庶等。行路興喟。況其裔乎。後孫炯淳倡謀諸宗。索所以刻於余曰。歲遠難詳。狀無及時述恨也。余按其譜。有曰萬曆九年辛巳生。氣質夙成。膂力過人。年十二値穆陵燹。倡衆避亂山中。六年而還。仁祖甲子昇庠。行府都事爲廣興主簿。又遇丙子亂。與孫壻許忠敏。扈從南漢。患風傷。全身不收。敵兵退。卽爲回鄕。遂二十年沈痼。甲午以優老典拜嘉善大夫。丁酉陞資憲大夫。貤贈如例。戊戌卒。嗚呼此雖簡寥。足以看公於九原。拔宅逃亂。幼而能之。其壯勇可知。中身上庠。進塗方闢。勅躬自臧。其志可尙。遇亂扈從。其忠貞可慕。有隕自天。榮耀門襴。其福履可仰。公私哀榮足矣。若不深求公于踐要踏實之內。而別求于崇奢尙功之末。則所以求公者尤遠矣。公諱彦南字美甫號竹川。崔氏耽津人。源流甚長。以高麗莊景公思全爲登譜之祖。傳至中一號沃江。名德著世。雲谷霧隱處士以終。與曺南冥李退溪成大谷三先生友密。寔公曾祖。祖起門號屛菴。師事退溪李先生。又與李栗谷鄭寒岡兩先生有交契。丁酉贈嘉善大夫戶曹參判。妣光山金佐郞世安女。配靈光丁氏生員命善女。擧三男一女。男嶢峻通德郞。女金得聲。孫汝斗通政汝奎井汝翼植長房生。汝奎次房系子。汝星通善郞汝軫進士黃致中宣傳官尹時霖學生李行傑吳詮季房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通訓大夫司僕寺正劉公墓表 公諱必芳字成彩江陵劉氏也。其先中州人。宋兵部尙書諱荃與七學士林八汲洪殷烈諸公。東出高麗。是爲肇祖。居陀君堅規大提學沿左僕射承備。俱隆顯于麗。累傳至文僖公敞。我太祖壬申策開國二等勳。封玉川府院君。自是簪組相繼不絶。曰仲曰靖龍曰漢仁曰基昌。高曾祖禰也。同福吳雲起外王父也。公之生以肅廟乙未十月九日。卒于正廟庚子十二月二十一日。葬于高興之南西面公山酉原。後以孫壽貴贈通訓大夫司僕寺正。配贈淑人金海金氏元達女。後公二年壬寅八月二十日歿。別葬于南西面望主山寅坐。有二男長光得次光玉贈左承旨。孫宅彦宅實長房男也。宅宗贈戶參宅旼宅寬宅豐次房男也。餘可畧也。公自幼知事父母。養體養志。隨事各盡其誠。居喪三載。遵禮罔愆。讀書知古人爲學之方。以居敬窮理力行爲主本。不肯循俗趨營於沽名博譽之科。口不出雌黃。身不近華麗。動靜語默。亦有定規鄕黨以善士稱焉。後孫載寅載錫以其家門所傳述。要余識其槩于阡塗。而恨其行治之疎畧。於乎。語雖簡而百行具體。斯足千古矣。何必多乎哉。究其實可以得門路而入正學。推其餘可以警惰志而範澆俗。于可見先民之純慤而家風之猶有不泯者也。東西行過者。其必有瞻是刻而興賞矣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柏菴姜公墓表 柏菴姜公諱瑞永字乃成晉陽氏。以高麗晉原府院君昌貴爲上祖。奕世偉望。爲東方巨閥。國初都巡問使通亭淮伯文良公希孟尤著。子鶴孫司評。以事謫靈光。子孫仍居焉。四傳而時儁進士。於公間八世。正郞時儆本生也。至孫夏鼎。移于光陽。曾祖季煥祖在成考㺶會號農窩。妣海州鄭氏。公少慧敏。有志操嗜學如不及。孝奉二親。備養志體。如陰陽緯筮。絶不近焉。而事關父母災厄。雖小巫語。必聽從而改圖之。晩居兩艱。哀禮俱至。不以衰老而少懈。友于兄弟。誨子有法度。推之族戚賓朋。一以和敬。相時以動。羣而不俗。揚人善而揜人過。見有不義事。必面折之。人咸驚憚。而未嘗退有後言者。甲午東匪。擧世風靡。而姜氏之門。無一人染汙者。實公之指誨也。及世忽滄桑。杜門謝事。經史自娛。世間榮辱窮通。少不點著于胸。戚屬有達于時者。以典舍職帖來。公笑而卻之。戊午九月以疾卒。距生睿陵乙卯。壽六十四。臨歿少無怛化色。擧鄕黨之善信者。願子姪效之。無一言及家私。其正終如此。嗚呼。以公通明正直之資。遭逢有爲之會。庶見聲光樹立之表異於人者。而世閼命窮。竟於海澨之遐。幽以終。惜也。然在公亦何加損之有。配永川李氏生二男三女。玄風郭氏生三女。男倫秀出後。東秀。女適晉州鄭容璡全州李敬模金海許鳳旭利川徐相鍾晉州鄭命斗商山朴令模。倫秀男大植大勳大成。東秀男大燮。公之葬在家後山某原。大植將竪石于隧道。以其先君所爲狀。介朴令模所以刻於余。令模從余遊者。可辭諸。謹最其蹟如右。以諗于知德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處士崔公墓表 樂山崔公諱淳才字善裕。生以洪陵癸酉八月。卒于丙戌之十月。享年七十四。其孤原植將賁修阡塗。謁顯刻于不佞。不佞病且無文。奈孝懇何。按其狀。全州之崔。以高麗文忠公羣玉爲上祖。連世珪璋。文肅公瑈忠翼公晩六先生瀁最顯。入本朝贈戶判汝達。牧使湔。贈兵判大元。亦繼顯。曾祖景文壽同中樞。祖桂鎭通政。考義烈參奉。妣密陽朴氏。父尙巡。公氣宇軒昂。性本孝友。才思聰朗。博涉經史。聲譽早著。樂從賢士友遊。屨及殆遍。世入昏墊。而獨持皎潔。法言法服。古氣蒼然。南鄕之士儒雅謹勅。必先數公焉。所居後掛樂山窈窕爽塏。亶合逸士之盤旋。公色土其下。建屋數楹。左圖右書以爲晩暮游息之所。性又慷慨。痛深社屋。不知所稅。乃與崔錫柱丁永旼諸人。倡建三皇廟於三皇洞。以寓風泉之思。縱被讐虜作壞。其忠義之炳烺可知。恨其丁時不天。空老死於海澨也。配新安朱氏采烈女。三男一女。男長原植次貞植棟植。女金海金東景。孫曾若干人。嗚呼。掛樂山負壬之阪。有侐堂斧。寔公永宅。詔厥樵牧。毋使躑躅於其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中樞院議官趙公淑夫人鄭氏墓碣銘【幷序】 淳昌治北。坊曰龜林。里曰雲南。枕乾之阪。巋然雙堋如斧如堂者。近故中樞院議官趙公曁其配淑夫人鄭氏之藏也。公諱在信字某。玉川氏以麗朝檢校大將軍璋爲初祖。世襲軒冕。入國朝尙蟬爀也。忠獻公元吉光陽縣監瑾最著。曾祖昌得贈工參。祖相福贈漢城左尹。考柄泰參奉。妣某氏。公有至性。自幼善事父母。有命無少忤。便身適口。必先時備完。侍疾湯診不懈。疾革焚香露禱。嘗矢以驗差劇。斫指灌口。賴致回甦。遭艱也哀毁過甚。而能自力於送終之節。祭必致嚴。如見其所爲齊者。一心孺慕。終身不休。人以純孝稱之。敎子有方。諸子觀感。亦以孝友見稱於鄕里。公以洪陵己巳生。某年筮仕爲中樞院議官。卒于辛未。享年六十三。鄭夫人籍慶州。文正公珍厚之後也。通政商官曾孫。學生鳳祿女。母某氏。夫人柔婉。在家時德容已著。及笄而歸。事舅姑以孝。敬夫子以禮。夫偶遘疾。百方調治。嘗糞血指。靡不用極。竟至晝哭。行素終喪。蓬首垢面。自處未亡人。不出閨門外一步。勤儉治生。家業復昌。見人窮匱。必喜施而不吝。嘗譆譆全家灰燼。夫人挺身冒焰。世譜一帙得完。觀者嘖嘖興嘆。三男二女。男長南淳次允淳永淳。平澤林璣周全州崔亨淳二女壻也。長房孫容孝根孝振孝。次房孫殷孝宰孝秉孝尙孝。季房孫丁孝奇孝。餘不錄。南淳將揭德于墓。屬其族老庸燮氏求銘于余。余豔仰孝友家風。不辭而爲之銘。銘曰。山紆水縈杉松菀。是眞是夫是婦之室兮。作善降祥天可必。宜爾滿庭蘭玉之茁茁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生吳君墓碣銘【幷序】 吳生俊根痛厥考學生公之無年。而又懼夫遺徽之就泯也。將伐石用賁阡途。以鄭忍齋休暢狀。請銘于余。匪直無文。奈乏一面之雅何。君與鄭公同里。鄭余舊要也。惡得以終辭。君諱旻洙字子亨羅州人。繼出高麗中郞將偃。國祖郡事贈工議穎達之後也。曾大父壽煥有文行。大父在璟敦寧都正。父緯善以孝友著稱。母晉州鄭氏。時源其父。有婦德。公以洪陵壬辰生。儀容端莊。性行澡潔。自幼克孝。應唯敬對。未嘗忤旨。滫瀡之奉。廁牏之滌。躬不委人。居喪執禮愈謹。哀敬俱至。篤于兄弟。食同案寢同被。殷然有楊幔之風。誨子姪義方甚至。言行相顧。未嘗肆忽。人不妄交。自卑而尊人。雖有可挾之勢。而絶無矜驕態。聲譽藉藉鄕黨間。忽於癸酉八月二十五日。以疾觀化。年僅四十二。嗚呼。以若材行。不得試於世。俾有樹立而遽爾至斯。欲一問天而不可得也。悲夫。高山沙店嶝卯原。君之藏也。齊延安金鵬基女。二男俊根海根。金吉黃澤九安如玉三女壻也。餘幼。銘曰。豐賦嗇施。古今共歎。于躬不贏。以遺後人。沙嶝之阡。楸柏長春。栗溪先生文集卷之二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十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戶曹參判柳公墓碣銘【幷序】 贈嘉善大夫戶曹參判同知義禁府事柳公。諱星宇字舜慶。以正祖戊戌生。卒於哲宗乙卯。葬于竹林先妣墓石邊某坐。距今八十有四年。墓道尙闕顯刻。玄孫根中根奎。衝炎遠涉。徵銘于不佞。按其狀。惟孝親娛書二段事。更無浮辭。念今末俗滋僞。思欲闡先。必以曾之孝顔之學。加之張皇敷衍。十書不休。殊不知是乃所以誣先。今狀辭止此。可仰家風之謹嚴。而公之遺韻賸馥。尙有不沫。亦可知己。謹不辭而諾。柳氏文化人。高麗大丞車達其肇祖。名公巨卿。聯世蟬爀。國朝右相忠景公亮最顯。至孫司正緝懲戊午禍。南遯浴川。三傳竹林期壽。又再傳淡齋憲有。俱有行誼。曾祖益和祖達三贈司僕正。考文郁贈左承旨。妣淑夫人。全州李氏某其孝。草溪居士壽通政文植。淑人南原梁氏熽女。本生也。公有至性。滫瀡必謹。承順無逆。事兩庭無間。親瘠憂形于色。雖暑潦不解帶。湯藥必親嘗。嘗矢禱天。靡不用極。前後喪水漿不入口。哀毁踰禮。本生昆季四人。公序居二。友愛篤摯。與同枕被。奉上御下。胥相諮諏。怡怡無忤。家貧數匱。處之若常。惟琴書之樂囂囂如也。時人以春風和氣稱之。配貞夫人。豐山沈宗允女。婦德甚備。墓同岡。四男二女。男長廷輔次廷煥。廷豪壽階嘉善。追榮三世。公之貤贈以此。季廷淑。女適黃翼黙張時旭。孫男十二。彦豐振豐長房出。興碩蘭豐興源興澤出后二房出。希豐興準監察興澈參奉三房出。俊豐興濤興秀議官季房出。銘曰士不得朝山林是。考親娛書孰加是。本立道生良由是。後欲求公盍於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嘉善金公墓碣銘【幷序】 金生會龜。錄其曾大夫嘉善公事行。來謁其阡塗之刻。余惟述行之文。如畵師肖像。一毛不似。便成別人。吾於公。乏一日雅。安能摹得惟肖。敢辭。辭愈固而請益勤。則閱其狀。公諱潤弼字聖範號石湖金氏慶州之世也。新羅敬順王爲鼻祖。至禮儀判書沖漢。麗亡杜門全節。世稱樹隱先生。再傳而從直右贊成。又累傳而雲亭善敦寧都正。是爲公六世。高祖錫規贈童蒙敎官。曾祖從壽祖坤壽僉知。考鎭福號愼修軒有隱德。妣驪陽陳氏。掌樂正光憲其父。婦德甚備。生八男。公序居二。公以純廟戊子生。卒于乙卯八月二十二日。享年八十八。葬在求禮山洞面屯基村後細洞負辛原。配貞夫人淸風金氏信圭女。擧二男。長秉倫次秉祚。秉倫一男燻。秉祚三男順燮準燮靖燮。一女南原晉璣煌。曾玄不盡名。公性溫氣淸。貧不能移其志。威不能屈其節。事親以誠。處兄弟克友。食不異安。寢不異被。以至待人接物。誠意藹如也。誨人子弟。以鹿洞遺規藍田鄕約爲先務。踐履堅確。士林模楷。高宗丁亥筮仕爲承訓郞。後而優老恩階通政。又陞嘉善。見國事日非。作詩見志。念絶當世。及庚戌國墟。痛嘆若無所歸。乙卯秋所謂養老金至。公誓死不受。彼間日來督。竟不變初志。因絶食委席。坐臥須人。子孫進藥。輒揮手曰毋。與其死於縷絏。無寧死於牖下乎。第九日而死。蓋其秉執如此。他可槪已。是宜銘。銘曰。人之秉彛。孰非天性。耽生怵禍。臨事逕庭。惟公之爲。足勵群聽。細洞之阡。山明水淨。精靈陟降。片石可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農隱李公墓碣銘【幷序】 公諱鍾浩字成烈。農隱號也。李氏系出璿源。太宗第五男敬寧君裶爲派祖。三傳而巴陵君璥。與趙靜菴諸賢爲道義交。己卯禍同被竄逐。後蒙宥家谷城。又三傳而惟信文承旨。又四傳而贈僕正萬冑。廬墓盡制。始居南原。高祖遜窩陽運以孝旌贈。曾祖默菴斗模贈監察。祖容秀。考喜鼎通政。慶州金商玉外祖也。公以景陵己酉生。天資重厚。氣宇軒昂。孝奉二親。養兼志體。處宗族敦睦而普施。不事功令。以修齊爲本。口不出雌黃。身不近侈麗。勤儉服田。御家有規。篤於追遠。祭田石儀畢備。嘗書揭言忠信行篤敬六字於座隅。出入觀省。到老靡懈。洪陵丁未筮仕爲慶基殿參奉。戊午十月卒。山洞下霧里案山巽原其葬也。配金海金昌玉女。墓雙兆。育一女無男。取從父弟鍾述子錫永爲嗣。朔寧崔亨九壻也。孫男女各三。男善根裕根過房宅根。女適海州吳東龍長水黃義文慶州金鎭尙。錫永將豎石于墓。伻善根抱狀索銘於余。辭不獲爲之銘曰。忠信篤敬。聖言非誣。一生鑑戒。把作元符。吁嗟乎後之求公者。觀於此而可槪其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汀處士趙公墓碣銘【幷序】 往庚午夏。琦從嶺湖數君子。編校奇松沙先生文集于鼇山之澹對軒。時石汀處士趙公。以其高第弟子與之當座。論說下上依依者數朔。見公神采俊整。貌如松鶴。談今論古。風致動四座。其存諸內見於外者。渾厚而介潔。和遜而矜莊。不皎皎絶俗。不混混隨衆。其愛人之仁。樂善之誠。藹然於色辭間。見善必記。聞義則服。慥慥乎其問學之勤。而競競乎其踐履之正也。至若華夷人獸之判。辨之明守之固。凜然有不可犯之意。私竊謂公誠今世未易得之君子儒。苟得遐壽百年。引進後生。庶見强此艱彼之效。而乃以翌年辛未卒。距生哲宗癸亥。壽六十九。嗚呼惜哉。喪畢。門人某某等收拾遺文。以付剞劂。旣又相謂曰。先生生値不辰。雖終窮以死。不可與匹庶塚同。將賁餙阡塗。嗣子鋼抱趙龜村炳寬狀。徵銘於琦甚勤。琦旣荷愛深。又與聞於遺文之役。不敢以拙陋辭。謹按。公諱寅錫初諱昌赫字敬文石汀號也。趙氏玉川著姓。高麗侍中璋爲鼻祖。玉川府院君農隱元吉副正虔谷瑜。麗亡罔僕。父子幷俎豆。入我朝。察訪智崙梅窓大成蓮潭怡最顯。曰亨命曰玾曰宗周曰珩采四親也。平康蔡邦鎭外祖也。公才思沈精。未弱冠殆遍經史。業公車有場屋聲。已而知其有古人爲己之學。遂棄之。初從夢翠李公國容學。晩登松沙先生門。課歲往質。亟蒙獎詡。自是思辨益明。進修益力。聲譽藉甚。事親孝。母夫人久患風痺。煎煮澣濯。必以躬。前後喪過哀。日哭墓。不以雨雪廢。篤於追遠。粢盛蔬果。豫儲以須。友其弟同衣食。新潔者予弟。弟歿撫孤姪。營産視己出。敎子女慈不掩義。接人一以忠信慈詳。揚善如不及。而矯情之爲。不與之唯阿。疾惡甚嚴。而非理之侵。不與之校也。家故貧甚。簞瓢屢匱。而處之晏如。辭受取予。未嘗或苟。以獎勵後徒爲己任。敎之有法度。日刮月劘。俾有成就。與坊內人士。倡設規約。論經講禮。歲以爲常。見世以富國强兵爲自强策。特著說以闢之。常自勵曰。聖人之抑洪驅猛。尊華闢異。實爲萬世開太平。今雖不敢遽議。而其自處。要法聖人而後可。遂往復講辨於域中諸長德。又與同志三君子。泛舟南江雪月。以攄壹鬱不平之懷。戊午大喪。先爲之成服。以鎭時論之洶洶。一邊人之攻蘆沙先生猥筆也。公憤然曰。誣賢何代無之。而一時咆哮。不能遏百世公論。遂辨明大旨。質之師友間。其傷時憂道之苦心。類如此。二夫人全州李氏進士喜寅女無育。文化柳氏禎麟女擧二男一女。男鋼鈺。申大植壻也。孫男淵福淵昇鋼出。淵興淵眞淵祥鈺出。某某申壻出。所居村南金亭嶝某原。寔公幽宅也。謹爲之銘。銘曰。功令角鬪之世。而從事於古人爲己之學。人獸殽亂之日。而毅然以聖人之驅抑距闢爲師法。早聞道退敎授。蘇湖二州之風。不專美於古昔。狀所稱忠信豈弟。好學有道之君子人者。誠公之知德歟。嗚呼。後之人。尙讀公之遺書。而信斯言之不誣也。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