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47년 신준극(申俊克) 고신(告身) 4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順治四年十月日 申俊克 順治四年十月日 仁祖 申俊克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적색, 정방형) 고흥 당곤 고령신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3-01-000767 1647년(인조 25)에 인조(仁祖)가 신준극(申俊克)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충무위부사정(行忠武衛副司正)으로 임명한 교지(敎旨). 1647년(인조25) 10월에 仁祖가 申俊克을 禦侮將軍 行 忠武衛副司正으로 임명한 敎旨. *방서: 武臣兼宣傳官仍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脫灑說【蘆沙先生所贈。而全文見第四卷十三章。此姑闕之】 大谷記道峰之陽。有谷鉗然以小。金斯文景範先生。隱居行義。自號大谷。客聞之捧服曰。小谷而謂大谷。大谷無可名。無乃斯文之善謔歟。其友松沙子從而解之曰。以象而求大小。子之言固也。舍象而求之。則子之言滯。物固有象外意。知也無。斯文方傳心儒門。此號乃得之心而寓之谷也。請演而爲之說。山之陽有谷鉗然。谷之中有室斗大。室之中有斯文。其身不滿七尺。七尺之身。腹枵然一大椀子。所謂心者。不過腹中之一方寸。以象言。則經幾重小。而又至小者。然之心也。天地之大也而包含焉。人物之衆也而知周焉。古今之積也而識徧焉。之大孰加諸。以至小而能至大者。不可不舍象而求之旣如是。腹大椀者。身七尺者。室斗大者。谷鉗然者。獨不可舍象而求之乎。況山水以人而名。此雖一小谷。得斯文爲之主。以名於世。其謂大谷也。夫誰曰不可。客唯唯。又以告於大谷子。大谷子曰。否否。客之不我知固也。何吾友之又如客之不知。吾所居之谷。一肘抱之外。大野也。所謂大野者。較之靑徐之野。又一粟耳。以天地之大。則靑徐者。又不過一圈子。必天地而後大。則無時而足矣。其知足乎。凡所謂大者。較之小者云爾。然則吾所居之谷。囿吾斗屋而又有餘。偃仰吾七尺而無不足。此已是大。肘抱之外。於我何哉。自號之意。止於斯而已。何子言之大也。嗚呼。此可謂大谷子已矣。人之患。生於不知足。滔滔者皆是也。如此活潑潑地。何處得來。向所謂得之心而寓之谷者。亦無乎不可矣。子雖否否於吾言。而實唯唯者存焉。歲重光南至日。松沙子奇宇萬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事 年來減却事。物外一身間。無事中有事。芧茨晝掩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題 詩書間事業。林壑足生涯。夜眠晝復作。與物無經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雨後 驟雨過空後。靑天有月來。千秋今夜半。照我讀書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憂深 今年憂復去年深。憂事積如三月霖。自此終身憂不盡。九分已負早年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惺齋餘話寄漢瑞族兄 晝靜虛堂麗景遲。牢關獨坐慰襟期。春深洞口鳥啼處。雨過庭心花發時。却喜風光分外得。始知歲月此中馳。惺齋夜紫平安否。咫尺相思不自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閑興 楊柳陰邊風一榻。梧桐枝上月三更。不妨少年學卲子。却疑此地有淵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困字吟 重任背負千斤擔。遠役脚行萬里路。盡日辛勤休不得。此身冉冉向前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鄭日新季方【義林】 讀兄書。喚惺精神。如幾熄之灰吹噓生火。朋友之賜。孰大於此。感謝感謝。當此獻發悲霣。想益復罔極。願抑情俯就。無或損生也。弟親候常在欠寧。伏悶。賤軀以舊時痁瘧爲消日法。蓋自家邪氣未退。故此疾因而乘之耶。志事坐在悠泛。枉費許多光陰。日暮道遠。歸宿無地。近日雖有一半分向衷之志。志弱氣萎。輒復歇后墮落舊坑中。未知下梢作何等人也。四十無聞之歎。兄比我猶是輕歇之憂。何可向我說道哉。徒知自家之爲四十人。而不察弟之爲五十人。但知自已之痛痒。而不知人之痛癢。不恕甚矣。助長勞撓。不如忘之之喩。恐似矯枉過直。孟子曰。必有事焉而勿忘勿助。何嘗以惡其揠苗之害。而以舍而不耘。爲能事也。朱子問林擇之語。向也愚亦於此。有所思索而代擇之答一句語。則當云腔裏腔外。都是心云爾矣。而未知得否也。今見來喩。猶未釋然。蔽錮之深若是也。子細思量。勿惜開示。近日或以卷秩遮眼。則一部易也。然得於辭。猶不議到。況敢望進一步而得其意也耶。方欲束閣。而兄前書問所讀何書。故及之。澹對軒是老先生考終之地。又有先生額號。寢具凡百。依舊奉置。守護爲計。此是善繼一事。而亦稍慰門人之情也。厚允別後三年。信息漠然。其餘諸益。一二年間。雖或瞥眼逢別。只見面而已。惟有會一在近。凡日間行墨疑晦難明處。必就質焉。今又遠離。離索之餘。踽倀益甚。而於兄與伯彦。實有終身相從之願。而難得見。又如天上人。徒切浩歎。餘祝餞迓萬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會一【宇萬】 伏惟寒令。太碩人氣力無損節。尊兄棣候貞吉。令胤若咸皆安。祥日夕哀仰罪。弟頑縷姑不絶。近又以舊時痁瘧爲課。常如半死虫間。或讀過語孟。記誦章句而已。未見意味新新。讀云乎哉。竊念昔余童子時。初拜先師。顧謂南坡丈曰。後生可畏。此語若昨日聞。至今五十空懷無聞之歎。虛負至意。罪辜山積。每讀至此章。思古悲今。未嘗不三復流涕也。論語君子哉蘧伯玉。邦有道則仕。邦無道則可卷而懷之章註。如於孫林父放弑之謀。不對而出。其一事也。舊讀時已有所疑。以爲君子之事君。有爲放弑之謀者。聲罪致討。可也。力不及。則見危授命。可也。事君而見有放弑之賊。卷而懷之。可乎。事君如此。何難之有。此必有精義。而愚見未之及。所疑如此。當時愚意以爲深思。而稟問未晩也。故準擬等待。未之質疑。今又讀過。所疑依舊未釋。可知蔽固之深。玆以書呈。答示是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吳止巢【相鳳】 去月觀佛庵奉別後。返駕安寧。無從承聞。金生之來。奉讀下書。始釋慮而慰賀矣。伏審菊令。氣體味道萬康。白首窮經。不厭晝夜。年卲德隆。於吾丈見之。靡緣承誨。以開芧塞。伏歎曷已。向進性理太極說。說出愚見。仰質求正者。而蒙許師門。又以吾丈之高眼。如此印可。盲者之步。庶或入門歟。伏呵伏悚。下生親候粗寧。以是伏幸。而年進業退。不是細憂。自訟何已。明春下沙之駕。歷枉之敎。預切欣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3년 송갑회(宋甲會)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大韓光武七年癸卯九月二十一日 家垈主宋寡婦 幼學宋甲會 大韓光武七年癸卯九月二十一日 宋寡婦 宋甲會 전라남도 고흥군 證幼學宋桂星[手決]筆幼學申重模[手決] 고흥 대서 여산송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1903년(광무 7)에 송과부(宋寡婦)가 송갑회(宋甲會)에게 작성한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1903년 9월 21일에 宋寡婦가 宋甲會에게 작성한 土地賣買明文. *매매가격: 壹佰伍兩 *매매물: 大西面 禾場 冬栢亭 神字家基 草屋 四間 垈田 四斗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7년 송양섭(宋亮燮)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拾貳年七月貳拾六日 宋亮燮 李王職動物苑 昭和拾貳年七月貳拾六日 宋亮燮 李王職動物園 宋亮燮(적색, 타원형) 고흥 학림 여산송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1937년에 송양섭(宋亮燮)이 이왕직동물원(李王職動物園)에 보낸 영수증. 1937년에 宋亮燮이 李王職動物園에 보낸 영수증. *一金: 30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981년 송광현(宋光鉉)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사회-조직/운영-망기 辛酉十月三日 礪山宋氏虎峙派門中 宋光鉉 辛酉十月三日 [1981] 礪山宋氏虎峙派門中 宋光鉉 고흥 학림 여산송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1981년에 여산송씨 호치파문중(虎峙派門中)에서 송광현(宋光鉉)에게 10월 17일에 있을 제향제관(祭享祭官)으로 추천한 문서. 1981년에 礪山宋氏 虎峙派門中에서 宋光鉉에게 10월 17일에 있을 祭享祭官으로 추천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3년 이섭규(李燮奎) 고신(告身) 3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同治二年三月 日 李燮奎 同治二年三月 日 哲宗 李燮奎 서울특별시 종로구 1개(적색, 정방형) 임실 범오 홍주이씨가 전주 덕진 홍주이씨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OD_F1020-01-000001 1863년(철종 14) 3월에 철종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조지서별제(行造紙署別提)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63년(철종 14) 3월에 국왕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조지서별제(通訓大夫行造紙署別提)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문신 품계이며, 별제는 6품의 관직이어서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붙였다. 조지서는 종이 조제를 관리·담당하던 관아로 별제는 이곳의 으뜸 벼슬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이섭규의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는 서오(瑞五)이다. 1817년(순조 17)생으로 합격 당시 임실(任實)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의 양부는 이병균(李秉均)이며, 생부는 이진균(李珍均)이다. 이섭규는 1852년(철종 3)에 식년진사시에 합격한 뒤에 음관(蔭官)으로 관직에 들어가 사헌부 감찰, 돈녕부 판관, 공주 진관, 장악원 주부, 상서원 주부 등을 역임했다. 그의 고신 12점이 홍주이씨 가문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雙槐堂記 槐於衆木。散也。材非椅桐梓漆。果非樝梨橘柚。華非桃李。節非松柏。執斤者過之而不顧。食實者棄之而不種。役景之少年。羞爲之把玩。守志之君子。未嘗爲庭實。衆所不取。而何先生之好之酷。手植於門。自號之爲。先生默然無答。余乃解之曰。衆所不取。乃所以自保而全其天。先生之好之。顧不在是歟。先生優於文辭。而自處以拙。敏於榮達。而自守以鈍。韜其光而不炫於俗。晦其跡而不介於物。言若訥訥。而貌常于于。衆所不居。而我自不去。此先生之能知槐。而槐之見知於先生也。宜其樹之曠漠之野。無何有之鄕。日逍遙於其下也。先生莞爾而笑。遂書此。以爲雙槐堂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