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辛未冬。自沙上將歸覲。爲雪所魔。更留一日。以詩贈諸益。【三首】 行人復惜別。臨別浩歌發。窮經足三冬。卒歲衣一褐。暫合猶長慰。那堪惜泥襪。方丈白雲飛。遙望增突兀。但恐離索久。復從塵世汨。夫君本慷慨。開口淸商發。低昻于天地。蔽體一布褐。平生同案食。今日挽歸襪。爲我長一吟。江上數峯兀。分去聲在耳。令人戒奔汨。餐霞吾師表。勤孝亦天姿。難先方後獲。溫古須新知。晨省歸對案。朝月窓外移。木訥去雕飾。向人能自嗤。他日倍仰止。豈徒雲樹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江上奇友晉錫 古逕人稀山復深。林下徜徉也日吟。我愛草堂臨碧澗。誰將瓦礫鑄黃金。煙霞終是非生計。簞巷年來露本心。何夜前溪不此月。少人沽酒石頭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四十除夕韻 秪信光陰長不流。卷將百事付前頭。今朝優作無聞客。回首居然四十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金君穉奎 世有其人壽考宜。如今善福更何推。最憐鶴髮重堂裏。盡日呑聲哭抱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庚辰歲除。卽余五十除夕也。孤露之生。奄又哭寢。此往四十時。其感懷復如何。用朱文公四十五十無聞韻。續吟一絶。以寓自警。 一生悔吝愧違仁。賤齒又將半百人。把新贖舊丁寧意。誰復今朝警此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惺惺翁示以原韻。請余賡和。忘拙謹步。以供一粲。 白首相逢晩契新。如今恨未接芳隣。同心尙可論千載。祈嚮其何惑二人。末路知艱無地險。暮年安分亦天眞。主翁信爾惺惺否。喚我三時警我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辛卯】 東朝之慟。臣民攸同。其復何言。春間兩度書來。旣不能晉參於堵墻之列。亦未克修謝於往復之禮。追思可愧。伏問潦炎殿熱。體居衛重。味道益腴。至祝至祝。毅自春以來。與二竪爲得友。婆娑小室。宛轉匡牀。不出門外。已時月矣。外何奉塵。但近日偶有所悟者。古人所謂不學老便衰之意。今始覺得。盖老而好學。則動心忍性。甘貧樂飢。不待甘毳。而足以充腹。不待輕煖。而足以蔽體。陶陶焉。怡怡焉。樂亦在其中。所以肘見踵缺。聲如洪鍾。何其壯也。如其少也不學。則血氣才衰。所欲者祗是便身之物。可口之味。而猶不得所以戚戚焉。咨咨焉。志日隕穫。氣日沮喪。終不能自振老而便衰者。此也。顧毅方患於此。雖知其然。亦未能自克。方竊私悼。願以取質於左右。不識其果然否乎。幸加鐫諭。以釋膏肓。更進分寸。則受賜多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奇松沙 答問編刊役告訖。斯文之幸。同門之榮。甚善甚盛。然如非吾兄至誠所到。何以卒此鉅事也。但顧此賤生。積年病蟄。旣不能相其役。而又無涓埃之助其力。雖賜呵斥。未爲不可。而荷此寄意。感愧不可言。方且奉玩。姑未及盡得繙閱。而大抵其規模凡例。與文公語類。退翁言行錄。何擇焉。吾輩於此。益當珮服存省。疑者可解。忘者可記。則其於竿頭之步。亦豈小補哉。仰惟卽辰。靜養節宣。對時益寗。洛度與其諸從行。安侍勤課否。旣溯且祝。毅恒委匡牀。玩愒度日。每自內省。私欲邊最重。可懼可懼。古人時月不見黃生。則鄙吝萌。又云不可一日無侯無可。自昔賢以來。其取資於朋友者。如此其急也。況吾輩乎。今不見兄已幾時月乎。賁然則不敢望矣。來歲卽賤生周甲也。歲除日。將欲與數三名勝入芝宇。承警悟。釋我鄙滯。祈我餘年。以爲送迎之計。未知兄或不拒門也否。餘非筆舌可戩。不備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繼春園【朴性弘】韻。 一園春繼四時中。卜築何年隱市東。泉石居然傳世物。琴書怳爾故家風。惟恭桑梓承來許。肯構堂茅有是翁。異日徘徊杖屨處。也應傷感手培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戲題雙女 恩勤東家婦。雙瓦弄不悔。提携渾眉目。抱負煩腹背。而愛無男女。于歸異姉妹。爾當抱兒日。倘念此時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溪隱翁【柳樂淵】以詩見贈。步韻賡和。 三世文行萃一門。直將濂洛講眞源。最是同鄕東塢子。時時賴得聞餘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採菊 數朶寒花滿室香。如今最愛近書床。霜淸月白無人見。爲供主翁泛羽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在璿【辛卯】 蒹葮蒼蒼。所懷伊誰。忽拜頫存。況伏審天嘏孝子。萱闈長春。省餘諸節。大都安善。朋友之望。外此何有。旣溯旋慰。無以爲喩。毅一臂不仁。已將周年矣。四大屈伸。不得隨意。而間又兼苦項腫。家故亦不一而足。眞所謂苦海人生。自憐自憐。惠饋三種。何此致及於遠友耶。却之不恭。雖不敢辭。心切未安。節後惠然之敎。豫切翹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安行五【達三◎庚辰】 毅坤頓首。不意凶變。先夫人喪事。承聞驚怛。不能己已。日月迅駛。練祀奄過。此歲將遒。孝子感時慨廓。益復難抑。將以何辭仰慰。況伏聞巨創以後。連遭裳帶之憂。今遭滕下兩慘。此何事此何事。德門洪福。胡至此極。竊惟哀尊多讀古書。達觀事變。想應百般寬抑。不至致傷天和。遠外區區之望。外此何有。山頹之痛。及門同情。而毅孤露餘生。志業未就。遽失依歸之所。終作無聞之歸。豈徒今日之痛霣而巳。况從今以後。吾輩相逢。亦不如前日種種立雪之時。怊悵送情。非昔時比。鄙邑安庠長。白首叅榜。晩年身計。似若康吉。去月初。遭單嗣慘景。世問顧有完福者幾希。但有三抱。一冠二幼。是之爲慰。哀尊旣相知。故及之耳。適留月松。因便以奉紙上之唁。越海赴唁。旣不敢議爲。而夏間月松駕住。未及晉慰。追思爲罪。不備疏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大壽【命鉉◎壬辰】 間困風耳。略聞起居之一二。而病未詳。自兒歷拜而歸。始審得惟憂尙未獲己。爲其大人者。費盡心力。焦盡思慮。計應添得幾箇霜莖。爲之甚悶。伏請歲暮。兄體度無或愆損也否。近聞有治癰神方。卽罔魚醯漿也。其於奏效。雖未目擊。而傳我者累試累驗云。固非妄言人也。所以鄙族人專送專告。勿以海上單方泛忽。而試求服之如何。弟衰相日甚一日。過兄己洽一周。周年後事。聊可想念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道麟 遠地寒日。此書無恙爲賀。心力過人示中云云。弟本無濟人手段。不惟不能濟人。自濟不得。何暇矜人之不能也。然進道入德。須用已力。難仰他人。熟讀古人書切近處。精思實體。則處事接物之方。自我得之。不待人之矜我也。願勉旃。弟狀不足仰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道麟 凡物留置中路。少焉尋覓。則有得有不得。而留書明湖。至周年之久。兼新簡無恙入吾廬。非心力然乎哉。歎仰無已。冬夏侍湯奉老之人。烏得免乎奔走風埃。尋數無緖。未知來示之誠否。而以我臆料。兄之汨沒勞攘。似與古之躬耕行傭者有間。躬耕行傭。猶有能讀書窮理。況不至此者耶。但恐志不及古人。弟懶惰成痼。平生不能成誦一卷。安敢與議於尋數事。因來書。語不知裁。還切愧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沈致敎【魯綜】 二月初間封謝書。附昇平金君去。竊計已入關聽矣。過去浩劫。不必更煩。伏問際玆。祝融按節。靜餘起居。更若何。增試在前。百戰餘胸。算必優優。爲賀得意。而亦爲老將慮。更生一敵國也。生老慈氣力常凜綴。私悶。賤軀自經瘴瘧後。若干魂魄都消落了。圉圉之形殼尙存。而坐在世故之纏縛。坐地不遷。始知世間自有眞蹩躄。而蹩躄二字。非特脚不伸底人也。然苟蒙不我遐。則千載亦朝暮遇也。見不見何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홍위헌에게 답함 答洪韋軒 己卯 기묘년(1939) 지난해 섣달에 편지를 올릴 때 외람되게도 존자의 선친 겸와공에 대한 찬사(贊辭)를 지어 올리고, 주제넘고 경솔하여 누를 끼친 것이 그 죄가 가볍지 않음을 두려워하고 있었는데, 마침내 "말은 간단하고 뜻은 갖추어졌으니, 어찌 감복하지 않겠는가?" 하신 말씀을 받았습니다. 이런 일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다행스럽기 그지없습니다. 또 말씀하시기를, "우리 몇 사람이 아끼고 보호하여 서로 종유하는 것이 오늘의 급선무인데 가난하고 병이 들어 이루지 못하고 있다." 하셨으니, 다정하신 인자의 말씀은 못난 저도 하고 싶은 말입니다. 그러나 이 생애 어느 날에나 어른을 찾아 뵙고 인사를 올릴는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일찍이 생각하기를, 친구가 서로 사귈 때는 모름지기 서로 아끼고 보호하는 중에 덕을 권면하고 과실을 바로잡는 한 가지 일이 있어야만 진정한 아끼고 보호하는 것이 된다고 여겼는데, 매번 보면 사람들이 이것을 서로 베풀어 행하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간혹 먼저 베풀어 행하는 사람이 있으면 서로 아낀다고 여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침내는 원수처럼 틈이 벌어진 뒤에야 그만두니, 이런 세상의 이런 풍습을 장차 어떻게 해야 사라지게 할 수 있겠는지요? 집사께서 이에 대해 만약 묘한 계책이 있다면 듣고 싶습니다. 저의 자는 종현(鍾賢)이고 호는 후창(後滄)이니 모두 선사께서 지어주신 것입니다. 후창이라고 한 것은 중봉(重峯)이 호를 후율(後栗)로 한 일6)을 모방하여 저에게 주자가 창주정사(滄州精舍)를 짓고 학문을 강론했던 일의 뒤를 계승하게 하고자 하여 권면하신 것입니다. 돌아보건대 비록 감히 감당할 수는 없으나 선사의 뜻은 학자로 하여금 반드시 스스로 성현을 기약하도록 하신 것입니다. 그런데 혹자는 그 곡절을 알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밀어내기에 급급하여 마침내 말하기를, "김택술이 어찌 감히 스스로 주자의 뒤를 계승하는 것에 비길 수 있는가? 그 죄는 죽일 만하다." 하니, 자못 가소롭습니다. 客臘奉書日, 猥呈尊先謙窩公贊辭, 方懼僭率奉累獲罪匪輕, 乃蒙"言簡意備, 胡不感服"之喩。 事出不圖, 自幸無已。 又喩以"吾儕幾人, 愛護相從, 今日急務, 而貧病莫遂。" 藹然仁者之言, 區區無似, 亦所願言, 而未知此生何日造拜軒下否也。 竊嘗以爲朋友相與, 須於愛護之中, 有德勸過規一段事, 乃爲眞愛獲, 每見人之以此相施者, 鮮矣。 其或有先施者, 則非惟不認爲相愛, 竟成仇隙而後已焉。 此世此習, 又將如何而可銷也? 執事於此, 如有妙術, 願聞之也。 賤字鍾賢, 號後滄, 皆先師所命。 而其云後滄者, 倣重峰號以後栗之事, 欲其後於朱子之滄洲而勸勉之也。 顧雖不敢當, 先師意則乃使學者, 必以聖賢自期也。 或者不知曲折, 急於擠人, 乃曰: "金澤述, 何敢自擬於後朱子也? 其罪可誅。", 殊可笑。 중봉(重峯)이……일 중봉은 조헌(趙憲, 1544~1592)의 호이다.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스승의 학문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사람으로서 율곡의 뒤를 잇는다는 뜻으로 또 다른 호를 후율(後栗)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홍위헌에게 답함 答洪韋軒 戊寅 무인년(1938) 당신 아버지의 비석 세우는 일에 보낸 원조금이 이처럼 적은데, 성대한 마음이라 말해주시고 감사하다고 말해주시니, 부끄러워 감히 말을 못하겠습니다. 다만 편지에서 남방에 70여질의 문집을 보냈는데 한 사람도 힘을 보탠 자가 없다는 것은 무슨 곡절입니까? 아니 70여 집이 모두 가난하여 그런 것입니까? 아니면 모두가 인색하여 그런 것입니까?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은 의리와 이익의 관계에 투철하지 못한 소치이고, 또한 이로써 오늘날 학자들을 살필 수 있으니, 한탄스럽고 한탄스럽습니다. 敬碑助金, 若是薄者, 謂之盛念, 謂之感謝, 愧不敢言。 但所喩南方七十餘帙, 無一助力者, 則是何委歟? 豈七十餘家, 皆窶者歟? 吝者歟? 有不可知, 然大都是透不得義利關之致, 而亦可以觀今世學者矣, 可歎可歎。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