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사년 대문중수입지줄기(大門中收入支出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乙巳年 乙巳年 1965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사년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대문중수입지출기(大門中收入支出記)이다. 성책문서로 총17면이다. 표지에 '乙巳年度 大門中收入支出記'라 쓰여 있다. 문서 앞부분에 을사년도 수입액을 나락과 금액으로 나누어 기입하였다. 나락은 28섬 3말 5되, 금액은 21,092원이다. 이어서 을사년 춘등(春等) 용하기(用下記)를 기록하였다. 지출은 지출금액, 지출내역을 차례대로 적고 있다. 지출내역에 뒤에는 을사년도 소작료 수입 관련 내역을 기재하였다. 문서의 생산년도는 화폐단위를 원(圓)으로 쓰고 있는 것을 볼 때 1965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오년 미수기(未收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丙午十二月十八日 丙午十二月十八日 1966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년 12월 18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미수기(未收記) 병오년 12월 18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미수기(未收記)이다. 성책문서로 총3면이다. 표지에 '丙午十二月十八日文書修定時未收記'라고 쓰여 있다. 먼저 병오년 12월 18일에 소작료 수입내역을 적고, 이어서 금전미수(金錢未收)내역을 미수액과 미수자 성명을 기록하였다. 문서의 생산년도는 화폐단위를 원(圓)으로 쓰고 있는 것을 볼 때 1966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오년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丙午臘月十六日 丙午臘月十六日 1966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오년 12월 16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 병오년 12월 16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17면이다. 표지에 '丙午臘月十六日 文書修定'이라고 쓰여 있다. 먼저 지난해인 을사년도 실재 수입내역인 나락, 금액을 적고, 이어서 병오년 지출내역과 금액, 시사물종기(時祀物種記) 등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의 생산년도는 화폐단위를 원(圓)으로 쓰고 있는 것을 볼 때 1966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미년 대문중수입지출부(大門中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丁未年 丁未年 1967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년 12월 초9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대문중수입지출부(大門中收入支出簿) 정미년 12월 초9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20면이다. 표지에 '丁未年度 大門中收入支出簿'라고 쓰여 있다. 문서 앞부분에 지난해 병오년 실재(實在)로 나락 21섬 2말 3홉 7작, 금 20,347원(圓), 유허비(遺墟碑) 조성시 각처 자손 헌성금(獻誠金) 8,400원(圓)이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정미년 용하기(用下記)가 지출내역별로 금액과 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단위가 원(圓)인 것을 볼 때 1967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신년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申十二月二十日 戊申十二月二十日 1968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신년 12월 20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무신년 12월 20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대문중의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20면이다. 표지에 '戊申十二月 大門中收入支私草記'라고 쓰여 있다. 문서 앞부분에 지난해인 정미년 양실재(兩實在)로 금 6,696원(圓)과 나락 25섬 1말 1되 5홉이 쓰여 있다. 이어서 무신춘등용하기(戊申春等用下記)가 지출내역별로 금액과 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뒷부분에 12월 20일 문서 수정시 미수기(未收記)가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단위가 원(圓)인 것을 볼 때 1968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0년 임성구(任成九) 저축예금통장(貯蓄預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任成九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任成九 任成九 錦南金融組合貯蓄 9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에 錦南金融組合에서 任成九에게 발급한 貯蓄預金通帳 1940년 12월 17일부터 1943년 12월 10일까지 총 8번의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2865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1년 김방주(金方周) 저축예금통장(貯蓄預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六年貳月貳拾貳日 錦南金融組合 金方周 昭和拾六年貳月貳拾貳日 錦南金融組合理事岩井數馬 金方周 錦南金融組合貯蓄 28顆(장방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2월 22일에 錦南金融組合에서 金方周에게 발급한 貯蓄預金通帳 1941년 2월 22일부터 1944년 12월 18일까지 총 27번의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4650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1년 이대식(李大植) 저축예금통장(貯蓄預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六年拾貳月拾壹日 錦南金融組合 李大植 昭和拾六年拾貳月拾壹日 錦南金融組合理事岩井數馬 李大植 錦南金融組合貯蓄 8顆(장방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12월 11일에 錦南金融組合에서 李大植에게 발급한 貯蓄預金通帳 1941년 12월 11일부터 1943년 7월 13일까지 총 7번의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6254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이재길(李載吉) 우편저금통장(郵便貯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17.3.25 羅州郵便局 李載吉 17.3.25 羅州郵便局長 李載吉 羅州郵便局長 1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에 羅州郵便局에서 李載吉에게 발급한 郵便貯金通帳 1942년 3월 25일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13923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금천향주(金川享周) 우편저금통장(郵便貯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17.5.23 金川亨周 17.5.23 羅州郵便局長 金川亨周 羅州郵便局長 2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에 羅州郵便局에서 金川亨周에게 발급한 郵便貯金通帳 1942년 5월 23일과 8월 11일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14114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3년 김철주(金哲周) 우편저금통장(郵便貯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18.3.4 金哲周 18.3.4 羅州郵便局長 金哲周 羅州郵便局長 1顆(정방형, 적색) / 羅州郵便局長 1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3년에 羅州郵便局에서 金哲周에게 발급한 郵便貯金通帳 1943년 3월 4일 입금내역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15032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47년 이상수(李尙秀) 등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丁未八月日 李尙秀 等 27人 城主 丁未八月日 李尙秀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7년 이상수(李尙秀)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품목(稟目) 1847년 8월 10일에 이상수(李尙秀) 등 향중(鄕中) 선비들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지산사(芝山祠)의 춘추 제향에 쓰일 희생(犧牲)과 폐백(幣帛), 포(脯)를 마련해 달라고 요청한 품목이다. 지산사는 죽창공(竹窓公) 정홍연(鄭弘衍)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죽창공을 숭상한 사림의 공의(公議)로 세워져서 춘추로 제향을 지내고 있는 곳이다. 제향 때면 관아에서 향촉(香燭)과 여러 물품을 제공해 주는데 희생과 폐백, 포가 준비되지 않아 사림의 개탄이 되니, 군수께서 특별히 이 물품들을 마련해 주어 제향 의례를 갖출 수 있도록 청했다. 이에 영광군수가 판결하기를 '유독 희생과 폐백이 빠진다면 과연 의례를 빠뜨리게 된다. 많은 선비가 일제히 고하니 공의(公議)를 볼 수 있다. 특별히 요청한 품목대로 시행하고 등록에 싣는 것이 마땅하다.'라고 하여 요청을 허락하고 예리(禮吏)에게 시행토록 했다. 문서 우측 하단에 '擧行'이라고 표기된 것으로 보아, 품목이 거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인년 수입지출정리부(收入支出正理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寅年十二月 壬寅年十二月 1962~1971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인년부터 신해년까지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지출정리부(收入支出正理簿) 임인년부터 신해년까지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지출정리부(收入支出正理簿)이다. 성책문서로 총151면이다. 표지에 '壬寅十二月 收入支出正理簿'라고 쓰여 있다. 문서 내용은 수입, 지출내역을 기재한 문중 회계장부이다. 수입내역은 대부분 소작료이다. 문서 맨 마지막 면에 임자년 새로운 유사(有司) 정일모(鄭一謨)가 이월하였음을 적고 있다.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단위가 환을 쓰고 있음을 볼 때 1962년~1971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인년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寅十一月 壬寅十一月 1962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인년 11월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지출부 임인년 11월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문중 수입지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9면이다. 표지에 '壬寅十一月文書修定'이라고 쓰여 있다. 문서 내용을 임인년의 수입, 지출, 미수내역을 기록하였다. 먼저 수입내역은 지난해 신축년의 실재 문중 수입 내역 금 26,900환, 나락 6섬 4말 4되, 조[粟] 9말 2되 내 5말 대금 5천환을 적고, 이어서 상주와 광주 양산소 위토설치대(位土設置代) 수입내역을 기재하였다. 문서 마지막에 임인년 12월 4일 현재 미수내역을 적고 있다. 서의 생산연도는 화폐단위가 환을 쓰고 있음을 볼 때 1962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8년 정시빈(鄭始斌)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戊辰十一月日 奉山面 化民 鄭始斌, 鄭匡宇 城主 戊辰十一月日 鄭始斌 鄭匡宇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着押] 5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8년(영조 24) 봉화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시빈(鄭始斌)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48년(영조24) 11월일에 봉화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시빈(鄭始斌)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정석조(鄭錫祖)가 납부하지 않은 나머지 돈을 받아주기를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동래정씨 동족인 정석조와 계(契) 관련 문제로 서로 다투었는데, 정석조 등이 선조를 잊은 패륜은 한 가문뿐만 아니라 고을의 친구들도 모두 알고 있다. 선조를 잊은 패륜의 인간과 합계(合契)할 수 없다고 하며, 만약 석조 등이 분계(分契)의 불공정함을 억울하다고 말하면 서로의 문권(文券)을 거두어 공정(公正)하게 처결(處決)해 주시고, 문중에 납부하지 않은 나머지 15냥 7전을 조속히 받아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11월 17일에 일찍이 봉전(捧錢) 후에 합계할 생각이었는데 관전(官前)에 납초(納招)함에 이르렀다. 지금 봉전 뒤에 도리어 다른 뜻이 생겨 합계를 내켜하지 않는 상황이다. 그 소행을 추구하니 이같이 이미 놀랍다. 이미 합계를 하고자하지 않는다면 본전(本錢)의 나머지를 속히 내어주는 것이 마땅한 일이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술년 대문중수입지출부(大門中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戌十二月二十七日 庚戌十二月二十七日 1970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술년 12월 27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재산의 수입지출을 기록한 회계장부 경술년 12월 27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재산의 수입지출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13면이다. 표지에 '庚戌十二月二十七日 文書修定時'라고 쓰여 있다. 먼저 지난해 기유년 문서수정시 실재(實在)로 나락 11섬 3말 1되, 금689원(圓)이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경술춘등용하기(庚戌春等用下記)가 지출내역별로 금액과 내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단위가 원(圓)이 쓰인 것을 볼 때 1970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해년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辛亥十二月十日 辛亥十二月十日 1971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해년 12월 10일에 영광 동래정씨 문중에서 작성한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신해년 12월 10일에 영광 동래정씨 문중에서 신해년 수입지출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17면이다. 표지에 '辛亥十二月十日 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라고 쓰여 있다. 이 문서는 문중재산의 수입지출을 기록한 것으로 먼저 지난해 경술년 실재 수입으로 나락 20섬 9말, 보리[稞] 1섬5말을 9,800원에 매각하였음을 적고, 이어서 신해년에 지출한 금액과 내역을 기재하였다. 문서 마지막에 신해년 수입 지출 차인(差引) 합계를 내었다. 문서 생산연도는 문서에 쓰인 화폐단위가 원(圓)임을 볼 때 1971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유년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己酉十二月二十日 己酉十二月二十日 1969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유년 12월 20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한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기유년 12월 20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16면이다. 표지에 '己酉十二月二十日 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라고 쓰여 있다. 먼저 무신년 실재(實在) 합계를 기록하고, 이어서 기유춘등용하기(己酉春等用下記)가 기록되어 있다. 문서 마지막에는 경술년 1월 10일에 기유년도 미수기(未收記)를 기록하였다. 이 문서의 생산년도는 화폐단위를 원을 쓰고 있어 1969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신년 세입세출부(壬申年歲入歲出部)>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申四月 壬申四月 1992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신년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수입지출을 기록한 회계장부 임신년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수입지출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4면이며, 표지는 따로 없다. 먼저 임신년 4월 이후 세출지부(歲出之部)를 적고, 임신년 가을 세입지부(歲入之部) 등을 기재하였다. 세입의 경우는 대부분 소작료로 소작료, 소작자, 소작규모를 기록하였다. 문서명은 문서내용에서 차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문중시사물종기(門中時祀物種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문중시사 때 사용한 제수의 종류와 수량 금액을 기록한 문서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문중시사 때 사용한 제수의 종류와 수량 금액을 기록한 문서이다. 성책문서로 총5면이다. 문서 맨 처음에 '문중시사물종기(門中時祀物種記)'라고 쓰고 제수의 종류, 수량, 금액을 기재하였다. 문서 마지막에는 소작자 이름, 소작료내역을 적은 문중소작료수입기(門中小作料收入記)가 첨부되어 있다. 문서의 생산연도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