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92년 영광군수(靈光郡守) 하체(下帖) 고문서-첩관통보류-첩 정치/행정-명령-첩 壬辰二月二十四日 行郡守 奉山面都正 壬辰二月二十四日 靈光郡守 奉山面都正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印 ]3顆, 帖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2년(고종 29)에 영광군수(靈光郡守)가 봉산면(奉山面) 도정(都正)에게 내린 하첩(下帖) 1892년(고종 29) 2월 24일에 영광군수(靈光郡守)가 봉산면(奉山面) 도정(都正)에게 정죽창공(鄭竹窓公) 묘지기〔墓直〕의 연역(烟役)은 돌려주고 여타 연역을 감급(減給)한 일의 경위를 속히 보고하라는 하첩(下帖)이다. 행군수(行郡守)는 하첩에서 각 감역(減役) 중 정죽창공 묘지기는 여타와 많이 다르니 해당 연역(烟役)은 먼저 호결(戶結)로 돌려 이미 감급한대로 하되, 면중(面中)에서 연역을 갑자기 침책(侵責)했다고들 말하는데 무슨 사단(事端)이 있어 이렇게 뒷말이 있는지 연역을 감급한 일의 경위를 속히 보고하라고 봉산면 도정에게 지시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6년 정충검(鄭忠儉) 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寅十一月日 奉山化民 鄭忠儉 等 城主 丙寅十一月日 鄭忠儉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靈光郡守之印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6년에 11월에 화민(化民) 정충검(鄭忠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806년 11월에 영광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충검(鄭忠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선영(先塋) 근처에 투장(偸葬)한 이두덕쇠(李斗德金)를 처벌하고 즉각 굴이(掘移)하게 할 것을 청한 등장이다. 영광군 봉산면 염소(塩所)에 사는 이두덕쇠가 야밤에 선영 국내(局內)에 투장한 일로 지난달 10월 25일에 고소하자 처분하기를 '도형을 조사한 후에 이두덕쇠를 잡아오라.'고 하여 예리(禮吏)가 즉시 도형을 작성하여 투장자의 확인을 받으려고 하였으나, 이두덕쇠가 자신이 저지른 죄를 알고 도피하자 잡아다가 그 죄를 엄히 다스린 일이 있었다. 이어 군수께서 도형을 살핀 후 '선산 국내의 보수(步數)뿐만 아니라 혈전(穴前)도 마땅히 금해야 할 곳이니 이달 그믐까지 파가라.'고 지시했는데도 이두덕쇠가 끝내 처분을 거역하고 파가지 않았다. 이에 이두덕쇠를 잡아다가 관령을 거역한 죄를 엄히 다스리고 즉시 굴이토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제사에 '거듭 처결하고 독굴(督掘)하기 위해 잡아오라.'고 처결하고 주인(主人)에게 시행토록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65~1944년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乙丑~ 乙丑~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86 1865년부터 1944년까지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작성한 용하기(用下記) 1865년부터 1944년까지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작성한 용하기(用下記)이다. 을축(1865)년부터 갑신(1944)년까지 성책문서로 총468면이며, 겉표지가 없다. 문서 첫머리 '春捧入秩'로 시작된다. 문서의 내용은 제향물종기(祭享物種記), 발매시하기(發賣時下記), 용하기(用下記) 등이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2~1913년 용하기(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子 壬子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2년부터 1913년까지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작성한 용하기(用下記) 1912년부터 1913년까지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작성한 용하기(用下記)이다. 성책문서로 총90면이다. 표지는 따로 없고 문서 첫머리에 '一壬子十一月二十日…'로 시작하고 있으며, 보관자는 차용인의 주소 성명 등을 장부에 기록하고, 각 시기별 세금(貰金) 징수일자는 매년 봄3월 26일, 겨울 강신일자(講信日子)는 11월 10일로 하는 등 4~5개 조항이 기재되어 있다. 계축년 유사(有司)는 정덕윤(鄭德允)이다. 이어서 세금징수액, 사용내역 및 금액 등이 기재되어 있다. 뒤에 무진양월념사일 촌중계추록(戊辰陽月念四日村中稧追錄) 문서가 함께 묶여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유년 문중명첩(門中名帖)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丁酉四月初一日 丁酉四月初一日 1957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유년 4월 초1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문중 명단 정유년 4월 초1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마을별 문중 명단이다. 성책문서로 총19면이다. 각 마을별로 성명, 자, 생년을 기재하였다. 문서에 기재된 마을과 문중 총인원은 지산(芝山), 용산(龍山), 황량(黃良), 구봉(九峰), 어랑(漁浪), 장동(壯洞), 장우(長隅), 삼북 화산(森北 化山) 등 8개 마을 60여 명이다. 문서 뒷부분에 대문중서책목록(大門中書冊目錄), 정유사월초이일전미전여기(丁酉四月初二日錢米傅與記)가 수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술년 수입지출장부(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戌十二月初六日 戊戌十二月初六日 1958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술년 12월 초6일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장부 무술년 12월 초6일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10면이다. 표지는 따로 없다. 먼저 세입지부(歲入之部)로 구분하여 지난해인 정유년 1섬 9말 1되 5홉의 나락 수입, 금3,400원의 수입을 적고, 이어서 소작료 수입내역을 소작료, 소작면적, 소작자 순으로 기재하였다. 문서 마지막에는 무술년 12월 미수기(未收記)를 기록하였다.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단위가 원(圓)이 쓰인 것을 볼 때 1958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해년 대문중수입지출부(大門中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己亥十一月十六日 己亥十一月十六日 1959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12월 16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 기해년 12월 16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이다. 성책문서로 총9면이며 표지가 없다. 먼저 지난해인 무술년 실재(實在) 나락 1섬, 8말 1되 4홉, 조[粟] 1섬 3말 1되를 작미(作米)하고 미속(米粟) 6말을 판매한 대금 6천환이라고 적었다. 이어서 기해년에 사용한 지출액과 지출내역, 기해년수입기(己亥年收入記)를 기록하였다. 수입한 내역은 소작료이다. 문서 마지막에는 기해년 수입지출을 차인(差引)하여 합계를 내었다. 이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 단위가 환을 쓰고 있음을 볼 때 1959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8년 영광군수(靈光郡守) 전령(傳令)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奉山面 風憲, 約正, 公員 靈光郡守 風憲 約正 公員 전라남도 영광군 [靈光郡印] 8顆[▣▣]2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14 1748년(영조 24) 영광군 겸관(兼修)이 봉산면(奉山面) 풍헌(風憲) 약정(約正) 공원(公員)에게 내린 전령(傳令). 1748년(영조 24) 윤(閏)7월 1일에 겸관(兼修)이 봉산면(奉山面) 풍헌(風憲) 약정(約正) 공원(公員)에게 내린 전령이다. 봉산면(奉山面)에 거주하는 정시익(鄭時益)의 소장에 의거하여 정석조(鄭錫祖)와 정석복(鄭錫福) 등을 추급(推給)하라고 하기에 장자(狀者;관청에 서면으로 청원을 제출한 사람) 면고(面告) 내에 완악히 거부하며 오지 않은바 본 일의 시비(是非)는 우선 제쳐 두고 거론하지 않더라도 양반이 관령을 거역하려고 도모한 것은 극히 놀라우니 추문(推文)으로 엄히 처결하고자 가서 급히 잡아오라. 만일 관을 거역하면 달려와서 형리에게 알려서 잡아와 칼[枷]을 씌워 상부로 올려 보내 엄히 처리하라고 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44년 지산사(芝山祠)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甲辰六月日 執綱 李潤壽 等 4人 城主 甲辰六月日 李潤壽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4년(헌종10)에 집강(執綱) 이윤수(李潤壽)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품목(稟目). 1844년(헌종10) 6월일에 지산사우(芝山祠宇) 집강(執綱) 이윤수(李潤壽)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감역 기록에서 빠진 10호(戶)를 전례에 의거하여 견탈(蠲頉)해주기를 요청하며 올린 품목(稟目)이다. 지산사는 죽창(竹窓) 정홍연(鄭弘衍)을 모시는 곳이다. 공은 문장과 덕업이 당세에 빛났고, 사류의 모범으로 계축반정 후에 비로소 벼슬을 지냈으며 사림(士林)의 공의(公議)로 사우를 세워 봄·가을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이에 10호의 인역(烟役)과 호역(戶役)을 탈급(頉給) 받았는데, 뜻밖에 금번 감역 기록에서 빠지게 되어 새로 부임한 사또에게 전례에 의거하여 다시 10호를 감역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6월 24일에 무슨 이유로 제역(除役)에서 빠지게 되었는지를 보고 이미 읍례(邑例)가 있으니 자세히 살펴서 탈급(頉給)해 주라고 적색(籍色)과 창색(倉色)에게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신년~임술년 심사록(尋祠錄)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종교/풍속-관혼상제-시도기 壬申十月 壬申十月 芝山祠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신년부터 임술년까지 지산사 방명록 임신년부터 임술년까지 지산사 방문자 명단을 기록한 심사록(尋祠錄)이다. 성책문서로 총 14면이다. 문서 첫머리에 선생 외손 광산후인 김필성(金必聲), 김필▣(金必▣)이 임신년 10월에 방문한 이후 총98명의 명단이 기재되어 있다. 사우 방문기록을 쓸 때 사우에 모셔진 인물과의 관계, 본관, 성명, 방문사유, 방문날짜 등의 순으로 쓰여 있다. 신은(新恩) 인사자의 이름에는 점을 찍거나 동그라미를 그려 표시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계유년 시도기(時到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 종교/풍속-관혼상제-시도기 庚申二月 芝山祠 庚申二月 1980~1993 芝山祠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신년부터 계유년까지 지산사(芝山祠) 춘향제(春享祭) 참석자 명단 경신년 2월 29일부터 계유년 2월 17일까지 14년간의 지산사(芝山祠) 춘향제(春享祭) 참석자 명단이다. 성책문서로 총32면이다. 표지명은 '時到記'라 되어 있고, 오른편에 '庚申二月 芝山祠'라고 쓰여 있다. 시도기에는 경신년 2월 29일 예성(禮成)시 참석자 명단부터 기재되어 있는데, 아마도 지산사를 복설한 1980년 이후 것으로 추정된다. 참석자는 성명, 자, 호, 본관, 생년, 거주기를 기재하였으며, 계해년부터는 본관과 거주지만 쓰여 있다. 시도(時到)란 도착한 때에 쓰는 일종의 방명록으로 보통 본관과 성명, 거주지를 나란히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기해년 제관록(祭官錄)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종교/풍속-관혼상제-분정기 庚申二月二十八日 芝山祠 庚申二月二十八日 1980~2019 芝山祠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신년 2월 28일부터 기해년까지 지산사(芝山祠)의 제향시 제관 명단 경신년 2월 28일부터 기해년까지 지산사(芝山祠) 제향시 제관 명단을 기록한 제관록(祭官錄)이다. 성책문서로 총46면이다. 표지명은 '祭官錄'으로 되어 있으며, 오른쪽에 '庚申二月二十八日禮成 芝山祠'라고 쓰여 있다. 경신년 2월 28일 복설예성(復設禮成) 제관 명단이 맨 처음 기재되어 있는데, 지산사는 1980년 2월에 복설되었다. 그러므로 경신년은 1980년, 기해년은 2019년으로 추정된다. 제관록에는 매년 춘향시(春享時) 13명의 제관을 분정한 명단이 기재되어 있으며, 춘향일은 매년 2월 17일이다. 제관의 분정은 각 제관명 아래 해당 제관을 맡은 사람의 성명, 거주지가 쓰여 있는데, 경오년 이후부터는 본관, 자, 호, 생년 등이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진년 대문중수입지출사초기(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甲辰 甲辰 1964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년 12월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문중 수입지출 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23면이다. 표지에 '甲辰度 大門中收入支出私草記'라고 쓰여 있다. 먼저 잔재(殘在)로 나락 23섬 7말 4되, 돈 13,710원, 조[粟] 6말 3되가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계묘춘등용하(癸卯春等用下)가 기록되어 있다. 이 문서에서는 화폐단위가 원을 쓰고 있어 표지의 갑진년은 1964년이고, 본문의 계묘년은 1963년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표지와 본문의 간지가 일치하지 않아 어느 해에 생산된 것인지 명확하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표지에 쓰인 간지를 따랐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0년 이행민(李行珉) 저축예금통장(貯蓄預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李行珉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李行珉 錦南金融組合貯蓄 4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에 錦南金融組合에서 李行珉에게 발급한 貯蓄預金通帳 1940년 12월 17일부터 1941년 8월 15일까지 총 3번의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2857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0년 임종이(任宗伊) 저축예금통장(貯蓄預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任宗伊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任宗伊 錦南金融組合貯蓄 13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에 錦南金融組合에서 任宗伊에게 발급한 貯蓄預金通帳 1940년 12월 17일부터 1943년 9월 4일까지 총 23번의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2863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0년 임달랑(任達郞) 저축예금통장(貯蓄預金通帳)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任達郞 昭和15年12月17日 錦南金融組合 任達郞 錦南金融組合貯蓄 7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에 錦南金融組合에서 任達郞에게 발급한 貯蓄預金通帳 1940년 12월 17일부터 1943년 9월 9일까지 총 6번의 입금내역이 기재되어 있음. *통장번호: 2864 *형태사항: 절첩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자년 수입기(收入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子年十二月五日 庚子年十二月五日 1960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12월 5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회계장부 경자년 12월 5일에 영광 동래정씨가에서 작성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12면이며, 겉표지가 따로 없다. 문서 처음에 '庚子年十二月五日文書修定時'라고 쓰고, 경자년수입기(庚子年收入記)를 기재하였다. 수입기는 모두 소작료로 소작료, 소작규모, 소작자를 기록하였다. 문서 마지막에 신축미수기(辛丑未收記)가 쓰여 있다. 이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 단위가 원이 쓰인 것을 볼 때 1960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축년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辛丑十二月] [辛丑十二月] 1961 東萊鄭氏門中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축년 12월에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작성한 수입지출부(收入支出簿) 신축년 12월에 영광 동래정씨문중에서 문중 재산의 수입지출내역을 기록한 회계장부이다. 성책문서로 총4면이고 표지가 없다. 먼저 지출금액과 품목을 쓴 지출내역, 신해년 12월 문서수정시 미수기(未收記)가 기재되어 있다. 미수기는 미수액, 미수내용, 미수자 성명이 차례대로 쓰여 있다. 총 미수액은 나락 5섬 8말 1되, 조 5말 7되이다. 이 문서의 생산연도는 화폐 단위가 환이 쓰인 것을 볼 때 1961년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8년 정광우(鄭匡宇)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戊辰八月日 奉山面化民 鄭匡宇 等 2人 城主 戊辰八月日 鄭匡宇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靈光郡印 5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8년(영조24)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의 유생(儒生) 정광우(鄭匡宇), 정국빈(鄭國斌)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48년(영조 24) 8월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의 유생(儒生) 정광우(鄭匡宇), 정국빈(鄭國斌)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정석조(鄭錫祖) 등이 선조(先祖)를 잊고 관(官)을 거역한 죄를 엄히 다스려 돈을 받게 해 줄 것을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정광우 등은 전날 정석조를 잡아 오라는 패자를 발급받았으나 날이 저물도록 종적이 없는 등 완강히 거역하는 처사가 있어 합하(閤下)의 위엄으로 엄히 다스려 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8월 17일 제사(題辭)에서 조상을 잊은 것도 부족해 관의 명령에 거역한 정석조의 행위는 실로 교화(敎化)를 받지 못한 것이니 각별히 엄중하게 다스리고 추급(推給)할 수 있도록 면임(面任)과 함께 속히 잡아 오라고 풍헌(風憲)에게 분부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00년 풍헌(風憲) 문보(文報)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정치/행정-보고-보장 庚申十二月十六日 風憲 金 城主 庚申十二月十六日 風憲 金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0년(정조 24)에 봉산면(奉山面) 풍헌(風憲) 김관태(金寬兌)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문보(文報) 1800년(정조 24) 12월 16일에 봉산면(奉山面) 풍헌(風憲) 김관태(金寬兌)가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문보(文報)이다. 봉산면 정가(鄭哥) 양반 선산의 투장(偸葬) 사건에 대해 '양척(兩隻) 모두 산하(山下) 도형(圖形)을 가져오라.'고 처결하여 즉시 산 곳곳을 적간(摘奸)해 보니 야장(夜葬)한 것이 틀림없으므로 양척에게 확인〔着名〕받은 산도(山圖)를 보고하였다. 영광군수는 12월 17일에 투장(偸葬)한 것이 확실하므로 도형(圖形) 중에 결급한다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