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9년 정진용(鄭鎭容) 등 등장(等狀)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己未八月日 全羅道 靈光 化民 鄭鎭容 等 13人 城主 己未八月日 鄭鎭容 尙州牧使 전라남도 영광군 慶尙道尙州使[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9년(철종 10) 2월 2일에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 등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올린 등장(等狀). 1859년(철종 10) 2월 2일에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 등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상주에 있는 선조들의 묘소를 돌보는 산지기의 역을 면제해 달라고 요청한 등장이다. 상주에 12대조 판서공(判書公), 11대조 판서공(判書公)과 부정공(副正公) 형제의 묘소가 있는데 이곳을 수호하는 묘지기의 연호잡역(煙戶雜役)이 그동안 면제됐으나, 근년에 묘지기의 잡역을 면제받지 못하여 통탄함을 금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에 예전대로 묘지기의 잡역을 면해주어서 선영(先塋)을 수호할 수 있도록 청하자, 상주목사가 판결하기를 '조사(朝士)의 묘는 일반 서민의 묘와 다르니 소청대로 (산지기의 역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라.'라고 하며 요청을 허락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37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崇德二年十二月十五日 前行郡守 鄭弘衍 崇德二年十二月十五日 仁祖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37년(인조 15)에 전행군수(前行郡守) 정홍연(鄭弘衍)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하는 문서 1637년(인조 15) 2월에 15일에 인조가 전행군수(前行郡守) 정홍연(鄭弘衍)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통정대부는 정3품 당상의 품계이다. 이 문서의 발급 사유는 정홍연의 노직(老職)을 가자(加資)해 달라는 상소를 올려 왕이 승인하여 가자된 것이다. 1637년 당시 정홍연의 나이는 73세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0년 정윤검(鄭胤儉) 등 등장(等狀)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庚申十二月日 奉山面化民 鄭胤儉 等 11人 城主 庚申十二月日 鄭胤儉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0년(정조 24) 12월 15일에 정윤검(鄭胤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800년(정조 24) 12월 15일에 영광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윤검(鄭胤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5대조 죽창공 정홍연(鄭弘衍) 묘역 근처에 투장(偸葬)한 엄동산(嚴同山)과 엄순갑(嚴順甲)을 처벌하고 기간을 정해 굴이(掘移)할 것을 청한 등장이다. 지난 임진년(1772년), 갑오년(1774년)에 선산 부근에 투장한 사건 이후로 문제가 없었는데, 이번에 영광 봉산면 염소(鹽所)에 사는 상민(常民) 엄동산과 엄순갑이 죽창공의 묘소 국내(局內)이자 증조 진사공(進士公)의 압맥(壓脈)이며, 정동규(鄭東奎) 증조 묘소의 매우 가까운 곳에 투장 하였으니, 이들을 법정에 잡아다가 투장한 죄를 다스리고 기간을 정해 파가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영광군수가 '원고와 피고 모두 산의 도형(圖形)을 그려 오라.'고 판결하고, 면임(面任)에게 담당하게 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이곤(李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八年戊子式 行郡守 幼學 李坤 道光八年戊子式 靈光郡 李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0), 靈光郡戶口(흑색, 12.2×3.6)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28년(순조 28)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 1828년(순조 28)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7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9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4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곤은 1831년 이후의 문서에서 이이곤(李以坤)으로 기재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이곤(李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五年乙酉式 行郡守 幼學 李坤 道光五年乙酉式 靈光郡 李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7×7.8), 靈光郡戶口(흑색, 12.3×4.0)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25년(순조 2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 1825년(순조 25)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곤(李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8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46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1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고씨(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곤은 1831년 이후의 문서에서 이이곤(李以坤)으로 기재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己卯三月初十日 幼學李馥弼 己卯三月初十日 李馥弼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02 1879년에 이복필(李馥弼)이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1879년 3월 10일에 이복필(李馥弼)이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이복필이 회시를 본 당시 나이는 73세이고, 영광에 거주했다. 이복필이 본 회시는 같은 해 정월에 본 감시(監試)의 다음 단계 시험이다. 시험과목은 부(賦)이고, 시제는 '文王作人之效如春風和氣'이다. 성적은 '次下'이다. 명지와 시지(試紙)를 분할했는데 그 사이에 '七玄'이라 쓰여 있다.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의미한다. 본 문서는 '玄軸'의 7번째 시권이다. 문서 앞면에 '進士試 二等 第二十人'이라 적힌 첨지(籤紙)가 붙여졌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시권(試券) 1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적는 명지(名紙)가 없어서 누가 작성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또한 상단부 내용이 누락되어 시권에 대한 정보(시험과목, 시제 등)를 알기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9년 임동빈(任東彬)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4年11月29日 羅州郡森林組合長 任東彬 昭和4年11月29日 羅州郡森林組合長 任東彬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9년 11월 29일에 나주군삼림조합장이 洞岳里 任東彬에게 발급한 영수증 *溫突焚口代金: 九拾錢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3년 임활연(任活然) 영수증서(領收證書)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8年9月21日 金融組合 任活然 昭和8年9月21日 錦南金融組合 任活然 錦南金融組合 1顆(타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3년 9월 21일에 錦南金融組合에서 任活然에게 발급한 貸付金 및 利息 領收證書 *領收金: 七拾壹錢 *科目: 短保 *使途: 旧債 *貸付年月日: 8년8월21일 *返濟期日: 9년2월20일 *최초대부액: 50円 / 현재잔고: 50円 *利息期間: 8년8월21일부터 9월30일까지 *日數: 41 *利率: 3.5 / 금액: 71円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풍천임씨가(豊川任氏家) 상언(上言) 초안(草案) 고문서-소차계장류-상언 법제-소송/판결/공증-상언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풍천임씨가의 누군가가 작성한 상언 초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임이룡(任怡龍)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拾年壹月八日 東山農事株式會社朝鮮支店 黃月組合 任怡龍 昭和拾年壹月八日 東山農事株式會社朝鮮支店 黃月組合 任怡龍 東山農事株式會社朝鮮支店全南出張所 3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1월 8일에 東山農事株式會社朝鮮支店 黃月租合에서 任怡龍에게 발급한 領收證 *金 拾圓 *昭和九年度特別積立金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임활연(任活連) 연취인정산전표(延取引精算傳票)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10年11月26日 羅州郡農會 任活連 昭和10年11月26日 羅州郡農會 任活連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11월 26일에 羅州郡農會에서 金川面 洞岳里 任活連에게 발급한 延取引精算傳票 *근수: 934 *단가: 12円92錢 *금액: 12엔06錢 *斡旋수수료: 12錢 *前渡지불금액: 2円 *정산불입금액: 9円94錢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산도(山圖) 초본(草本)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산의 형세만 그려진 山圖 草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9년 정진용(鄭鎭容) 소지(所志) 3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己未八月日 全羅道 靈光 化民 鄭鎭容 城主 己未八月日 鄭鎭容 尙州牧使 전라남도 영광군 慶尙道尙州使[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9년(철종 10) 전라도(全羅道) 영광(靈光)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올린 소지(所志) 1859년(철종 10) 8월일에 전라도(全羅道) 영광(靈光)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관의 처분을 따르지 않는 성재문(成在文)의 처벌을 요청하며 올린 소지(所志)이다. 저번에 소를 올려 '다짐한 기한이 이미 지났으니 독굴(督掘)하기 위해 성재문을 잡아서 대기하라.'고 장민(狀民)에게 지시하여 곧바로 가서 판결문을 보여주었으나, 성재문이 관의 처분을 따르지 않으니 엄한 차사를 보내 잡아다가 엄히 다스리고 투장한 무덤을 즉시 이장(移葬)하게 조치해 주라고 요청하였다. 상주목사는 8월 초6일에 성재문이 일전(日前)에 스스로 와서 정변(呈卞)하였으니 어찌 오지 않을 리가 있겠느냐. 기어코 착대(捉待)하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38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崇德三年四月初八日 鄭弘衍 崇德三年四月初八日 仁祖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38년(인조 16)에 정홍연(鄭弘衍)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관(行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하는 문서 1638년(인조 16) 4월 초8일에 인조가 정홍연(鄭弘衍)을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절충장군은 정3품 품계이고, 용양위부호군은 종4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1년 정윤검(鄭胤儉) 등 등장(等狀)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酉四月日 奉山面化民 鄭胤儉 等 10人 城主 辛酉四月日 鄭胤儉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1년(순조 1)에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윤검(鄭胤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801년(순조 1)에 4월일에 봉산면(奉山面) 화민(化民) 정윤검(鄭胤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엄동산(嚴同山) 등 투장(偸葬)한 묘를 파내어가도록 엄한 처분을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지난해 12월 자신들의 선산 부근에 투장한 엄동산(嚴同山),엄순갑(嚴順甲)을 정소하여 면임에게 도형(圖形)을 척량(尺量)하게 한 후 '전후좌우가 정가(鄭哥)의 족산이니 비록 보수가 조금 멀더라도 어떤 사람도 장사 지내고자 하지 않는 것이 맞으니 바로 굴거(掘去)하라'는 제사를 내려주어 투장자 엄동산이 2월 15일까지 굴거하겠다는 수기를 작성해 주었으나 아직까지도 시행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들을 처벌하여 투장한 묘를 파가도록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4월 22일에 결급(決給)한 지가 여러 달이 지났는데 아직도 파가지 않은 것은 지극히 통탄스럽고 놀랍다. 엄히 다스려 독촉하여 파가도록 잡아오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시권(試券) 2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적는 명지(名紙)가 없어서 누가 작성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또한 우측 부분의 심한 마멸로 판독이 어려워서 시권에 대한 정보(시험과목, 시제 등)를 알기 어렵지만, 성적은 '次下'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시권(試券) 3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적는 명지(名紙)가 없어서 누가 작성한 것인지 알 수 없다. 또한 상단부 내용이 누락되어 시권에 대한 정보(시험과목, 시제 등)를 알기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十一年辛卯式 行郡守 幼學 李以坤 道光十一年辛卯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1×7.0), 靈光郡戶口(흑색, 12.3×3.8)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31년(순조 3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 31)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2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57세 을미생이며, 본관은 상산(商山)이다. 이이곤과 처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당필(李唐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 시권(試券) 4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광주이씨가(廣州李氏家)의 누군가가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적는 명지(名紙)가 없어서 누가 작성한 것인지 알 수 없다. 시제는 '禮義 事君有犯'이다. 성적은 '更'이다. 명지와 시지(試紙)를 분할한 자리에 '七水'이라 쓰여 있다.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의미한다. 본 문서는 '水軸'의 7번째 시권이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