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81년 정국빈(鄭國斌)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丑十一月日 奉山面化民 鄭國斌 等 11(?)人 城主 辛丑十一月日 鄭國斌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1년(정조 5)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의 유생(儒生) 정국빈(鄭國斌)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81년(정조 5) 11월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의 유생(儒生) 정국빈(鄭國斌), 정윤검(鄭胤儉), 정영검(鄭瑩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투장자(偸葬者)를 적발하고 무덤을 파가게 해 줄 것을 요청한 등장(等狀)이다. 정국빈 등은 최근에 누군가가 자신들의 선산에 밤을 틈타 투장했으며, 투장한 곳은 5대조 죽창공(竹窓公) 산소 경내에서 멀지 않으며 증조부인 진사공(進士公) 묘의 내룡주맥(來龍主脈)에 매우 가까운 곳, 또 후손 정환빈(鄭桓斌) 묘(墓)아래 몇 발짝쯤 이내이다. 그들이 대대로 지키고 장사지내는 땅을 한 투총자(投塚者)에게 잃어버리게 되었으므로, 해당 면임(面任)에게 분부해 한편으로는 투장자를 엄히 적발하고, 한편으로는 기한을 정해 무덤을 파가게 해 달라고 요청했다. 영광군수는 11월 26일 내린 제사(題辭)에서 투장한 사람을 기어이 찾아 잡아 오라고 면임(面任)에게 분부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이이곤(李以坤)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十六年丙午式 行郡守 幼學 鰥 李以坤 道光二十六年丙午式 靈光郡 李以坤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46년(헌종 1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 1846년(헌종 1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제13 신촌리(新村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7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에서 개명한 이승필(李升弼)과 이현필(李鉉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와 전주이씨(全州李氏), 손자는 이인순(李寅淳)과 이우순(李友淳)이며, 손자며느리는 진주강씨(晋州姜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의 인장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이곤은 1825년과 1828년 준호구에 이곤(李坤)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을묘년 이종걸(李宗杰)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乙卯二月日 幼學李宗杰 等 28人 巡相閤下 乙卯二月日 1770년대 후반 李宗杰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1顆(8.0×8.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묘년에 유학(幼學) 이종걸(李宗杰) 등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상서(上書). 을묘년 2월에 유학(幼學) 이종걸(李宗杰) 등 28인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정려(旌閭)를 청원하기 위해 올린 상서(上書)이다. 영광군 변산(卞山)에 살았던 효자 이대영(李大塋)과 그 제수(弟嫂) 효부 박씨(朴氏)의 효행을 칭송하면서 그들을 위해 정려를 세우기를 요청했다. 이미 작년 11월에 영광군수에 청원을 했고 제사를 받았으나 일의 처리가 잘 안 되어서 유림의 뜻을 합해 관찰사에게 다시 청원한 것이다. 이에 전라도관찰사는 동월 14일에 읍(邑)의 보고를 기다린 후에 헤아려 처리하겠다고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복필(李馥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五年己卯式 行郡守 進士 鰥 李馥弼 光緖五年己卯式 靈光郡 李馥弼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1顆(7.0×7.1), 靈光郡戶口(흑색, 12.5×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79년(고종 1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복필(李馥弼)의 준호구(準戶口). 1879년(고종 16)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진사(進士) 이복필(李馥弼)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복필은 영광군 마촌면(馬村面) 용동리(舂洞里) 제1통 제1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80세 경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규순(李圭淳)이다. 아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아들의 외조인 고만구(高萬九)의 직역과 이름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이복필은 1870~1873년 준호구에는 이현승(李鉉升)으로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석물 관련 현금지출기(現金支出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회계/금융-치부책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石物 관련 현금 지출 내역을 기록한 문서 석물계약금, 2인 여비, 석물대금, 1인 여비, 석물대, 대서비(술값), 운임비 등의 비용을 기록함.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치부기(置簿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회계/금융-치부책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收入과 取用 비용을 기록한 문서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8년 민태광(閔泰洸) 축우매매증명서(畜牛賣買證明書) 고문서-증빙류-증명서 법제-소송/판결/공증-증명서 昭和13年2月26日 羅州郡農會 閔泰洸 昭和13年2月26日 羅州郡農會 閔泰洸 印 1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2월 26일에 羅州郡農會에서 閔泰洸에게 발급한 畜牛賣買證明書 *매매금액: 參圓(畜牛賣買), 壹圓五拾錢(斡旋手數料) *매도인: 南平面戶洞里 閔泰洸 *매수인: 金川面 林紀連 *중개인: 姜海旭 *중개장소및월일: 소화13年2월26일 南平牛市場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2년 임활연(任活然) 축우매매증명서(畜牛賣買證明書) 고문서-증빙류-증명서 법제-소송/판결/공증-증명서 昭和17年11月1日 郡農會 任活然 昭和17年11月1日 羅州郡農會 任活然 羅州郡農會 1顆(장방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2년 11월 1일에 羅州郡農會에서 任活然에게 발급한 畜牛賣買證明書 *매매금액: 五圓 *매도인: 금천면 동악리 任活然 *매수인: 長城郡 黃春玉 *중개인: 丁泳振 *중개장소: 南平牛市場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0년 엄순갑(嚴順甲) 등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경제-회계/금융-수기 庚申十二月▣六日 嚴順甲, 嚴同山 鄭生員 庚申十二月▣六日 嚴順甲 嚴同山 鄭生員 전라남도 영광군 手記主 嚴順甲[着名] 從兄 嚴同山[着名], 筆執 風憲 金寬兌[着名]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0년(정조 24)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에 사는 엄순갑(嚴順甲), 엄동산(嚴同山)이 정생원(鄭生員)에게 작성해 준 수기(手記). 1800년(정조 24) 12월 6일에 영광(靈光) 봉산(奉山)에 사는 엄순갑(嚴順甲), 엄동산(嚴同山)이 법리(法理)를 알지 못하여 정생원(鄭生員)의 산소와 멀지 않은 곳에 암장(暗葬)한 일로 소송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굴이(掘移)할 수밖에 없게 되자, 정생원에게 누누이 간청하여 내년 봄 2월 15일까지 파 옮기겠다고 약속하며 작성해 준 수기(手記)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0년 정윤검(鄭胤儉) 등 등장(等狀)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庚申十二月日 奉山化民 鄭胤儉 等 14人 城主 庚申十二月日 鄭胤儉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0년(정조 24)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윤검(鄭胤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800년(정조 24) 12월일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윤검(鄭胤儉)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엄동산(嚴同山) 등이 투장(偸葬)한 묘를 파내어 가도록 엄한 처분을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자신의 5대조 죽창공 산소 부근에 투장한 본면(本面) 엄동산을 정소하여 면임에게 도형(圖形)을 척량(尺量)하게 한 후 '전후좌우가 정가(鄭哥)의 족산이니 비록 보수가 조금 멀더라도 어떤 사람도 장사 지내고자 하지 않는 것이 맞으니 바로 굴거(掘去)하여 피죄(被罪)의 땅에 이르게 됨이 없도록 하라'는 처분을 받았으나 엄동산이 관령을 거역하고 아직까지 굴거하지 않고 있으니 엄동갑, 엄순갑을 잡아다 처벌하고 투장한 묘를 즉시 파가도록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12월 25일에 독촉하여 파내가도록 붙잡아 오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20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泰昌元年十二月初一日 鄭弘衍 泰昌元年十二月初一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20년(광해군12)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동복현감(行同福縣監)에 임명하는 문서 1620년(광해군12) 12월 초1일에 광해군이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동복현감(行同福縣監)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통훈대부는 정3품 하계 품계이고, 동복현감은 종6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22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天啓二年十月二十日 鄭弘衍 天啓二年十月二十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22년(광해군14)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익산군수(行益山郡守)에 임명하는 문서 1622년(광해군14) 10월 20일에 광해군이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익산군수(行益山郡守)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통훈대부는 정3품 하계 품계이고, 익산군수는 종4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이이곤(李以坤)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十七年丁酉式 幼學鰥李以坤 行郡守 道光十七年丁酉式 李以坤 靈光郡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37년(헌종 3)에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이 영광군(靈光郡)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37년(헌종 3)에 유학(幼學) 이이곤(李以坤)이 영광군(靈光郡守)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이다. 이이곤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신촌리(新村里)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58세 경자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처(妻) 김씨(金氏)는 본관이 상산(商山)이고 사망했다. 이이곤과 처 김씨의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함께 기재하였으며, 이이곤의 경우 생부(生父) 이대영(李大榮)도 기재하였다. 그 밖의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형필(李馨弼), 며느리[婦]는 장택고씨(長澤高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이규순(李圭淳)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八年壬午式 代 鰥 幼學 李圭淳 光緖八年壬午式 靈光郡 李圭淳 전라남도 영광군 2顆(7.3×7.3), 靈光郡戶口(흑색, 12.0×3.3)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82년(고종 19)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규순(李圭淳)의 준호구(準戶口). 1882년(고종 19)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규순(李圭淳)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규순은 57세이고, 본관은 광주(廣州)이며, 아버지 이복필(李馥弼)을 대신하여 호주로 신고하였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손자는 이병찬(李炳贊)이고 손자며느리는 울산김씨(蔚山金氏)이다. 가족들의 인적사항 다음에 손자의 외조의 이름과 본관이 작성되었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문서의 일부가 잘려진 상태로 보이며, 그 때문에 이규순의 거주지 주소를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이대영(李大榮)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道光二秊壬午式 行郡守 鰥夫 幼學 李大榮 道光二秊壬午式 靈光郡 李大榮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7.2×7.2), 靈光郡戶口(흑색, 12.3×3.5)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1-01-100013 1822년(순조 2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이대영(李大榮)의 준호구(準戶口). 1822년(순조 22)에 영광군(靈光郡)에서 발급한 유학(幼學) 이대영(李大榮)의 준호구(準戶口)이다. 이대영은 영광군 변산면(卞山面) 동고개리(東古介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였고, 나이는 69세 갑술생이며, 본관은 광주(廣州)이다. 현재 부인은 없으며, 부(父)·조(祖)·증조(曾祖)·외조(外祖) 4조의 직역과 이름을 기재하였다. 가족 사항으로 솔자(率子)는 이은(李垠), 며느리[婦]는 김씨(金氏), 솔손(率孫)은 이은필(李殷弼), 손자며느리는 류씨(柳氏)이다. 이외에 노비의 명단 '천구질(賤口秩)'이 기재되었다. 이 문서에는 [영광군수지인(靈光郡守之印)]과 [영광군호구(靈光郡戶口)]가 찍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형필(李馨弼)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己卯正月十九日 幼學李馨弼 己卯正月十九日 李馨弼 영광 광주이씨 퇴암공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9년에 이형필(李馨弼)이 감시(監試)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1879년 정월(正月) 19일에 이형필(李馨弼)이 감시(監試)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이다. 이형필이 감시를 본 당시 나이는 73세이고, 영광에 거주했다. 응시자의 인적사항을 기록하는 명지(名紙)에 시험일시와 장소, 시관(試官)의 이름 등이 기록되었다. 이형필이 본 감시는 생원, 진사를 선발하는 시험이며, 시험 본 장소는 전라북도 순창(淳昌)이다. 상시관(上試官)은 이중필(李重七)이고, 부시관(副試官)은 광양현감 조중희(趙忠熙)이며, 참시관(參試官)은 진산현감 권응우(權應愚)이다. 시험과목은 부(賦)이고, 시제는 '以三十年之通制國用'이다. 성적은 '次上'이다. 명지와 시지(試紙)를 분할했는데 그 사이에 '十寒'이라 쓰여 있다. 이는 시권의 제출 순서를 의미한다. 본 문서는 '寒軸'의 10번째 시권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금천방주(金川方周)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洞岳里金川方周 金川方周 印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洞岳里 金川方周에게 발행된 領收證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5년 임동빈(任東彬) 보험료가영수증(保險料假領收證) 1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二十年五月十六日 朝鮮簡易生命保險 任東彬 昭和二十年五月十六日 朝鮮簡易生命保險 任東彬 大島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5년 5월 16일에 朝鮮簡易生命保險에서 任東彬에게 발행한 保險料假領收證 1 *금액: 壹圓 *수령자: 大島泰仁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5년 임동빈(任東彬) 보험료가영수증(保險料假領收證) 2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二十年六月二三日 朝鮮簡易生命保險 任東彬 昭和二十年六月二三日 朝鮮簡易生命保險 任東彬 豊山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5년 6월 23일에 朝鮮簡易生命保險에서 任東彬에게 발행한 保險料假領收證 2 *금액: 壹圓 *수령자: 豊山有植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9년 정진용(鄭鎭容) 등 등장(等狀)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己未二月日 全羅道 靈光 化民 鄭鎭容 等 14人 城主 己未二月日 鄭鎭容 尙州牧使 전라남도 영광군 尙州使[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9년(철종 10)에 전라도(全羅道) 영광(靈光)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 등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올린 등장(等狀). 1859년(철종 10) 8월에 전라도(全羅道) 영광(靈光)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 등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성재문(成在文)이 투장한 묘를 파내어 가도록 엄한 처분을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동래정씨 선영(先塋)이 화서면(化西面) 제궁동(齊宮洞)에 있는데 뜻밖에 작년에 본면(本面)에 사는 성재문이 단백호(單白虎) 80보 내에 투장하여 정소한 결과 성재문이 패하였다. 7월 그믐 전에 파서 옮기겠다는 다짐을 관정에 제출하였는데 지금 6~7개월이 지났는데도 파가지 않고 있으니 성재문을 잡아가두고 독촉하여 파가도록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상주목사는 8월 5일에 다짐의 기한이 이미 지났으니 독촉하여 파가도록 을 잡아 대령하라고 제사를 내리고 장민(狀民;관가(官家)에 소장(訴狀)을 낸 백성)에게 담당하게 하였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