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70년 임활연(任活然) 석제품매매계약서(石製品賣買契約書) 봉투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成石工場 韓在鍮 韓在鍮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大成石工場 서류가 들어있는 봉투 *연결문서: 1970년 임활연 석제품매매계약서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76년 임판순(任判淳) 매매계약서(賣買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一九七六年十二月二十七日 任判淳 孫台煥 一九七六年十二月二十七日 任判淳 孫台煥 任判淳 2顆(원형, 적색) / 孫台煥印 2顆(원형, 적색) / 一推 2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6년 12월 27일에 任判淳이 孫台煥에게 林野 23反3畝步를 賣買하면서 작성한 契約書 *금액: 225만원 *1976년 12월 30일까지 중도금 30만원 지불 *잔액 170만원은 1977년 1월 27일에 매도자가 소유권이전에 필요한 수속서류와 상환하기로 함 *소개인: 朴一推 *소장처: 임종혁가(작은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5년 김광주(金廣周) 출자증권(出資證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年拾壹月貳拾日 錦南金融組合組合長金鍾彦 , 理事大浚0次 金廣周 昭和拾年拾壹月貳拾日 組合長李圭逢 金廣周 錦南金融組合 1顆(장방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組合長印 1顆(원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錦南金融組合에서 金廣周에게 발급한 出資證券 *출자금: 拾圓(出資 壹口)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7년 이대식(李大植) 출자증권(出資證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貳年五月廿六日 錦南金融組合組合長金鍾彦 , 理事岩井數馬 李大植 昭和拾貳年五月廿六日 組合長李圭逢 李大植 錦南金融組合組合長印 1顆(원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7년 錦南金融組合에서 李大植에게 발급한 出資證券 *출자금: 拾圓(出資 壹口)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16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4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萬曆四十四年九月日 鄭弘衍 萬曆四十四年九月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16년(광해군 8)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제용감판관(行濟用監判官)에 임명하는 문서 1616년(광해군 8) 9월 일에 광해군이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제용감판관(行濟用監判官)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정홍연은 같은 달 초5일에 8월에 받은 별가((別加)로 인해 종3품 중직대부(中直大夫)의 관직을 받았는데, 이번에는 9월에 입은 별가로 인해 정3품 당하관의 품계인 통훈대부(通訓大夫)로 1단계 승진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74년 정석량(鄭錫良)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午十一月日 奉山 化民 鄭錫良 等 13人 城主 甲午十一月日 鄭錫良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行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4년(영조 50)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석량(鄭錫良)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774년(영조 50) 11월일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석량(鄭錫良)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투장(偸葬)한 김귀남(金貴男)의 죄를 엄하게 다스리고 기한을 정하여 이장(移葬)하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등장(等狀)이다. 지난 10월에 본면(本面) 염소(鹽所)에 사는 김귀남(金貴男)이 그의 처(妻)를 투장하려다가 그만둔 후, 다시 11월 초6일에 같은 장소에 부친(父親)을 투장한 일로, 김귀남을 법정에 잡아다가 투장한 죄를 엄히 다스리고 기한을 정하여 이장(移葬)하도록 조치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11월 11일에 과연 등장(等狀)의 내용과 같다면, 투장은 그 법률에 따라 엄하게 다스리고 이장(移葬)하도록 공원(公員)과 함께 잡아서 보내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6년 정진용(鄭鎭容)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辰九月日 奉山 化民 鄭鎭容 等 3人 城主 丙辰九月日 鄭鎭容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1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6년(철종 7)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856년(철종 7) 9월일에 봉산(奉山) 화민(化民) 정진용(鄭鎭容)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지산사(芝山祠)에 배정된 10호(戶)의 연역을(烟役)을 탈급해 달라고 요청하기 위하여 올린 등장(等狀)이다. 지난 갑인년(1854년) 사호(査戶)때에 5호만 감역되고 5호가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다른 원우(院宇)와 마찬가지로 지산사(芝山祠)에 배정된 10호의 연역을 탈급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9월 초8일에 5호는 전례대로 하고 2호를 특별히 더해주라고 적색(籍色)에게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9년 성재문(成在文) 다짐(侤音) 고문서-증빙류-다짐 법제-소송/판결/공증-다짐 己未二月初五日 幼學 成在文 己未二月初五日 成在文 尙州牧使 전라남도 영광군 使[着押], 成在文[着名] 尙州牧使之印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9년(철종 10)에 유학(幼學) 성재문(成在文)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올린 다짐〔侤音〕 1859년(철종 10) 2월 5일에 유학(幼學) 성재문(成在文, 47세)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7월 그믐 내로 굴이(掘移)하겠다는 뜻을 올린 다짐〔侤音〕이다. 성재문은 망부(亡父)를 정진용(鄭鎭容)의 선산(先山) 국내(局內)에 장사지냈다가 상송(相訟)에 이르렀으며 낙과(落科)하였다. 이에 7월 그믐 내로 굴이(掘移)하겠다는 뜻으로 다짐을 납부하며, 만약 기한을 넘길 때는 엄수(嚴囚) 독굴(督掘)하겠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82년 산도(山圖)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面任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鄭始逸[着名], 金興才[着名]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82년(정조6)에 정시일(鄭始逸)이 김흥재(金興才)와 산송을 벌이면서 작성한 산도(山圖). 1782년(정조6)에 정시일(鄭始逸)이 김흥재(金興才)와 산송을 벌이면서 작성한 산도(山圖)이다. 본 산도는 산송관련 문서로 소송자 정시일 집안 선대 무덤 위치와 소송상대자 김흥재가 투장한(偸葬) 어머니 무덤 위치가 표기되어 있으며, 정씨 집안 선대 무덤과 투장한 무덤과의 거리가 기록되어 있다. 정환빈(鄭桓斌) 부부 무덤에서 김흥재 어머니 무덤까지는 34보(步)로 앉으면 보이지 않고, 정석량(鄭錫亮) 부모 무덤에서 김흥재 어머니 무덤까지의 거리는 69보라고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0년 산도(山圖)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面任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狀 鄭權容[着名],儼同山 嚴順甲[着名], 官[着押] 5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0년(정조24) 정권용(鄭權容)이 엄동산(儼同山) 등과 산송을 벌이면서 작성한 산도(山圖)와 관(官)의 제김(題音). 1800년(정조24) 12월에 정권용(鄭權容)이 엄동산(儼同山) 등과 산송을 벌이면서 작성한 산도(山圖)와 관(官)의 제김(題音)이다. 본 산도는 산송관련 문서로 소송인 정권용 선대 무덤 위치와 엄동산ㆍ엄순갑(嚴順甲)이 투장(偸葬)한 무덤 위치가 표기되어 있고, 정씨의 선조 진사공 무덤과 엄순갑이 투장한 곳의 거리가 140보(步)로 앉으나 서나 모두 보인다고 기록하였다. 영광군수는 12월 17일에 도형을 보니 전후좌우가 정가(鄭哥)의 족산(族山)이니 비록 보수가 멀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이 들어와 장사(葬事)지내고자 하지 않는 것이 천리인정(天理人情)이니 속히 파가서 피죄지지(被罪之地)에 이르지 않도록 하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06년 산도(山圖 )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禮吏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6년(순조 6)에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봉산면(奉山面) 장두산(長頭山) 산도(山圖) 1806년(순조 6)에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봉산면(奉山面) 장두산(長頭山) 산도(山圖)이다. 장두산 봉우리를 중심으로 정찬용(鄭燦容) 증조부 무덤도 서북간(西北間) 방향이고, 이두덕금(李斗德金)의 새 무덤도 서북간 방향으로 표시했다. 정찬용 증조의 무덤에서부터 이두덕금의 새 무덤까지는 79보(步)이며 앉으나 서나 보인다고 기록했다. 영광군수는 10월 26일 제사(題辭)에서 비단 국내(局內)의 보수(步數)와 혈전(穴前)은 마땅히 금하지 않음이 없으므로, 기한 내에 굴이(掘移)하도록 분부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45년 정동좌(鄭東佐) 등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乙巳三月日 全羅道 靈光 化民 鄭東佐 鄭鎭容 城主 乙巳三月日 鄭東佐 鄭鎭容 尙州牧使 전라남도 영광군 使[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5년(헌종11)에 전라도(全羅道) 영광(靈光) 화민(化民) 정동좌(鄭東佐) 등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올린 등장(等狀) 1845년(헌종11) 3월일에 전라도(全羅道) 영광(靈光) 화민(化民) 정동좌(鄭東佐) 등이 상주목사(尙州牧使)에게 선묘위토(先墓位土) 환퇴사(還退事)와 관련 신익빈(辛益彬)이 계속 환퇴를 거부하자 이를 공정하게 처결해 주기를 바라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동래정씨는 지난번에 선묘위토(先墓位土)를 본가(本價) 12냥으로 환퇴(還退)하고자 소(訴)를 올려 관으로부터 '위토는 다른 것과 달리 본가로 환퇴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으니 이를 신칙하라'는 제사(題辭)를 받았다. 이를 홍정현(洪正鉉)과 신익빈에게 신칙하니 홍정현은 사위 강서방이 신씨에게 몰래 팔 때 본가가 12냥이었다고 하고, 신익빈은 강씨에게 논을 살 때 본가 50냥으로 샀다고 서로 다른 이야기 하고, 또 문기를 살펴보니 관련 문서상에 당사자 명의도 다른데 신익빈이 계속해서 환퇴를 거부하자 본문기(本文記) 9장을 첨부하면서 신익빅의 간악함을 살피고 공정하게 처결하여 선묘를 수호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상주목사는 3월 12일에 당초 산 가격이 30냥이라고 30냥으로 환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분부하라고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8년 김방주(金方周) 출자증권(出資證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參年六月六日 錦南金融組合組合長金鍾彦 , 理事岩井數馬 金方周 昭和拾參年六月六日 組合長李圭逢 金方周 錦南金融組合 1顆(장방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組合長印 1顆(원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8년 錦南金融組合에서 金方周에게 발급한 出資證券 *출자금: 拾圓(出資 壹口)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0년 임종이(任宗伊) 출자증권(出資證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十五年二月二十七日 錦南金融組合組合長金鍾彦 , 理事岩井數馬 任宗伊 昭和十五年二月二十七日 組合長李圭逢 任宗伊 錦南金融組合組合長印 1顆(원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0년 錦南金融組合에서 任宗伊에게 발급한 出資證券 *출자금: 拾圓(出資 壹口)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현금지출납기(現金支出納記)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회계/금융-치부책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現金支出 내역을 기록한 문서 石物代金, 酒代 및 食費, 燒酒, 馬車運賃 등의 비용을 기록함.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6년 임달랑(任達郞) 출자증권(出資證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拾壹年九月貳拾八日 錦南金融組合組合長金鍾彦 , 理事岩井數馬 任達郞 昭和拾壹年九月貳拾八日 組合長李圭逢 任達郞 錦南金融組合 1顆(장방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組合長印 1顆(원형, 적색) / 錦南金融組合理事之印 1顆(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6년 錦南金融組合에서 任達郞에게 발급한 出資證券 *출자금: 拾圓(出資 壹口)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1년 이행석(李行碩) 출자증권(出資證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一九四一年五月拾參日 羅州金融組合 組合長鄭基燮 , 理事金喆栽 李行碩 昭和一九四一年五月拾參日 組合長李圭逢 李行碩 羅州金融組合 1顆(정방형, 적색) / 羅州金融組合組合長印 1과(원형, 적색) / 羅州金融組合理事之印 1과(원형, 적색) 나주 풍천임씨 명고(임전)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1년 羅州金融組合에서 李行碩에게 발급한 出資證券 *출자금: 五拾圓(出資 一口) *소장처: 서울 임인혁가(종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16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5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萬曆四十四年十一月初六日 鄭弘衍 萬曆四十四年十一月初六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16년(광해군 8)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거창현감(行居昌縣監)에 임명하는 문서 1616년(광해군 8) 11월 초6일에 광해군이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거창현감(行居昌縣監)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통훈대부는 정3품 하계 품계이고, 거창현감은 종6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7년 정기규(鄭基圭) 등 등장(等狀)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丁巳正月日 奉山佛甲化民鄭基圭 等 8人 城主 丁巳正月日 鄭基圭 靈光郡守 전라남도 영광군 官[着押] 3顆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7년(철종 8)에 봉산(奉山) 불갑(佛甲)에 사는 화민(化民) 정기규(鄭基圭)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올린 등장(等狀). 1857년(철종 8) 정월일에 봉산(奉山) 불갑(佛甲)에 사는 화민(化民) 정기규(鄭基圭) 등이 영광군수(靈光郡守)에게 지산사(芝山祠)의 호결(戶結) 면제를 요청하며 올린 등장(等狀)이다. 지산사는 죽창공(竹窓公)을 모시는 곳으로 본읍의 각 사우는 호(戶)에서 2~30호를 탈역(頉役), 결(結)에서는 3~40결을 탈환(頉還)받는데, 지산사의 면제 호결은 6호, 5결에 불과하니 호와 결을 다른 원례(院例)에 따라 면제해주어 잔원(殘院)을 지켜낼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영광군수는 정월 20일에 관 또한 사우의 중요함을 알지만 호와 결 또한 탈결(頉結)의 수를 어지럽힐 수 없다. 2호 2결을 특별히 추가로 면제해 주도록 창색(倉色), 적색(籍色), 도리(都吏)에게 명하는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20년 정홍연(鄭弘衍)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萬曆四十八年五月十一日 鄭弘衍 萬曆四十八年五月十一日 光海君 鄭弘衍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0×10.0) 영광 동래정씨 죽창공(정홍연)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32-01-100001 1620년(광해군 12)에 정홍연(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양천현령(行陽川縣令)에 임명하는 문서 1620년(광해군 12) 5월 11일에 광해군이 정홍연을(鄭弘衍)을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양천현령(行陽川縣令)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행수법에 따라 통훈대부는 정3품이고, 양천현령은 종5품의 관직으로 관직이 품계보다 낮아 관직 앞에 행(行)자를 붙였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