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秋用式【鏞禧】 承書知先集之役。忽己垂訖。苦心誠力。可以感人矣。復欲刊寶鑑一書。壯哉。所示凡例云云。若欲改爲題辭。則當如小學題辭之例。別爲韻語可也。此書旣有諸序。恐不必然。至舊刊凡例。多有不成說處。蓋觀序跋諸作。此經凝窩李尙書之手校。而如此蕪率。眞是可訝。玆更改爲三條以呈。未知可用否。顧堂再昨來。爲數日之懽。而所屬跋語。姑留敞案待之。今以呈覽耳。金黃二君之入吾契案。吾己諾之矣。貴坊如强齋諸公處。兄須以此言之如何。惟冀努力加飧以卒大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聖圖 令哥八歲。能臨魯公帖。字字欲活。可愛哉。養子聰明多藝。人家福。莫大此。爲吾兄賀不容口。學藝三十年。弟子漸多。纖纖一弱腕。産出許多健筆。爲顧堂賀。亦不能己。如我者有一息不好紙筆。只如犢輩日走田中有若干來問字者。頑不可開。朝夕使人呶呶。羨二兄。又豈有極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吳敬立【桂錫】金元善【奎祥】 遠枉知感。又與提儶登無等高處。摩蒼穹而俯下土。相知來未始有也。第游觀要非徒爾資乎外。欲以廣其內也 諸兄今日覺胸中大有與前日異者否 不然 秪以爲一時。快則讀書從師。亦何往而非游山也。待讀兄南游諸作。觀其誠有得否也。先且叩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碣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勉書生 寄語讀書子。喜居孟氏隣。謟肩眞病夏。和氣有餘春。欲爲來日計。須及少年辰。然後知其味。孜孜勿吐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寶亭賞蓮辭【七寶亭在咸興公南道評事時與都事李胄唱和胄字胄之】 登玆亭而寄傲兮匪耽歡而淹留【胄之】有荷香之發郁兮實君于之好述【仲雍】追古人兮濂洛兮邀夫君兮停輈【胄之】惟余志之未修兮騁精神於千古【仲雍一句失】知前後之一心兮願因斯而求道【仲雍】孔跖鷄鳴而孜孜兮夫惟善惡之分也【胄之】雖前脩之莫見兮尙六藝之餘芬【仲雍】將緖餘而發歎兮若獨我兮北門【胄之】鐵嶺峨峨而造天兮戀君親而南望【仲雍】況期遊於江亭兮値急雨之顚狂【胄之】魂已逝於極浦兮周流乎煙霞之蒼茫【仲雍】柳岸沒而爲島兮天風爽而納凉【胄之】旣解佩而相樂兮又何七澤與三湘【仲雍】獨恨夫君北而我南兮豈王事之靡監【胄之】勉同心而異居兮分白璧而肺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松月軒族人 問君今何去無人挽此行未挽發慟哭思昔淚縱橫石磵遺庭訓松月古家聲先陰尙篤毖此老幸克生地步不草草天姿卓英英春風和氣像秋月好心精敦宗咸稱睦事親盡思誠從事山丈訓不與世人爭逸趣峰月白潔操漢水淸平生不遇歎自少有固貞鬱鬱仍慷慨乾乾乃作成愛族無親疏知我最多情逐日相從處閒談寸心傾無緣白髮歎有時靑山盟竹林消夏局落子響丁丁何恨未就志生老四太平如何無何疾一夢忽奠楹東郭賢人歿西隣老夫驚落月弔空樑愁雲暮荒城六十八年事司命一丹旌莫恨薤歌咽庭蘭繼後榮從古無人挽此行靑山去去一丹旌公言聖代歸儒者私慟吾門又學生身老唐虞山水樂耳聾燕趙釰歌聲可爲不遇皆天命莫恨平常慷慨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本官城主書 伏以天彝晦斁國步艱難無倫洋夷以若犬彘之性敢肆牛羊之力不畏天誅侵我畿甸沁營失守可謂黃池之弄兵綠林之聚盜三軍出征八域奮義猛將雲集義士星馳天威震盪之下海醜剿滅之期可指日而立待也竊以漆室之憂寸管之見似有萬一之失計故敢陳蒭蕘之說不勝惶恐之地夫江都卽我國之咽喉天塹之要害人物之繁華爲一國之最府庫之充實兵器之堅利爲三都之甲則天之所府國之重地也洋船來覘已在仲秋趁發一旅之衆堅守要害則爲其守土之臣詎有俄忽間坐失之境乎此爲過境悔無可追而聞今精兵勇將盡趨於江都出身義士中止於列邑而京都宿衛未得戒嚴殆近疏弱此非不虞之備萬全之計也且況王師屯守月餘賊兵不出額額江城堅如金石進不得攻取退不得平定而時且嚴冬漠風吹旌朔雪砭肥則風餐露宿之將卒必然生病自然有死亡之患是乃國家不小之憂非常之慮也竊伏念兵之進退不可輕忽密敎大軍一邊覘勢一邊乘便還守都城急徵關北之騎兵炮手使守江都晝夜覘察而急招各邑出身則可得數萬精兵養兵都下以爲固本備虞之策而覘其乘釁必勝之勢登陸要擊則可訖天誅廓淸彝倫矣民章句腐儒年滿七十學昧韜鈐生無益於國家死無損於人命而猶有秉彝之心激愾之憤敢陳愚衷不任屛營之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翠軒記 春乎附地物物賦受蒨蔥同其天一本色類乎人之生賦受丹衷同其天一本原也畢竟惟竹之翠不渝其天惟人之賢下貳其天故喩竹於賢而猶爲君子所愛所以金君東令挹翠標榜於軒而深有所寓而居之日不曰居不可無竹而曰心不可無竹此一言可盡平生矣子瞻綠筠之詠趣得其外有何所需於內也然喩身於屋子屋子爲軒尙矣今諉於看竹而不須問屋子主人可乎相隨多時可詳其一二不肉而肥食疏而不餒氣常充然內出外入自無間架於方寸遇見不韙處叵耐不得輒罵亂朱之鄕原折堅白之論而憎玆雌黃之口蓋翠之本色不可掩如此也去年觱發月過余松廬不消說往日風霜而期守來日歲寒使此不至後凋之凋且問其所餘噫此繪事後素之義邪因以誦衛風洪奧篇及語切磋之工使知有學問一段事果能此道則可步竿頭百尺暇得他日重對新面目亦非晩也歸而質諸君之叔鰲南翁可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奇友雲陽【國賓】 雲陽風采那重見。已矣此生不可期。雖然會合諒無幾。尙有泉臺符到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許生繼軒韻【永奎】 孝親何必養專城。繼志由來聖訓明。蔭調相承傳世業。華聞遠播振家聲。儀容靜對山如重。趣味深論水共淸。歧路崎嶇渾不管。一堂和氣坦然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仲夏之月擁衾口號 寒暑於吾摠不管。擁衾常在枕屛間。如今回思嚴陵事。五月羊裘亦豈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齋先生遺墟立碑之役病未晉參聊寫拙構以呈 巷柳園桃卽舊墟。春風却似復吹噓。採樵不入傳來久。行路回頭點指餘。林壑騰精今愈美。雲昆瞻慕竟何如。蔡邕試使生于世。不愧聊應石面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達城君常享文 綜理事物。博通經史。奉使天廷。專對稱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澗公常享文 墨契道妙。不由師承。爲戒十二。惠我無疆。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