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松汀歲暮見憶之作 鳳城從古擅詩人。寂寞今爲松下塵。奇癖如君天下少。興來吟遍鴨江春。人情隨處薄如紗。我輩安從寄一家。却有春風吹解煙。鼓嵒千樹爛開花。君向河陽買小山。一尊將置百花間。會須招我蟾江畔。蠹濯孤舟載月還。空山凍雨閉門時。忽有明珠一幅遺。白雲由來知者少。愧君認我作鍾期。懽無朋友援無親。漂泊江湖十載人。方丈山深蘿葍淺。舊隣難捨又新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遊愚伏鄭先生愚山別庄 百笏靑山一派流。愚翁是處卜菟裘。讀書樓廢殘霞宿。敍嘯臺空古木愁。生晩嗟違論禮日。時危忽憶草屯秋。巖廊可但文章重。筵說當年歎未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甁泉途中 瘦石稜稜曲澗淸。哀絲急筑迭爲聲。春風催送山中客。林鳥呼人不復驚。雙檜森森老屋邊。櫟翁何日此開筵。無人解讀千秋傳。寂寞山林二百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樂川李丈【敎川】 滿眼繽紛名利塵。欣公少日却回身。茫茫古道尋何處。兀兀經床起早晨。百劫猶能存一髮。九原終得見先人。德山猿鶴愁無主。誰向程川更問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拓庵寄詩 幾向淸宵憶舊遊。春風吹着鳳江舟。愁中得酒翻靑眼。亂後逢人半白頭。誰使百年勞役役。秖應萬事付悠悠。沙村日落遲君到。竹籟噓凉水際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玉梁洞 鬼斧何年裂壁開。飛虹一道架空來。莫將瀑勢論長短。解洗人間萬斛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己丑元朝記夢 母汲不可見。唯有夢相見。中情一何癡。無悲更無戀。不聞母一言。秖見母顔面。閃夢過如電。曉枕臥轉輾。母去二十年。有喜輒示徵。不知今何。徵又來兒夢憑。峨峨玉燈山。是母四尺封。經歲未往掃。遙知雪壓松。江路阻干戈。何由陟彼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泰林 應圭來似聞貴居亦多騷變。不知無甚恐否。珍重自愛以保一家。此外無他祝也。鈺去秋移家中什物於節山。全村灰燼。無一存者可惜。吾所藏書籍。亦爲六丁所厄耳。巖居之豹。畏被外食。去月挈家來此。顚沛辛苦。何堪縷道。鄙稿皆己烏有覆瓿之物。雖不足惜。但得之頗苦。能不慨然爾。如有便。所有鈔本。悉付以來。方大潮一盪。萬象皆非舊日。但吾方寸一物。豈能爲彼所動撓。雖在顚沛中。願且明目張膽。讀書硏理 以植根本。不然不惟異日受用無地。亦恐此心浮撓不定。目下不自收拾此一個身爾吾所己驗今爲賢者道之惟努力以副此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閔鏞植 經年不相聞。意謂吾友亦爲世累所困。無暇以筆札爲念矣。得書知慈癠彌留。矧翔至今未復。爲慮良深 近更不知何似。鈺素多痰火。聲音失常己數年。去春來。益復痰塞不可言。調治未效。自九月覺咽疼氣上 飮食亦無味。或有時吐痰滿器。而頑痰復生。應客作文俱爲害。蓋自知心熱太多以致痰盛而然耳。去月下旬。又拔宅移此爲一門。宗族爲我築室捨田。不忍負其厚意。且以汝栽旣亡。輿情咸奮故也。草草止此。惟湯憂亟復以慰遠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依柳於于蠧魚韻 嗟爾不爲丙穴魚。無端侵蝕古今書。其中悖說惟當食。更勿人間種子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堂暮雨 金波忽洗玉山靑。斜日石門不辨形。行止無端關雨脚。伊今始覺世人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巖松濤 中夜波濤忽送雨。却疑變化在淵龍。遲遲澗畔靑如許。噴雪挺然秀大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美人 漢水寒梅入夢頻。昔年醉過杏園春。範公不是江湖志。北斗蒼蒼望美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寸草心 寸草偏蒙雨露濡。色怡庭下又聲愉。可士可農爲一致。豈如宋野揠苗枯。是知忠孝可爲人。忠事其君孝事親。近思一物聊相贈。蕉葉庭前日日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踰松峙 流水潺潺又古松。短笻化羽挾登峰。吾人詩債藏之久。行到名區始啓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瑞石晴雲 石氣淸凉擁小廬。無心過處太徐徐。箇中識得山翁跡。淡淡衿懷世與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금촌유고(錦村遺稿) 금촌유고(錦村遺稿) 고서-집부-별집류 문집 원문 羅學敬 1冊 사주쌍변 유계 10行20字 舞魚尾 나주나씨 석호공 문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村七勝 吾道山高第一峰群巒列岳所推宗凝然特立浮雲末起自鴻濛不變容密德洞深第二峰剞巖異草卽天封箇中別有奇觀處溪上虹橋臥古松道藏洞裏第三峰盤谷屛巖翠幾重中有方塘千大碧源頭活水自溶溶成德峙嵬第四峰天然秀氣自從容試令積累皆如此比屋人間許可封訪聖山前第五峰龍巖瀑布自高舂長流日夜無渟滀幾度淵川到海宗聖子洞邊第六峰霽岡初月影先從山高谷邃遊人少隱石仙屛物外蹤晩到道興第七峰豁然平野正寬容回瞻月井岑頭月近照寒潭認所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聖山記 體厚重而立極聖人之所山衆人之所昂不自卑而升則非所以學聖人也聖遠千載嵬嵬之德巖巖之像非可手摩而目睹但心慕髣髴想象然功虧一簣於九仞者多矣余所居山山有名訪聖不偏倚中處自主靜裏乾坤無聲臭可尋而惟有形氣可求遠則生輝近而愈廓發輝窈明不一其狀安排戶庭而若主人之應門曰聖主峯卷可蘊藉退藏曰密德窟形而上下有吾道嶺道藏谷包旋左右如太極之圈互藏其宅此是道與德不虛位而有定名也太上肇名孰主張是不過曰自然其天而誠有至善之地而所聖存焉於山之聖卽於人之聖聖是山耶山是人耶蓋人之訪之之道固多術訪不以聖而訪之以山則未嘗知有此山也探景翫物乃衆人之所樂非仁者之所樂也在昔吾先祖止齋先生嘗登斯賦詩樂於奇遇以寓懷道自適意曁石磵二公相與讀書于山菴講究先聖遺業樂人之所不知故人鮮知之果乎山之不知名於當世也世復邅變人爭險巇于忿山慾壑之中不知有是山於咫尺安穩之地以之而山蹊茅塞眞源莫辨日侵相尋者蒭牧已而所謂牛山之濯濯此其是歟於戲鳳飛何歲月千仞之漠然高而不頹不頹則名不朽不朽則道不墜以是寄語於人曰盍反自家安宅整頓舊丌對得聖師于黃卷中耕我心田復我彊土暇得沂雩風詠於步步八山之日不知自在上手舞足蹈之地則此可謂眞有所訪也因以歸求於所存方寸凝重不爲事物動搖無往而非其山也此其聖山在內不在外後之訪者當有所思內外之分而取得焉則幸也於是書于舂溪巖壁以助躋攀之功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