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구첨여【혁모】에게 답함 答具瞻汝【赫謨】 세초(歲初)에 우연히 일로 말미암아 여행 중인 분이 일부러 제집을 찾게 하였지만 만나지 못하고 돌아가셨으니 부끄럽고 서글픈 마음이 어찌 그치겠습니까. 삼가 서한을 올려 서둘러 사죄하고 싶었지만 믿을 만한 인편이 없었습니다. 생각지도 못했는데 서한 1폭을 받았으니 잘못을 따지지 않으시는 도량이 사람을 탄복하게 만듭니다. 그러나 칩거하느라 세상과 격리되어 한 번도 사례를 드리지 못하였으니 앞뒤로 거역하고 소홀히 한 죄가 큽니다. 어찌 감히 너그러운 용서를 바라겠습니까. 연구가 정밀하고 사고가 깊으니 궤안(几案)을 마주한 공부는 더욱 높고도 깊을 것입니다. 풍의(風儀)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나날이 간절해집니다. 제가 사는 곳에서 귀댁까지 노정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응당 아침저녁으로 왕래하여 끊임없이 오가야 하건만 한차례 길을 나서는 것이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물며 존당(尊堂 상대방의 어머니)께서 연세와 덕망이 더욱 높으시니 언제든 안부를 살펴야 하는 향당의 후생이야 말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실로 매우 부끄럽고 죄송합니다.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어른께서 몸소 찾아오실 것이라는 말씀은 이전에 들어 알고 있으며 일전에 또 편지를 주고받았습니다. 다만 달 초로 약속을 잡았지만 확실한 날짜는 지목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빨리 오신다면 당연히 말씀하신 대로 일찌감치 기별을 보내 알리겠습니다. 歲初偶因事。故致使御者到敝廬。未過而歸。愧悵曷已。竊欲折簡催謝。而無便可憑。謂外心畵一幅。不較之量。令人歎服。然而滾蟄阻閡。一副謝儀。亦且未擧。其前後違慢之咎大矣。安敢望善恕也。棐几盛課。硏精覃思。想益崇深。馳想風義。日以勤止。陋寓之於貴庄。相距爲幾何道理。宜若晨夕往來。源源相聚。而一番之行。尙爾未遂。況尊堂年德彌邵。爲鄕黨後生者。理合隨時存省者耶。愧負實多。松沙丈枉顧之示。前此聞知。日前又有往復。只以月初證期。而無的指日子耳。若賁然。則當依示。趁早通奇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院規 總則 先賢敬慕○院于嚴護○俎豆必謹○儀禮遵守○機關維持○其他樣式第一章先賢敬慕一朔望焚香擔當齋任敬誠致齊厥明夙興盥洗具服看檢掃灑布席階下升自東階開門跪坐三上香仍下就席再拜還置香床於故處閉門斂席而出一士林有請參拜則居齋人具巾服自左夾門引導布席階下再拜若請奉審仍升階上開門而入謹嚴循位退出閉門【若有服制不許參拜】第二章院宇嚴護一本院棟宇墻垣若有毁損卽爲修理還元事一院內栽植或有枯損補植依舊院內外常要淨潔灑掃兒童無常出入嚴禁第三章俎豆必謹一春秋享祀擧行祭需品物節次則必遵傳來所定規模若有天災時變則不得不省略事一齋任各以齊明盛服敬誠入齋莫飮過量嚴禁喧嘩抗爭一俎豆之禮依於笏記陳設圖第四章儀禮遵守一三門日夜緊閉若有事時用左夾門出入者必具巾服事一入齋時必以忠恕孝悌修齊治平相規相交輕薄妄動浮華戱謔一切廢止一齋任會以年序次雍容肅正提案協詢議決行事相互秩然第五章機關維持一右規禮自一章至四章維持遵守爲本但本院之事情時代之變遷若有不得已之故則以現實標準齋長一人 本院事代表統理任期三年儒林中慕賢尊道特別名望人士總會公選掌議二人 院事議決協助慕賢盡誠士氣昂揚模範人士總會公選任期三年色掌二人 朔望焚香院事進展協力贊襄儒道思想篤實人士總會公選任期三年一會合 祭享後公事席○臨時齋任會○臨時儒會一議事 會合人員多少不問在席人半數以上贊同議決成立事項會議錄必記一經理 秋收穀院內適當積置齋任中實力者二人委任保管收支莫論齋任會通過事一簿冊 享祀儀節一冊 書院規禮一冊 齋任錄一冊 祭官錄一冊 會議錄一冊 奉審錄一冊 器具及圖書目錄一冊 穀物收支簿一冊 現金收支簿一冊祭需貿易記一冊 到記 下記一擧案 長窓戶紙三分折之一 廣窓戶紙全廣書順 歲次干支月日干支春(秋)享擧案初獻 亞獻 終獻 豫差 執禮 大祝陳設【二人】 司罇 奉爵 奠爵 奉香 奉爐贊引 贊唱一望帖 長窓戶紙三分折之一 廣窓戶紙全廣書式一望姓名本院何職歲次干支月日魯陽書院印書式二 長廣同前望姓名本院春(秋)享初獻官(隨稱)歲次干支月日魯陽書院印皮封住所姓名章甫 座下印望魯陽書院一望帖送呈書翰書式一 伏惟時下貴體上萬旺仰頌仰頌第今次 本院齋任改(補)選而何職之望咸歸於 座下故望帖玆以修呈幸須入齋將事之地千萬千萬餘不備禮歲次干支月日魯陽書院齋任(末) 某某拜拜書式二 伏惟時下貴體上萬旺仰頌仰頌第今次 本院春(秋)享在於某月某日上午幾時而何官之望歸於 座下故望帖玆以修呈幸須具巾服前期入齋將事之地千萬千萬餘不備禮歲次干支月日魯陽書院齋任(末) 某某拜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二先生事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幄對說話 己亥三月十一日 召對于熙政堂 上曰諸臣皆出獨吏判留身諸臣旣皆趨出 上令中官洞開諸門戶曰汝等亦皆屛退遠處然後 上曰每欲與卿從容說話等待累月終無其便故今日決意爲此擧措今日予亦氣幸蘇快庶幾磬吾所懷矣 上因喟然曰今日之所欲言者當今大事也彼虜有必亡之勢前汗時兄弟甚蕃今則漸漸消耗前汗時人才甚多今則皆是庸惡者前汗時專尙武事今則武事漸廢頗效中國之事此正卿前日所誦朱子謂虜得中原人敎以中國制度虜漸衰微者也今汗雖曰英雄荒于酒色已甚其勢不久虜中事予料之熟矣群臣皆欲予勿治兵事而予固不聽者天時人事不知何日是好機會來時故欲養精砲十萬愛恤如子皆爲敢死之卒然後俟其有釁出其不意直抵關外則中原義士豪傑豈無響應者蓋直抵關外有不甚難者虜不事武備遼潘千里了無操弓騎馬者似當如入無人之境矣且以天意揣之我國歲幣虜皆置之遼瀋天意似欲使還爲我用而我國被虜人不知其幾萬亦豈無內應者耶今日事惟患其不爲而已不患其難成對曰聖意如此非但我東實天下萬世之幸然諸葛亮尙不能有成乃曰難平者事萬一蹉跌有覆亡之禍則奈何 上笑曰是卿試予之言也予非以予才能辦此事也只以天理人心之所不可已者豈可以才不逮而自畫不爲哉志苟大定則誠自篤誠自篤則才亦可進故常自激昂爾且天意有在予以爲似無覆亡之虞也天之賦與於予者不甚昏慵且使予早罹患難增益不能且使予早習弓馬戰陣之事且使予入彼中熟知彼中形勢及山川道里且使予久處彼中無有畏懾之心予之愚意自謂天意於予不至邈然也然臣僚無與共此事者而予年漸高居常忽忽不知生之爲樂也自卿上來漸有好意思然卿亦孤單甚可虞也卿不爲黨論是彼此皆不見助之道也然予與卿志同意合常如骨肉兄弟則自有同聲相應之人矣予以十年爲期十年則予年五十矣十年內不成則志氣漸衰無復可望矣至此則予亦許卿退歸矣此時卿亦退去可也世子甚賢雖父子間豈不知其長短渠性質溫良仁孝且有堅固之心定是守文之良主渠生長深宮不知兵家事似不可强以所難責之且未經痘故予保之若嬰兒又疾病頻數尙無嗣息極以爲念且念渠年少血氣未定恐不能保嗇以致不宜於子又妨於學文故予近日別造一室于彼【因自指敬義閣】使渠在彼讀書且擇謹愼老官與之臥起而予則在此父子相守使渠時時入內矣父子間事難與人語而卿則有同骨肉故無隱至此矣大槩今日事於吾身不能有爲則將不能有爲矣世子之令德足以安保國家如此至難且危之事不可以期望矣且予入內之日則非但血氣損傷志氣亦解處事亦多不當且見古人壽夭多繫於此誠如無逸之戒故予絶戒酒色不以近身以是余每覺心氣常淸身亦完健豈不可保十年耶天假之十年則成敗間當有一擧卿宜密與同志議之以予所見則宋浚吉似無擔當意思以爲如何對曰非無此志但其人氣弱故如是矣 上曰李惟泰如何對曰李惟泰常言 主上若堅定大志則凡百必須牢實爲之雖人死只令姑葬于家後推類以及他事凡用民費財之路一切杜塞一以養民足食爲務可也云矣 上喜聞曰其言如是則眞可用之人也予意許積剛勇可任以事但聞其人沈於酒色殊無行檢甚可惜也予嘗以爲與我共此事者其死虜家子弟也其餘則難矣予嘗於萬壽殿經營時託於相址而往坐一處引若干人微說此事以試之皆邈然無以爲意者何痛如之諸臣惟目前富貴是圖恐爲此事而國亡家覆故言及此事莫不寒心予空自慨歎而已渠輩皆但爲子孫計而不肯助我我遂有偸心且予他無所事故亦爲諸兒女生計大計苟定則諸女宮家雖已造成毁撤之絶無所難矣臣起而進言曰自古帝王必先修己刑家然後乃可以立經陳紀事有頭緖今 殿下不能擺脫穴雜猥瑣之事安知有志之士不爲解體而諸臣之但務肥家者亦安知不視 殿下而爲之也昔 仁祖朝尹煌有言曰自古上爲善以率群下者有之矣未聞下爲不善而上反效之也此言殊有理也 殿下誠灑濯心神凡干雜事一切掃去心心念念一以此事爲主則臣下亦何敢不忘身殉國乎臣前日以諸葛亮不置史官朱子欲姑待恢復中原而立廟進言者意有在也 上曰卿言極是從此當與卿凡事密議之然密議之路極難予徐思其方也【後果有如此敎者矣】目今天災時變如此夫爲所不當爲者固致災變當爲而不爲則災變亦必至昔晉武帝創業之後全無所事故古今災異之頻仍莫如當時者是知束乎靜坐亦致天怒況今所當爲者實天經地義之不可已者而恬然不爲天之示警不亦宜乎今日議者皆畏我人投虜者生變而不敢出氣此必無之理也渠等以我國保存之故利於己者甚多我國若亡則渠輩絶無用手處其欲使我國保存而長爲渠輩之利者豈有極哉其時或恐嚇者姑以脅我以充其欲也其心則實欲我國之無事也而或發一言則皆喪氣榹魄極可哀也且予所欲爲之事及自下所欲爲者中間大臣阻當則終不得行頃日布尺定式予聞卿言卽下傳敎先自內需司所用之布短其尺數而大臣以下難之故事竟不行從此須與如卿同志者商議凡百矣予久欲處卿於大任而慮有忌之者多以致卿有不安之端且卿旣陞遷則銓選無可任者故至今趑趄且心常鬱鬱也予之中心所思則雖早晩處卿於大任而亦令兼主兩銓但以多貽以勞事爲未安且念如此則忌者尤多故只藏之中心耳臣起而對曰臣決非其才若是則 殿下不知臣之甚也臣非敢自謂能堪 殿下之委任前者 殿下旣微示以大志臣友李惟泰嘗言 聖上果有大志則雖無才智者亦且奮起以備石壕婦晨炊之役可也云云故臣雖甚庸下敢膺召旨而來爾 殿下旣有大志又不欲捨臣臣何敢有退去之心乎只當以死爲期矣然臣實無適用之才 殿下只處臣於帷幄之中時時 詢以疑事則臣豈敢不盡其愚乎 上曰卿意與予不同矣然卿試言今日之事何者是急務對曰此非立談間可盡之事臣請以平日所學者陳之夫格致誠正之說爲古今陳腐迂濶之言故聽者無不心笑之然聖人必不爲此無用之言以欺後世也夫格致者所以明此心之體使於事物之理通達無礙而處之各得其當也心苟不明則於事物之理昏塞蔽礙處之不得其當則非但害於政事人心悍然不服甚者至於慢悔之矣如此而爲國者未之有也後世迂儒以致察於草木昆蟲之理爲格致此雖亦格致中之一事然只專於此而不先於彝倫事爲之大者則惡足爲格致而又將焉用哉自 上亦若以此爲格致之實則想以聖訓爲迂濶不切而莫肯用力也昔朱子以凡事求是爲格致之要此言當深體也至於誠意之說則好善惡惡乃其實事也人君內自心身之間外至用人處事之際無不用力於此則其於爲國何難之有若所謂正心云者則又使心體湛然虛明無有偏倚紛擾之謂也夫人之心體旣明於格致之後好惡旣判於誠意之後然心不能湛然虛明則易爲物擾仍爲所昏故反失其好惡之正而偏側叢脞將無所不至矣此所以格致誠意之後猶有此正心一段工夫也 殿下試於平朝未與物接之際此心無有偏著之時自驗其酬酢之如何則其當理者必多而不當者必少矣上曰此說極是予於早朝多驗其如此其與晝間心地紛擾之時自別矣對曰格致而事理旣明誠意而好惡旣分正心而心體常自泰然無累如此則事事物物處之皆得其理矣如是而庶事不順人心不服者必無之理也然則所謂格致誠正者果是迂濶無實之虛談乎不然而徒以智慮血氣而强爲之則雖不無偶合於理者而如無根之木無源之水一事當理而一事不當理今日好做而明日不好做此於自己心中常不快活況望他人之信服乎上曰此言誠是此古人所謂淸明在躬志氣如神者予雖昏愚時時實有此意思此意思如不間斷則何事不可爲然意思好時極少矣對曰此程朱所以論學必以敬爲主也敬則此心常存無少間斷不敬則心地紛亂好意思旋卽衰霎故朱子曰一時意思能得幾時了若是則雖少事不可爲況天下國家事乎 上曰卿每以至誠導予予不敢忘卿亦自思所以集衆善來嘉言以爲共濟之圖最是卿所謂平朝云云者甚切予亦屢驗之矣事有拂戾於心者姑爲捨置以待中夜使不平之意消熄然後平朝起而應之則其不當者鮮以此知孟子之說是至論也對曰自 上常如此用功則聖學何憂乎不至於高明也 上曰予有所大悶於心者今當問於卿而決之也今日大患無愈於兩賢從祀之論矣予常於彼此百般彌縫僅得安靜則方以爲幸矣此論忽然復起風波大作久而未定其害於事者何可勝言卿以此是非爲何如對曰此非容易說斷者也兩賢從祀之請一國同辭今已數十年矣此可謂公論也惟若干人襲其先世論議敢爲異同之說臣意以爲從祀是重典如曰不可輕議云則猶可也若其誣辱者則決是悖亂之徒毋論二賢道德如何而旣是先輩長者則後生何敢乃爾程門人論先輩短處則程子必責之曰爾輩但學其長處此豈非善美之風乎 上曰此輩誠是悖戾者何足校乎對曰此輩之不足校誰不知之然其間或有爲父兄者不能止之而反有指導者甚可惡也兩賢道德學問臣亦末學也何敢知之若自 上讀其書求其心而論其行事之跡則可知從祀之當與不當矣若不能明知篤信而惟人言之是聽則雖極其崇獎之典實無益於 上之身心矣如光海之於五賢是也然臣於此別有所見而猥不敢陳達矣 上曰試言之對曰五賢從祀雖擧國之所共請而成者然其中豈無所更加斟酌者乎李珥嘗只擧趙光祖李滉爲可以從祀臣恐此論甚爲端的也此後如有大賢如李珥者復出則恐當於已從祀未從祀諸賢之中精加取捨使萬世無可容議也上曰如此則事雖至當恐益致紛紛也對曰臣故曰必俟大賢然後可爲也 上曰今日所急者似非此事而朝臣儒士皆以爲急急之事予甚病之對曰從祀雖待論議歸一未晩也至於士習不可不先正也其誣辱先賢者則自 上深惡而痛絶之可也不可以爲不急之務也 上曰卿言是矣此後如有誣辱者則予當痛斥而不饒矣然予之所以日夜勞思者則惟養兵事也卿前言養兵養民必相妨何以則不相妨耶對曰此非臣之言乃朱子說也臣意以爲凡係財力者一切勿爲浪用盡歸之軍需則軍需漸足又行保伍之法使民丁無有漏失然後每三人中擇丁壯一人爲兵以習弓馬之藝而餘二人則出布以養其一兵如今御營軍之法則以兵養兵似無侵及農民之事矣保伍之法乃周禮之意也然必先立綱紀然後此事可爲也立紀綱之道亦在於 殿下之無私心也 上曰此法當徐與卿講究也臣曰姜獄事至今人心不平 上意以爲如何 上曰每欲與卿言此而無其隙未果爾姜之爲惡何可一口盡言只以一事言之卿試聽之愛子之心雖禽獸亦有之矣當昭顯之喪 大朝痛而責之曰是不愼袵席之致姜卽發惡曰自某月以後不相近矣其後生子欲實其不相近之言卽自殺之而匿焉其性如此其謀逆何足怪乎且謀逆之狀內間知之而已外人何知焉其事狼藉千萬無疑而外人尙今寃之予實痛心焉對曰其謀逆事迹外間誠不能知然如臣之愚亦不能無疑臣嘗記其時 先王傳敎曰埋凶置毒必是此人所爲夫必是二字是未分明而勒定之說豈有以未分明之事戮人以大逆而人不稱寃之理乎宋高宗以莫須有三字殺岳飛故天下至今寃之今此必是二字恐不能黙人口也 上憮然曰此則予未之思也果如卿言矣然謀逆則誠無疑矣對曰設令姜直有逆謀然金弘郁豈有知其謀逆而救之之理乎不過所見如是而殿下殺之太遽人心尤不能平矣 上曰予已定法今如有敢言者與姜同罪云則渠何敢不有此法而言之乎此予不得不誅也對曰此正所以來人言也姜旣以逆誅死則斯已矣何可復憂人之敢言而强設不敢言之禁以防人口乎此實內不足者之爲故人愈不能無疑也 上良久曰以卿言更思之果如是矣 上曰卿言必稱朱子卿幾何年讀朱書如此慣熟乎對曰臣自少讀大全語類心誠好之而心力未强其未讀者尙多矣 上曰朱子之言果可一一行之乎對曰古聖之言或以時勢異宜而有不能行者至於朱子則時勢甚近且其所遭之時與今日正相似故臣以爲其言一一可行也 展下試於暇時先讀其封事奏箚奏議等書次閱語類中切要之言語則必有符合於聖心者也 上曰當如卿所言矣仍曰今日與卿從容說話極爲多幸然今日所言別無論及諸臣是非進退之事而外人則必多有不悅者矣對曰或不無如此者然亦不可臆度而疑諸臣也 上曰日後復當如今日而密密以書相議之路卿亦思之也且今所說話雖有問者卿豈人人漏洩耶臣笑而謝曰 殿下必以臣爲不爲田光之所爲故有是敎也 上笑曰是豈疑長者之言也聖人亦有臨事而懼好謀而成之說矣臣遂辭退 上自呼中官以還矣十二日追記之賤臣於己亥三月十二日追錄昨日前席說話爲一小冊矣其翌月 聖侯違豫五月初四日竟至 上賓蒼天蒼天怨號莫及因山甫畢抱歸山間十襲藏之以俟可出之日而出之終無其日則欲藏在深處以期於百世之後矣去歲李子輝翰林密以書問此錄有無且曰願得以附之策書余心始疑焉竟日沈思未能決其可否矣終忽自語於心曰當時天假 聖壽卒有以成其志業則此錄不須有也今旣已矣若使當日之言終亦沈沒則賤臣之罪當如何也負當日 丁寧之戒此罪反小遂手自緘封將以專人寄去其日子輝之訃忽然而至余旣痛其夭折又哀其好意湮沒悲傷之意久而未已也頃者李道源李公擇二翰林又欲如子輝之志而余方以口語祗伏俟罪恐其因此益增罪戾趑趄不敢副矣今道源之請不懈益勤余又自念旣許於前而復斳於後其意何居遂因金景能附至嗚呼我 聖考宏規大志只見前席移晷之頃而一無所施彼蒼者天曷有其極惟此孤臣惸惸含恤尙未褥蟻每念 德音血不勝抆今朝更檢舊封怳若更登文石親聆玉音遂復飮泣而題其封外以告于二翰林嗚呼道源公擇尙有以識余之孤衷而此錄悉登諸汗靑且無或洩之外人而其原本因的當人以還之不勝幸甚太史公有言曰主上明聖而德不布聞有司之過也嗚呼此將布聞於萬世之後也否道源公擇其勉之哉崇禎乙巳七月十五日號兮賤臣拜上煩不敢名悚仄悚仄後十一年乙卯五月初四日安東金壽增延之自成川任所來訪余於宜春之謫所延之文正公石室先生之嗣孫也以余爲先生之門人也道語疇昔相與太息流涕矣臨行謂余曰當日幄對說話雖知其不欲示人然此等事兩家子弟不相通知則有妨道理且欲得以附於先祖言行之後以爲一通則於事甚宜子以爲如何余曰諾因竊思之老先生平日之所自任者卽 聖祖之志事也當時天若復假以老先生之年齡而得其便則 天語之諄諄必不在於賤臣矣宜延之之不以二視而欲合而一之也遂錄諸小冊子緘封以寄其曰幄對者宋孝宗委任張魏公父子嘗召南軒在幄中商量外無一人故今此說話亦名之爲幄對云八月日書于蓬山之棘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尤菴宋先生墓表 門人權尙夏 孔子生於周末時諸候放恣亂臣賊子無所懼作春秋以嚴萬世臣子之防朱子生於宋末時戎狄亂華二帝北狩力主斥和之論以明不共戴天之義先生之生又當 大明之季目見天地飜覆四海腥塵協贊 聖謨以傾否濟屯爲己任蓋天迫於氣數不得不一治一亂而其亂也必生聖賢使大綱大法不墜於地嗚呼天之憂患後世可謂至深切矣夫豈偶然而然哉先生諱時烈字英甫睡翁公諱甲祚之第三子也以 萬曆丁未十一月十二日降降時睡翁公夢孔子至其家異之以聖賚爲小字嘗責勉曰朱子後孔子也栗谷後朱子也學朱子者當自栗谷始先生自兒時已受此敎遂自任以聖賢之學及師沙溪先生盡得其所傳於栗谷者又專讀朱子書以成家計其用工也致知存養實踐擴充而敬則通貫始終故知行幷進表裏如一至其道成德尊則精密純熟渾然粹然又嘗以爲天地之所以生萬物聖人之所以應萬事直而已孔孟以來相傳者惟是一直字以此爲終身服行之符是以其動靜言爲正大光明如靑天白日人得以見之此其爲學之大略也 仁祖癸酉魁司馬拜 敬陵參奉尋爲 大君師傅則乃孝廟初潛也際遇之隆實昉於此丙子 扈駕南漢媾成痛哭出城卽歸鄕里自分畢命於丘壑再爲持平而不起及 孝廟卽位將伸大義於天下以掌令召又於 誥命不書僞號先生感激入謝連拜進善執義時淸陰愼獨同春諸先生與先生俱在朝人皆想望至治不意賊臣陰泄國情外喝日急乃相率而退除承旨贊善吏曹參議皆不就丁酉 上赫然奮發以密札招徠於是遂有許以驅馳之意戊戌以禮曹參判入朝 上特陞冡宰擧國而聽之當是時契合昭融經綸密勿世方以昭烈孔明擬之不幸天不悔禍 仙馭上賓事皆瓦解更無當世之意 山陵甫訖遂反初服自是三十年間 兩朝之禮遇冞重屢長兩銓三入黃閣而先生之志介如石也前後國家有事則雖黽勉入朝未嘗久淹至若顯廟之戊申今 上之癸亥 上意欲修先王之舊政不無行可之望而流俗忌嫉小人沮敗不免袖手而歸豈非天也然神德之復位 太祖之徽號 孝宗之世室皆自先生發之天常賴以不晦可謂千古之大業此其出處之大略也先生受 孝廟世道之託以明天理正人心闢異端扶正學爲己責嘗曰使此道由我而明於世雖滅死萬萬無恨也是以嘗於尹鐫之侮朱子改章句也極力攻斥曰此斯文之亂賊也如有助鐫而左右者則曰春秋之法亂臣賊子先治其黨與也以此鐫黨日夜睢盰逮甲寅之歲假禮論構禍遂至北謫南遷卒乃幽囚於海島則火色益急而先生逌然不變有九死靡悔之志及庚申放還世道又大變門人尹拯以其父嘗以右鐫見斥於先生蓄憾有素肆意修郄卒至鐫黨復起駭機交煽遂有己巳之慘禍嗚呼尙忍言哉先生受 命在井邑縣是六月八日也臨終以治喪之節入道之要託付於門人從容靜暇無異常日是夜大星隕於東方白氣如虹橫絶縣居人異之甲戌 上特命雪寃復爵賜祭賜諡及其遷窆也又 命禮葬其所以崇終隱卒者備矣天道回還公議必伸亦可謂無憾而黨習已痼百怪層生斯文之厄至今未已此其遘禍之大略也先生嘗曰朱子之後義理大備靡有餘蘊後學只當尊信朱子極意講明爲聖爲賢不外於是必欲著書垂後者妄也贅也是故其所用工者皆闡發程朱之旨雖在流移危困之中晝夜單思不明不措使一言一句無不躍如雖初學之士亦能曉然知其歸趣矣若朱子大全箚疑二程書分類長鬐時所述也語類小分巨濟時所編也問義通攷濟州時所成也心經釋疑則以退溪講錄承 命而添刪者也又有文集百餘卷將行於世恩津之宋以高麗判院事大原爲上祖入 我朝雙淸堂愉當 太宗時退居懷德曾祖諱龜壽奉事 贈判書號西阜有至孝居喪致白燕之異祖諱應期都事 贈贊成睡翁公奉事 贈領議政大節卓然蒙 孝廟褒典妣郭氏 贈貞敬夫人其考忠臣自防也先生之配韓山李氏都事德泗女與先生合祔於水原舞鳳山向未之原所後子基泰都正二女適縣監權惟士人尹搏側出女爲閔周鏡妻孫男殷錫縣監疇錫校理茂錫郡守淳錫縣監晦錫早沒女適縣監崔星瑞外孫以鋌以鍇以鎭府使權出也殷敎周敎尹出也曾玄多不盡錄而適曾孫一源以學行爲 王子師傅先生以疇錫克紹家學常愛重之悉以後事囑付又敎以墓前勿建大石只令尙夏記數行語於短表使後人識之蓋惡其張大也噫欲書先生之事實雖百尺之碑曷足以盡之且其立朝大業昭在國乘居家至行爲世準則人皆誦法可傳於無窮故只撮其大略論撰如右嗚呼栗谷作於前先生繼於後以啓我海外道學之傅豈天之正氣東行自不得不然耶朱子之道至栗谷而復明栗谷之業至先生而益廣栗谷如天開日明先生如地負海?世有知德者必信斯言之非誣也銘曰義秉春秋學傳武夷集群儒成爲百世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0년 형시백(邢時伯)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邢時伯 裵玄基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0년 1월 20일, 생 형시백이 배현기에게 봄날의 안부를 전하고 상대의 뛰어남을 칭찬하며 농사일로 찾아뵙지도 못하는 자신을 멀리 하지 않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보낸 서간. 1950년 1월 20일, 생(生) 형시백(邢時伯)이 배현기(裵玄基, 1881~1954)에게 봄날의 안부를 전하고 상대의 뛰어남을 칭찬하며 농사일로 찾아뵙지도 못하는 자신을 멀리 하지 않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보낸 서간이다. 상대가 가문의 학문을 전수받아 자신을 닦고 학문하는 모습을 칭찬하고 자신이 분수를 모르고 일찍이 공부를 잃고 고루한 모습이 되었다고 하였다. 봄이 한창이니 상대가 더욱 생각나지만농사일로 직접 만나 인사하지 못하여 황송하고 민망하다며 선생께서 자신을 멀리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7년 정헌규(鄭憲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鄭憲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7년 12월 7일, 정헌규가 상대 여러분들에게 『인산유고』의 미흡한 부분을 변명하며 용서해 주시고 내년에도 잘 돌봐주시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쓴 서간. 1957년 12월 7일, 정헌규(鄭憲圭)가 상대 여러분들에게 『인산유고(仁山遺稿)』의 미흡한 부분을 변명하며 용서해 주시고 내년에도 잘 돌봐주시기를 바란다는 내용으로 쓴 서간이다. 상대가 먼저 안부를 물어 준 것에 감사를 전하고 첨현(僉賢)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인산(仁山) 유고(遺稿)를 재서(再書)한 후 약간의 수정을 거쳤지만 종종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것, 행장을 서술하는 일은 문장을 잘하는 동문(同門)과 후배들의 책임이라는 것, 문장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는데 어찌 다른 사람들에게 부쳐서 보이겠느냐며 마음 풀고 죄를 용서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내년에도 잘 돌봐주기를 바란다고 인사하고 답장 편지를 마쳤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7년 고산서원(高山書院)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高山書院 三山祠 高山祠章(흑색, 3.5×3.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903 1957년 3월에 고산서원에서 화순의 삼산사에서 노사 기정진 선생과 일신재 정의림 두 선생을 제향하는 일에 마음을 함께 하겠다는 내용으로 화순 유림에게 보낸 답통. 1957년 3월에 고산서원(高山書院)에서 화순의 삼산사(三山祠)에 노사 기정진을 제향하고 일신재 정의림 선생을 배향하는 일에 자신들이 찬성한다며, 속히 그 의식이 성대히 치러질 수 있도록 해 달라는 내용으로 화순 유림에게 보낸 답통문이다. 고산서원의 박흥규(朴興圭), 양회갑(梁會甲) 등 35인이 연명하였으며 [고산사장(高山祠章)]이 1개 찍혀 있다. 정의림(鄭義林, 1845~1910)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이다. 응교(應敎) 정태(鄭態)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제현(濟玄)이고, 어머니는 진원 박씨(珍原朴氏) 치성(致聖)의 딸이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3대 제자 중 1인으로, 노사학파의 인물 중 비교적 큰 규모의 문인 집단을 형성한 사람이다. 1868년 기정진에게 집지하여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면서 율곡의 학설을 주리적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변전우소저노사선생납량사의기의(辨田愚所著蘆沙先生納凉私議記疑)」와 「변전우소저노사선생외필변(辨田愚所著蘆沙先生猥筆辨)」을 써서 노사의 학설을 옹호하였다. 또한 나라가 일제에 의해 잠식되어 가자 호남대의소에서 의병 활동을 한 인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8년 정헌규(鄭憲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鄭憲圭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8년 4월 14일, 잔생 정헌규가 삼산단소에서 자신에게 맡긴 인산유고의 교정과 행장을 짓는 일에 대해 인사하는 내용으로 쓴 답장 서간. 1958년 4월 14일, 잔생(殘生) 정헌규(鄭憲圭)가 삼산단소(三山壇所)에서 자신에게 맡긴 인산유고(仁山遺稿)의 교정과 행장을 짓는 일에 대해 인사하는 내용으로 쓴 답장 서간이다. 삼산단(三山壇)의 제향을 이미 알고 있고, 기일에 맞추어 참석하려고 하였지만 그러하지 못했다며 몰례(沒禮)를 사과하는 내용으로 편지를 시작했다. 도리어 단소(壇所)에서 먼저 보내준 편지를 받았다며 부끄럽다고 하고 최근 여러분의 안부가 좋다니 기쁘다고 했다. 인산유고(仁山遺稿)의 교정과 행장(行狀)을 짓는 일로 여러분의 말씀을 입었지만 자신은 그런 사람도, 그런 문장도 되지 못한다며 살펴주시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앞으로 간행을 하려고 하는 것에 대해 찬성하고 필요한 일이라며 잘 하기를 바란다고 인사하고 편지를 마쳤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여주에게 답함 答吳汝周 지난 편지는 이미 얼굴을 마주한 듯 토론하였으니 거듭 번거롭게 할 필요가 없겠습니다. 다만 조그마한 의문점이 있어서 간략하게 말씀드리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인(仁)이 사단(四端)을 포함하면 그 이후에 사랑의 이치가 이로 말미암아 나온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은 아마도 온당하지 못한 듯합니다. 인(仁)이 사덕(四德)을 포함한다고 하면 측은지심(惻隱之心)이 사단(四端)을 포함하는 건은 어떠하겠습니까? 그러하니 '연후(然後)' 아래는 산거(刪去)해야 마땅할 것입니다. 또한, "사랑하는 이유를 궁구해보면 그것이 일체(一體)이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이 말 역시 온당하지 못합니다. 인(仁)은 자연스럽게 그렇게 된 것으로 원래부터 존재하는 이치입니다. 어떻게 만물(萬物)이 일체(一體)가 된 뒤에 존재할 수 있겠습니까? 또한 "세상 사람들은 마음을 쓸 줄은 알지만, 인(仁)을 쓸 줄은 모른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더욱 온당치 못합니다. 마음을 굳이 쓸 수 있다 하더라도 인(仁)을 또한 어떻게 쓸 수 있겠습니까? 또한 "기질(氣質)의 치우침을 어떻게 하면 구할 수 있겠는가."라는 부분에서 '구할 구【求】'자는 혹시 '건질 구【救】'자의 오류가 아닌지요? 向書旣有面討。不必更煩。而但有小小可疑處。不得不略及之。有曰仁包四端然後。愛之理所由出。此言恐未穩當。曰仁包四德。惻隱包四端如何然後以下。刪去似宜。又曰究其所以愛。以其一體故也。此言亦未穩。仁是天然自有之理。豈待萬物一體而後存哉。又曰世人知用心。而不知用仁。此尤未安。心固可用。而仁亦可用乎。又曰氣質之偏。如何求得。此求字。或是救字之誤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은상에게 보냄 與李殷祥 여러 날 서로 좇다가 결국 헤어졌으니, 바라보며 생각함에 암담하게 혼을 녹이게 하네. 옛날 질문에 "유나퇴탁(柔懦退托)……"이라 하였는데, 이것은 많은 사람들의 공통된 근심이니, 어찌 유독 그대만 그러하겠는가? 그러나 이것은 이전의 성현이 설명한 바로잡고 변화시키는 방도가 있으니, 어찌 우연히 생각하지 못한 것이 아니겠는가? 《중용장구》 제20장에 이른바 "비록 어리석어도 반드시 밝아지며, 비록 유약하여도 반드시 강해진다."라고 한 윗 구절에 "만약 이런 방도로 해 나갈 수만 있다면"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이런 방도는 무슨 방도인가? 한번 생각하여 노력해 보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의림(義林)은 젊어서는 미적거리다 세월만 보냈고 늙어서는 더욱 쇠퇴해져만 가니 매번 붕우의 은근하게 붙인 뜻을 볼 때 마다 감당할 수 없는 것이 부끄러웠네. 단지 매우 서로 아끼는 처지에 말하지 않을 수 없으니, 다시 바라건대 더욱 더 힘써 나의 마음을 위로해 주시게. 累日追逐。遂成分張。瞻言馳想。黯然消魂。昔者所問柔懦退托之云。此是衆人通患。豈獨吾友爲然哉。然此有前聖說話矯捄變移之方。豈偶未之思耶。中庸雖愚必明。雖柔必剛上文。不曰果能此道矣乎。此道是何道也。試思而着力焉如何。義林少而因循。老益頹塌。每見朋友勤屬之意。愧無以當之。只以相愛之深。有不容無言。更望加意勉旃。以慰區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안두삼【규칠】에게 답함 答安斗三【圭七】 남쪽으로 멈춘 구름54) 바라보며 아침저녁으로 우두커니 서 있었더니, 뜻밖에 한 통의 편지가 빛나게 손에 들어와 여러 차례 펼쳐 읽어봄에 위로되는 마음 한량이 없었네. 모르겠으나 어버이를 모시는 가운데 경서를 공부하는 체후는 신명의 도움으로 왕성하고 좋을 것이니, 치달리는 그리운 마음에 멀리서 생각하는 심정을 감당할 수 없네. 석 달 여름동안 공부하여 이룬 것이 얼마인가? 가을 서늘한 기운이 교외에 들어오니, 정히 옛 사람이 자식에게 독서를 권면하던 때인지라, 다시 더욱 나머지 잡다한 일들은 물리치고 과정을 긴요하게 하는 것이 어떠하겠는가? 우리들이 평소 하려고 하는 것은 단지 이 한 가지 일이고, 친구와 더불어 서로 힘쓰는 것 또한 단지 이 한 가지 일일 뿐이네. 나머지 한가한 일들은 물을 것도 없고 또한 말할 것도 없으니, 어떻게 여기는가? 의림(義林)은 지난번 한 번의 병으로 거의 죽을 지경이었는데, 뜻하지 않게 엊그제 병세가 조금 나아져 머리를 들고 일어났으니, 모르겠네만 조물주가 나를 희롱하다가 오히려 부족하다고 여겨 우선 살게 해 준 것인가. 南望停雲。日夕凝佇。匪意一札。賁然入手。披玩百迴。慰釋沒量。未審侍省經履。神勞茂謐。馳溯憧憧。不任遠情。三夏鉛槧。所造幾何。秋涼入郊。正是古人勉子讀書之時。更加掃却餘冗。緊着程曆如何。吾輩平生準擬。只是此一事。知舊與之相勖。亦只是此一事而已。餘外悠悠。不須問。亦不須言如何。義林向以一疾。幾乎化去。不意日昨病情稍歇。擡頭而作。未知造物之戲我。猶爲不足。而姑使之寄住耶。 멈춘 구름 원문의 '정운(停雲)'을 풀이한 말인데, 친구에 대한 그리움을 말한 것이다. 진(晉)나라 때 도연명(陶淵明)의 시〈정운(停雲)〉에 "멈춘 구름은 뭉게뭉게 일고, 때맞춰 내리는 비는 자욱하네.[靄靄停雲, 濛濛時雨.]"라는 구절이 있는데, 스스로 그 서문에 "정운은 친구를 그리워하는 것이다.[停雲, 思親友也.]"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안신오【홍석】에게 답함 答安信五【洪奭】 지난번 방문해 주셨는데, 또 거듭 편지를 받았으니, 감사한 마음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편지를 받고서 부모님을 모시며 지내는 형편이 절서에 따라 잘 지내시는 줄 알았으니, 참으로 간절히 바라던 것입니다. 저는 병이 늙음과 함께 와서 날마다 달마다 더해지고 있는데, 스스로 반성하고 옛일을 회상하니 다만 매우 슬프고 우울한 마음일 뿐입니다. 보낸 편지에 "독서(讀書)는 곧 읽고 그만두기를 반복하였고, 이치를 끝까지 연구하는 것【窮理】은 대충 보는 데 그쳤으며, 일상생활에서 일을 행할 때에 이르러 경전의 뜻에 합치되는 것이 10분의 1이고 경전의 뜻과 어긋나는 것이 10분의 9였습니다."라고 하였는데, 다만 이 몇 마디 말은 글자마다 점검했고 구절마다 성찰했다고 말할 만합니다. 독서를 읽고 그만두기를 반복하는 것이 병폐인 줄 안다면 반드시 읽다가 그치지 않는 경지에 이를 수 있고, 대충 보는 것이 병폐가 되는 줄 안다면 반드시 끝까지 깊이 연구한 이후에야 그치는 지경에 이를 수 있을 것이며, 10분의 일이 적고 10분의 9가 많은 줄 안다면 반드시 줄어들고 또 줄어들어서 극복해야 할 욕망 자체가 사라지는 데까지 이를 것입니다. 점검하고 성찰하는 것이 이와 같이 지극하다면 어찌 공부가 크게 진보하지 못할까 근심하겠습니까? 물어보신 공부하는 방법은 '나귀를 타고 있으면서 나귀를 찾는다.【騎驢覓驢】'는 격이라 할 만하니, 어찌 이 여러 말을 도외시하고 별도로 공부하는 방법이 있다고 하겠습니까? 비록 그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나는 믿지 않겠습니다. 旣承枉屈。又荷存訊。感感罔喩。仍審侍中經況。對時貞裕。允符飢渴。義林病與衰謀。日添月加。撫躬追惟只切悲鬱之私而已示喩讀書則或作或輟窮理則略見便休。至於日用行事。合乎經訓者十一。悖乎經訓者十九。只此數語。可謂字字點檢。句句省察。知作輟之爲病。則必至於作之不止。知略見之爲病。則必至於直窮到底而乃已。知十一之爲少。而十九之爲多。則必至於寡之又寡。而無欲之可克矣。點檢省察。如此其至。何患工夫之不長進哉。俯詢爲學之方。可謂騎驢覓驢。豈有外此數語而別有爲學之方也。雖曰有之而吾不信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조명유【승동】에게 주다 與曺明有【承東】 뜻밖에 그대의 편지를 받고서, 그대 부모님께서 새해를 맞아 건강하고 평안하시며, 어버이를 모시고 먼 길을 다녀온 뒤에 그대 역시 일단 건강한 줄 알게 되었으니, 매우 듣고 싶었던 말입니다. 저는 쇠약하고 허리가 휘어 노쇠한 연배에 속합니다. 일상적인 일에는 염려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만, 집안의 근심스러운 일로 한 달 내내 평화롭지 않았으니 이것이 매우 딱할 뿐입니다. 지난달에 송(松), 애(艾) 두 어른을 찾아가 뵈려고 담양(潭陽) 등의 지역에 갔으나 만나지 못하고 돌아왔습니다.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세상의 형편이 나날이 심해지니 끝내는 무슨 일이 다시 일어날지 모르겠습니다. 謂外惠函。仍審庭候迓新康寧。省下遠役之餘。體上亦且珍勝。洽副願聞。義林頹塌卷婁猶屬衰年常事無足爲慮。而但家間憂故。匝月未平。是爲悶悶耳。月前追訪松艾兩丈。到潭陽等地。未遇而還。可歎可歎。時象日甚一日。未知畢竟復作何狀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이선중에게 답함 答李善仲 그대의 동생이 와서 편지를 볼 수 있었으니 위로됨이 끝이 없습니다. 편지를 통해 부모님의 건강도 좋으시다는 것을 알았으니 얼마나 듣고 싶은 소식이었는지 모릅니다. 다만 오래 앓던 병이 아직도 쾌차하지 않았다고 하였습니다. 더욱 오래된 나머지 병세가 이와 같으니 더욱 잘 조섭하여 자그마한 남은 증세도 확실하게 안개가 걷히듯 하시길 바랍니다. 매양 우리 선중이 독노(篤老)98)를 모시고 있는데 집안의 재력에 대한 계책이 없으니, 어찌 고인(古人)이 슬퍼한 탄식99)이 없겠습니까? 그러나 얻거나 잃음과 모으고 흩어짐은 본디 천지 사이에 없을 수 없는 이치입니다. 마치 더위와 추위, 낮과 밤이 앞에서 번갈아 오는 것 같으니 마땅히 허심탄회하게 이치로써 추스르고 그 사이에서 구구하게 꽉 막혀 있을 필요가 없습니다. 이는 군자가 의(義)에 거처하는 도이니 해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병을 조섭하는 방법에도 큰 손해가 있을 것이니 천만번 마음을 편안히 가지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令季來。得見惠訊。慰豁無涯。因審庭候康寧。何等願聞。但宿愼。尙未快復云。彌久之餘。勢應如此。惟益加攝理。使小小餘證霍然霧除也。每念吾善仲在篤老之下。家力無以爲計。安得無古人傷哉之歎也。然得失聚散。固天地間所不無之理。如寒暑晝夜之相代乎前。當廣衿坦懷。以理遣之。不必區區窒塞於其間也。此於君子處義之道。不惟有害。而於養病之方。甚有所損。千萬安心如何。 독노(篤老) 70세 이상의 노인을 가리킨다. 고인(古人)이 슬퍼한 탄식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 下)〉에, "자로(子路)가 '슬픈 일이다. 가난함이여! 살아 계실 적에는 봉양할 것이 없고 돌아가신 뒤로는 예를 행할 수 없네.'"라고 한 내용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像贊 遂菴權文純公【尙夏】 嶷嶷山嶽之氣像恢恢河海之心胸允矣集群儒之大成蔚然爲百代之師宗以一言而闢聖路於將堙以隻手而擎天柱於旣倒深闈密贊吾不知其何謨燕居長歎吾不知其何抱吁嗟乎道之大而莫能容兮吾將捨考亭而其誰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天設靈區玉峀東亭亭院宇挹長風摳衣函席曾聞道致力群經善誘蒙五曲江嗚來檻外三神翠適入簾曾乾坤靜裡貧猶樂一片丹心太古同 後學瀛州李炳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華陽道德冠吾東門下斗翁亦襲風淸節當年難有敵遺芳百載尙開蒙志能堅確安貧除學益高明被獎中鄕士爰成魯陽院尊賢禮數古今同 後學長城徐厚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數間廟宇在瀛東今日猶存洙泗風尤老春秋名萬國斗南道學啓群蒙大星曾落井州上眞影儼臨魯院中遠近士林心力合師生歲歲精禋同 後學義城金儀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儼然院宇築山東賢士芳名百世風好學一生修道德遺傳萬語啓愚蒙焚香己亥小春節恭祭魯陽黃菊中儼若神精歆享席鄕儒趨拜誠心同 後學晉陽河秉斗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