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5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乾隆六十年乙卯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浩 乾隆六十年乙卯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16-01-000030 1795년(정조 19)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4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795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六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8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三年戊午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浩 嘉慶三年戊午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16-01-000030 1798년(정조 22)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4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准戶口). 1798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三統 第二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六年辛酉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浩 嘉慶六年辛酉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16-01-000030 1801년(순조 1)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52세)의 준호구. 1801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四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過素沙坪賦移秧 或伏仍或立隊隊群鷺下上田耘草人下田移秧者幾度十指勞纔免八口餓自顧游食客能不顔如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午憩天安 去年來時四月早今年歸去四月老何事二年四月景無端迎送客中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十歲咏蠶韻 【二首】 春到扶桑信息靑野村蚕月照籬庭三眠帨殼能仙幻百吐成絲最物靈辰日誰家祈苑窳天時昨夜驗房星終知索索繅盆手爲是貴人羅綺屛雪斧桑田剪盡靑春光不惜野人庭百室相傳螺祖業千年未死馬娘靈幾夜葉間聽雨雨一朝薪下見星星願將寒女繅車線繡得深宮我后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齋寫霽月魚用卽景 雨後迎凉夜闢牕月含晴色照詩腔千頭竹槊裝堅甲萬竅松濤㵼大江客滌襟煩相訪敷兒誇神爽和吟雙時聞風便川東畔雜劇農謳土鼓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草 異卉何年出海東人間悅口酒茶同價騰市客千錢上名漏醫家百藥中玉粒桂薪能較利烟杯草匣自成風莫敎兒少先嘗味只合深宵未睡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苽 小匏爲葉菊爲花莚蔓南風老圃家枕連昆季頭頭直抱重兒孫面面斜香名素椀兼玄骬雜色黃鸝與墨鴉何限人間珍品菓較諸此味更無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臘享日以守門禁喧官往社稷夜得三絶 籩豆星壇夜未央百工冠珮序蹌蹌如何束淂戎衣立云是騎曺掌禁郞格神從古䙡無譁重禮王家是別差可奈承宣多氣力敎人堅守室如蝸此來三宿亦多緣自笑虛縻已有年賴得今宵白雲客一樽風味話林泉【社稷守直官朴主簿奎晟與之夜話而居在白雲洞故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佳山高老人廷龍 【庚子春歸庭代家君作】 樹修從古最云難公獨承家步尺竿百世傳來勤儉字靑氈遺與子孫安克肖蘭陔有典型兩般珠樹蔭靑靑北堂晨夕能頤志巷有桑麻案有經繁延晩福七旬翁談笑朋樽揖古風叵耐令儀思不見悲歌薤露夕陽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冷衾 冷衾如鐵不堪眠百念搖搖一燭前逆旅中人悲逆旅參禪外士學參禪湖山竹葉將春日京國梅花又臈天詩料終難歸寂寞似鉤纖月半簾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會事 會事西樓雨更晴淡雲如水太虛晶淸風一枕無懷世滿月千門不夜城凄切伊誰羌笛弄短脩空自漏鍾鳴半宵相對談今古翁亦騷人最解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流年 流年似夢坐籧廬燕客鶯賓信宿餘地僻詩量難一斗官淸酒戶近三閭空樓恰受滄溟月靜几安排岣嶁書那日得酬名利刹畵中山水老樵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債 除非繁劇更優游宿債詩家苦未酬百計終難消永夕寸陰纔度等長秋當年與友山中鹿那日重盟海上鷗正是今朝庚冉値斷雲南望路悠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禁砌叢竹 夏草碧離離難分叢竹色風霜一夜秋挺立誇英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신미) 二十一日 辛未 -중광협흡(重光協洽)-. 맑음. 이종순(李鐘淳) 댁에서 점심을 먹고, 석양에 오룡(五龍) 사돈집에 도착해 이윤보(李潤寶)의 사랑에서 머물러 잤다. 【重光協洽】。陽。點心於李鐘淳宅。 斜陽還五龍査家。 李潤寶舍廊留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정묘) 十二日 丁卯 -강어단알(疆圉單閼)-. 맑음. 경성(京城) 시외 고양군(高陽郡) 숭인면(崇仁面) 돈암리(敦岩里) 448번지에 사는 이승욱(李承旭)이 삼가 고한 〈진신록(搢紳錄)〉을 보았다. 【疆圉單閼】。陽。看京城市外高陽郡崇仁面敦岩里四四八李承旭謹告【搢紳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병자) 二十 丙子 맑음. -유조곤돈(柔兆困敦)-.187) 日陽。【柔兆困敦】。 원문에 1928년 12월 20일을 한 번 더 기록하면서, 이후 12월 21일부터 30일까지 모두 간지가 한 단계씩 밀려 써졌다. 번역문에서는 간지를 모두 바로잡아 기록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무자) 三日 戊子 -저옹곤돈(著雍困敦)-. 흐림. 눈이 온 산야에 가득하고 매우 추웠다. 새벽에 바람이 매섭게 불었다. 아들이 횡역(橫逆)의 화를 당해 광주(光州)에 들어갔는데, 두 손자가 따라가서 종일토록 검사국(檢査局) 밖에 서 있다가 한밤중에 돌아왔다. 【著雍困敦】。陰。雪滿山野酷寒。晨風凜凜。子被橫逆之禍。 入光州。 二孫隨之。 終日竟夕。 立於檢査局外。 乘夜而還。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