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澹瀞黃履健 脫帽迎風倦步橫夕陽林下話浮生客久逐時經冷煖官閑課日記陰晴有志奈君頭欲禿無能愧我舌徒畊安得旨醪春水綠狂歌雅什與班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矩矱 矩矱終難脫俗凡一生詩味在酸醎操觚濃墨還爲痼吸月呑山正欲饞苦學敲推肩數聳靜參泥塑口三緘凝思日夜淸醒坐酒國風流愧賀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至 半夜陽雷萬戶音曉迎羲馭儼南臨詞臣染得祈年筆紅女添來繡日針一寸希聲禽變語三分活畵草生心沖瀜地脈微如解雨色蕭蕭上苑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梧山 雨時患濕晴時熙四月長程兩得兼況復長程千里遠百般辛苦此中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楓溪偶吟 【二首】 篆烟微綠玉蕤薰整几巋然展古文鼓吹雨餘蛙一部畵圖林下鳥三分山家意想參差木佛界精神斷續雲襟話有誰同志士前溪淡滑酒初醺不妨於吾與世踈淡將寒煖付之餘三盃陶阮論平昔一枕羲農臥邃初洴澼聲來如聽水滑嵇談起勝看書到頭難釋郊人念家國同憂欲夢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宵 淸宵斷續漏鍾撞着得戎衣濶袖雙月入空樓山極目雪留深苑谷生跫閑忙職業文兼武澹蕩吟情筆似杠二鼓聲中無一事紋楸錯落對寒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夕訪金楓下世均堤川韓老人用佑竹山金進士溟亦在坐仍與唱酬 【二首】 憶曾韻話會斯樓落木寒燈已二秋麯味方濃春氣動梅魂欲醒雪痕收偶回竹下開三逕忽失江南夢一舟自笑浮生無少歇敲推此夜又詩愁詩瘦多年苦未肥漫唫溪下又忘歸幾宵宿債饒梅屋落日深情款竹扉林石談來捫蝨懶茶鐺鳴處聽蠅微到頭韻癖終難釋且向壚頭欲典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을미) 十六日 乙未 -전몽협흡(旃蒙協洽)-. 맑음.〈죽은 아내에 대한 만사〉(輓亡室)인연을 맺은 이후론 나를 벼리로 삼고,(結緣以後我爲綱)경책이 도리어 많아도 오상(五常)을 지켰네.(警策還多守五常)56년 동안의 은의(恩義)가 중하니,(五十六年恩義重)고궁(固窮)180)의 간곡한 정 가장 애달프구나.(固窮情曲最悲傷)오늘밤 월식이 있었다. 【旃蒙協洽】。陽。〈輓亡室〉結緣以後我爲綱。警策還多守五常.五十六年恩義重。固窮情曲最悲傷.是夜月有蝕之。 고궁(固窮) 도의(道義)를 고수하면서 빈궁한 처지를 편안하게 여기는 것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정유) 十八日 丁酉 -강어작악(疆圉作噩)-. 맑음. 오늘 차증손을 얻었다. 무진 18일 술시(戌時, 19시~21시) 에 태어나니, 무진(戊辰), 계해(癸亥), 정유(丁酉), 경술(庚戌)이다. 【疆圉作噩】。陽。是日得次曾孫。戊辰十月十八日戌時生。 戊辰。 癸亥。 丁酉。 庚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을묘) 六日 乙卯 -전몽단알(旃蒙單閼)-. 맑음. 파초가 뜰에 솟아나는 것을 보고 〈감횡거시(感橫渠詩)〉를 읊었다.가운데 말린 잎이 펴져서 가지 되고,(中心卷葉展爲枝)매양 열흘 남짓 만에 한몸 되어 따르네.(每十日餘一體隨)덕은 새롭게 기르는 것이니 누가 배울 수 있을까.(德新所養誰能學)나보다 먼저 횡거선생이 이 이치를 아셨네.(先我橫渠至理知)〈장횡거 선생의 파초시〉(橫渠先生芭蕉詩)파초의 심이 다하여 새 가지를 펼치니,(芭蕉心盡展新枝)새로 말린 새 심이 몰래 이미 뒤따르네.(新卷新心暗已隨)원컨대 새 심으로 새 덕 기르는 걸 배우고 싶어,(願學新心養新德)이내 새 잎 따라 새 지식 일으키네.(旋隨新葉起新知) 【旃蒙單閼】。陽。見芭蕉茁庭。 感橫渠詩吟。中心卷葉展爲枝。每十日餘一體隨.德新所養誰能學。先我橫渠至理知.〈橫渠先生芭蕉詩〉芭蕉心盡展新枝。新卷新心暗已隨.願學新心養新德。旋隨新葉起新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계해) 十三日 癸亥 -소양대연헌-. 갬. 덕진내(德振內)에 있는 생부의 묘에 성묘를 갔다가 문암리(門巖里)에 들어가 생부의 조카 집에서 점심을 먹고, 조(趙) 상제(喪制) 댁 사랑에서 머물러 잤다. 이어서 추석을 지냈다. 【昭陽大淵獻】。晴。作德振內生庭親先考墓省楸之行。 入門巖里。 生庭親侄家點心。 留宿趙喪制宅舍廊。仍過秋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정묘) 十七日 丁卯 -강어단알(彊圉單閼)-. 갬. 오현동(五絃洞) 뒤 입봉(笠峰) 오른쪽에 있는 어머니 산소에 성묘를 갔다. 내려와서 김용수(金龍秀) 댁 사랑에서 자고 그대로 머물렀다. 【彊圉單閼】。晴。作五絃洞後笠峰石先考妣山所省楸之行。下宿於金龍秀宅舍廊。 因以留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경오) 二十日 庚午 -상장곤돈(上章敦牂)-. 맑음. 이봉우(李鳳雨)와 이종덕(李鐘悳)을 위문하고 서암(棲岩)의 뜻을 토론하였다. 왕산리(王山里)의 이경우(李敬雨) 댁을 방문해 머물러 잤다. 【上章敦牂】。陽。慰問李鳳雨與李鐘德。 討論棲岩之義。訪到王山里李敬雨宅留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김광명(金光明)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甲子式 行縣監 通政大夫兼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 金光明 甲子式 興陽縣監 金光明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봉동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6-01-000632-01 1864년(고종 1)에 흥양현(興陽縣)에서 김광명(金光明, 9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64년(고종1)에 興陽縣에서 金光明(99)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古邑面 鳳桐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翌日辛亥過馬池次鄭老人基奎壁上韻 非樵非野隱人流僻在山回水盡頭晩歲經綸稱老圃幾年工業泛虛舟襟懷瑞石千尋嶺眼界仙滄十里洲知是君家無用曆梅花梧葉記春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김근필(金謹弼)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丙子式 行縣監 幼學 金謹弼 丙子式 興陽縣監 金謹弼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봉동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6-01-000632-01 1876년(고종 13)에 흥양현에서 김근필(金謹弼, 7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76년(고종13)에 興陽縣에서 金謹弼(78)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古邑面 鳳桐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6년 김근필(金謹弼)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己卯式 行縣監 幼學 金謹弼 己卯式 興陽縣監 金謹弼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봉동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6-01-000632-01 1879년(고종 16)에 흥양현에서 김근필(金謹弼, 8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79년(고종16)에 興陽縣에서 金謹弼(81)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古邑面 鳳桐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김근필(金謹弼)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壬午式 行縣監 幼學 金謹弼 壬午式 興陽縣監 金謹弼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봉동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6-01-000632-01 1882년(고종 19)에 흥양현에서 김근필(金謹弼, 8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82년(고종19)에 興陽縣에서 金謹弼(84)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古邑面 鳳桐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김희성(金希成)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乙酉式 行縣監 金謹弼 故代子 幼學 希成 乙酉式 興陽縣監 金希成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봉동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6-01-000632-01 1885년(고종 22)에 흥양현에서 김희성(金希成, 2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85년(고종22)에 興陽縣에서 金希成(27)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古邑面 鳳桐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89년 강재호(姜載浩)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乾隆五十四年己酉正月日 行郡守 幼學 姜載渭 改名 載浩 乾隆五十四年己酉正月日 靈光郡守 姜載浩 전라남도 영광군 行郡守[着押] 靈光郡守之印(적색, 정방형),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1016-01-000030 1789년(정조 13) 1월에 영광군에서 유학(幼學) 강재호(姜載浩, 4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准戶口). 1789년에 영광군에서 幼學 姜載浩에게 발급한 준호구. *주소: 佛甲面 雲堤里 第二統 第四戶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