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民字續前律 昔我來時綠柳春於焉節屆斷瓠辰草蛩亂耳生千籟桂兎傷心掛一輪交淺客多新面目惱深人減舊精神自家事業同頭笑二十二年野土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更得一心字遇寸草心 一夢惱愁夜夜深子心如此況親心庸姿自愧同燕石愛意還優惜楚金錦繡好還猶過望身軀善保有眞箴不如歸去家山下獻壽高堂大斗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暮春者自鎭安試所作西笑之行留宿蓮洞民舍荊圍之期尙邈柳陌之興難抑遂與二三子出遊懿齋【景宗大王 陵寢】與齋卽權參奉涑【字景實 號水北山人】往數里許明德洞【朴宰宗 薰郊庄在焉】登亭拈韻 畵境一樓蒼翠間三分流水七分山磵鳥高低風韻雅巖花深淺雨痕斑千里短笻豪士趣數樽淸釀主人顔西峰忽送黃昏磬懶步相將月共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歷可丹驛和少陵遊龍門寺韻 行過雲水裏始覺雲水境兩峽長水聲一天但雲影語鳥多幽恠斜風極淸冷除是桃源在人間渾不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憩蘆嶺 南登蘆嶺馬鞭停無數煙雲入眼靑此去畫舫纔一舍遙憐鏡水幾長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弓 良弓制造古來多幹角筋膠此莫過屈曲張弦儀字體翩翻交韔得詩歌敎人以彀彎如月傳子爲箕述似蛾聞道中原走狐兎吾將挾矢下前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矢 山南箭竹束如麻羽鏃粧來直不斜利器天山三用定良材楚壘一相加發時迅若風前鳥落處輕如雨後花動欲立威靜觀德規模深遠聖王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碁 【三首】 落子遲遲送夕陽亂花梧几手談香霜風橘殼雙仙楚烟月芝歌四皓商圍處許多飜覆雨爭時頃刻冷溫觴誰將三百六旬一圈裏深窺理味長厥初設敎自平陽十九紋楸煗玉香着處森羅儀璧宿爭時肅殺應金商巴陵畫得花前紙洛社傾來竹裏觴莫道奕棊爲末技聊將一局見消長圈中生殺見陰陽塵慮消磨伴爇香存覆機權捋吳楚征爭心法揖周商有時散合鴈成陣無數落來花滿觴流水古松皆畵意安閑世界日舒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酒 從古賢人酒以鳴盃中逃世見高明形骸與忘陶徵士金石之交阮步兵竹葉乍開鯨海動葡萄欲熟鴨波生休將麴蘖稱狂藥最合詩家筆舌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拈杜少陵韻和同舍金正郞 朗讀一篇歸去來空庭步月百千回西風柳市吹還靜半夜松窓閉更開客店炊梁猶未熟誰家搗練謾相催堪憐甕算孤燈下頃刻騎卽就上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直中謾吟 劇裏偸閑便復奇天門晝漏下遲遲屛間臥讀前人畵局外傍觀小吏棊日夜營爲何狀物秋風所得若干詩直廬相訪如村舍明月良朋邂逅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十一月初吉南至日訪南平宰洪丈明燮【字良臣蒼軒之從弟】夜與衙客背命妓煮酒拈韻相酬 【二首】 策馬南來一路橫逢君此夜卽多情客館葭灰催歲甲詩燈椒酒破愁城挑燭深深金燼見擁爐細細篆烟生良宵會事知難再春到相期綠樹京會逢佳節至至日子之宵暮雁歸蘆渚新梅壓雪橋樹高同鶴脛山瘦學蜂腰自感空添甲新年卽此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義鄰哉臣哉 【甲午二月二十日綾州監試入格京試官趙校理秉憲】 吁情以言之則鄰也分以言之則臣也何者親近之謂鄰而爲臣之道固莫如親近也輔助之謂鄰而爲臣之道亦莫如輔助也親之近之如人之有鄰者其非臣乎弼我助我如居之有鄰者亦非臣乎是以帝舜之命伯禹也責以臣鄰之職而其曰鄰哉者其非望輔助於我乎又曰臣哉者亦非望親近於我乎鄰不孤於親我而 可以親之者惟汝臣也必有鄰於助我而宜以助之者惟爾臣也語其爲鄰之職則可不曰鄰哉乎語其爲臣之分則可不曰臣哉乎或前或後以之親近者不啻若人之有鄰也左之右之以之補助者不啻若居之有鄰也是知先曰鄰哉者以其有親鄰之情也又曰臣哉者以其有君臣之分也若是乎鄰哉臣哉之義也請申之盖鄰者言其情臣者言其分於君於臣情分相須則此所謂鄰哉臣哉肆昔帝舜之命禹也先以情言後以分言良以此也因玆以譚則君臣之間一於分則至於離一於情則至於褻分不可不謹而專守其分固未也情不可不和而專尙其情亦否也然則分雖嚴於臣哉而情可親於鄰哉也情雖親於鄰哉而分可嚴於臣哉矣 大抵堂陛之間分其先於情而曰鄰哉臣哉都兪之際情可先於分而曰鄰哉臣哉不徒如王臣蹇蹇而曰鄰哉臣哉者其非親之之義乎不但若富以其鄰而曰鄰哉臣哉者亦非輔之之義乎鳴呼情可過於分乎非所謂臣哉之義也分可踰於情乎非所謂鄰哉之義也此所以情分幷行而曰鄰曰臣也先情後分而鄰哉臣哉也噫歸來我東亦有臣鄰間情分相須之義則今此益稷篇所揭鄰哉臣哉者尤有所章章明矣吁謹義策問唐諺有之焚香取進士瞋目待明經莫奠乎經而業之者受此厭薄則豈明之之失其道而所明非眞明歟明經之別有五經有三經有學究一經之中有三禮有三傳有史科此古歲擧之常選也今可歷指而條陳之歟下筆成章道侔伊呂何爲在此科目而見於史志則爲五十餘目出於記載則爲八十六目何者爲是歟宋仁宗患詩賦浮淺復設明經權文公謂今之進士不如古之明經豈明經進士亦有古今之優劣歟驅秀才 爲學究荊公所以自悔也而演釋九經豈不勝於試賦末技歟寫註䟽爲帖括皇朝所以失才也而分房十人何遽遊於博學宏詞歟田何之治易韓嬰之治詩馬融之治禮江都相之治春秋此當時之明經也自何人而 爲今之明經歟周以德行漢以文章唐以詞華宋以經義此歷代之科制不知三代以後果有此法否此科之不容不更張前輩之所已論也今人之所共誦也雖把作家計之八場諸生亦無不云然則獘至於斯豈無可以一分矯捄之方夫明堂之梲必畵侏儒孤竹之道先縱老馬此之當革當因與夫補苴損益之間措術之便 宜捄獘之方也自何代而幷取明經歟錢啓莘之畵作洛書貽笑千古王守溪之誤引性字取識儒林口耳之不明於經一至於此歟或曰明經最便於空疎不學之人或曰設虛無之學以敗壞人材明經之無益於治道若是其甚歟洪惟我朝聖神相繼治敎之煥然人才之輩出無愧小中華之稱而國初肇制以明經爲三年大此之科制述以初試之栍畵以覆考之碩學宏儒賢宰名輔由此塗進以黼黻皇猷者磊落相望則明經何負 於實用哉雖然昇平百年禮樂明備文華盛而句讀賤藻麗則以詞賦相尙騈儷則以四六爲工經綸則以論策考實而凡其朝吟暮誦騰舌以冀倖者都是七里灘中僅諷急就之類又况古之明經如今生員試之五經義雜掇諸疏間立已見另作一副箋解則此亦製述耳若夫背講七書遍誦眞諺竭平生之力獘盡記性問淺近之話茫如迷津者畧不問於明經諸生而更誰之問乎母拘程式母餙虛文以實心發實論要之可行悉著于篇 【二月二十九日全州府合設東堂入格主試監司徐判書有榘】對於戱愚嘗按朱夫子荅嚴士敦書云科擧之習前賢所不免但循理安命不追時好則心地恬愉自無怵迫之累又荅宋之源書曰科擧世俗之學以奪其志常若有所驅脅迫逐而不暇從容以及乎有成也是以伎倆 愈精心術愈懷大飡長啜貪多務速涉獵精粗摜得科程汲汲然徒費情神於科擧之文字吃吃然但費歲月於經書之句讀苦心竭力別求一術以爲家庭雍睦悠久之計自作程式不求存天遏欲本地之好得失榮枯自累其身精思慱學視作別件這箇病根培養於心田那種道理積痼於場屋不能洗滌凈盡沫流之習將有 不可勝慮不可勝防是以宋諺有曰大開眼看覷大開口話說些少分數交戰於方寸多般計較撗馳乎日夜則厭薄之歎徒是自取豈患世道之或私有司之不明哉是故荅蔡季通云一劒兩叚者改過之勇防患貴怯 修慝辨惑徙義崇德荅葉仁父云痛自省察一躍盡脫袪其染習之陋豈不快哉然則執若反求諸己做去實地耶今者明經之設亦由於自家之徒讀不究豈是所明之非眞明耶愚嘗講明乎明經之義而思以一質於當世立經陳紀之君子矣何幸今承明問請且仰陳焉竊謂先儒有言曰經以明志此是明經之所以設也盖經者經傳之謂也明者講明之謂也有是經而不究其義究其義而不明其理則義理之奧章句之蘊不能領會故沈潛乎章句玩味乎義理而明其道以求聖賢傳授之心法焉明其學以推君子用行之道德焉蠶絲牛毛推闡蘊奧長篇短牘分析隱微以求其旨是明經之旨也是以明經者不徒口讀亦須理會笙鏞黻黻陶鑄一世大以鳴國家之盛小以爲章甫之標則導世長民風敎所關此非明經之旨耶雖然所貴乎明經者以其做得實地上工夫不爲擧子之僥倖擬作士林之矜式則是經之旨融會貫通怳如氷釋矣然則何以明經其惟心乎乃言曰明經之別有五有三而學究亦其一也一經之間有禮有傳而史科亦其一也是皆前代歲擧之常法而俱不合於王制之攷此也若以周之歲書賢能漢之鄕貢孝廉則可爲百王之常法萬代之標準矣下筆成章道侔伊呂則何必在此瑣細之目零錯之條耶且夫史志之五十餘目紀載之八十六目之得失是非不足多卞宋朝之患詩賦浮淺復設明經欲其務本損末之義也權文公所謂不如古之明經欲其摭實祛僞之議也今之進士不如古之明經從可知矣驅秀才爲學究荊公悔其人才盡出於口讀之門也演九經之微奧於詩賦末技雖閭閈童稚不待提曉而自知矣應註疏爲帖括只爲僥倖之路分房十人豈有遜讓之階若論田何之治易韓嬰之治詩俱是當時明經而非爲取科之方馬融之治禮董子之治春秋亦爲碩儒明經而非爲應選之技則有是哉往昔作成之治導率之敎也周之取德行漢之取文章可知王霸之政分爲二路唐之尙詞華宋之尙經義亦可見汚隆之治各成一規而歷世明經科制創於漢詳於唐而明於有宋則想像嘉祐多士之蔚興欽慕濂洛羣賢之輩出矣畵作洛書以錢啓莘之淺見妄窺龜圖誤引性字以王守溪之末學錯指車路耳目之曚瞽心志之痼塞無足枚論矣旣曰明經則孰爲空疏不學之人也豈爲虛無壞材之法也猗歟我朝聖神相繼治敎煥然於上人才蔚然於下無愧小中華之稱而國初創製以明經爲三年大此之科製述以初試之栍畵以覆考之鴻儒名輔由此塗進以黼黻皇猷者磊落相望則明經何負於實用哉雖然昇平歷年禮樂明備製科之道貴文華而賤句讀又何挽近以來藻麗則以詞賦相尙騈儷則以四六爲工經綸則以論策考實而儒風日頹士習時弛朝吟暮誦騰古以冀倖者都是七里灘中僅諷急就之類百尺竿頭躁進躐等之輩又况古之明經如今生員試之五經義雜掇諸疏間立己見另作一副箋解則此亦製述耳若夫背講七書遍誦眞諺竭平生之力獘盡記性問淺近之話茫如述津者不知三代以後果有此法否鳴呼前日造士之宏規乃作今日躁就之流獘人累科擧一至於此哉然則如之何其可也愚必以一心字爲捄獘之方夫明堂之畵侏儒孤竹之縱老馬當革當因以損以益者不過乎章甫之徒正其心而不至於干祿之獘制科之士存其心而不取乎躐進之獘則文物之盛何讓於殷周之際經學之明可追於鄒魯之間夫如是則進士明經非特有取舍之別而已固有輕重之截矣篇將終矣復有說焉昔者安定胡先生敎授生徒而爲文章皆傳經義執此以究則文章是不過進士之業而經義是固爲明經之道也經學之莫尊可驗於爲文章傳經義之一規也噫執事如以此獘爲汲汲而矯捄則何不先明經而取士耶導率之方固未嘗不資於正心也執事盍以此仰達於楓陛也吁謹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絡緯 絡緯鳴啾喞淸宵二枝餘無風星活動欲露樹扶踈汗綠多慙古塵紅誤染余那能酬宿債耕釣臥鄕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月初丁以享官入太學參釋菜 杏樹陰陰廟宇深濟蹌冠佩匝靑襟五更風雨來盈耳宛轉天機聽瑟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至穀城山下果見黃石詩【辛卯】 鶴於橘樓羊於華僊家有術變黃白十年常對空樑面一片預拂靑山額翁惟我師豈欺我水落黃河洗骨脈雲橋逢別果如夢疑信之間翁曰石丁寧浚日一紀約焂忽浮雲三夜跡其然豈然我意內若非僊人應鬼客 伊人不見果幾年石火光陰如過隙遐蹤莫質皓仙門信息難憑赤松宅前身土骨信然否穀林徘徊扶短策 雲容窈窕岱畎靑雨意逗遛媧穹碧烟霞裏面若有人星髮蕭森金骨瘠坤裳着得正色備艮精鍾來元氣積當時石約豈虛語世家中央留土核臨岡怳若授素書踞壑依然墜赤舃他山攻玉已前霄化砂爲金又今夕 分明兩眼拭靑苔爲誰夷留秋草陌修精子應學老黃了債吾方隨帝赤堎嶒瘦面立如人厥像惟肖伊今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기묘) 二日 己卯 맑음. 당현(唐峴)의 여(呂) 진사(進士) 댁에서 점심을 먹고, 지나는 길에 순창 고례(古禮)10)에 사는 양찬수(楊贊洙) 댁에서 묵으면서, 가잠(佳岑)11)에 사는 권병헌(權炳憲) 댁에서 놀았다. 다음날 다시 고례에서 묵고, 집으로 돌아왔다. 陽。自唐峴呂進士宅午飯。 過宿於淳古禮楊贊洙宅。 遊於佳岑權炳憲宅。翌日更宿於古禮。 還巢。 순창(淳昌) 고례(古禮) 전라북도 순창군 금과면 고례리를 말한다. 가잠(佳岑)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일대에 가잠로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임오) 五日 壬午 흐리고 비. 오늘은 천중절(天中節, 단오절)이다.〈평장동12)의 시조를 단향 하는 원운시 뒤에 짓다〉(題平章洞壇享始祖元韻後)선조의 사덕13)은 사시의 봄과 같아,(祖先四德四時春)자손에게 전해지는 것 진실로 진리이네.(傳子傳孫實理眞)효경인성(孝敬仁誠)으로 천오백 년 이어왔으니,(孝敬仁誠千五百)어찌하여 불초자에게 이런 분 있게 되었나?(何爲不肖有斯人)삼가 살피건대《논어》문체장(問禘章) 주(註)의 '왕이 아니면 체제사를 지낼 수 없다.[不王不禘之法]'라는 것으로 휘(諱)한 것이다.14) 陰雨。是日天中節也。〈題平章洞壇享始祖元韻後〉祖先四德四時春。傳子傳孫實理眞.孝敬仁誠千五百。何爲不肖有斯人.謹按魯論。 問禘章註。 '不王不禘之法'。 諱之。 평장동(平章洞) 광산김씨 시조인 김흥광(金興光)을 모시는 평장사가 있는 곳을 말한다.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에 있다. 사덕(四德) 인성(人性)의 사덕(四德)은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의 본성을 가리킨다. 《논어》 …… 것이다 〈팔일(八佾)〉에 "혹자가 체(禘) 제사의 내용을 물었다.[或問禘之說]"라는 구절의 집주에 "왕(王)이 아니면 체(禘) 제사를 지내지 못하는 법은 또한 노(魯)에서 마땅히 휘(諱)하여야 할 일이었으므로 알지 못한다고 대답하였다.[不王不禘之法, 又魯之所當諱者, 故以不知答之.]"라는 말이 있다. 《예기(禮記)》 〈상복(喪服)〉에 "예에 왕이 아니면 체 제사를 지내지 못한다.[禮不王不禘]"라는 말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임진) 十五日 壬辰 -현익집서(玄黓執徐)-. 맑음. 미암선생의 제삿날이라 초대받아 가서 배불리 먹고 취하여 집으로 돌아왔다. 《맹자》 호연장(浩然章)의 훈고(訓誥, 자구를 풀이하는 것)를 보았는데, "정자(程子)가 말하길, '하늘과 사람은 똑같아서 다시 분별할 것이 없으니, 호연지기는 바로 나의 기이다. 이를 길러서 해침이 없게 하면 천지에 가득 차게 된다.'라고 하였다."라고 한 말이 있어서, 특별히 기록하여 종인(從人)에게 보여주었다. 【玄黓執徐】。陽。眉巖先生忌辰也。 赴招醉飽歸巢。看《孟子》浩然章訓誥。 "程子曰。 '天人一也。 更不分別。 浩然乃吾氣也。養而無害。 則塞于天地。'" 特記之。 以示從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무술) 二十一日 戊戌 -저옹엄무(著雍閹茂)-. 맑음. 이전에 신암재(新菴齋)에게 주었던 시를 보고 복부(覆瓿)15)를 위해 기록한다.옛것을 이어 새롭게 만든 정사 하나,(裁新因舊一精廬)진실로 인인(仁人)이 거처하는 넓은 집이네.16)(眞是仁人廣所居)거처는 언덕에서 머물 줄 아는 새의 집과 같고,(棲若邱隅知止鳥)성대함은 큰 골짝엔 이리저리 노니는 물고기 같네.(沛如大壑縱來魚)오헌은 절로 이뤄져 한가롭게 술 부르고,(梧軒得自閒招酒)죽창은 남향이라 책 보기에 합당하다네.(竹牖向陽合看書)진덕수업17) 여러 날에 내면을 완성하니,(進修多日行成內)화락한 기운 절로 생겨나 남은 복이 있다네.(和氣自生福有餘) 【著雍閹茂】。陽。見前所贈新菴齋韻。 爲覆瓿記之。裁新因舊一精廬。眞是仁人廣所居.棲若邱隅知止鳥。沛如大壑縱來魚.梧軒得自閒招酒。竹牖向陽合看書.進修多日行成內。和氣自生福有餘. 복부(覆瓿) 장독 뚜껑이라는 의미로, 《한서(漢書)》 〈양웅전(揚雄傳)〉에 "유흠(劉歆)이 양웅이 지은 법언(法言)을 보고 '왜 세상에서 알지도 못하는 글을 이토록 애써지었을까. 나중에는 장독 뚜껑밖에 되지 않을 것 같다.'라고 했다."라고 하였다. 대개 자기의 저술을 겸칭(謙稱)한 말로 쓰인다. 인인(仁人)이 …… 집이네 《맹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천하의 너른 집[仁]에 거처하고, 천하의 바른 자리[禮]에 서며, 천하의 대도[義]를 행한다.[居天下之廣居, 立天下之正位, 行天下之大道.]"라고 한 데에서 온 말이다. 진덕수업 도덕을 증진시키고 학업을 닦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건괘(乾卦)·문언(文言)〉의 "군자가 덕을 쌓고 학업을 닦다.[君子進德修業]"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