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黃晨橋稷下餞春 【一篇四首】 春深花愈好暗樹葆殘紅著力須行賞明朝恐有風西社看花約伴三興來相忘白頭慙如何不借餘人地收拾殘春載筆譚昨夜西城雨綠深紅淺時憐花堪共宿愁鳥約相知雖老猶風味難分已夕炊名園誰管領溪上坐無思院宇淨如兜率天悠悠形色摠堪憐山深不斷四時籟樹暗長籠萬竈煙春自去來一夢裏人誰得失百年前此中亦有惜花者無事居然三十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趙上舍頤淳【季養】稷下餞春 洛陽紅處處今見綠爲家那有一生醉仍得長春花嬌鶯怊悵語浪蝶等閒斜客歲九旬日堪呵如夢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黃樂韶惜春 風雨無端過翠微若干紅白更看稀澗林百舌偸新語園木千頭染綠衣白日隙駒奔悤悤靑春幻蝶夢依依緣何事業空抛擲芳草洛陽三月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狗 【二首】 傳書洛下不浮沉黃耳當年萬里尋午逐饁娥歸野遠夜防豪客守門深至今南郡生釐諺在昔東郊美鬈吟每每懽迎如稚僕分明解得主人心堅臥守門夜色沉亂狺窺䆵客跫尋蜀峽夢驚紅日出淮天聲落白雲深上世旅獒同虎猛誰家倉鵠學龍吟吠時難得分堯桀秪是人間爲主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계미년 3월 정시 때 동행록 癸未 三月 庭試時 同行錄 송석필 윤계눌 송 도정두옥 송 현 박종수신상록 신일모 정두화송석년 송 필 강하천정두민 신천록 송 린 宋錫弼 尹啓訥 宋 濤丁斗玉 宋 玹 朴宗壽申相錄 申一模 丁斗華宋錫年 宋 珌 姜河天丁斗玟 申天祿 宋 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제사(題辭) 題辭 춘조(春曹, 예조의 별칭)에 기록되었는지의 여부는 본원에 경중이 되기에 부족하지만 선비들의 바람이 이미 이와 같으니 삼가 등록하여 예전의 일을 기록하다. 19일 春曹之載錄與否, 雖不足爲輕重於本院, 而士望旣如此, 謹當載錄向事。 十九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아침 전에 공서와 함께 문내(門內)로 가는 길에 안리(安吏, 예조 서리 안인성)를 만났다. 문외(門外)의 안리(安吏)는 내가 떠나는 것을 보기 위하여 주인집으로 온 것이었다. 이어 함께 경주인(京主人) 집에 갔다가 그길로 작별하고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아침을 먹은 뒤에 짐을 지고 길을 나섰다. 강을 건너 남태령(南泰嶺)에서 점심을 먹었다. 갈산점(葛山店)77)에 이르자, 먼저 들어온 한 조관(朝官)이 있어 그에게 물었더니, 바로 천안(天安)에 사는 현진상(玄鎭祥)이라 하며 지금은 이조 정랑(吏曹正郞)이 되었다고 한다. 사람됨이 단아하였는데, 그대로 이야기를 나누다가 함께 머물렀다. 40리를 갔다. 朝前與公瑞偕往門內之路逢安吏。 門外安吏, 爲見吾發行之意, 來于主人之家之意也。 仍與同往京主人家, 仍爲作別, 還來主人家。 朝飯後, 負卜發程, 越江抵南泰嶺中火。 抵葛山店, 則有先入一朝官問之, 則乃天安居玄鎭祥, 而今爲吏曹正郞也。 爲人端雅, 而仍與談話同留。 行四十里。 갈산점(葛山店) 경기도 안양시 평촌동과 의왕시 내손동 경계인 갈뫼(갈미)마을이다. 갈산점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의곡면에 속했다가 1914년에 수원군 의왕면이 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 初一日 비가 내렸다. 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차동으로 갔는데, 날씨가 너무 추워 객지생활의 고충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往車洞而日氣甚寒, 客苦不可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보책(譜冊) 두 질(秩)을 흥양(興陽) 하인 편에 보냈다. 送二秩譜冊於興陽下人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주동(注洞)에 가서 정오(正午)에 돌아오니 천노가 왔다. 집안 소식을 상세히 들을 수 있어 다행이었지만 책값이 태반이나 오지 않았으니 이를 장차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往注洞向午出來, 千奴來矣。 詳聞家信可幸, 而但冊價錢太半不來, 此將奈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伯氏詠蠶 【十歲作 丙子】 條桑照箔靑春色滿堂庭腹藏千經緯身利萬生靈咬咬疑細雨繭繭怳明星衣帛昇平老紅顔對綠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虎文狗 【九歲作 乙亥】 如虎實非虎在家不在林問渠誰所送來自斗之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墨 梣皮松骨採於山玉鼈珠螺幾處刪調得膠煤品在上從來筆硯交無間心如翟也能磨頂色似烏兮不變顔十二龍賓生氣勢送人層棧綠雲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梔蠟 梔黃蠟白付書空不欲於人說異同䆠念都灰秋氣裏詩心如洗夕陽中茫茫鳥去山捋雨得得蟬吟樹自風顧我紛忙緣底事筌蹄多負少時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月十五日余生辰也以監軍役出宿巡廳倍切鄕念仍賦一律用壁上前韻 纖雲斷續淡煙籠霽色蒼蒼月漏空農酒幾村誇足白戎燈此夜撼心紅功名誤我爲羈旅謌曲思鄕若穉童幸際懸弧恩點下從今可賀筮官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端陽日題御賜扇 鳳含仙箑下雲空體得群工仰聖衷幾夜捲藏南浦月一朝分散上林風定知出入恩情裏自是閒忙造化中願借餘波千萬萬周流窮蔀動和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直中戱吟 出恨忙忙入太遲光陰於我亦難爲何來笋菜添遐想忽見瓠花覺久羈五日纔秋三日雨九分都睡一分詩西風晝漏渾無事倚枕痴看小吏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夕往墨洞與石南睡翁琶山雲湖各酬一疊 靑山裏面有詩家踏雪行尋一路斜明月論襟誰世界紅塵回首盡淘沙杯淸肝膽傾深淺夜白村庄露邇遐此夜相逢不草草墨池數斗酒如河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