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心窩啓鎭拈陸律相酬 韻友相尋破寂廖洞深秋色見歸樵來時落葉山中路坐裏寒花雨後朝樂歲談農參野屋晩風呼酒點溪橋君家楓樹終難負如夢詩魂又一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忠武公李舜臣閑山島秋夜吟 如公何處得隻手擎天高濁酒書燈下空留拍案刀原韻水國秋光暮驚寒雁陣高憂心輾轉處殘月照弓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板峙咏靈圭碑 山河義氣昔騰騰三百緇徒板峙登當世有髥幾男子不如無髥一山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鵑 劒外當時帝子身一生緣底說愁新殘花缺月三更裏冷節和風百五辰染血年年春事業思歸夜夜蜀精神從今莫近羈牕呌我昔楓阿未返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怪石 一拳盤錯披煙雲百孔齹齖各體分貪狗狠羊蹲洞壑寶龜靈鼈縮江濆面留東海鞭驅跡背負中山篆刻文相對時時堪共語目能如見耳如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元夜與道內諸友抵碧洞旅舍修曲會仍與步月踏橋聽鍾而歸 良辰踐約酒初酣宿興前宵尙不堪勝事洛陽眞率會賢朋江左放狂譚一天明月無今古千里殊風有北南歸臥嘿思當世味夢中都是喫酸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敬天店咏蝸虫 生憎蝎爲物卜夜行閃忽乍捫竦毛髮纔侵苦筋骨猶嫌惡臭發在手不敢閷豈意今宵店緣渠未穩寢四更風雨暗鷄聲聽不厭誰言夏夜短今我支離歎僕夫但知行役憚鼾睡如雷一夢懶君不聞古來命官磨蝎鬼時時向俗貴小作揶揄戱朝來蝎散客出門一盃濁酒洗爬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過魯城 行過三百六今見魯城山鄕洛纔强半方知道路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校廟有感 山號尼邱城號魯昔時絃誦傅如覩數間庭宇先師廟只有荒凉老杏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鷹 爪鐵喙鉤任觸排能敎雉兎屛林崖虞人嗾處追豪犬俠士肩來駄健騧高聳秋空騰氣勢低回春峀足生涯物中爾獨知時義祭鳥爲鳩亦復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雉 厥初氣毋离門開得意春山甬甬回擅澤爭雄鬪能健入田呼牝啄相催揚輝高壘旄頭析取象深宮袞面裁耿介之心䟽暢趾明時執贄幾賢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경오) 十七日 庚午 -상장돈장(上章敦牂)-. 맑음. 나주(羅州) 용진정사(湧珍精舍)43)에 갔다. 가는 길에 북창(北昌)44) 오동수(吳東洙)45) -호는 도호(道湖)- 댁에 이르러 점심을 먹고, 정사에 들어가 유숙했다. 【上章敦牂】。陽。作羅州湧珍精舍。行至北昌吳東洙【號道湖】宅午飯。 入精舍留宿。 용진정사(湧珍精舍) 한말의 도학자 오준선(1851∼1931)이 강당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용진산에 있다. 북창(北昌) 당시 나주 북창으로 현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수동 용강마을을 이른다. 오동수(吳東洙, 1878~1945) 호는 도호(道湖)이고, 본관은 나주이며, 오준선(1851~1931)의 둘째 아들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계유) 二十日 癸酉 -소양작악(昭陽作噩)-. 장성 율곡(栗谷)54)에 사는 김(金) 광언(光言) -이름은 영규(泳奎)- 과 함께 절산(節山)55) 유옥건(柳沃建)댁에서 점심을 먹고, 종가에 들어가 유숙하였다. 【昭陽作噩】。與長城栗谷金光言【名泳奎】。 午飯於節山柳沃建宅。 入宗家留宿。 율곡(栗谷) 장성군 진원면 율곡리를 이른다. 절산(節山) 담양군 창평면 유곡리 절산마을을 이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정해) 五日 丁亥 -강어대연헌(强圉大淵獻)-. 흐림, 아침에 비가 내렸다. 이날 밤 새벽에 망실(亡室)의 담제(禫祭)60)를 지냈는데, 동해효부(東海孝婦)61)를 제사 지낼 때와 방불하게 하였다. 【强圉大淵獻】。陰。 朝雨。是夜質明行亡室禫祭。 彷彿如祭東海孝婦時也。 담제(禫祭) 대상(大祥)을 지낸 그 다음다음 달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동해효부(東海孝婦) 한(漢)나라 때 동해군(東海郡)에 어떤 효부가 있었는데 젊어서 자식도 없이 과부가 되었으나 개가하지 않고 시어머니를 효성스럽게 모셨다. 시어머니는 자기 때문에 며느리가 개가하지 않음을 안타깝게 여겨 자살했는데 그 딸은 며느리가 죽였다고 고하여 효부는 결국 무복(巫服)하고 마침내 억울하게 죽임을 당하였다. 이 때문에 온 고을에 3년 동안 가뭄이 들었다는 고사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정축) 二十五日 丁丑 -강어적분약(强圉赤奮若)-. 맑음. 오후에 비가 왔는데, 먼지를 적실 정도였다. 송혁모(宋赫模)씨와 함께 면앙선생(俛仰先生)62) 연보를 보았다. 【强圉赤奮若】 。陽。午後。 雨浥塵。與宋赫模氏。 看俛仰先生年譜。 면앙선생(俛仰先生) 송순(宋純,1493~1582)의 호. 자는 수초(遂初) 또는 성지(誠之), 호는 기촌(企村) 또는 면앙정(俛仰亭), 본관은 신평(新平)이다. 담양 면앙정의 주인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무인) 二十六日 戊寅 -저옹섭제(著雍攝提)-. 맑음. 어떤 사람이 '심과 성의 구분'에 대해서 물었다. 대답하기를 "주자는 말하기를, '사람의 덕성이 본래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으나, 기질의 부여된 바가 치우치지 않은 바가 드물다.'고 하였고, 경원보씨(慶源輔氏)63)는 말하기를 '덕성은 무극의 진(眞)에 뿌리박혀 있기 때문에 온전하여 갖추어지지 않음이 없고, 기질은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기운에서 품부받은 것이니 강함과 부드러움, 과불급(過不及)의 구분이 있기 때문에 치우치지 않음이 드물다.'라고 하였으며, 진씨(陳氏)는 말하기를 '형체가 있으면 심(心)이 있다. 생각건대 심(心)은 기(氣)이고, 성(性)은 리(理)이다. 진실한 것이 성이고, 허령한 것이 심이다. 심은 곧 이(理)를 실은 도구이다.'라고 했고, 남당은 말하기를 '오행의 정령한 기가 모여서 심이 된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著雍攝提】。陽。或問'心性之分'。答曰。 "朱子曰。 '人之德性。 本無不備。 而氣質所賦。 鮮有不偏。' 慶源輔氏曰。 '德性。 根於無極之眞。 所以全無不備。氣質。 稟於陰陽五行之氣。 則有剛柔過不及之分。 所以鮮有不偏。' 陳氏曰。 '有形則有心。切想。 心卽氣也。 性卽理也。 眞實底爲性。 虛靈底是心。 心卽載理之具也。' 南塘曰。 '五行精靈之氣聚而爲心。'" 경원보씨((慶源輔氏) 주희의 문인(門人) 보광(輔廣)을 말함. 경원(慶源)은 출신 지명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秋蟬 凉風微動小西樓凄送寒蟬䙚娜浮宦意無端同爾翼垂緌何事在於頭棠梨院落淸陰永菡蓞池臺古木幽安得善吟如永叔一樽論賦共淹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禁苑叢竹 水氣爲淸玉色蒼彤階遲日淡生凉坐久能令忘問味興來端合展書床篩月參差千甲健鳴風婀娜尺琴長憐君解慰饞朋意一夜移根自海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淹直 淹直經旬享役兼西風浙瀝動旌簾宦情鷄肋關心久世事牛毛着眼纖湖海多年孤玉版長安十月索形鹽誰敎遠峀衷腸劈瘦骨橫秋劒似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據梧 據梧如塑坐終朝靜聽松濤過錦橋削瘦雲巒凝碧玉戰酣霜葉漲紅潮埋頭斷簡淸閑得着眼寒花鄙吝消始信山林城市在且將琹操隱淪招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