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乙密臺 乙密臺高四望開。淸風吹似躡蓬萊。繁華叢裏曾聞否。肚土腸塵忽醒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明寺 永明禪寺何淸淨。花木深深落鐘磬。日置官樽深似海。道場還是風流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老柏書舍新成 我老柏先生林樊窮約。無藏修一室。摳衣者病焉。往在甲辰春。及門諸子相與裒合若干物。拮据營度。越六年己酉仲冬始役。翌年庚戌暮春落之。聊賦一律。示同硏諸賢。穹林風雪歲寒天。老柏堂成特地鮮。憤世靡由伸大志。入山亶合抱殘編。武夷當日茅茨掩。某里何年花葉傳。諸子于今歸有所。微陽一脈動窮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柏堂秋夕。同權丈明湖【雲煥】緩石【晩熙】松山【載圭】及南立巖【廷瑀】唱酬。 三載別離意轉沈。柏堂相對歲寒心。蟲嫌露冷吟虛壑。月和雲深掛遠林。空谷呈輝藏白玉。大爐熏燄躍精金。願君休作悲秋客。收得沖和養素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喂馬黔巖【自牡丹巖三十里】 駁駁愁雲釀送急雨千里之裝一倍更重鞭下羸騧其能堪耐否十年行跡眼分明坐數溪巒夢裏程一堠靑巖殘驛外參差萬木是長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2년 정덕철(鄭德哲)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표 壬寅月日 鰥夫 閑良 鄭德哲 行郡守 壬寅月日 鄭德哲 興陽郡守 전라남도 고흥군 興陽郡印(적색, 정방형, 4.5×4.5), 興陽郡守之章(적색, 정방형, 2.5×2.5), 고흥 학림 여산송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1902년(광무 6)에 정덕철(鄭德哲, 79세)이 흥양군(興陽郡)에 제출한 호구단자. 1902년에 鄭德哲(79세)이 興陽郡에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豆原面 鶴林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二鳥吟示元善勉承【李相武】四首 宇內蕭條夜正長。何來二鳥入吾床。却看春藪花如海。爾獨聯翩寂寞鄕。冠裳裂盡羽毛橫。海魍山魑白晝鳴。漢語漢粧秦吉了。死猶不欲入蠻城。紇干山外雪霏霏。靈雀翩翩下上飛。萬木飄零皆凍死。翛譙尾羽不移枝。爾我遊翔轉眷仍。孰爲希有孰爲鵬。欲圖九萬長天外。積得培風負翼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統營北將臺觀海 大水東西萬里開。羣山點點小如盃。臨風百起師襄想。孤鳥茫茫去不廻。

상세정보
程子曰。心也。性也。天也。一理也。自理而言。謂之天。自稟受而言。謂之性。自存諸人而言。謂之心。此言人之所得乎天而主乎一身者理也。張子曰。由太虛有天之名。由氣化道有之名。合虛與氣有性之名。合性與知覺有心之名。此從一理上漸細分說。出氣化非道。所以氣化者乃道也。如所謂一陰一陽之謂道。性卽理也。而所掛搭者氣質。故謂之合也。氣字。特帶去說、非謂理與氣。均半襯合。而爲性。性之發爲情。而情乃知覺底物。合性與知覺。卽心統性情之謂也。朱子曰心如水。性猶水之靜。情則水之流。此言心之統性情。猶水有靜動。而性是心之軆。情是心之用也。合此數說而觀之。則心性情。名義軆統。槩可知矣。蓋心之全軆。湛然虛明。萬理具足。隨感而應。妙用不測。以其未發而全軆者言之。則性也。卽健順五常之理。乘氣而靜者也。以其已發。而竗用者言之。則情也。卽喜怒哀懼愛惡欲之理。乘氣而動者也。心統性情云者。只就混淪一物之中。指其未發已發而爲言耳。非是心是一箇地頭。性是一箇地頭。情又是一箇地頭。如此懸隔也。理則純一無雜。氣則有萬不同。故淸者智而濁者愚。粹者賢而駁者不肖。是以有聖凡心不同之說。而然及其未發。氣不用事。故雖濁駁之甚者。無惡可言也。及其已發。知覺不同。而善惡判焉。其原於性命之正者。曰道心。道心之發。非不乘其氣。而特純乎天理者也。如惻隱仁之端。羞惡義之端。辭讓禮之端。是非智之端。與夫愛敬忠悌之類是也。其生於形氣之私者則曰人心。人心之發。非不原於理。而特所感者形氣也。如口之於味。鼻之於臭。目之於色。耳之於聲。四肢之於安佚。精盛思室。飢欲食。寒欲衣之類是也。然人心也。有天理焉。有人欲焉。其發也。循乎天理。則爲善。如富食而食。當衣而衣。視聽言動之俱以禮也。此孟子所謂形色。天性也。惟聖人然後。可以踐形也。徇乎人欲則爲惡。如不當食而食。不當衣而衣。視聽言動之俱以非禮也。此孟子所謂飮食之人。則人賤之矣。爲其養小而失大也。人心者。形氣之私也。道心者。天理之公也。七情者。人心道心之總名。四端者。七情中善情之一名。人心道心。固可以對言。七情四端。不可以對言。猶性與情。固可以對言。而心與性。不可以對言也。世之學者。不能深究乎此。而遂以心性判作兩段。動輒曰心卽氣。而性卽理也。且創爲性爲心宰之說。以粧點理爲氣主之案。若果爾則是性却統心也。心統心性情之妙。更於何推覓。而朱夫子。主宰是心之說。反顚倒無理。如使朱子家奴起乎今日。其將袖手含嘿乎。抑亦苦口辨誣乎。噫。人皆有是心。而不思已矣。朱子曰心之理。是太極。心之動靜。是陰陽。蓋人心之有寂感。如太極之有動靜。而爲一身之主。萬化之本。心與太極。其實一也。故曰心爲太極。又曰惟心無對。
한국학호남진흥원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程子曰。心也。性也。天也。一理也。自理而言。謂之天。自稟受而言。謂之性。自存諸人而言。謂之心。此言人之所得乎天而主乎一身者理也。張子曰。由太虛有天之名。由氣化道有之名。合虛與氣有性之名。合性與知覺有心之名。此從一理上漸細分說。出氣化非道。所以氣化者乃道也。如所謂一陰一陽之謂道。性卽理也。而所掛搭者氣質。故謂之合也。氣字。特帶去說、非謂理與氣。均半襯合。而爲性。性之發爲情。而情乃知覺底物。合性與知覺。卽心統性情之謂也。朱子曰心如水。性猶水之靜。情則水之流。此言心之統性情。猶水有靜動。而性是心之軆。情是心之用也。合此數說而觀之。則心性情。名義軆統。槩可知矣。蓋心之全軆。湛然虛明。萬理具足。隨感而應。妙用不測。以其未發而全軆者言之。則性也。卽健順五常之理。乘氣而靜者也。以其已發。而竗用者言之。則情也。卽喜怒哀懼愛惡欲之理。乘氣而動者也。心統性情云者。只就混淪一物之中。指其未發已發而爲言耳。非是心是一箇地頭。性是一箇地頭。情又是一箇地頭。如此懸隔也。理則純一無雜。氣則有萬不同。故淸者智而濁者愚。粹者賢而駁者不肖。是以有聖凡心不同之說。而然及其未發。氣不用事。故雖濁駁之甚者。無惡可言也。及其已發。知覺不同。而善惡判焉。其原於性命之正者。曰道心。道心之發。非不乘其氣。而特純乎天理者也。如惻隱仁之端。羞惡義之端。辭讓禮之端。是非智之端。與夫愛敬忠悌之類是也。其生於形氣之私者則曰人心。人心之發。非不原於理。而特所感者形氣也。如口之於味。鼻之於臭。目之於色。耳之於聲。四肢之於安佚。精盛思室。飢欲食。寒欲衣之類是也。然人心也。有天理焉。有人欲焉。其發也。循乎天理。則爲善。如富食而食。當衣而衣。視聽言動之俱以禮也。此孟子所謂形色。天性也。惟聖人然後。可以踐形也。徇乎人欲則爲惡。如不當食而食。不當衣而衣。視聽言動之俱以非禮也。此孟子所謂飮食之人。則人賤之矣。爲其養小而失大也。人心者。形氣之私也。道心者。天理之公也。七情者。人心道心之總名。四端者。七情中善情之一名。人心道心。固可以對言。七情四端。不可以對言。猶性與情。固可以對言。而心與性。不可以對言也。世之學者。不能深究乎此。而遂以心性判作兩段。動輒曰心卽氣。而性卽理也。且創爲性爲心宰之說。以粧點理爲氣主之案。若果爾則是性却統心也。心統心性情之妙。更於何推覓。而朱夫子。主宰是心之說。反顚倒無理。如使朱子家奴起乎今日。其將袖手含嘿乎。抑亦苦口辨誣乎。噫。人皆有是心。而不思已矣。朱子曰心之理。是太極。心之動靜。是陰陽。蓋人心之有寂感。如太極之有動靜。而爲一身之主。萬化之本。心與太極。其實一也。故曰心爲太極。又曰惟心無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朱夫子於大學傳明德曰。明德者。人之所得乎天。而虛靈不昧。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又嘗曰天之賦於人物者。謂之命。人與者受之者。謂之性。主於一身者。謂之心。有得於天而光明正大者。謂之明德。又曰這箇道理。在心裏。光明照徹。無一毫不明。又曰人本來皆具此明德。德內便有仁義禮智四者。只被外者汨沒了。不明。又曰明德。謂得之於已。至明而不昧者也。如父子則有親。君臣則有義。夫婦則有別。長幼則有序朋友則有信。初未嘗差也。苟或差焉。則其所得者。昏而非固有之明矣。又曰天之所以與我。便是明命。我之所得以爲性者。便是明德。命與德。皆以明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雲齋書 謹伏問肇冬。重侍經體候。萬勝盛課。造詣得正否。夫子曰吾嘗終日不食。終夜不寢以思。無益。不如學也。又曰學而時習之。不亦悅乎。又曰朝聞道。夕死可也。夫知之明仁之至。誠莫如天下萬世之大聖。而自爲爲人之訓。不過如此。此後之儒者。可以惓惓焉向學。而眞實心地。不可一日放過怠惰也。今吾兄。則稟質高明。早自好學。而況又家學淵源。浩有端緖。勵志愼終。智日益明。業日益廣。以繼家緖。以幸吾道。而廣施愛人以德之風。以嘉言善責。警開此漢輩。愚陋之衷深切伏望耳。弟無撓還侍。而所課。只自虛費居諸而已耳。賤身所懷。仰告于別紙。下量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野宿二水頭【自月溪十里】 江樹蒼凉晩色浮行人欲斷店烟稠靑眸點檢千峰面白酒留連二水頭萬瀑波濤來兩岸五臺消息在中流炎塵四月淸冷坐客夢迢迢海上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김수의(金守毅)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幼學 金守毅 [1858] 興陽縣監 金守毅 전라남도 고흥군 興陽縣監之印(6.8x6.8, 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화장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9-01-000718 1858년(철종 9)에 흥양현에서 김수의(金守毅, 8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58년(철종9)에 興陽縣에서 金守毅(83)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大西面 禾場里 *기타사항: 문서 좌측이 소실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7년 김수의(金守毅)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丁酉式 行縣監 幼學 金守毅 丁酉式 [1837] 興陽縣監 金守毅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7x7, 적색, 정방형) /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화장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9-01-000718 1837년(헌종 3)에 흥양현에서 김수의(金守毅, 62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37년(헌종3)에 興陽縣에서 金守毅(62)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大西面 禾場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김수의(金守毅)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戊子式 行縣監 幼學 金守毅 戊子式 [1828] 興陽縣監 金守毅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6.5x6.5, 적색, 정방형) / 周挾字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화장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OD_F1009-01-000718 1828년(순조 28)에 흥양현에서 김수의(金守毅, 5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828년(순조28)에 興陽縣에서 金守毅(53)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大西面 禾場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김응상(金應相)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幼學 金應相 1822 扶安縣監 金膺相 전라북도 부안군 行縣監[着押] 6.5*6.5 1개(적색, 정방형) 부안 돈계 김응상 후손가 부안 돈계리 김응상 후손가 1822년(순조 22)에 부안현 남하면 둔계리에 거주하는 김응상이 부안현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1822년(순조 22)에 부안현(扶安縣) 남하면(南下面) 둔계리(遯溪里)에 거주하는 김응상(金應相)이 부안현(扶安縣)에서 발급받은 준호구이다. 김응상의 본관은 부령(扶寧)으로, 당시 47세였다. 그는 아내 남원양씨(南原梁氏, 28세)와 아들 귀묵(貴黙, 18세)과 함께 살고 있었다. 기재된 문서에 의하면 외조가 2명인 것으로 보아 양씨는 후처(後妻)로 추정되며, 귀묵은 나이로 미루어 볼 때 전처(前妻) 소생으로 보이며 이때까지 전처의 부(父)는 살아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문서에는 호구단자 작성연대가 나와 있지 않았으나 김응상이 44세 때 작성한 문서에 의거하여 12년 후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데리고 살았던 노비가 1명이 있었으나 도망갔다고 나와 있다. 부안현 남하면 둔계리는 오늘날의 부안군 주산면 돈계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正月四日夜同石南會睡翁家唱酬續除會【己丑】 豪朋高士日相親何幸東隣邂逅頻夜靜燈花虛照箔庭空雪月淨留人襟期便是忘吾爾交契何須問舊新白屋主翁詩酒贍春來花鳥不愁貧【其二】月移星轉夜生寒玉漏迢迢蠟燭殘十日閑忙春夢至一天冷煗世情看詩逢新歲添三昧酒得良朋覺二難萬慮消磨譚笑席不知身世在長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振威喜到原逢驟雨 咫尺轟雷馬首聞滂沱和雹落紛紛千回野峽紅潮浪四塞乾坤墨色雲蘆笠健翁黃犢叱蒲簑少婦綠秧分行人沾濕何須惜好見農家色色欣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