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崔强齋【東煥】 仲素先生道久窮。愿中首事復吾公。顚倒人寰仁豈壽。齎咨不敢怨蒼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浮碧樓 浮碧樓前江水淸。風烟亦一練光亭。遊人不必爭高下。第一何如錦繡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同江 千古紛紛王儉城。大同江水至今淸。遊女不知興廢事。綠波添淚謾縱橫。【鄭知常詩云。大同江水何時盡。別淚年年添綠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練光亭 錦繡江山第一樓。浮生半日放靑眸。長城大野黃元句。愁殺風光未盡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箕子井 行尋箕子井。不食已千春。那將竝受福。勸相以勞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李惟常【侙】歸湖西 今日逢君眼忽靑。驪駒旋唱却傷情。海天落木蕭蕭夜。更從何處聽鷄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別隱求黃兄【澈源】兼呈李德受【承福】鄭元實【現采】兩君。 面奉雖今日。心交已十年。促席還無語。蕭蕭風雪天。鵬藏扶搖翼。雀得不移枝。二者吾何適。憑君一問之。大緖輕於髮。何處聞孩兒。宇宙無窮痛。仰蒼一噓唏。歎息徒爲耳。努力趲前程。獨立何須懼。只俟皓天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南黎許公【愈】 先生湖海姿。挺然起南服。淵源遡寒浦。德隣接老柏。矻矻七十年。持守彌堅確。絲綸飛入洞。聞天九皐鶴。歲今嗟辰已。斯文一何厄。嗚呼經濟業。林泉此零落。後生靡所依。吾道疇所託。匐匐來相紼。有淚徒沾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月皐趙公【性家】 黎翁哭罷又皐老。士藪荒凉夕氣中。十年瞻斗今黃土。有淚傾河笑放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鴨綠江 江水澄澄鴨綠然。五年三渡亦何緣。畵船簫鼓腸堪斷。瑟瑟秋風動塞天。【柳冷齋入瀋陽詩。畵船簫鼓無消息。腸斷淸南第一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東縣 十數千年閒曠地。中東今日大都門。江山平遠雲烟合。市衕縱橫草樹昏。方袖長衫來萬國。火輪風帆動千屯。滿腔懷抱無人瀉。落日江干暗斷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安東至奉天七百里之間。或原野平曠。或石壁峻拔。往往有可遊可覽處。而余三入于此。每因忽。未及下車窮搜。恨也。玆隨車中所覽以賦之。 曉旗拂拂出埠頭。機角一聲山如傾。輪路生風飛鳶如。山山水水夢中行。五龍湯山鴉鶻關。高麗門又鳳凰城。滿地薥黍秋正熟。大野周遭西南間。鳳山秀氣揷蒼空。絶壁杈枒老龍盤。霧罷日照山更態。秋水菡萏夏天雲。北馳崚?益奇峭。山曰鷄冠似鷄冠。自是峽束直峻天。土民調度極蕭凉。平生不識秔稻飯。峽隴欹畦惟薥梁。懸崖薄薄荒茅裏。男提女挈似蛣蜣。羊牛豚彘百其羣。來則畢來升則升。但能馴獸未馴人。男蠢女頑自相陵。看來習俗多險怪。黙認太陽照未曾。通遠堡過連山關。太子河水何淸澄。福金纔過本溪湖。機設轟轟烟炭興。火連寨北石橋間。山回水曲窈而明。石壁重重連絶壑。劈掌立指勢若驚。可是山人藏別業。百千回首眼益靑。姚千家及陳相屯。山根已落大野生。從來峽國生長物。三到遼天將何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春灘李公【泰鉉】二首 三棣聯芳鄂不韡。南州儒拂獨名家。未試胸中經濟業。居然零落去山阿。先子當年託契深。同庚同志許蘭金。悽斷牙琴因更續。九原寒月也相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遼野道中 我行遼東野。八月風雪凄。野闊山無見。雲迷天欲低。落日入樹梢。長烟起隴畦。水流疑上下。馬行迷東西。土俗蠢而尨。天荒猶未開。歲暮人已遠。誰復穿榻來。荒草風霾裏。停笻獨徘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黃景涵二首 千里相思髮欲皤。頭流萬疊共雲峨。夜久燈深無夢寐。一天明月惱人多。自是吾人與世疎。靑燈落木讀何書。尊華主理師門訣。竚子勤勤續緖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靜夜 梧月影凌亂。松風韻斷連。深深無寐坐。思入太初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德里沈孔玉【鎭禧】征幰 聞君賦遠遊。耳輪雙淸越。視枉宜自省。見善如己出。達南多風景。公北幾雋傑。管領錦囊恢。歸告守堂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石愚權公【載斗】 惟公廊廟器。高臥石山東。事業閒中大。規模拙處雄。樓儲書萬卷。樽有菊千叢。遽向佳城去。凄凉士藪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題 莫將理分容層節。須識偏全是本然。燦然渾然卽在在。此外何曾別有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武山精舍十二詠 泰巖之山。崱屴而周遭爲一方之鎭山之西洞壑深邃。有村曰武山。粤在辛亥。余自溪上寓此。居甚湫隘。從者病焉。於是相地於村之東平川之谷。地平廣數畝。繚深而爽塏。東西兩麓相抱若拱揖然。南望而隱然若雲中華蓋者。是名金盤城也。爲屋三間。軒堂房室畧備。室之西者曰何求。中曰俱努。東曰留行。皆取朱子武夷詩語。軒曰懷露。以母墳在西麓外十帿地。堂曰吟歸。以寓秋陽江漢之思。總而顔之曰武山精舍。因地名也。西麓之疊石爲臺者曰挹淸。東麓之突然爲皐者曰舒嘯。兩谷之水琮琤如碎玉聲者曰鳴玉之澗。因各賦小詩以道其意。時甲寅之暮春也。精舍人山非素志。欲往靡所由。地名亦不偶。結茆希前修。何求屋悠悠世間事。求無得之必。我求異諸人。但願靡差失。俱努宇徵逐曷爲貴。觀善寔眞工。所以滄洲老。一言戒羣蒙。留行寮山深微逕斷。多謝故人尋。出門問花柳。對床讀古今。懷露軒鬱鬱西山麓。嗚呼寄先阡。獨懷霜露感。百回泣寒泉。吟歸堂吟吳歸來晩。溪月入簾新。悠悠江漢思。努力奉刹塵。平川洞桑麻自春色。花石別洞天。寂寂囂塵斷。卒歲可盤旋。泰巖山泰巖山萬丈。磅礡聚精神。世無孫秀才。隱淪已千春。金盤城金盤當面好。對此心無懌。笑殺建元皇。鍛鑄枉費力。挹淸臺人間皆熱海。臺上獨淸風。徘徊弄明月。微爾與誰同。舒嘯臺高懷瀉無處。時時獨登臺。萬古一長嘯。南山更崔嵬。鳴玉澗置屋曲磵隅。爲絶是非聲。溪神能解意。故敎石頭鳴。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