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警示賊徒文 爾東徒。悉聽我言。蓋亂臣賊子。不必士師。人人得以誅之。邪說害正。不必聖賢。人人得以攻之。此是大聖人。一部春秋。垂世立法之訓也。若外乎此。則是侮聖言。而不畏天命也。爾徒。俱非吾君之臣子乎。乃祖乃父。幾十世以來。久蒙五百餘年。敎養之聖化。而爾徒之頂天履地。絲身穀腹。而得至有今日者。又是誰之力耶。設或不幸。而有外國侵犯。固當誓死同力。禦侮敵愾之不暇。而若之何。近歲以來。漸染邪敎。嘯聚頑愚。橫行列邑。冒犯邦憲。竊奪軍器。拒戰王師。而乃反以輔國安民之說。愚弄一世。爾徒之心。路人皆知。此乃邪說之巨魁。亂賊之首倡也。獲罪于天。無所逃也。曾聞爾徒之言。亦曰忠孝。忠孝之人。亦有是事耶。上以貢國家宵旰之憂。下以遺民生耕作之害。若是者。果爲輔國安民乎。且爾徒。曾不讀古史乎。雖尤作亂。銅額能霧。而竟禽於涿鹿之野。黃巾米賊。偏滿天下。而盡滅於群雄之手。若爾徒者。以回回歐巴之魔道幻術。誘合不逞。敢行亂逆。豈謂三千里江山。無忠義英豪之人。聲罪致討者乎。今爲爾徒計。莫若釋爾兵器。歸命法司。則我國家。以天地寬仁大度。視之以潢池弄兵。而舊染汚俗。咸與維新也。若終不改心革面。而陸梁梗化。敢爲仇敵。則皇天祖宗之靈。赫怒降威。乃殄滅之無遺育。而乃祖及父。亦乃斷棄汝。不救乃死。爾徒之言曰。豈以一王之民。而自相攻擊。爾旣知爲王民。則王民。而若是乎。父雖不慈。子不可以不孝。君雖不字。民不可以不忠。實萬古不易之常經也。爾徒今日所爲。於心安乎。於理當乎。心不安理不當。而忍而爲此。則不軌甚矣。非徒爲一國一世之罪人。而乃天下萬世之罪人也。古人云。異端邪說之害。甚於淇水猛獸。而其流之弊。至於流血千里。伏屍百萬。歷觀古今。信乎其不誣矣。吾姓各。金漢燮也。早承家訓。粗知爲已之學。而又從師友間。所讀者。聖賢之書。所講者。忠孝之道。而外他不正之書。未嘗一接於目。非法之言。亦未嘗一出於口。雖僻處荒野。每聞爾徒。以妖邪術學。誘人聚黨。而苦口擯斥之者。特以其害吾正道也。雖知寸膠莫能止乎濁流。竊比孤燭。庶有光於昏衢。爾徒誠若以此。而欲甘心於我。則使一卒剌而殺之。則已矣。何必煩動。爾數多徒黨耶。蓋從古無不亂之國。而亂定則民生自若也。今爾徒。非惟亂逆。罪不容誅。使我倫綱衣裳之人。駸駸然胥入於裔戎禽獸之域。而箕邦三千年禮義之俗。掃地盡矣。其禍其罪。奚啻倍蓰於稱亂也。昔魯汪童。死於衛社。而聖人。命勿殤焉。今吾老病將死矣。雖莫能執兵衛社。如汪童之爲。而若以閑聖道。斥邪說。見害於爾徒。則吾亦甘心矣。橫逆之來。聖人有所不免。吾雖昏劣。豈肯畏㥘奔竄。而爲全軀之計哉。世間人生。孰不一死。而死於死。則幸莫幸矣。舍生取義。殺身成仁。矢心已久。自外榮辱。我何與焉。我之所居。卽首腸山下也。死之日。得埋於首陽之側。從夷齊二子。遊於地下足矣。他復何說。崇禎五甲午五月朔朝。雷山病人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율수재집(聿修齋集) 6卷 3冊 聿修齋集 聿修齋遺稿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聿修齋遺稿 朴海量 木活字本 3 有界 10行20字 한자 內向二葉花紋魚尾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박해량(朴海量, 1850~1886)의 시문집. ■ 형태서지 권수제 聿修齋集 판심제 聿修齋遺稿 간종 목활자본(木活字本) 간행년 1909 권책 6권 3책 행자 10행 20자 어미 內向二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선간집수 ■ 저자 성명 박해량(朴海量) 생년 1879년(고종 16) 몰년 1950년 자 도겸(道謙) 호 율수재(聿修齋) 본관 순천(順天) 특기사항 면암 최익현이 제주와 흑산도에 유배를 갈 때 적소에 따라가 모시고 공부했다. ■ 가계도 朴英䂓(시조) 高麗 開國功臣 朴可興 領議政 朴錫命 大提學 朴叔善 同知敦寧府事 朴而恭 彰信校尉 五代祖 朴光純 高祖 朴重元 曾祖 朴達鎭 祖 朴聖洛 父 鄭煥禹 順天朴氏 朴奎祚의 女 朴海量 女 奇世弘 平澤林氏 林基休의 女 朴源東 朴幼君 蔚山金氏 金瀘休의 女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철종 1 1850 경술 道光 30 1 광주 하남에서 태어났다. 고종 10 1874 갑술 同治 13 25 면암의 유배지인 제주를 방문하여 공부하였다. 고종 13 1876 병자 光緖 2 27 면암의 유배지인 흑산도를 방문하여 공부하였다. 고종 22 1885 을유 光緖 11 36 어머니 상을 당하였다. 고종 23 1886 병술 光緖 12 37 5월 29일 37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 고룡면에 장사지냈다. 순종 3 1909 기유 宣統 1 장자 朴東源에 의해 문집이 편집 및 간행되었다. ■ 생애 『율수재집(栗修齋集)』은 박해량(朴海量 : 1850-1886)의 시문집이다. 6권 3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박해량의 자는 도겸(道謙)이고, 호는 율수재(聿修齋), 본관은 순천(順天)이다. 시조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박영규(朴英規)이고 영의정을 지낸 정후공(靖厚公) 휘 가흥(可興), 대제학을 지낸 문숙공(文肅公) 휘 석명(錫命) 등이 그의 선조이다. 정조반정의 원훈공신인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를 지냈던 휘 숙선(叔善) 때에 문호(門戶)가 성만(盛滿)함을 두렵게 여겨 호남의 나주로 퇴거하고, 창신교위(彰信校尉) 휘 이공(而恭)이 광주로 이거한 뒤부터 세거하였다. 독수재(篤守齋) 휘 광순(光純)이 5대조이고, 고조는 휘 중원(重元), 증조는 휘 달진(達鎭)으로 호는 백당(栢堂)이며 조부는 휘 성락(聖洛)이며, 아버지는 휘 정현(鼎鉉)으로 호는 농와(農窩), 어머니는 기계유씨(杞溪兪氏)씨로 유치복(兪致福)의 따님이다. 박해량은 1850(철종1)년에 태어났다. 박해량의 집안은 5대조인 독수재공 때부터 행의(行誼)로 이름났고, 연원(淵源)이 방정하여 그 영향이 방친(傍親)에게까지 미쳤으니, 이러한 가풍은 그의 아버지 농와에게 이르러서 역시 재물은 가벼이 여기고 의를 중시하며 효우(孝友)하고 근검하며, 어진이를 높이고, 덕을 숭상하게 되었다. 해량 또한 어려서부터 성품이 남들과 다르게 뛰어나 마을 사람들이 모두 비상한 아이라고 칭하였다. 해량은 이런 가풍을 본받아 과장을 분주히 다니며 형세에 따라 간알(干謁)하는 세상의 풍조를 한 번도 마음에 품지 않고, 오직 학문절행(學問節行)에만 힘쓰며 성현들을 찾아가 원근(遠近)을 가리지 않고 배우기를 청하였다.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등을 찾아가 배웠다. 중암은 권면과 경계의 뜻을 담아 율수재(聿修齋)라는 호를 지어주고, 「율수재기(聿修齋記)」를 지어주었으나, 일실되어 문집에는 실리지 못하였다. 특히 박해량은 1873년부터 1876년 동안 제주도와 흑산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면암을 찾아가 뵈었는데, 이때의 일을 기록한 「해상일기(海上日記)」가 문집에 실려 있다. 중암은 「최영호입흑산도기(崔永皓入黑山島記)」를 지어 면암이 흑산도에서 유배생활 한 내용을 기록하였는데, 거기서 해량이 제주도와 흑산도를 모두 따라가면서 면암을 모시며 공부한 것을 송대 마신(馬伸)과 정이천의 고사에 비유하여 "이는 정자(程子) 문하의 마동평(馬東平)을 오늘날 다시 보는 것과 같다. 비록 그렇지만 박생(朴生)은 사부(士夫)라, 손재공(遜齋公, 朴光一)이 방조(傍祖)로, 공은 일찍이 화양(華陽 宋時烈) 선생의 문하로 세상이 고제자(高弟子)로 칭하였으니, 그 연원(淵源)의 유래가 진실로 이와 같다.[是程門之馬東平 復見於今日也 雖然 朴生士夫也 以遜齋公爲旁祖 公甞學於華陽先生 世稱高第弟子 則其淵源之所自 固當如是]"라고 칭찬하였다. 박해량은 학문하는 뜻이 박학하고 장단을 가려 취하여 수신하는데 힘쓰고 변혹(辨惑)함에 있어서는 외부나 무리를 따르거나 한갓 보고 듣는 것에만 치우치려하지 않았다. 해량은 또한 노사(盧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의 대요를 들으며 뛰어난 동학들과 함께 반구무실(反求務實)하고 수렴회양(收斂晦養)하며 학문에 힘썼다. 오로지 성리학만을 공부하였지만, 문장 또한 전아(典雅)하여 많은 수창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선조인 손재(遜齋) 박광일(朴光一)의 명문에 있는 "주작 그림자 홀로 우뚝 서서 하늘을 섬긴다[朱雀影一 柱亭事天]"는 8글자를 면려(勉勵)의 뜻으로 삼았다. 효성 또한 깊어서 1885년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을 때는 안색이 수척하고 슬프게 통곡하여 많은 이를 보고 탄식하지 않은 사람들이 없었다. 박해량은 1886년(고종23) 5월 29일 37세의 젊은 나이에 별세하였다. 별세한지 6년 뒤에 장남 원동(源東)이 먼 길을 무릅쓰고 면암을 찾아가 행장을 부탁하니, 면암이 이를 안타까워하여 행장을 지어주었다. 장지는 고룡면(古龍面)이다. 부인은 평택임씨(平澤林氏) 임기휴(林基休)의 딸로 1녀가 있는데, 기세홍(奇世弘)에게 출가하였다. 후취(後娶)로는 울산김씨(蔚山金氏) 김노휴(金瀘休)의 딸로 원동(源東), 유군(幼君) 2남을 두었다. ■ 구성과 내용 『율수재집(栗修齋集)』은 1909년 그의 아들 박동원(朴東源)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6권 3책 목활자본이다. 서문은 1909년에 기우만(奇宇萬)이 지었고, 별도의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권1에는 시 67편이 실려 있고, 권2에는 서(書) 24편이 실려 있으며, 권3에는 기(記) 1편, 발(跋) 4편, 설(說) 1편, 제문(祭文) 4편, 행록(行錄) 1편이 실려있다. 권4에는 일기 1편이 있으며, 권5에는 강설(講說) 2편이 있고, 6권은 부록이다. 권1은 시집이다. 「상면암선생비소(上勉菴先生匪所)」, 「상로사선생(上蘆沙先生)」, 「차기송사운(次奇松沙韻)」 등과 같은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 노사(蘆沙) 기우만(奇宇萬), 송사(松沙) 기정진(奇正鎭),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 운재(雲齋) 최영조(崔永祚) 등과 차운한 시들이 많다. 또한 「제주주중(濟州舟中)」, 「상면암선생비소(上勉菴先生匪所)」, 「한라산(漢拏山)」, 「영비관정초(詠匪舘庭草)」, 「문동요(聞童謠)」 등은 면암 최익현이 제주도와 흑산도에서 유배 생활을 할 때 면암을 따라 제주도와 흑산도를 방문했던 일들을 기록한 시이다. 그중에서 「제주주중(濟州舟中)」은 제주도를 향하는 감회를 남긴 시이며, 「한라산(漢拏山)」은 제주도에서 방문한 한라산의 절경을 그린 시이다. 또한 「문동요(聞童謠)」는 면암이 73년 서원 철폐에 반대하는 상소로 제주도에 유배되고, 76년 개항을 반대하며 지부상소(持斧上疏)를 올린 일로 흑산도로 유배가자 세간에 "지금 하늘 아래 다만 최충신 한 사람 뿐이다[今天之下 只有崔忠臣一人]"는 동요(童謠)가 불린 것을 듣고 면암의 충절과 혼란스러운 당시 세태를 비판하는 내용이다. 그리고 면암의 「수박도겸(酬朴道謙)」은 박해량의 「하설(夏雪)」, 「영비관정초(詠匪舘庭草)」, 「문통신사영적이내발분구호(聞通信使迎賊而來發憤口呼)」, 「문동요(聞童謠)」 등의 시들을 읽고 화답한 시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이를 보면 박해량이 제주도와 흑산도에서 스승과 함께 보냈던 일과 감상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 「문통신사영적이내발분구호(聞通信使迎賊而來發憤口呼)」는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1880년 김기수(金基洙)가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에 가서 서양인을 칙사로 맞이하고 사학(邪學)을 전수받아 온 것을 비판하고, 위정척사의 뜻을 밝힌 시이다. 「하설(夏雪)」과 「영비관정초(詠匪舘庭草)」 등에서도 나라를 걱정하고, 스승의 충절을 기리는 내용으로 박해량의 척사사상을 엿볼 수 있다. 이외에도 면암 최익현의 상소문을 읽고 쓴 「독면암선생소(讀勉菴先生疏)」, 청도에 최치원(崔致遠)이 직접 팠다는 우물을 가서 보고 쓴 「관청도등최고산친굴정감음(關靑島登崔孤山親掘井感吟)」 왕세자가 탄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 감흥을 쓴 「왕세자탄강(王世子誕降)」 등이 있으며, 「대설(大雪)」, 「지진(地震)」, 「영귤(詠橘)」 등과 같이 자연 기물이나 현상을 쓴 시들도 다수 있다. 2권은 기정진(奇正鎭), 최익현(崔益鉉), 김평묵(金平黙), 임헌회(任憲晦) 등 스승과 나눈 편지와 기우만(奇宇萬), 전우(田愚), 최숙민(崔琡民), 유중교(柳重敎), 김병저(金炳著) 등의 지인들과 주고받은 24편의 서찰이 있다. 대체로 이기변설(理氣邊說), 명덕주리주기지설(明德主理主氣之說)과 같은 이기론과 관련된 문답이나, 상례(尙禮)의 절차, 『주자어류(朱子語類)』의 내용에 대한 문답과 같은 도학공부에 대한 문답이 다수이다. 이외에도 특히 면암과 나눈 서찰에서는 유배지의 안부를 묻는 내용과 함께 혼란한 정세를 걱정하는 우국의 내용 또한 엿볼 수 있다. 3권은 기(記) 1편, 발(跋) 4편, 설(說) 1편, 제문(祭文) 4편, 행록(行錄) 1편이 있다. 기문인 「지장암기(指掌巖記)」 1편은 면암이 흑산도로 유배된 다음 해 3월 흑산도 천촌(淺村) 마을의 해신사(海神祠) 앞에 있는 입석을 보고 주자의 시구인 '위아중지장(爲我重指掌)'를 따서 '지장암(指掌巖)'이라 이름을 짓고, 화서의 유지(遺志)를 따라 '기봉강산홍무일월(箕封江山洪武日月)'이라는 8자를 새긴 것을 보고 쓴 기문으로, 면암이 주공(周公), 공자(孔子), 맹자(孟子)의 세 성인의 뜻을 계승하여 척사왜양 정신을 기리는 내용이다. 발은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의 소차(疏箚)에 쓴 「서송자소차(書宋子疏箚跋)」, 면암의 소차에 쓴 「면암선생소차발(勉菴先生疏箚跋)」, 사헌부 장령으로 면암에 이어 1873년에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탄핵 상소를 올렸던 홍시형(洪時衡)의 상소에 쓴 「서홍시형소후(書洪時衡疏後)」, 그리고 김재광(金在光)의 부인인 유인(孺人) 최씨(崔氏)의 행록(行錄)에 쓴 「서최유인행록후(書崔孺人行錄後)」 등이 있다. 설은 「자경설(自警說)」 1편이 있고 제문은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제문 「제고산선생문(祭鼓山先生文)」,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제문 「제노사선생문(祭蘆沙先生文)」 등 4편이 있다. 행록은 증조 백당(栢堂) 박달진(朴達鎭)의 행록인 「증조고백당공행록(曾祖考栢堂公行錄)」 1편이다. 4권은 일기로 「해상일기(海上日記)」 1편이 있다. 「해상일기(海上日記)」는 면암이 제주도 유배를 가던 이듬해인 1874년과 흑산도 유배 중이던 1876년에 제주도와 흑산도를 방문하여 경서에 관한 토론을 하며 공부하고 시국을 걱정하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일기는 총 3기간으로 나뉘는데 제주도 유배 기간에 방문한 1874년 2월부터 4월까지, 면암이 사면되어 장성으로 돌아가는 길을 함께 했던 1875년 4월부터 10월까지, 그리고 흑산도 유배기간에 방문한 1876년 2월부터 6월까지이다. 먼저 제주도 유배 시 방문했던 첫 번째 기간은 김효환(金孝煥)과 함께 제주도로 출발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제주도에 도착한 뒤 배소에 가서 인사하고 배우길 청하여 계사(繫辭) 등을 배우고, 다시 4월 3일 배를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고 기록되었다. 두 번째 기간은 1875년 4월 20일 면암이 사면되어 장성으로 돌아가는 길에 박해량의 집에 방문한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때 박해량은 면암을 배행하고 함께 노사를 방문했고, 5월 면암의 집인 가거(嘉菃)에 도착한 뒤 서울에서 면암의 집을 오가면서 『주역(周易)』, 『격몽요결(擊蒙要訣)』, 『태극도설(太極圖說)』, 『맹자(孟子)』, 『경재잠(敬齋箴)』 등을 공부하고, 편지로 면암과 문답한 것과 8월 23일 경무대(景武臺)에서 구일제(九日製) 시험을 본 뒤 9월에 내려와 고산을 지알(贄謁)하고 공부한 내용이 기록되어있다. 마지막 세번째 기간은 면암이 마항점(馬項店)에 도착한 것에서 시작한다. 면암이 강화도조약을 반대하는 지부상소(持斧上疏)로 인해 흑산도로 유배를 갔다는 소식을 듣고 면암과 함께 흑산도로 가는 여정과 화가가 와서 면암의 영정을 완성한 일, 경서의 해석이나 명덕이기변론(明德理氣辯論) 등과 같은 도학 공부에 대한 문답, 유소(儒疏)나 송시열 등과 같은 예전의 사건들에 대한 문답 및 당시 정세에 대한 걱정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있다. 일기의 말미에는 문집이 간행된 해인 1909년에 후손인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이 쓴 발문이 붙어있다. 권5에는 스승인 기정진, 최익현의 가르침을 기록한 한 강설(講說)이 2편 실려 있다. 두 편 모두 문답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는데, 「용학강설(庸學講說)」은 기정진과 『중용(中庸)』과 『대학(大學)』 의 내용을 문답한 「중용강설(中庸講說)」과 「대학강설(大學講說)」을 합한 것이고, 「채산강설(茝山講說)」은 최익현과 주로 『맹자(孟子)』의 내용을 문답한 것이다. 권5의 말미에는 기우만이 쓴 발문이 붙어있다. 마지막 6권은 부록(附錄)으로 정의림(鄭義林), 이긍의(李兢儀), 최성란(崔性瀾), 김도병(金道炳) 등이 쓴 제문(祭文) 4편과 스승인 최익현이 지은 행장(行狀)과 「율수재기(聿修齋記)」, 유병긍(柳秉兢)이 지은 「율수재기후서(聿修齋記後敍)」 등이 실려 있다. 세부목차 卷一 詩, 濟州舟中, 奉審尤菴先生謫廬, 上勉菴先生匪所, 王世子誕降, 漢挐山, 關靑島登崔孤雲親掘井惑吟, 詠匪館庭草, 依重菴韻上勉菴先生, 詠夏雪, 聞通信使迎賊而來發憤口呼, 聞童謠, 上蘆沙先生, 次奇松沙(宇禺)韻, 謹次蘆沙先生丈人山韻, 蘆沙先生挽, 謹次指掌巖韻, 依韻呈鄭老石(海龍), 老石鄭公挽, 謹次曺東塢(毅坤)五十除夕韻, 詠大雪, 賀芝軒崔公推恩, 家君晬筵韻, 地震, 瑞石山房遣懷, 又吟, 瑞石山房贈別同福諸雅, 謹次河東鄭氏雙㫌韻, 瑞石山房贈綾州梁雅(在海), 與金智齋(勳), 記夢, 巳卯夏五月夢得一絶詩覺也記念者只釣得大同江上魚七字也繼以補吟, 柳丈遊山來訪夜話, 次奇云菴應三韻, 次李黙窩(兢儀)韻, 記夢, 蒼玉屛講會分韻得松字, 武陵洞槐陰下拈枝字口號五律, 與崔雲齋(永祚)夜話, 雨後與諸益相話, 詠懷, 聞勉菴先生蒙 宥卽吟, 與諸益登坦履壇習禮隨柳過漢川詠而歸, 讀勉菴先生疏, 柳健窩(秉兢)以葵花詩一絶贈余謹次以呈, 上勉庵先生, 與雲齋登德嶺撫松盤桓口呼, 上鼓山先生, 贈別金上舍歸從好堂, 贈權鐘寬, 贈林奭榮, 贈李直窩(裕善), 又, 謹呈柳龍溪(基一), 詠橘, 登石門靈泉詠而歸, 晦日後與同社六七人訪花峯到書院遺墟(白沙書院)叅拜因登最高踞巖偶吟 卷二 書, 上蘆沙先生書(十三), 上勉庵先生書(十四), 上鼓山先生書(二), 上芝軒崔公書(二), 上崔丈(升鉉)書, 上重菴金先生書, 與柳香下(秉喆)書, 荅柳省齋(重敎)書, 與柳龍溪(基一)書(三), 與奇松沙(宇萬)書(五), 荅羅德巖(燾圭)書, 與崔雲齋(永祚)書(四), 與金炳蓍書, 與田艮齋(愚)書, 與柳(各欠功)書, 荅崔溪南(琡民)書, 上宋松石(綺老)書, 與李一如(心白)書, 與宋聖澤(榮淳)書, 與李聖濬(哲榮)書, 與宋道谷(鐘雲)書, 荅鄭薇齋(枉弼)書, 與李國瑞(熙容)書, 荅朴士行 書 卷三 記, 指掌巖記, 跋, 書宋子疏箚後, 書勉菴先生疏箚後, 書洪時衡疏後, 書崔乳人行錄後, 說, 自警說, 祭文, 祭鼓山先生文, 祭蘆沙先生文, 再祭文, 聿修齋開基祝文, 行錄, 曾祖考行錄 卷四 日記, 海上日記, (附)日記跋 卷五 講說, 庸學講說, (附)蘆沙先生荅, 茝山講說, (附)勉菴先生手荅, (附)講說跋 卷六 附錄, 祭文(四), 行狀, 聿修齋記, 聿修齋記後叙, 叙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芝軒崔公書【勉菴先生大人。諱岱。】 頃春辭退以後。莫憑信息。恒庸伏悵。伏未審旱毒甚酷。靜養氣體候。連享萬旺。諸致均安。伏慕區區。侍生今月四日入島。劣狀無撓。是幸而島中凡節。頗不如初聞者多矣。然萬事由天。非人力所致。有何怨尤。只宜甘當而已。所謂工業緣於本性之昏暗。未能虛心信受。咄咄不自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皷山先生書 年月日。平陽朴海量。謹齋沐再拜。致誠于皷山先生門下。仍請納弟子之禮者。忍住不得。冒沒廉恥。敢以裁書。奉獻子將命者。導達其所以來之意。而立於廉外。恭俟可否之命。伏惟先生。恕原而鑑照焉。海量竊聞之。程叔子有言。聖人之道不行。百世無善治。聖人之學不傳。千載無眞儒。無眞儒則擧天下。入於昏衢。莫知所之。人欲肆而天理滅矣。是知眞儒之於天下。不可有一日之不存。而天下之於眞儒。不可有一人之不尊親者也。海量。生長遐土。心地茅塞。識見茫昧。無以開發其良心。而俗習之浸溺。日易滋長。自不覺浪費光陰。而古人所謂。先傳之小者近者。亦未嘗請隷而有得焉。則況其大者遠者乎。是雖無不自已反求者。而倂世眞儒之思。最切于中心也。海量竊聽於當時。朝野遠近之所相傳誦。則皆曰梅山大老。心法之嚴。規模之大。德業之實。當爲斯文宗匠。而世道不幸。泰山遽頹。嗚呼惜哉。尙復何言。後學。先生。以其高弟。早自體仁思誠。硏幾存乎心者。純一無雜。而施於政者。寬大正直。繼承師門宗統。而當世具眼者。亦莫不以德行稱誦。謂今日之眞儒也。夫學者之於眞儒。雖世絶千載。地距萬里。尙有景慕。而今幸生幷一世。居不越國。此實天機之好會也。以若海量之至愚不肖。其幸生逢有道。或可以得遏人欲之已肆。而復天理於旣滅矣。海量之志願雖大。而力量造詣。則今僅從小學童子之後。一心尊親。而誠蒙化導。庶幾乎開良反正。追補其已闕之小者近者。而與聞其大者遠者之萬一也。伏乞先生。深加憐察。不辜其所以來之意。而置之門人弟子之列。特施德容仁敎。以免小人之歸。海量之萬幸也。僭越猥凂。不勝惶恐。玆以鞠躬踧踖。謹待將命者回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鼓山先生文 維崇禎五丁丑十一月壬子朔五日丙辰。卽我鼓山先生練日也。前一日乙卯。門人靈光金漢燮。謹以脯果之奠。痛哭拜告于靈座之前曰。嗚呼。蓋自上古聖神。立極傳統。或見而知。或聞而知。天縱魯聖。爲萬世道學之宗祖。至若紫陽夫子。生于季宋。上接鄒魯。近述濂洛。集群賢而大成。吾道東矣。儒賢輩出。尙禮敎明理學。而華陽夫子。生于萬曆崇禎之際。尊攘大義。經禮宗旨。一遵紫陽法程。使斯道煥然明世。猗歟盛矣。吾先生以希陽自號者。此誠羹墻兩賢而然。其自任之重。有不得辭者矣。顔淵之有爲若舜。孟子之所願學孔。豈皆苟語哉。嗚呼。父母全而生之。子全而歸之。可謂孝矣。先生之生。夢有異徵。自幼佩服家訓。讀書有法。就養無方。然不以簞瓢。改其所樂焉。及就正師門。極高明而道中庸。致廣大而盡精微者。豈是後生淺學所可形容彷彿也。中又築室於先塋之側。晨夕展誠。而梅翁以全名額。親寫與之。其非體其受而歸全之意耶。夫孝始於事親。中於事君。終於立身。若先生。固可謂無憾。而鼓山之廬。望雲之樓。其終慕事一之誠。至矣盡矣。矧常目一編。尊閣座右哉。嗚呼義精仁熟。知行一致。不以事物嬰懷。惟憂道學失傳。以主忠信。箴初學以含冤忍痛。迫不得已。勉同志有及門請益之士。輒書人生斯世。非學問。無以爲人句以與之。要做第一等人。此正孟子言必稱堯舜。而亦不厭不倦之義諦也。嗚呼。其氣像氷淸玉潔。其襟懷風光月霽。望之也儼然。卽之也溫如。聞風者服。覿德者醉。觀於兩程像贊。金聲玉色。繩直準平等語。可以知先生能兼盡矣。嗚呼。干旌在郊。列聖之恩禮隆重。而考槃在澗。碩人之寤寐永矢者。豈徒筮章遇遯。實惟所愼沈綿然。因求言而封章。遇時變而進戒。則亦何嘗忘朝廷乎哉。嗚呼哀哉。先生何奄棄後學而逝耶。斯文不幸。生民無祿。而小子之痛。有倍餘人者。猥以無似。出入門下。八年于玆。而常以親老路遠。一未得久供灑掃之役。而遽爾至斯。痛恨無及。且何以則不負。敎誨期待之盛德至意耶。江濯陽暴。不可尙已。樑摧嶽頹。將安仰止。星辰一周。宿草其萎。嗚呼痛哉。辭不能達意。哭不能盡哀。哀哉痛哉。伏惟尊靈。俯鑑微誠。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再祭鼓山先生文 崇禎二百五十一年戊寅十一月丙子朔五日庚戌。卽我先師鼓山先生大祥也。門人小子金漢燮。病未奔哭。因族弟台漢。謹齎文拜送。以告于象生之前曰。嗚呼。元氣之會。胚胎先生。氣淸質粹。玉色金聲。道成德立。體博用宏。洛閩正嫡潭巴典型。繼往開來。斯道益明。束帛賁園。招之以旌。忠愛之至。敢忘明廷。病實沈綿。强難登程。訊之占夢。幽人之貞。考槃在澗。永矢于情。遂我初服。紉以蘭蘅。棲遲樂飢。爰有門衡。云誰之思。陶葛躬耕。寤寐千載。于以題屛。人之不諒。管窺蠡傾。惟我先生。仁熟義精。孝敬一致。存順沒寧。日月奔駟。氷隔儀形。小子顓蒙。猥荷誨螟。于何依歸。失慈之嬰。庶幾夙夜。于墻于羹。伏惟尊靈。鑑此迷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穉程 慈聖禮陟。率溥之痛。罔極何言。竊聞比歲。移寓於堤川山中。其幽閒寤寐之樂。果或勝似於昭陽江北耶。山川悠遠。書尺之阻。亦已累載矣。嚮慕忉怛。無日不擡首北望。霜風漸高。節屆九九。伏惟道體。起居百福。當今儒道寖衰。門戶分裂。邪說充塞。寰宇昏濛。而通國韋布之所倚望者。重老與老兄。祭酒淵丈。數三君子。而蘗門統緖。尤有光焉。近間或者來言。老兄。有以心與明德。分爲物則之說云。遠塗傳傳。無乃訛誤耶。心常訝鬱。玆敢控告。詳細賜敎若何。漢燮。與病長隣。虛度光陰。未知那時。少得蘇醒。鞭着近裏。庶贖前愆否。思益懍惕。餘神昏略此。謹不備。只祝爲道加護。以慰遠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參判【益鉉】 漢燮拜白。燮生在遐僻。晩及於蘗山門下。未幾遭嶽頹之痛。猥荷重菴省齋諸丈相與之深。粗得聞爲學梗槩首尾數十載。講服台監德望。如雷灌耳。然竟未得以一書自通於座下者。非敢有獻子之家也。但緇衣誠薄。愧歎罔喩。際玆秋晩。伏請侍中體候萬康。和愉洞屬。不以三公換者。亦必盡道矣。區區景仰。不任拱祝之至。漢燮少孤。餘生樵牧空山。於分所甘。外何盡達。此去金生。謂將進謁門屛。故敢將尺書問候。得無僭猥耶。敬齋箴一本搨呈。下領若何。餘伏祝台體保重。以慰遠忱。謹不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崔參判 朝野無祿。慈聖陟遐。痛隕罔極。伏惟霜寒。靜養道體若何。遠外仰慕。無日不勤。止同門生長以疾苦。未得看書。晝宵思惟。悚惕無已。見今蹄迹橫行之日。冠儒服儒者。政宜明目張膽。救得一半分。未盡陽脈。而邪說充塞。靡哲不愚。氣數一亂。抑何其甚也。惟幸台監與重老數君子。維持世紀。繼往開來。此殆將天意所使乎。翹首北望。不能奮飛。只增忡悒而已。餘伏祝台體。爲道增重。庸副士林之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長兒麟植 汝弟來。備聞向日路中一行。大都無頉。而仍爲安過。甚幸。農務如何就緖否。新僑辛酸。理勢固然。何足悵歎。蓋窮寒。是吾人本色。凡爲務從儉約。至可至可。廟主。以今十九日陪行爲計。而所云隣屋。近或買得耶。若未然則將安所奉安乎。與汝弟商量。預爲經紀。母至臨時惶悶焉。顧此流寓一生。不孝莫大。而只此一念。晝宵塞鬱。不覺痛泣。神精如是愁亂。復有何說。然汝一生。徒知和之爲貴。而莫能以敬畏者持。此爲汝最深懼者也。持已不以敬。則言行無法。而亦將流蕩不恭矣。矧僑居之初。處已接人。敢不敬愼歟。履薄臨深。盡其愛敬。母自取辱焉。餘煩不多及。吾南先生文集卷之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田子明【愚】 榴夏一別。思之若三歲兮。際玆秋氣淸高。尤不禁戀德之私也。伏詢服候。何以支安。閒居味道。直方交養。計應有造極之妙矣。高山仰止。竊爲高明誦之。儻示及緖餘。以警昏懶耶。性爲心宰之說。先賢已立定論。在後生。固當篤信。而但愚見素昧。不能無訝。故玆敢控陳。苟未之深思而然耶。蓋心統性情。而爲一身之主宰。則其曰性爲心宰者。語義恐似倒置。性卽理也。究其本義。不過曰理爲一心之主宰云爾。然心能檢性。性不能檢心。而且宰者。宰制之義也。以性爲心之所具之理。未發之體則可。宰制之義。則無乃過重歟。詳細批誨如何。師門曾所詔。漢燮文字謄本以呈。幸收入於編帙之中耶。書贈刊役。近或告訖否。五賢粹言。若次第成就。則斯文之幸。益復何如哉。漢燮親候。粗安萬幸。而但離索空山。泛過時月。雖間有看書之暇。無異畫鏤。其負我師友之期望。何哉。愧悚增深。存齋集。師門旣許其校正。感幸而高明。亦必參助矣。望須努力。俾此窮鄕。倍生光榮如何。餘不備。伏冀爲道護重。以慰遠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田子明 漢燮拜謝。竊料俗離。不應是世外靈境。而夢不識路。徒勞忉怛。今者乂賜辱問。先施之能何遠之有。正爲執事準備語也。感荷感荷。伏審靜體。味道增重。殊慰賤忱。際玆陽復。動止更若何。示諭許說條。牖迷至再。尤荷盛度之包荒不已。鄙意。曾以爲。孝悌忠信仁義禮讓八箇字。雖聖人之盡性至命。無以加此。而今以粹言觀之。許氏之說。無他曲折措辭。而直曰孝悌忠信仁義禮讓。而亡國敗家者皆是也。雖未知此言有甚有爲而發。而然與堯舜之道孝悌。夫子之主忠信。與夫亦有仁義禮讓爲國。似一切相反。敗亡皆是字。果爲着題乎。如以天姿雖至美。而識見不足。則甚害事也云爾。則有何不可。若晦翁栗尤三先生言之。恐不如是下語也。來書。謂二先生之見。是不及於來書所言之理而然哉者。是何言也。執事之一言。足以牖此昏惑。而重引先正。爲之擡頭。甚悚甚悚。晦翁兩條語。各有攸當。謹玆聞命耳。語失倫脊。星田信候。近爲若何。漢燮荒廢日甚。只堪自憐。外何煩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洪思伯【在龜】 蘗山治任嚮哭。遽已十有五霜。而思之猶若隔晨事。南北渺茫。自貽伊阻。勢也奈何。丙子斥和盛疏。非直爲宗社大計。寔扶持宇宙之棟樑。而令季氏繼作。至誠懇惻。九死靡悔。其爲明天理正人心於陳歐。尤有光矣。自顧卑劣。蹩躠守空。雖未得執策趨下。而其所山仰。豈下餘人。且重菴文丈。南遷有年。身困道亨。公論。固不待百世自定。憑聞執事。不憚遠苦。累爲入海。其事一之誠。令人感服。而適與漢燮往候時。一未相當。同志一會。亦有數存。悵缺何容言。見今陽德初復。壽闈定省。和愉盡歡。閒居味道。所造若何。嚮風馳溸。不任賤忱。漢燮不肖無福。去己卯。奄遭先妣喪。痛隕罔極。而縷命苟延。年進業退。每中夜思惟。不覺愧汗。餘何盡溷。略此不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世鉉 獻歲發春。遠邇知舊。間有躬訪。略論緖業。新年意況。便覺快豁矣。今玆華翰颺風而至。存撫肫摯。奉讀屢周。慰足面敵。謹審重省體履。迓新增慶。慶賀切切。經課見在魯論。溫知務本。想必有蹈舞之樂。而何不示及緖餘。警此衰懶耶。但所可疑者。來諭中萬卷之云。竊非先難後獲之眞詮。而涉躐貪務。恐或爲前頭實病也。蓋君子。學欲其博而徇序漸進。知行一致。則久後自有成效矣。杜工部有詩曰。古人已用三冬足。年少今開萬卷餘。工部。是文章底人。而所言猶如是。矧有志於經學者。若不知務本。而徒多讀之爲尙。則雖日誦萬卷。是不過書肆耳。其於進修。有何裨益哉。高明去冬。僅了魯論一篇之云。與和靖。半年看大學。同一美規也。母論某書。一此爲度。尋思推究。母得一字放過。反己體驗。則雖不讀萬卷。有何損害也。惟願賢者。加意策勵。眞實刻苦。而勿以爲老生常談焉。當此大侵之餘。入廚甘旨。想必難繼。而且百里脩程。米饌之餽。何以施及病夫耶。感銘之極。還切未安。賤狀。近以寒餘感氣。累日喘咳。苦憐奈何。餘神昏不戩。只希侍學加愛。以慰延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天台山講會諸生 朋類麗澤之習。非唯諾爲可貴。責善規過。相觀切磋。此固第一義諦。勉須努力如何。蓋蕭寺之會。非有甚意味。然從古賢哲。亦多已然者。但取其僻寂處也。幾日間講論飭躬。恬靜安詳。勿取外人嘲笑。則幸莫甚焉。至或從行少兒輩善爲檢束。無至侮慢。佛像弄。緇徒亦好。觀於程子戒人背佛而坐可知矣。大彦乃晦。近日漣川之行。所得不尠。非直爲此人賀也。實南中吾儕之大慶幸。當此天地蔑貞。鬼魅溢目。倫常義理。幾乎斁絶。而惟幸重老文字。播傳遐荒。喚醒耳目。其爲嘉惠後學。功不可量。而亦可當重陰復雷底象。惟願僉尊。反復詳究。體驗力行。至可至可。且今日暮春也。冠童詠歸。其蕭灑氣像。與浴沂風雩。親承吾與之旨訣者。爲何如哉。不假外求。推驗於自己。則眞僞亦立判矣。胡草不備。只希統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考三山府君家狀 府君諱魯鉉。字國惠。靈光人。純廟壬戌十二月三日。生于長興興龍洞。自幼稟質。聰睿端重。就學于從叔鵝川公諱琡。鵝川。曾受業于心齋宋先生門。以文章行義。見重於世。府君年十四而丁外艱。執喪盡哀無違禮。來弔者。莫不嗟悼稱賞。母夫人性嚴正。雖甚愛公。每加峻責楚橽曰。汝之家世。以文學著于南鄕。汝今無福失怙。而若不能勉學以克紹先業。則汝是汝家之罪人也。我若不能勉汝以學。則汝難免於早孤無識之譏。如此。我亦汝家之罪人也。汝念此自勉。無使汝母子爲汝家之罪人也。府君承此嚴切之訓。益自悲痛。專意經傳。日與再從兄仁山公諱德鉉。講討刮磨。仁山公。卽鵝川之長子。而老洲吳文元先生之門弟也。以爲府君。能繼述家庭之業。常愛重提誨焉。自是學業卓就。又兼治科業。然文詞諄實。而不尙浮華。筆畫雅重而不取格怪。人皆期以早取科榮。而命道多舛。赴試數十載。終未得捷。年踰知命。遂不赴擧。人或有勸之者則。曰功名有數。不可以人力取之。且余年少時。見白首老儒。入圍納券。心切非笑。今余亦白首矣。何敢自取自己非笑乎。自是。益專意於聖學。四子及程朱之書。循環熟讀。其微言奧旨。靡不悉究源委。而以心經爲一生表準。常置之於書案。一不以科第等事。發於言論形諸文字矣。以咳喘之祟。累年呻吟。然看書益不懈焉。庚申六月丁母夫人憂。哀毁盡禮。未及終制。而壬戌正月十六日。不幸沒世。是年四月。不肖孤。始襄奉于興龍洞造德山祖考墓下。己巳十一月二十九日。遷奉于本洞東山里庚坐之原。金氏譜。自高麗工曹典書。封靈光君。文敬公諱台用。其先。實與慶州之金同原。歷三世有諱㻶。與李樗軒石亨金東峯時習。爲道義交。官至吏曹參判。參判生諱塊獻納。獻納之弟諱圽典翰。與南秋江。同上復昭陵疏被竄。事在秋江師友名行錄。獻納生諱光遠號月峯。從遊靜菴。己卯之禍。以進士上疏仲救諸賢。辛巳被鞫謫海南。後贈吏判兼祭酒。與李牧隱南秋江申靈川劉天放同享于長興汭陽書院。尤菴先生製祝文。陶菴李文正撰行狀。心齋宋文敬銘墓碣。月峯生諱龜年都事。都事生諱慄參議。參議生諱汝璹僉正。壬辰之變參議公父子。倡起義旅有偉功。丁丑虜變。和議遂成。僉正公遂憤惋有詩曰。憶昔龍蛇歲。恩波注鴨江。無人知大義。陰雨鎖明窓。自號明墅逸民。扁所居齋曰宗明。歷四世有諱允祖。從遊陶菴。以高年受同中樞。號逸翁。逸翁。生諱夢龍。性孝友。嘗受業於渼湖之門。英廟丁卯中生員。號隱巖。於府君爲高曾祖也。祖考諱尙衡。考諱瑗。俱學生。妣。海美郭氏鎭遠之女。府君事母至孝。家勢甚貧寒。而甘旨之供。務令盡得。如出他遇珍味。必袖進之。聲色必和怡。未嘗一言拂其意。母夫人。享年八十四。而氣力尙康寧。府君常侍側盡歡。値先世忌辰。必先齊沐。膳需躬自監執。極盡誠敬。噫。府君立心制已。以忠孝敦睦爲本。加之以學問之力。常於義利二字。剖析甚嚴。安貧樂天。未嘗有枉己徇人之意。處家極嚴正而一不疾言遽色。接人盡和平而一不戲言高笑。敎子必以居敬窮理。御婢僕亦兼盡恩威。苟非其涵養之正。踐履之篤。始終一致。安能如此哉。不肖侍府君。每夜誦日課。府君常提誨其文義句讀。鷄鳴則必擁衾起坐。讀四書中親切幾段。及心經等書。常訓誨不肖曰。人苟自欺。必欺其父兄。欺其父兄者。何事不爲乎。誠意章母自欺三字。汝一生服膺可也。且古今忠孝行迹之表著者。每稱誦提警曰。人苟不如是。可以爲人乎。此非別樣底道理。只箇皇天所賦與人者。必須居敬窮理。以涵養本源。而雖造此顚沛之間。可不戰兢哉。及洋物漸熾。深以爲憂曰。古人見伊川被髮而知百年而爲戎。則今洋物之流布於東。其迹甚顯。將來之禍。必有不可言者矣。見人之着耳掩。與無袖揮衣。每嘆曰。此等衣服。眞胡羯模樣。臺皁賤匠之輩。容或無怪。名以士子者。肯服非法之服耶。命家中勿用洋物。及此等服着焉。扁所居之齋曰。三山。蓋先祖月峯公有三子。長都事龜年。居夫山。次佐郞龜壽。居語山。次進士龜命。居巾山。故後孫仍以三山別其派。且家近有加智修仁造德等名山。皆淸秀雄峻。爲一邑之鎭望。其曰三山者。以取諸敦睦自修之義也。配海南尹氏父商說。祖固顯。贈童敎。童敎公父子。俱以孝行著聞于世。夫人年七十。今在世。生四男一女。三男皆夭殤。季卽不肖漢燮。女適全州人崔潤燦。漢燮生三男。曰麟植鳳植鶴植皆幼。不肖庸懦無狀。未克先訓。而竊惟府君氣像之淸灑雅重。性量之恢弘剛毅。學問之縝密精詳。行義之篤實純正。於今鮮見儔比。而終若泯沒無傳。則不肖尤是罪棄之人。是以略述實狀而來。幸得大君子一言揄揚於世間。則不肖罔涯之痛。可以少洩矣。伏願函丈。俯諒下誠而矜憐焉。庚午二月晦。不肖孤漢燮。泣血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晩悔集後 士君子處世行己。日用萬事。無一非理之當然。而其綱紀之大者。曰忠孝而已。是皆性分之所固有。而非襲而取之也。然非素所講明。得之擩染者深。果能爾乎。近故晩悔朴公。以文康肖裔。服承家學。夙知踐履之方。而又從師於梅山洪文敬公門。取正者多。其所與交。當時名公儒賢。如淵泉洪相國。蘆沙奇先生。此尤著者也。古人所謂。內無賢父兄。外無嚴師友。而鮮能有成者。不其信乎。公以大人命。遊洛十餘載。苦心殫誠。至蒙先祖節惠之典。當丙寅洋變。欲傳檄擧義。亂靖遂止。如公。誠可謂孝於先忠於國矣。其立心制事。常以禮義自警。而敎之于閨門之內。推之于宗族鄕黨。格言至論。可與日星炳朗。公次配宋氏。死於烈。命旌閭。長男懿鉉。以童年復繼母。讎人稱其孝。宇宙間三大綱。何其盡萃於公之一室耶。此尤見其修齊之驗也。噫。德行本也。文藝末也。世或以文辭之工拙。欲觀人者。亦陋矣。一日懿鉉。訪不佞於明洞山中。䄂示一冊子。乃公之遺稿也。命之以校讎之役。余辭以非其人。奉置案右。莊誦數遍。無異親承警咳者多。秉彝好德。人之所同。而又竊欲附尾謹書之如此云公諱重洪。字仲範。珍原人。晩悔其號也。觀公所自序。可知其義也。猗歟休哉。崇禎五壬午殷春。靈光金漢燮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河君已千自敍賦後 夫詩。言志也。而發於咨嗟詠嘆者。有賦陳興比之義焉。其體例。雖不同。人之邪正。世之汚隆。卽此而槩可知矣。戰國末。有屈三閭。以貞忠高節。著爲離騷九歌等篇。而爲詞賦家祖宗。豈後世鳥哢虫啼。步虛話夢者之所可彷彿哉。余比歲。僑寓首陽山下。與村秀略事尋數。朗西河君大愚已千。累爲來訪。自道其未能篤學。出示其所著賦一篇。蓋歷敍自己所經。而語有倫脊。詞義俱到。其於家庭敎訓。而早佩服之。於室人。謫我而善慰解之。於賓僚。譏諷而直言拒之。固窮安分菽水盡歎而亂之以高山霽月。又以寒竹自待焉。摠之爲百數十句。見其耿潔自守。略無怨悔之意。古人所謂識其性情之正者非耶。已千嘗從勉菴崔公遊。學問之力。亦不可誣也。嗚呼休哉。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