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아침을 먹기 전에 사수(士洙)와 귀남(龜南) 종객(宗客)이 찾아와서 만나고 갔다. 아침을 먹은 뒤에 주동(鑄洞)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고 왔다. 朝前士洙及龜南宗客, 來見而去。 食後往鑄洞, 談話而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93년(계축) 1793年(癸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昭寧園端午享官紀行【五月初三日發程】 西雲如夢境漠漠更征鞍樹老花猶少巖危鳥自安二年山北客五月道中官蕭散林風動披襟强作歡【右過慕華峴自敦義門五里】風流弘濟院起我少年心夾道黃茅店連堤綠柳林寂寥南國士疏鬯北山陰自頻今非昔悽然一短吟【右過弘濟院自慕華峴二里】野色生驢背軟靑雜硬黃占秋方熟麥隨水或分秧始覺居停久翻驚代謝忙登高能賦否觸物感懷長【右過鹿樊峴自弘濟院三里】野闊通眉睫詩緖更繽紛路或佳人店山多貴客墳古岩凄似雨新草嫩於雲王事還如束春醪未敢醺【右過磚石峴自鹿樊峴五里】三叉沙上路荒店白笆門西驛雲千里南風酒一罇長藤扶老石遠樹補孤村令節知相近秋千在綠原【右過舊擺撥自磚石峴五里】蒼蒼西走路舊院借新名小峴平於砥遙林擁若城百年生面客一日賞心行隨處瀏聣久溪山似有情【右過新院自舊擺撥十里】小山如斗郡春樹掩貧寒客店雙行整郵塗五丈寬狂生衰且甚騎士遇何難北价誠多惠衙樓拭目看【右過高陽邑自新院十里〇燕勅春過時郡衙一新故尾句語戱及之】石嶺何磽确疲驢去莫留碧蹄猶係戀白髮更添愁伐木空聞斧燔茅或理疇西園餘幾里問路住溪頭【右驀升瓢嶺自高陽邑十三里〇邑西數里有碧蹄館過此而入園路路狹且險故顩聯云】永陵杳何處遺恨白雲濱林暗眠溪鳥苔深老石橉杉松終可慰萱草近相親一瓣淸香在鵑花歲歲春【右綏吉園過境自升瓢嶺七里〇靖嬪李氏園所在昭寧園之東岡◦永陵卽眞宗大王陵靖嬪卽眞宗所生母】福地留仙枕蒼然未了峰靈源占活澗寶蔭證喬松協夢神籌定騰謠淑氣濃百年堂宇在孺慕仰仰英宗【右賦昭寧園毓祥宮崔氏園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 初二日 날이 밝기 전에 출발하여 금계(金溪)에 이르러 점심을 먹고, 북기(北機)에서 묵었다. 未明發行, 至金溪中火, 宿北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추웠다. 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二十七日 칠패에 가서 윤 생원을 보고 왔다. 往七牌見尹生員而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97년(정사) 1797年(丁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월 正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 初一日 날씨가 자못 따뜻하였다. 日氣頗溫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翌日雨後又拈淸律得五篇永同沈【霞村】宜煥亦會 炎雲四月忽驚寒急雨昏昏不辨山膏麥潤苗應未已跳珠碎玉太無端浮生樂事斜陽外造物工夫昨夜間從此可占秋有熟主人盃酒快登盤一倍淸晶白板扉水聲高動市聲稀樓空詩境浮玄始巷僻身家坐翠微林抄雨痕鴉漠漠藥欄春意鷰依依漏鳴烟歇茶香夕禿首方知五十非近水依山舊色樓十年妥恬在皇州垂垂巷柳風無力歷歷墻花雨不愁梅子頓添金兩頰竹孫應長玉千頭逍遙楚客終何業多負往歌接輿流小山幽暗小星明雨迹迢迢路太淸塵緖百千無客緖漏聲三四答人聲當樽輸膽江南語挑燭掀髥石下情時月徜能成此會吾人未必號浮生畵月摹畵未了心平明捲箔墨廚臨床㜎慣業茶經讀庭鳥知時麥熟吟山意太玄留怪石雨痕儱翠在脩林輪贏萬事何須較不妨書中話古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貞陵仲秋節享兼忌辰享役【神德王后忌辰八月十三日兼秋夕祭】 落月城東聽漏鍾石梯輿馬不從容崖陰兩畔應秋菓澗籟千廻又古松福地洞天緣外至武陵樵客意中逢誰知半夜蒼黃路尙有新詩滿腹濃【右初十日夜出東小門宿典祀廳】老石淸溪曲曲奇漢山形勝止於斯城闉十里無埃境林木千年不老枝端正漸回明月色淸晶又値素秋時東岡藥水緣何厚病肺如今八九醫【右十一日與參奉李承老消日】往蹟珠邱石不移一雙翁仲侍臣儀滄茫柳井浮盂日怊悵林齋聽磬時丹旐颺靈風有驗黃裳叶吉雨如期孝孫世世承先志香祝今秋雨玉墀【右十二日與諸享官叙話】夕陽輕屐上琳宮緩踏松陰可一弓不雨泉聲長逗石未霜秋氣半黏楓紅醪破戒空門裏白䄲供歡法鼓中二十二雙金佛手有何防備揷叢叢【右䀯后與諸享官遊新興寺南一里】穿巖架壑兩三層隙地鷦巢結構能八月山中人欲鶴七星臺上石如僧偸看野色鄕心活靜聽溪聲俗骨澄回笑白頭塵海客尙餘豪興片時乘【右十三日遊奉國寺一名藥師北二里】爲訪僧齋强拂裙朋儔如鴈穿溪雲鳴金伐鼓山應碎誦偈談經月欲分三代威儀何所在一場喧聒不堪聞携笻更向長安去遠客秋懷我獨云【右十四日夜罷享後與享官復遊新興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二十七日 아침에 눈이 내리고 늦게 갰다. 날이 밝기도 전에 눈이 내려서 입모(笠帽)3)를 쓰고 길에 오르니 차가운 눈발이 길을 막았다. 눈이 내리자마자 얼어붙어 말이 앞으로 갈 수가 없었다. 가까스로 노구암점(老狗巖店)에 도착하여 말에게 꼴을 먹이고 점심을 먹었다. 눈이 개고 햇살이 나오니 길이 질퍽거려 잠시도 걸을 수가 없었다. 해질 무렵에 부내(府內) 영주인 집에 도착하였다. 어른들은 모두 안 계시고 어린 주인만 있었는데, 하는 일이 매우 서투르니 탄식할 만하다. 올 때에 두치(斗峙)에서 우연히 정언후(鄭彦厚)를 만나 말로 소식을 전했다. 주인집에서 공사지자(公事持者)4)인 소동(小童)을 만나 집에 보낼 편지를 부쳤다. 朝雪晩晴。 未明雪作, 笠帽登程, 凍雪塞路。 雪下卽氷, 馬不能前。 艱到老狗巖店, 秣馬中火。 雪霽陽生, 行路泥濘, 不得暫時徒步。 薄暮到府內營主人家, 大主皆不在, 猶少主在, 事多生疏, 可歎。 來時斗峙偶逢鄭彦厚, 口傳消息。 到主人家, 逢公事持者小童付家信。 입모(笠帽) 갓 위에 덮어 쓰는 우구(雨具)로서, 유지(油紙)로 만들며 원추형(圓錐形)이고 정점(頂點)으로부터 아래로 방사형(放射形)으로 많은 주름이 있어 접으면 쥐는 부채와 비슷한 모양이 된다. 공사지자(公事持者) '지자(持者)'는 지방 관아들 사이에서 공문이나 물건 따위를 지고 다니는 사람이다. 지자군(持字軍)이라고도 한다. 《韓國漢字語辭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아침에 날씨가 매우 따뜻하였다. 이른 아침에 천노(千奴)를 동지(同知) 김지행(金之行)의 집에 보냈더니, 즉시 그 아들을 보내왔기에 돈 2냥을 내주어 참빗을 사 오게 하였다. 아침을 먹은 뒤에 길을 나섰는데 날이 이미 늦었다. 삼례(三禮)까지 30리를 가서 점심을 먹었다. 채찍을 재촉하여 능측(陵側) 객점에 이르자 눈이 마구 쏟아져 잠깐 사이에 한 자나 쌓였으니, 객지 생활의 울적한 마음을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다. 이날 50리 길을 갔다. 朝日甚溫和矣。 早朝送千奴於金同知 之行家矣。 卽送其子, 故出給錢二兩, 使之買眞梳而來。 朝飯後登程, 日已晩矣。 至參禮三十里中火, 催鞭至陵側店, 雪已大作, 頃刻盈尺, 客中愁鬱, 不可言。 是日行五十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雩祀壇紀行【閏三月三十日】 聖上一十有一祀閏姑洗卅日甲子夜將將事于雩壇壇在木覓陽十里壇下執禮副司果官銜太長一寸紙淸齋一日禮賓寺整其衣冠尊瞻視夕陽立馬吏部郞郵卒躍入如怒豕小吏擎案恐弗及咆哱聲中忙倒屣習性吟弄南坡翁迨今優游聊復爾疊榭矗棟故南宮負手徐行曳屐齒緬昔豪華平壤君壯麗爲誰搆如彼往往罇俎明雪樓萬里上客其髮薙邂逅生面具直長借我祭衣儉亦侈敦化門外候香祝袛奉六神太常裏句芒祝融曁后土蓐收玄冥后稷氏祀官秩秩隨神輿大道赤壤馬蹄起香陪忠衛先啓行首獻正卿司空李其亞新資副護軍第三陞品前敎理讀笏者二執爵三大祝齋郞一而已贊者謁者兼贊引最後乃監察御史城南路過關公祠冠帶展誠拜且跽廟外不敢久停鞭嗟我王事之所使畏石仄崖松林下縈廻抱山路邐施紅箭四門壇三墠皛皛帷幕空雲披掌牲協律皆率職鋪陳之官典設是門掌一人武折衝朱笠戎衣佩弓矢綿蕝肆儀日亭午省牲省器坐承旨此日空山不寂寥騶徒樂工匝如市聞說漢江天一亭別區形勝在尺咫駿奔之餘猶有暇司圃小隸前路指白首騷雅尹別提聯袂江岸共行止少年貴人籝金溢創出巧思湊奇技塹山堧谷層層臺千曲園薔劇侈靡茂林修竹蒼翠間百種異卉與奇蘤崛屼競秀石假峰瀅澈可鑑荷塘水梧槎破礫無非金木石所被皆紋綺炫崑如入彼胡肆霧花纈眼迷靑紫曲曲堂堦各殊狀萬戶千房太幻詭滿壁一大書畵傳主人癖於中國士最是危樓快人意頫臨長江漠無涘長安客店老措大一滌煩襟緣業耳李判官及南奉事不期團會肩相此日之夕矣山影下怊悵回首卽南畤分外情念軍資官飯我同卓對擧匕禁漏鷄人報夜籌煒煌庭燎雙共峙監察史官入如鵠安排豆筵淨筵几金冠玉佩羣工趍爛垂朱芾綦菁履讀書千卷六十老可憐今夜蒙學似長短句讀遲速音一一恭隨壇上嘴紅衣小僕又助敎恐或迷錯語累累不足爲慍還堪哂響應如痴但唯唯此身此役猶榮幸若非臺銜焉到此渢渢大樂堂上下九成金玉貫終始烈文昭武盈庭舞翟籥干戚循古軌七十二人分兩佾周規折矩蹈中蟻古之雅樂如斯否裒然難辨角與徵六穗擅煙浮裊裊秬鬯三爵馨且美肹蠁在上神具醉知應工祀多受祉禮畢送神尋舊跡火樹燭天通遠邇夜如何其星在天城門不鎖靈馭俟酒燈未滅橋南巷暗暗臟神九分喜弊槖尙有沽酒錢呼兒燃燭破壁倚脫袍取醉亦何妨大笑曰能事畢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아침을 먹은 뒤에 아현(阿峴)에 가서 민 낭청(閔廊廳)을 방문하였으나 만나지 못하였다. 다시 근동(芹洞)으로 와서 건(健)·순(順) 형제와 한동(翰洞)으로 가서 종일토록 글을 논하고 왔다. 食後往阿峴, 訪閔廊廳不遇。 還來芹洞, 與健、順兄弟往翰洞, 終日論文而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비가 내렸다. 화옥이 와서 만나고 갔다. 오후에 여러 젊은이들과 종루(鐘樓)에 가서 백등(百燈)을 구경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비가 내렸다. 비를 맞고 오다가 의복이 모두 젖었으니, 한탄스럽다. 雨。 華玉來見而去。 午後與諸少年, 往鍾樓觀百燈, 而回路雨作。 冒雨而來, 衣巾盡濕, 可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비가 내렸다. 오후에 비가 그치자 어깨의 통증 때문에 한동(翰洞)에 가서 이 흥양(李興陽)에게 침을 맞고 왔다. 길을 따라 걸어둔 관등(觀燈)49)이 가히 장관이었다. 저녁밥을 먹고 주인령(主人令)과 함께 동산(東山)에 올라가 관등을 구경하고, 또 남평(南平)과 노상(路上)으로 가서 관등을 보고 돌아왔는데 밤이 이미 깊었다. 이에 잠자리에 들었다. 雨。 午後雨歇, 往翰洞, 以肩臂之痛, 受針李興陽而來。 沿路觀燈, 可謂壯觀, 夕飯與主人令, 上東山觀燈, 又與南平往路上, 觀燈而歸, 夜已深矣。 因爲就睡。 관등(觀燈) 음력 4월 초 8일, 즉 석존(釋尊)의 탄일(誕日)을 기념하는 일로서 집집마다 등(燈)을 다는 등의 행사를 말하고, 법사(法事)는 불가(佛家)에서 행하는 공양(供養) 등의 행사를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병세가 비록 더하거나 덜하지는 않았으나 새벽부터 정신이 한 가닥 맑아지는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대개 5~6일 전부터 연이어 계고(鷄膏, 닭고기를 삶은 곰국)를 쓰고, 그 밖에 치담(治痰, 담병을 치료함)을 위한 조제를 쓰지 않은 것이 없다 보니 이날 아침부터 숨 가쁜 증세가 달라진 듯하고 숨을 쉴 때 어깨가 들썩이는 증세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혹 만에 하나라도 살아날 길이 있다면 몸을 보살피고 병을 다스리는 일이 누구인들 간절하지 않겠는가. 생각이 이에 미치자 나도 모르게 탄식하였다. 그러나 오늘은 바로 선비(先妣, 죽은 어머니)의 기일(忌日)인데 단지 나 한 사람만 있을 뿐이고, 이미 사문(師門)의 일로 제사를 지내지 못한 적이 여러 번이었다. 지금 또 천 리 밖에서 와병(臥病) 중이라서 제사를 지낼 수 있을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 또 하루의 재계를 잡지 못한다면 이는 나의 불효한 죄이니, 비록 객지에서 죽더라도 감히 누구를 원망하고 탓하겠는가. 病勢雖不加減, 自曉頭精神, 似有一綿開明之意。 盖自五六日來, 連用鷄膏, 及他治痰之製, 無不備用, 自是朝喘促之症, 似有變動, 肩息之症亦止。 意或有萬一得生之路, 而調攝等節, 誰爲親切乎? 思之及此, 不覺咄咄, 然今日卽先妣忌日, 而只有吾一人, 已以門事, 不得祀者累矣。 今又臥病於千里之外, 不知祀事之行否。 又不得執一日之齊, 是吾不孝之罪, 雖死客地, 誰敢怨尤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배생(裵生)이 돌아가겠다고 하니 어렵사리 몇 줄을 써서 부쳐 보냈다. 저녁에 이 석사(李碩士)가 4냥의 동(銅)을 가지고 왔다. 저녁을 먹은 뒤에 송 진사(宋進士) 부자와 백건(伯健)이 찾아와서 보고 갔다. 裵生告歸, 艱草數行, 付而去之。 夕間李碩士持來四兩銅。 夕飯後, 宋進士父子及伯健來見而去。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