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歸家 朦朧夜月之下櫓小舟涉月峰前川家奴十餘健丁僊輿來迎纖雨濃霧之間踏汗泥超危澗二十里間關到家卽秋七月十九日丙辰早朝也南坡居士姿逍遙水國乾坤路一條鞍馬驅馳今幾日無端髀肉頓然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御製【五月十五日大王大妃殿誕辰】 寶曆東朝賀慶辰庭萱抽綠駐長春登筵耆耈旡疆祝南極延年壽曜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賡 人間五月卽艮辰長得乾坤不老春金母碧桃東海上垂垂寶蔭幾回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梁黙齊必弘【丁巳】 六旬經籍坐林樊瀟灑園翁有令孫餘事文章投鞚勒故家詩禮訪淵源和鳴五鴈門聲暢善護雙麟世業敦脫屣人間焂何去無端使我惱心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代家兄作】 昌平處士舊林泉盃酒相羊六十年白屋詩書貽厥後靑山楸檟孝於先勳名別界浮雲笑志業空樑缺月懸餘蔭滿庭猶可慰雙行玉樹正交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海藏申判書錫愚舍夜會江漢張五衛心學竹溪黃五衛鎭奎鶴圃權檢書喆仁同賦晉齊趙侍郞在應亦至【臘月念七日夕】 癯如鶴脛老梅身市北橋南不煖菌鍾歇漏鳴壺箭急雨翻雲履局碁新病餘求艾猶三歲夢裏藏蕉又一春役役鷄虫多少念今宵只可麴爲塵醉墨縱橫起我慵韻人圍燭影重重不除豪氣呑湖海一任疎頑藐鼎鐘煖酒衢通尨吠杳寒星古木鳥眠濃長安落葉何唐突三十年來此夜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史要覽序 我國之人生於我國矇然於我國文獻而徒嘐嘐於中國糟粨者此實我國人之一大病也男子生而有弧矢之志中國一天地也三代以前都兪之治不可不學也三代以後盛衰之跡不可不監也聖賢文章可以師也英雄豪傑可以友也然而我國誠海外一褊邦也從古至今壯游中國與之幷駕驅馳者幾人薛仁貴以勇力著崔孤雲以文章聞李稼亭牧隱父子相繼以科第闡寥寥數千載之間不過是數三子而已焉則我國之産不逮中國人而然歟天限南北以長白山鴨綠江爲鐵甕城而然歟抑未知超邁卓犖之流以萬里長城有樊圃之瞿瞿而然乎否也蒙古契丹女眞之種反不在長城之外耶華人之罵我者曰鮮卑氐羌皆入中國稱皇稱帝而獨未聞你國之能如是者你國之人亦可以大言乎此雖出於戱侮而於我國人實是準的語也大冠濶袍坐而高談政事則曰虞夏聖賢則曰鄒魯英雄則曰漢魏文章則曰唐宋而攷其實行無一可摘不其近於優孟之效孫叔乎良可一太息也檀箕以前雖無文獻可徵而箕聖八條猶可稱誦羅麗之間制度稍具政事文學道德豪雋之多有可師可友者迄至于我朝名碩輩出禮樂文物燦然可述稱爲小中華然而階級漸降風氣太遜於勝朝勝朝之風氣較於羅句濟三國更覺落下一層而以若三國之風氣僅能自守而已終不能進取一步矣入於中國稱皇稱帝尙矣母論翶翔皇都入而爲周公召公出而爲方叔召虎者亦且漠然無聞則何况當今乎當今之士尋章摘句嘐嘐然願慕中國之古之人古之人者將欲何爲世不無道德文章之士而簡而拔之者伊誰苟有英雄豪傑之人則與世相違生無以保其身其可以大有爲乎此所以朝鮮之爲朝鮮而止也韓子曰策之不以其道食之不能盡其材鳴之而不能通其意執策而臨之曰天下無良馬鳴呼其眞無馬耶以是觀之古之中國亦何異於今之我國也孔子嘗欲居九夷而曰君子居之何陋之有又曰如有用我者吾其爲東周乎孔子雖不見用於當世而今之我國用孔子之道則我國其海外之東周乎昭陽赤奮若冬十二月下澣鈍人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出鶴城北門 鶴符郵篆兩亡羊破登羸驂遠客裝自笑蘧蘧蝴蜨翅分明浮過水雲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復登松峙【高敞長城交境】 極費行人半日工到於窮處卽玄穹雲淹或落無心雨谷圻相爭有力風雨眼生花迷下界一身如羽泛中空軒然大笑仍長嘯萬事塵間白鬢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宿靑龍洞【主人長城宗人在林】 背立篁林客叩門熹微山色近黃昏主人不見還堪悵童子何知尙可言英竗爾應餘舊蔭從容吾且叙同根相酬一夜能消寂臥聽西城鼓角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姜睡隱看羊錄後【甲寅】 林觀海【檜】公直祭睡隱姜太初【沆】文曰萬曆戊午秋冬之交嶺外遷客友人某聞斯文姜太初之喪於道路將信而疑以爲太初禀天地精英之氣其生於此世天必有所爲而生無所爲而死似非天之意故終不以太初爲死逮是年十二月有鄕書來報則太初之死信矣天地精英之氣卷而歸矣天之有意於世卒難特矣遂哭而慟之乃書而爲文以己未七月初三日致之于鄕居從孫崙以鷄悉薄具俾奠于吾亡友太初之靈曰鳴呼好惡者人之所必同也而有好善而惡惡者好惡而惡善者則人之性異也非人之本性有異也利祿鑠其外而貪慾煎其內也正直醇粹之自立貪愚險狠之縱恣其所好不同故取舍亦異天下善者少而惡者多故正直純粹者則爲人所惡而貪愚險狠者乃爲人所好惡之也則排陷擯抑而使不得容迹好之也則獎餙振拂而引之於世道朱輪華盖光彩眩人閭里慕之道路榮之接跡而旁午者以類聚焉鳴呼善人之生世其亦厄矣往在丙戌丁亥之間湖南士類一時盛會爲一國英俊之域於是太初以弱冠之年汎觀博識種學績文矯矯牛耳於吾儕矣及其世綱橫加輩流星散太初之家亦罹酷禍而太初孝悌之行因之益著矣忽忽數十年間吾流漂西海無意還鄕而太初亦渾舍被掠牧羝日本盖其忠義之節爲黑齒所服華人所嘆而及其全節而歸出力而排之者誰歟巧舌而毁之者誰歟鳴呼太初之生世初不偶然文章冠當代若將以賁餙王猷矣才局脫凡流若將以幹裁世務矣孝悌出古道若將以感化惡人矣而文只爲一家之言才不得少施於世薰其德而善良者亦無幾人壽止於五十官止於郞僚則天之生此人何意窮此人何意不令壽此人亦何意非天之無意於此人乃無意於此世也鳴呼自吾竄謫以來太初盖一致書而報以身丁內艱諸季同廬吾未有以書弔而居然數載矣誠不意太初函厭世之溷濁也百年知已永相違矣千古文章孰與論矣太初有弟以續其文有子以繼其善則自餘悠悠可暝目矣排之毁之終始窮之者可一笑於地下足矣惟白髮之故人望天涯而緘辭昔山川而猶阻今九泉而何知顧平生之心肝常洞照而無疑庶厥誠之可徹想精靈之在玆寓鷄絮於千里聊以舒夫余悲旦先後於大歸終會合之有期鳴呼哀哉云林觀海乃顔常山之流觀其對誣獄罵适賊之語泉臺之下凜凜猶有生氣以若氣節之人決非阿私所好者而其於姜睡隱推詡之若是則睡隱翁之貞忠孤節足可以俟百世而不惑矣夫尙而論之以姜外卽方之蘇中卽亦未必爲僭而于嗟我國遜於西漢旣無典屬一官且無猉獜閣末之畵而但有如簧之巧舌使此需世之器枯項而黃馘可爲千古一太息也歲崇禎紀元後四甲寅後學光山金震休謹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駕鶴橋 官橋楡柳綠沈沈送別郵人滿路陰三歲未歸紆鬱客馬頭猶復悵燃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九萬里【幷小誌】 在丹邱北三四里大路西鄭兵使岐源所住云靑春節銊耀門闌數屋郊村賴不寒幾度尋常來去路無端回首有情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開雲橋【幷小誌】 在九萬里北數里去原之南門未滿一里橋之南數三小屋夾大路如店壚北有數頃良田短橋漂沒水空流數月長霖一劫浮往跡經過還似夢前津屈計㧾關愁頑雲雉岳猶含雨老石龜亭宛帶秋怊悵馬頭三歲面不知何日更尋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비가 내렸다. 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 初九日 보슬비가 내렸다. 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청배에 가서 집에 보낼 편지를 부치고 왔다. 날씨가 매우 흐렸다. 往靑排付家書而來。 日氣甚陰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맑았다. 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몹시 추웠다. 병세가 위중한데 약효가 전혀 없고 원기가 점점 떨어지고 있으니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주동(注洞)의 종인 익정(翼貞)이 와서 보고 갔다. 極寒。 病勢沈重, 專無藥效, 眞元漸奪, 奈何? 注洞宗人翼貞來見而去。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