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奇校理陽衍栢石堂韻 知公心事聽諸蒼。晩節歸休栢石堂。屹若不流滄海柱。凜然獨秀大冬霜。虛襟宛對冰壺潔。尙德方成褧錦章。材合棟樑名砥礪。淸時不負擧賢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保洞契序【代李進士圭浩】 朗之爲邑。在湖右之尾。北去京師八百餘里。南入瀛海半日程。治之鎭曰月岳。巉刻奇絶。突兀撑空。每當旱乾。興雲出雨。故老相傳此山之下。無毒凶云。山之西曰鳩林。鳩林之名。其來久矣。卽玉龍子鳥覆之墟也。入本朝明宣之際。京華士族。以葭莩之親來居焉。與本土同志文雅之士。作菟裘之計。設施一契。世所謂鳩林大洞契也。契中子孫。世世遵守不替。山之東曰永保洞。其始也烟村崔先生。早年通籍。出入修門。晩節退老于此洞。爲門戶長久之慮。與內外諸族。刱建洞規。以遺來者。計其樹立之遠。則視鳩林又先之。自時厥後。閔舍人德鳳。李靑蓮後白。愼提學天翼。金市西璇諸名勝或以僚友。或以婣戚。追入洞案。式至于今。數百年所矣。累經兵燹。間値凶荒。而婣睦之誼。金石不渝。講習之規。樵牧亦知。朗之破荒。以東西兩村。而兩村得名。以兩契也。其實則烟村先生權輿焉。不幸數年以來。規模廢墮。田土散佚。永保之契有名無實。於是洞中長老。慨然興歎。言于太守。太守卽李忠武後裔也。其王考曾莅此邑。稔聞此契之顚末。故片言剖決。卽時修擧。已墜之規模復振。旣佚之田土復全。有如合浦之還珠。桐鄕之遺愛。一畝半頃。莫非太守之力也。約旣定。長老詔圭浩。置一言于卷端。余不嫺文字。何敢泚筆於莫重契案。而反而思之。余亦愼氏之彌甥也。數年前以婣睦之誼。附驥於契末。受賜夥矣。義不敢不文辭。且以托名爲榮。不計荒拙。盥手記之。若其約條凡例。舊案詳之。慈不贅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沙谷遺疏後 粤稽古昔孔子曰。古之諫者。死則止矣。未有如史魚死而屍諫。忠感其君者矣。夫以聖人之見聞。中國之廣博。尙有未有之嘆。而況海外褊邦。人物䏚然之時乎。余於沙谷李公遺疏。今見之矣。如使聖人聞之。則豈不曰。復見史魚乎。說者曰。史魚之諫。在於進賢退不肖。今公之疏。誰爲蘧伯玉。誰爲彌子瑕。是則大不然也。夫天理人欲之別。君子小人之分。只在敬怠之間。而今公之疏眷眷。以敬怠二字陳戒焉。此非進賢退不肖乎。敬者循理。怠者從欲。君子主敬。小人主怠。卽此而觀。則公之進賢退不肖之意。可謂十分呈露矣。但史魚之諫直而切。公之疏微而顯。直而切者。剔出二臣之忠侫。微而顯者。包擧滿朝之忠侫。詳味其疏。則宛然非史魚口氣乎。顧今朝廷淸明。雖無大忠大侫之可以指目。而安知草莽之中。不有如伯玉者乎。輦轂之下。不有如子瑕者乎。凡賢者伯玉之徒也。不肖者子瑕之類也。何必始是卒非而後。始可謂之伯玉乎。何必啗桃竊車而後。乃可謂之子瑕乎。恒人之情。貴耳而賤目。信古而疑今。假使史魚居今之世。有公之疏。吾未知屍諫之嘆。如聖人乎否也。噫。聖人其知忠諫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卷之一賦遠遊賦呈奇松沙【宇萬】兼寄奇植齋【宰】奇普山【宇承】詩謹次族祖上舍公【燧】古杏歌【并小序】歐鳥雀行愛蓮歌幷【小序】魚山高仰呈柏下梁丈【相衡 幷小序】過從容堂遠別離詞憶奇南步【周鉉 幷小序】奉別關西金進士【龍鉉】楊斯文【基承】到靑川謁楠谷宋相公【近洙】拜尤菴宋先生墓淸州米原店夢拜先君拜呈鼓山任先生【憲晦】謹次族叔【元圭】傳春齋韻三首【幷小序】謹次奇校理【陽衍】農巢韻次族姪難窩【繼洙】三難韻三首【幷小序】病中無聊敬次河西先生古詩十韻呈難窩憶家弟允行【裕善】挽族兄止谷公【甲善】敬次朴承旨【昌壽】蘭石堂韻蘆沙奇先生挽謹次羅德巖【燾圭】送惠韻敬次梁校理【相器】晬宴韻壽家君生朝挽李槐陰【奎永】五首次羅丈德巖韻己卯九月與金景範【秉模】入海島自多慶津乘舟下時海次吳氏永慕齋韻次朴道【廷奎】野隱韻感懷呈奇松沙三首和難窩見寄韻三首辛巳十二月二十九日卽先師終祥而爲雨水所阻未能躬趨聊吟一律以寓傷感之懷挽李上舍【最善】五首祭未除夜次李白紫極宮韻述懷除夕述志【幷小序】挽同樞金公【錫粲】二首潭州歸路與柏下難窩松沙登松江亭次板上韻次眠字韻奉呈柏下追憶林西湖【基洪】三首記夢【幷小序】述懷呈柏下丈二首挽德巖羅公四首金省菴【相琦】宋石雲【佐憲】聯袂遠枉數日晤語喜可知也此席不可無詩次雙溪樓板上韻挽金允和【堯德】謹次先師湖上詞十二首寄梁柏下奇松沙寫懷奇松沙三山新築用武夷九曲韻命余足之奉次三山樂府嘉卉十詠次李聖述【鐸憲】南坡亭韻次柳氏蓮堂韻次羅小伯【英集】錦陽齋韻挽蘭石朴承旨二首謹次晦翁臥龍菴韻寄三山臥龍巖謹步晦翁卜居韻題三山龜巖盧致雲【鍾龍】以其尊大人聾巖所扁願豊亭詩要余索和忘拙題寄謹次鄭氏海上望祭韻【幷小序】和柳春伯【寅奭】睡軒韻丁酉除夜述懷與外兄崔聖器潤瑚會話冬至夜石門會話次鄭氏湖山亭韻【幷小序】次金氏醉歌亭韻追次西城志湖喜韻【幷小序】過卞先生【成溫】壺巖草堂寄宿雙壺亭過冬柏亭挽柳普卿【洪根】謹次族叔【升圭】聽一齋韻挽鄭貫一【道源】三首挽族叔松窩【禎圭】上崔勉菴【益鉉】上宋淵齋【秉璿 庚子】挽奇梧隱【琮鉉】謹次羅進士【元錫】松石軒韻【幷小序】金斯文【禹植】得奉於遠溪一面如舊相識回路倂轡到完山臨別口呼三首金溝途中拈松川集中韻敬次鳴玉軒雜詠十二絶龜洞與崔雲齋【永祚】共賦次金上舍【榮喆】晩睡堂韻挽羅士賓挽奇雲陽東觀和族弟如日【昇善】菊花吟壬寅九月觀察李公設鄕飮酒禮于光校屢以書邀余不敢終辭遂賦近體一律仰呈敬次益齋李先生眞幀自贊詩題鄭籣坡【錫珍】碑閣二首蜡月之初與柏下會于不換亭拈韻未成而罷歸後柏下賦三首詩以寄余依次仰呈和林錦愚【相煕】明字韻記夢【幷小序】挽鄭江沙【在健】次金應一【源中】迎狂亭韻聞山齋趙領府【秉世】處義感吟二首次金鳳于【永岐】哀桂庭閔尙書【泳煥】韻二首章山齋小會與柳敬彬【興淵】共吟挽李監役【鳳朝】謹次柏下見贈【幷小序】不換亭憶林致瑞【漢圭 幷小序】挽金君【東燮】次朴參奉【楨基】金剛韻贈別族孫【君則】準槿歸昇平三絶【幷小序】冬至夜無寐以冬至陽生春又來分韻得七絶詩呈金鳳于梧几兼簡竹坡志於齋與梁汝慶【相賀】唱和次尹公三【恒植】秋塘韻襄平公影幀移奉後感吟次金氏感古齋韻病中和難窩見贈次下泉齋韻【幷小序】龜洞與金豊五【顯玉】族弟瑞正【禎善】述懷上淵齋二首【辛丑】自珍山倒高山投宿村店次金春甫【任華】淸陰亭韻又次淸陰亭十詠懷吳參書【翔學】永思齋除夜與族姪竹史【任洙】李石田【炳壽】共吟不換亭重陽會呈奇松沙六十一歲壽席次鄭氏龍塢亭板上韻謹次石泉金公贈職後志感韻敬次志於齋韻次宋景林【恩植】望華亭韻次柳國賓【永觀】回甲韻次韻寄題吳中一【文泳】竹裡亭金君穉叔【堯明】崔生永文【潤魯】見顧共賦一絶次羅君【鍾燮】靜隱堂韻次文居士【圭政】日省齋韻【幷小序】與林文玉【敦圭】唱和次李啓晧月坡韻白鴻善設其王大人重牢宴一律贊賀卷之二詩敬次寒圃齋李先生羅老島謫居韻金東岡【寧漢】遙寄傳心梅韻命余和之次陶靖節閒居韻次鄭敬國【寅相】月潭韻奉呈松沙悅雲亭與奇植齋姜仲民【天秀】共賦朴寬述【勝徹】羅季述【漢明】以古意相尋呼韻共賦山居雜詠十一首與林錦愚相酬二首雪中梅寄柳道裕【厚烈】二首和難窩歎世作雪竹永思齋雅會和石田冬至吟朴君寬述經歲相對喜可知也悵然告別率爾書贈二絶挽梁柏下二首挽梁子仲【相冕】挽崔勉菴二首挽宋淵齋二首挽奇白水【宇蒙】二首挽族叔【鉉圭】癸丑九月到石門謾賦八絶次李記注【鶴相】心鮮韻李松石【圭彩】林錦愚惠枉山門菊花山中送別【倂小序】續賦七絶四首贈諸友次沈仲振【遠杓】晩翠亭韻石門與諸生共賦三首次金陵文氏上谷祠壇享韻次金仲志【榮春】聽天堂韻與植齋石田會大明洞竹史庄贈別族孫義養【直敎 幷小序】贈魯悠南【愉鐸】贈別白正叔【南重】二首次沈君【鍾大】壽親韻餞春日和諸生韻志於齋與李亨仲【鍾宅】小話呈碧華山人【金成煥】行呈高弦窩【光善】挽高尼石【濟喬】挽高友石【恒柱】二首挽梁梧軒【逸永】次金得壽【海容】湖隱亭韻送別海士【漢宗】次林公弼【魯圭】挹爽樓韻次金校理【東洙】無如齋韻次李雲五【龍憲】梧山亭次金學士【鎭祜】錦樵韻次金議官【永鍾】南愚堂韻謁崔勉菴遺像次鄭參奉【榮源】大人老圃堂韻挽奇松沙丙辰至月往赴松沙窆禮沈君鍾大偕行歸賦所悔以寄因和其韻次崔正彦【圭鉉】夙夜齋韻次金氏暎荷亭韻和贈成君【夏龍】寄題金君【永采】翔于亭次金葦南【泳冀】送惠韻哭柳道裕三首次金泰一【容希】晩翠亭韻山居珷聊與諸友書懷湧珍精舍原韻二首次金京華【珉煥】錦西韻次韻賀閔主事【泳珏】壽席和贈金景儒【珍鉉】挽難窩翁四首挽朴道兼次陟西亭韻寄鄭參奉【海溢】次趙氏湛樂齋韻千竿修竹達德祠感吟【幷小序】和金汝堂【燦基】次松沙韻贈金君【栗寬哲寬】兄弟贈別沈南擧【翰求】和鄭斯文【鍾玉】祝聖錄韻三首次梁汝禎【在慶】寒後亭韻高生【在鳳】讀中庸于德山幽菴作詩見志和韻以贈次鄭成齋【遇亨】侍中洞韻次沈相冕大人回甲韻奉贈梁元淑【會甲】二首【幷小序】挽朴石陰【魯述】三首次李參判【載亮】南岡亭韻贈別宋虞鏞始鏞從昆季贈鄭生美伯【懿衍】二首呈吳掌令【光洙】次李明淑【啓琮】三山齋韻悼奇美中【世休】三首挽奇春潭【東準】贈金生【容班】次安君【紋材】次鄭氏述先齋雲贈安善奎【哲魯】悼宋虞鏞贈池君【楥煥】和贈金子善【堯元】和贈魯璿杓璹杓二首贈別鄭昌賢【雲灝 幷小序】次廉侍永思齋韻悼羅生聖均贈別金煕鍊柳鳳煥二君悼族孫直敎【幷小序】次朱氏遠慕齋韻次鄭聖老【遇亨】成齋韻次柳氏雲湖亭韻贈別金陵金秀才【權永泰煥孔壽】三首次景陽齋韻寄李光述【承燁】二首贈宣生【楨奎】贈金生【棕坤】次晦翁晩步韻贈金生【龍鉉 幷小序】贈梁生明述【在道】奇公吉【老善】示我以二絶詩把玩可喜走次以贈斷髮嶺望金剛靈源寺摩訶衍到高城自溫井向元山通川叢石亭到平壤松京懷古善竹橋今年夏余自金剛而還沈生【翰求】守精舍不去其意可尙有詩慰我可無和次徐參奉【源玉】何人亭韻次鄭君【遠會】三近堂韻【幷小序】贈別林生【萬洙】次金氏世孝閣韻次述事齋韻【幷小序】和李伯心【啓性】寄來韻次愼君【濬晟】大明梅韻次文正晦【昌善】留贈韻贈別金鶴老【碩赫 幷小序】贈別安生永大【基成】悼金文郁【堯周】次李晦而【弘榮】送別鄭子文【炳憲】次勉菴文集刊所韻次鄭參奉【榮源】台湖亭韻次贈李君【敎昇】次贈金復三【圭】挽崔雲齋二首鄭生炳憲彦從昆季從余于聳珍山中相守數月講論之樂甚相得也二君以久離親側不禁屺岵之思促裝吿別悵然書贈挽金省菴【幷小序】贈申【性均】姜【敎】兩君次崔氏羊巖亭韻次曺京伯【殷煥】小山亭韻敬次二履齋韻挽李公【邦新】次碧壺亭韻寄金史【澤柱】敬次集成祠韻次李松石【憲秀】撫月亭韻挽金梅史【楀澤】三首挽吳掌令贈朴永緖挽吳君【永大】喜權君五【載奎】李致先【敎宇】遠訪族姪喆洙以東岡先祖遺稿繕寫之役來留數月將歸贈我以近體一律信筆以和送李生【鍾錫】贈金童子【堯根】挽尹潁陽【相龍】次金恒齋【純默】滄浪臺韻贈李敬求【重權】次黃景涵【澈源】雲谷書舍韻贈別卞生【榮濩】次林監役【在煥】春谷亭韻贈廉平叔【任均】次丁學魯寒梅韻雨中山齋與白遂堂【樂奎】敍話次河東秀大人回甲韻酬宋君【宅會】次高翊柱大人【濟神】晬辰韻次李氏樵隱亭韻贈奇生【舜敍】謹次萬谷祠壇享韻次李氏永春亭韻贈別朴二君【燦濟燦錫】月下啼鵑慶興宗人在英跋涉三千餘里展謁先墓次及於余數夕對討花樹之情殆未易喩也歸賦所懷以寄拚和仰呈述懷三首安生善奎【哲魯】設其大人壽席,請余和韻次崔正三【禹鉉】回甲韻次徐參奉【台煥】撫松亭韻寄題金君翼【鳳煥】不日臺挽梁蕙坡【相鉉】挽柳石松【昌秀】次文氏蓮愚堂韻奉次愼敬儀【宗鳳】戰兢齋韻【幷小序】次五鳳精舍韻寄林君【顯周】贈金生季亨【寧鎬】次魯善之【炳岳】野隱韻【幷小序】次梁天默大夫人回甲韻次金顯局大人箕隱韻次車仁洙後溪韻次愼君【容晟】韻次鄭君【成燁】鶴亭韻卷之三書上蘆沙奇先生上蘆沙奇先生別紙上崔勉菴【益鉉 己亥】上崔勉菴上崔勉菴上宋淵齋【秉璿 己亥】上宋淵齋【辛丑】別紙與尹晦山【泰元】與閔招討【種烈】答閔招討答梁柏下【相衡】答梁柏下答羅德巖【壽圭】答羅德巖答李判書【道宰】答安承旨【鍾和】與吳重涵【繼洙】與吳重涵答吳掌令別紙【光洙】答吳掌令與奇松沙【宇萬】與奇松沙與奇松沙答奇松沙與奇松沙與鄭季方【義林】與吳德初【門善】與金允和【堯悳】答外兄崔聖器【潤瑚】與崔贊瑞【基龍】答盧都正【在奎】答吳伯度【甲根】與吳伯度答梁永五【逸永】與羅明淑【英集】與李聖述【鐸憲】答崔正彦【圭鉉】答盧進士【近壽】與盧進士答奇德三【周鉉】答鄭聖魯【遇亨】答鄭聖魯答金平集【澤柱】與奇性初【宇蒙】與奇立夫【宰】答奇立夫與奇立夫答高元汝【光善】與高元汝與高參奉【升柱】與崔進士【永卨】答愼敬儀【崇鳳】與李國瑞【熙容】答朴仲和【采柱】與李福一【炳壽】與柳啓翼【昌秀】答柳啓翼答李章伯【憲秀】答李熙卿【敦植】與奇國賓【東觀】答曹而敬【錫休】答柳德吾【碩永】答鄭處仁【鍾訥】答吳景遠【永奎】答高養汝【弼柱】答具德允【翼謨】答閔參奉【泳杓】答李君和【錫宇】答鄭參奉【海鎰】答吳而敬【榮洙】答金載華【在夏】與柳國賓【行源】與金定元【用中】答崔汝正【相廷】答宋進士【佐憲】與奇松友【柏度】答閔德賢【重植】與魯明孝【愉鐸】答姜仲民【天秀】與鄭致裕【凌源】答鄭君仲【達會】答金參奉【在千】答李道觀【泰魯】與羅伯仁【禎均】答廉敬汝【在愼】與羅聖圭【禹成】答文載悳【在德】答吳厚卿【根厚】答柳道裕【厚烈】與柳道裕答宋明五【廷默】答宋善一【棋萬】答金文汝【秉圭】卷之四書答李參判【載亮】與李參判答白致三【樂恒】與安德咸【時鎔】答朴公彬【魯禎】與林國珍【相熙】答林國珍與崔錫胤【永祚】與崔錫胤與奇平仲【東準】答奇平仲答奇平仲答梁汝禎【在慶】答李景賢【彩圭】答金炳叔【永彩】與尹而見【相龍】與尹而見答閔侯【泳釆】答金性淑【堯薰】答金士成【晚植】答李校理【種文】答趙成汝【章變】答趙成汝答盧致雲【鍾龍】答吳聖述【熙善】答吳聖述別紙答崔順明【榮台】答白國明【由寅】答金德文【純默】答金德文答吳潤德【昌洙】與金鶴老【碩赫】答金鶴老答李聖道【一相】答林仁善【炳郁】答金良汝【永釆】與金明克【烈】答趙贊明【淇煥】答崔正三【禹鉉】與羅性彬【性洙】答柳觀之【春淵】答康和允【基泰】答鄭仲賢【一變】答林文玉【敦圭】答李亨仲【鐘宅】答金章叔【錫煥】答孔道卿【學源】答鄭孝善【成根】與高道一【光洙】答梁永斗【會石】答林聖述【魯駿】答李敬求【重權】答鄭益三【大鉉】答徐結城【載克】答朴仲三【魯庠】答卞晦叔【鍾爀】答安敬一【京煥】與奇國老【東奭】答金學卿【志學】答金學卿答金學卿答奉衡中【洛淳】答奉衡中答羅致九【相一】答金君翼【鳳煥】答金君翼答鄭聖河【潾默】答金汝堂 【燦基】答李景淑【莊勳】答吳載華,【在英】答廉敬安【宅洙】答廉敬安答李敬純【承穆】答奇美仲【世休】答金侯【性基】答吳參書【翔學】答申議官【瑢熙】答朴京釆【淇紋】答梁俊賢【成默】答梁俊賢答朴孺玉【琳相】答金君明亮【堯協】答白子行【景寅】答白子行答朴景立【準基】答金京華【珉煥】答鄭成五【鍾玉】答朴子彦【俊東】答羅希文【度淳】與金贊文【燉】答朴德吾【道東】答朴德吾答金景淑【禹鎭】答金聲表 【敏浩】答宣燦明【性奎】答崔永文【潤魯】答李慶仲【慶儀】答李慶仲答朴禹相【均夏】答梁元常【在亨】答魯士遠【泳駿】卷之五書答宋原孝【曾憲】答金伯應【在鍾】答白浩卿【南發】答白浩卿答奇子術【觀燮】答李直夫【時衡】答許恂明【炳】答金景儒【珍鉉】答梁行源【孝默】答梁行源與金仲善【在禹】答梁士衡【會寅】答梁元淑【會甲】答梁元淑答梁元淑答梁元淑答李仁彦【乙鎬】答柳精天【星烈】答文致仲【丞浩】答鄭性之【燾洪】答羅性行【炳觀】答文正晦【昌善】與沈正五【鍾大 癸丑】答沈正五【丁巳】答許晦彦【燮】答金奉賢【容勳】答奇光國【世觀】答辛源汝【東旭】答曺德瑞【昌燁】答李光述【承燁 癸亥】答李光述【甲子】答柳貫一【庠烈】答林奏彦【炳一】答李桓鎔答安仲述【鍾基】答吳秉南答李宇現【相皓】答金學元【昌洙】答郭德用【基永】答南鵬答愼準璿【容晟】答朴峻華【魯烈】答張處中【釋均】答金淸一【喆洙】答閔子直【泳夔】答李炳淑【義升】答金泰亨【永烋 甲子】答金泰亨【乙丑】答梁重涵【會澈】答閔泰亨【泳仁】答宋榮浩文浩答李鍾煥答卞鍾來答金周彦【錫棟】答鄭允甫【允源】答崔近術【仁宇 乙卯】答崔近術【丁巳】答高光純答李春哉【鶴宰】答任良才【公淳】答安文哉【圭福】答宋殷錫答鄭天翼【海鵬】答姜性太【大基】答金行運【東璨】答吳海壽答金仁善【容涉】答金執中【喆煥】答朴鎔相答金彦卿【浚植】答金彦卿別紙與吳雲汝【龍根】答曺東湜答丁君瑞【鳳泰】答柳秉斗【在洙】答文元之【貞鎬】答羅性哉【聖均】答朴寬述【勝徹】答朴寬述【己未】答奇欽夫【老柏】答尹化玉【璟赫】答林爀圭答李衡甫【璇鎬】答吳箕範【洪根】答吳箕範答金而習【時鎬】答吳慶龍【武烈】答朴升如【日圭】答李斗永答李祺永答李尙薰別紙答金吉中【鎔璇】答文汝章【冕植】答朱寬植答馬英玉【相德】別紙答李聖尹【敎勳】別紙答鄭德卿【休淙】答安善奎【哲魯 己未】答安善奎【壬戌】答徐基鉉【甲炫】答崔林默答丁萬裂答金文三【甲洙】答朴鉉從【鍾瀚】答金勝坤答金主事【箕粹】答鄭休暢別紙答金洪擧【在勖】答柳鳳煥【在鳳】卷之六書答奇公吉【老善 戊辰】答奇公吉答吳柱原【榮均】答奇允明【堯錫】答朴會周【英柱】答白聖岡【鳳圭】答崔允實【光奎】別紙答崔允實別紙答吳義養【直敎 乙卯】答吳義養【戊午】答朴聖居【榮洙】答奇元燮答安永大【基成 乙丑】答安永大與沈南擧【翰求 幸酉】答沈南擧【乙丑】答沈南擧【戊辰】答梁伯慶【時模 辛酉】答梁伯慶【壬戌】與金宇根答劉子敬【貞煕】答劉子敬【甲子】別紙答劉子敬【丁卯】答高恭三【光寅】答金文耶【堯周】答曺武兼【文煥】答李伯心【啓性 丁巳】答李伯心【己未】別紙答李伯心【辛酉】答朴從賢【燦錫】答朴從賢答金季亨【寧鎬】答吳舜淑【孔烈】別紙答丁重車【炳斗】答白鴻善答李善夫【東述】答楊士得【秉求】答池泰巡【機煥】答宣楨奎答柳泳喆【秉寅】答金而仲【栗寬】答金而仲答金子善【堯元 壬戌】答金子善【丁卯】答金子善【丁卯】答鄭美伯【懿衍】答柳晦汝【根重】答魯壽玉【璹杓】答魯壽玉答鄭子文【炳憲】答崔伯明【昌德】答李錫胤【鎭炯】與金雲會【龍鉉】答金子華【泰煥】答金芝永佑永答金章善答愼珍淑【文晟】答李德瑞【錫驥】答林明中【鍾炫】答道東院儒答南康院儒答長淵祠儒生寄子憲洙答東洙姪答東洙姪答東洙姪答南洙姪寄兌洙姪答根浩孫答根浩孫卷之七雜著沙上贄謁錄西遊錄西行錄經義問解狂山說保晚說贈李載春養晦說贈柳晦根【寅協】持志說贈崔永文書贈高光寅贈別鄭美伯書贈沈南擧書贈林龍基李景晦字說書贈金永鈺書贈李善夫書贈吳炳鎰柳根重字敍三近說贈金正會贈郭基永農隱說書贈金堯元書贈白鴻善抵本郡守抵三巨里憲兵所卻金顚末醉山說卷之八序節齋實紀序春秋契序逸軒遺稿序巾川集重刊序送尹晦山序十老祠實蹟序百花亭序松溪適菴二公實蹟序續修契序贈鄭統將【錫珍】序羅州吳氏派譜序許氏五賢實紀序光山李氏族譜序挹淸軒遺集序默窩遺稿序錦陽遺稿序崔氏世孝實錄序完在亭詩軸序河南程氏族譜序贈高正齋【弼柱】序梧軒遺稿序呂氏家乘序贈吳厚卿序思漢帖序贈鄭元卿【鉉春】序善山柳氏族譜序贈奇公呂【老鼎】序心學源流序竹菊軒遺稿序贈梁君汝慶序閔友【泳珏】壽序河東鄭氏派譜序溪史詩稿序原從功臣曺公實紀序扶陽帖序希菴遺稿序卷之九序尊周錄序蘭石堂序送閔招討使序全州李氏派譜序莪谷遺稿序東谷遺稿序送李希璟歸鬱陵島序耽津崔氏世蹟序日峯遺稿序道尊契序贈奇允明序靑隱遺稿序驪陽陳氏派譜序簡禮纂要序管山遺稿序武陽院誌序觀善帖序贈梁致玉【琯默】序贈朴二君【焄采燦錫】序族弟彩善孝行事蹟序白巖堂遺稿序節婦金氏實錄序杏園序金伯剛【熙鍊】字序樵隱遺稿序直齋遺稿序杞溪兪氏家乘序贈白君聖岡序慶州金氏族譜序贈徐生【昌炫】序與學錄序濟州梁氏族譜重刊序贈崔生【光奎】序卷之十記樂德巖記光風閣記邀月亭重修記褒忠祠重修記羅州鄕校興學記石串亭重建記永思齋重建記花巖祠重建記萬谷祠壇享記咸平鄕校重修記閒亭重建記曺氏永慕齋記華山三先生壇享記樂安文廟重奉事實記柏山齋記追遠齋重修記慕忠齋記鄭氏忠孝閣記鳳山齋記朱氏遠慕齋記襄平公影幀移安事實記集成祠事實記貞敬夫人金氏築壇事實記二虛亭宋文節公封墓竪碑事實記永追齋記訓鍊院奉事高公事實記翠薇亭重建記孝子草堂鄭公旌閭重修記永式齋記李氏永春亭記節孝婦金氏實蹟記金孝子旌閭記慕賢出義帖記翠柏堂記孝烈婦趙氏旌閭記晩睡堂後記遊金剛山記壬戌秋黃龍江船遊記大瓠亭後記觀海堂記醉隱亭後記晩翠亭後記孝節婦鄭氏實行記景濂堂記東湖亭記觀稼亭記石泉堂記臨履亭記農隱亭記永昭齋記靜隱堂記寒淸堂記湖隱記潔豐齋記魯齋記勿老齋後記遲松記明菴小記卷之十一記竹圃記柏下記錦樵記西湖記覽輝齋記守愚記錦陽齋記小草記錦愚記松下記三山記農汕精舍記金孝子旌閭記晩愧堂記梅湖記溫泉精舍記悠南齋記後西記晩翠堂記竹軒記平菴記恒齋記樵隱記松塢亭記復齋記琴隱記醒菴記晦山記北涯亭重建記陟西亭記永慕齋記烈婦金氏旌閭記紫荊亭記後海記野隱記愼菴記必守齋記秋桂記瑞隱齋記屛隱記月溪小記卷之十二記晚遂齋記光山金氏四世五旌移建記感古齋記金海金氏三綱實蹟記永慕齋記百忍亭記松隱堂後記秋塘記述先齋記慕齋記歸厚齋記柏菴記蘭坡精舍記醉石記拙窩小記澹圃記靖山齋後記素安齋記頑石小記長春齋記健菴記南石記樵隱記石溪亭記省菴記說樂齋記宜春軒記白菴記南齋記誠齋記篤志軒記晦雲記岐隱亭記雙碧亭記默菴記孝子贈教官黃公旌閭記月坡小記永言齋記警齋記竹坡記六行門記鶴皐記聽流亭記不日臺記景陽齋記杜齋記筠山亭記漁樵菴記敬愼齋記箕隱記雙翠亭重修記蕉軒後記台湖亭記金在漅孝行實蹟記松皐記孝亭記檀坡亭記卷之十三跋明谷集跋黔巖集跋書尊好錄後梅軒世稿跋書陽山金先生實錄後題蓮江遺稿後碧梧亭遺稿跋跋秋潭遺稿石門集跋書金石泉贈職時志感韻後淵泉世稿跋息蔭堂遗稿跋書宋忠襄公遺事後隋城崔氏族譜跋書平澤林氏三綱遺墟碑後書湖洛尺牘後二禮輯要跋題達德祠會講錄性菴家藏跋錦坡遺稿跋題梁孝默大夫人河東鄭氏孝烈傳後蓮泉遺稿跋書崔基正孝行實蹟後羅州吴氏族譜跋書節婦梁內實蹟後書洪承俊廬墓事實後林氏家史跋書曹司果事蹟後書金君基三孝行實蹟裴炳儀孝行事蹟後書烈婦朴氏傳後書孝子李公狀軸後節孝婦光山鄭氏家狀後竹軒集跋書松石軒金公行蹟後光山鄭氏世稿跋書淑人張氏烈孝實蹟後書姜樂軒孝行實記後書孝列婦淑人張氏實蹟後題梁公薦狀後書淑夫人開城玉氏孝烈行實後書朴孝子實蹟後卷之十四銘後齋銘梁成黙聾啞齋銘月松齋銘箴訥齋箴蒙齋箴贊松沙奇徵士畫像贊戰兢齋畵像贊辭過玉溪辭鄭公五字辭奇欽夫祝辭勉學辭贈朴正術【勝彦】梁君聖則【周黙】哀辭婚書孫兒根浩婚書上梁文啓聖祠重修上梁文敬章閣上梁文集成祠上梁文高山祠上梁文忠賢閣上梁文晩睡堂上梁文三湖亭上梁文敬慕齋上樑文,德陽書院上梁文博山講堂上梁文尹氏三賢堂上梁文寶山精舍上梁文晩翠亭上梁文追遠齋上梁文錦沙亭上梁文野隱堂上梁文道南齋上梁文永言齋上梁文景烈祠講堂上梁文朴氏竹軒亭上梁文海隱亭上梁文七頭亭上梁文向陽齋上梁文孝烈碑閣上梁文歲寒齋上梁文晩稼亭上梁文李氏栢山齋上梁文家姪新居上梁文卷之十五祝文獅狼山祈雨祭祝文襄平公影幀移安告由文十二代祖妣貞敬夫人金氏設壇祝文月井院墟設壇告由文德陽院寒圃齋李先生奉安告由文華山壇享祝文松村祠奉安剛齋宋先生文忠賢壇西山柳先生壇享告由文忠賢壇丁享祝文德陽書院配享都事吳公文松村祠奉安餘力齋張公文綾州三忠壇開基祝文景烈祠奉安告由文高山祠莘湖金公配享告由文高山祠松沙奇公配享告由文萬谷祠設壇告由文斗峯祠遯齋鄭公奉安告由文綾州三忠壇奉安祝文三忠壇丁享祝文聳珍精舍開基祝文祭文祭蘆沙先生文祭崔勉菴先生文祭宋淵齋先生文祭梁柏下文祭奇松沙文祭外兄崔守愚文祭奇立夫文祭奇平仲文祭崔錫胤文齊金致玉文祭族兄止谷公文祭族叔聽一齋文祭亡弟德涵文祭亡弟允行文祭從孫頤根文卷之十六碑高麗寶文閣直提學諫議大夫贈崇祿大夫議政府左贊成門下侍中文節公雲巖車先生神道碑銘【幷序】勉菴崔先生謫廬遺墟碑退菴趙公遺墟碑徵士漁隱金先生遺墟碑贈通政大夫兵曹參議行禦侮將軍訓鍊院正宋公殉節遺墟碑斗洞書院遺墟碑智島縣三綱碑同福吳氏三忠實靖碑商山金氏世葬碑金海金氏三忠碑全州李氏三綱碑晉州鄭氏世孝碑芝菴吳公實蹟碑光山金公孝行碑坡平尹氏南下世居碑孝子思慕齋裴公事實碑朴孝子實蹟碑通政大夫丁公追慕碑茂松海里坊頌惠碑節婦孺人金氏實行碑孝烈婦崔氏碑孺人徐氏孝烈碑金海金氏孝烈實蹟碑小松居士金公實行碑孺人姜氏烈行碑咸平李氏世葬碑金海金氏三綱實蹟碑銘【幷序】池孝子遺墟碑孝子朱公孝婦金氏實蹟碑銘【幷序】烈婦贈淑夫人설氏殉節碑卷之十七墓碣銘遯菴先生梁公墓銘【幷序】退隱姜公墓碣銘【幷序】石壕先生羅公墓碣銘【幷序】成均均員不貧亭洪公墓碣銘【幷書】副司勇柳公墓碣銘【幷序】西山金公墓碣銘【幷序】高麗兵部尙書瑞隱全公墓碣銘【幷序】參判丁公墓碣銘【幷序】司諫院正言李公墓碣銘【幷序】成均生員靖節齋丁公墓碣銘【幷序】判決事金公墓碣銘【幷序】縣監宋公墓碣銘【幷序】慕軒徐公墓碣銘【幷序】月隱朴公墓碣銘【幷序】主簿瑞菴李公墓碣銘【幷序】贈參議柳公墓碣銘【幷序】僉正徐公墓碣銘【幷序】宣略將軍訓鍊院僉正宋公墓碣銘【幷序】遠慕姜公墓碣銘【幷序】樵隱處士朴公墓碣銘【幷序】白巖裴公墓碣銘【幷序】龍岡縣令金公墓碣銘【幷序】滄浪處士廉公墓碣銘【幷序】東山處士尹公墓碣銘【幷序】嘉善大夫兵曹參判李公墓碣銘【幷序】訓鍊院奉事朴公墓碣銘【幷序】梅隱尹公墓碣銘【幷序】明菴盧公墓碣銘【幷序】同樞鄭公墓碣銘【幷序】芝谷鄭公墓碣銘【幷序】贈戶曹參判李公墓碣銘【幷序】贈持平孔公墓碣銘【幷序】崇禎逸士文公墓碣銘【幷序】主簿朴公墓碣銘【幷序】孝子贈教官趙公墓碣銘【幷序】歧湖處士李公墓碣銘【幷序】長水縣監金公墓碣銘【幷序】麥圃朴公墓碣銘【幷序】贈吏曹參判柳公墓碣銘【幷序】卷之十八墓碣銘成均館典籍愛日菴李公墓碣銘【幷序】司憲府掌令牟公墓碣銘【幷序】龍溪李公墓碣銘【幷序】岑鼎子尹公墓碣銘【幷序】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裴公墓碣銘【幷序】自隱沈公墓碣銘【幷序】三達吳公墓碣銘【幷序】雲溪徐公墓碣銘【幷序】菊史朴公墓碣銘【幷序】敏齋張公墓碣銘【幷序】平菴處士卞公墓碣銘【幷序】學生吳公墓碣銘【幷序】海隱丁公墓碣銘【幷序】贈通政大夫池公墓碣銘【幷序】醉隱李公墓碣銘【幷序】晩悔處士金公墓碣銘【幷序】志晦齋金公墓碣銘【幷序】贈左承旨金公墓碣銘【幷序】同樞金公墓碣銘【幷序】晩隱鄭公墓碣銘【幷序】贈通訓大夫掌樂院正安公墓碣銘【幷序】松隱金公墓碣銘【幷序】學生丁公墓碣銘【幷序】懶圃許公墓碣銘【幷序】荷齋朴公墓碣銘【幷序】贈承旨李公墓碣銘【幷序】贈參判池公墓碣銘【幷序】白巖孫公墓碣銘【幷序】守軒李公墓碣銘【幷序】贈監察朴公墓碣銘【幷序】贈嘉善大夫戶曹參判金公墓碣銘【幷序】省孝處士金公墓碣銘【幷序】蓮堂金公墓碣銘【幷序】瑞軒居士安君墓碣銘【幷序】令人金氏墓碣銘【幷序】茅菴白公墓碣銘【幷序】監察李公墓碣銘【幷序】溪隱處士白公墓碣銘【幷序】贈參判梁公墓碣銘【幷序】醉石羅公墓碣銘【幷序】卷之十九墓碣銘義禁府都事槐陰先生李公墓碣銘【幷序】晩悔齋梁公墓碣銘【幷序】石心林公墓碣銘【幷序】白水軒奇公墓碣銘【幷序】岐山居士李公墓碣銘【幷序】懶齋柳公墓碣銘【幷序】晩齋梁公墓碣銘【幷序】錦陽林公墓碣銘【幷序】春坡魏公墓碣銘【幷序】方壺居士卞公墓碣銘【幷序】司憲府監察鄭公墓碣銘【幷序】老圃朴公墓碣銘【幷序】嶺松堂朴公墓碣銘【幷序】贈監察朴公墓碣銘【幷序】學生宋公墓碣銘【幷序】觀湖裴公墓碣銘【幷序】嘉善大夫金公墓碣銘【幷序】同知敦寧府事金公墓碣銘【幷序】竹溪朴公墓碣銘【幷序】右部將宋公墓碣銘【幷序】晩求窩宋公墓碣銘【幷序】贈司僕寺正全公墓碣銘【幷序】令人沈氏墓碣銘【幷序】孺人咸陽吳氏墓碣銘【幷序】菊軒朴公墓碣銘【幷序】卷之二十墓表司宰令金公法生墓表英陵參奉崔公瀛墓表戶曹參議金公世禎墓表明陵參奉丁公宗輔墓表英陵參奉柳公漢徵墓表羞卞堂金公廷望墓表參奉徐公義孫墓表慮運處士金公應基墓表進士野松亭吳公處大墓表監察鄭公穫墓表永言堂姜公師周墓表心圃柳公挺洌墓表率性齋柳公頤淑墓表同知中樞李公命仁墓表孝敬堂裵公潤祊墓表龜龍齋宋公廷賢墓表五宜齋洪公在淵墓表德隱朴公慶春墓表石溪姜公瀅煥墓表柏隱李公鎭榮墓表贈通政大夫左承旨盧公萬龍墓表農隱金公倍學墓表樵菴金公弘彦墓表同知中樞府事申公命東墓表老谷丁公秀人墓表通德郞梁公贊永墓表贈參判柳公興喆墓表贈通政大夫池公崙澤墓表嘉善大夫工曹參判徐公震无墓表孺人竹山安氏墓表贈兵曹判書廉公傑墓表宣敎郞金公承趙碑陰記贈左承旨朴公載垕墓表贈左通禮柳汀金公重炳墓表贈嘉善大夫禮曹參判柳公基連墓表通德郞全公東慕墓表贈淑人金氏墓表卷之二十一墓表雲陽奇公東觀墓表贈參判崔公承翰墓表艎村居士宋公鎭英墓表通政大夫龍驤衛副護軍吳公廷驥墓表夙夜齋崔公圭鉉墓表月潭林公基春墓表月圃亭徐公洧晟墓表二弟泳善墓表孝子吳公震儀墓表孝子幽菴金公昌煥墓表學生羅君炳斗墓表愚石林君晦叟甫魯龜墓表參奉金君璟燮墓表思軒金公淡愚墓表孺人柳氏墓表嘉善大夫鄭公瓛墓表東德齋鄭公晊墓表贈參議池公應漢墓表爐峯李公奎成墓表墓誌銘道菴鄭公仁洪墓誌銘孝子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羅公慶佑墓誌銘懶齋鄭公澤明墓誌銘謙窩梁公瀚觀墓誌銘贈嘉善大夫防守軒金公在祿墓誌銘聾菴吳公禧相墓誌銘通政大夫延日縣監奇公夏雲墓誌銘寢郞晩守亭金公永泰墓誌銘卷之二十二行狀兵使贈兵曹判書宣公居怡行狀兵曹參判文村李公光先行狀新峯先生李公馥遠行狀順天府使默齋金公彦恭行狀七迂李公潤聖行狀晚悔朴公徽鎭行狀兵曹參議吳公相昱行狀碧梧亭李公宗善行狀海隱金公駬孫行狀松齋吳公克禮行狀錦西柳公希榮行狀龍驤衛副護軍吳公以健行狀居居齋吳公大勛行狀逍遙齋鄭公仁光行狀老癡李公養馥行狀學生吳公相一行狀雲菴馬公應井行狀晚圃李公馨福行狀戰兢齋愼公宗鳳行狀謙齋成公敎鎭行狀山亞文處士圭性行狀性菴文公濟權行狀梅沙愼君濬成行狀卷之二十三行狀六世祖守拙軒府君行錄龍湖處士羅公斗甲行狀竹軒吳公時鼎行狀司憲府掌令立齋先生文公躍淵行狀海隱吳公昌煥行狀臨履堂金公興龍行狀成均進士晚悔辛公有章行狀拙齋盧公淳聖行狀蘆隱處士朴公聖濤行狀孝子吳公達周行狀拙窩金公錫粲行狀虛菴李公文榮行錄默軒李公圭性行狀參奉徐公慶潤行錄蘭岡處士羅公鏶行狀孝友宋公來奎行狀學生朴公駿秀行狀先府君行錄野菴辛公廷珪行狀贈敦寧都正金公濟明行狀學生李公敦鶴行狀溪菴吳公鼎善行狀愚居安公學淳行狀節婦孺人梁氏行錄沙湖朴公源鄅行狀希菴梁公在慶行狀卷之二十四行狀柏下先生梁公行狀難窩吳公行狀守愚崔公行狀朝鮮逸民植齋奇公行狀石松處士柳公行狀梅史李公行狀蘭坡鄭公行狀浪菴金公行狀石初居士金君行狀龜隱趙公行狀山谷居士崔君行錄東廬處士金君行狀華亭朴君行狀孺人李氏行錄贈敎官趙公行狀學生金公行狀默隱鄭公行狀碧窩金公行狀贈吏曹參判李公行狀左副承旨晚成亭卞公行狀遺事本生考府君遺事傳金雲江傳貞夫人洪氏傳義兵將奇參衍傳義兵將高鹿泉傳義士金準全垂鏞合傳卷之二十五附錄家狀行狀墓碣銘【幷序】墓誌銘【幷序】墓表遺事門人梁孝默錄門人崔潤魯錄辛未日記門人梁相賀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海集總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沙谷杖說 余杖早非自尊。出入得其力也。雖然不取好杖。有竹則以竹。有木則以木。如此則無見竊之患。除交易之弊。此吾所得於杖之術也。所居竹鄕也。余家雖無竹。而求之易得。故平生所杖。多在竹焉。近來鄕俗好楙杖。或㓒以塗其體。銕以飾其末。余問之則此杖治腰通焉。余戱之曰。子之腰痛。吾未知其因杖利病。而杖之腰痛。可知其因子快却也。且人壽幾何。而如是堅緻耶。古語云。打銕作門限。鬼見拍手笑。子之杖得無爲鬼所笑乎。上沙之門多杖焉。盖四方之客。各以其方之木獻之。然非佳品焉。知文丈之意。不在玩物也。昔南郭惠子問於子貢曰。夫子之門。何其雜也。子貢曰。良醫之門。多病人。檃括之側。多枉木。是以雜也。余大枉木也。出入門墻三十餘年。未入檃括之方。枉固自如也。且平生未嘗獻一杖。而反取足焉曰。丈席持平富者也。余乃貧者故取之。文丈亦笑之矣。今年余以一竹杖到京。陟摩尼而歸。訪李判書於沙谷。臨別主人。以木杖授之。余杖其杖。因入金剛山。多杖木。其中麻柯靑藜。尤稱云者也。麻柯以扶腰而得虛名。靑藜以美觀而入高等。皆天然自在之物也。余亦不無意思。而有沙谷杖。故一不取之。遂自嶺西穿湖峽。跨嶺南而歸計其程。則餘三千里。計其節。則消數寸許。余奇其功壯其節。有愛惜之心。且曾經長者之手。故待之異於他杖。八月上沙之行。與之偕往。坐定後。余擧杖詑之曰。此杖第一杖也。遂話杖之首尾。居無何。沁警忽至。余方在上沙。與文丈每日語及李某存沒。或云擧家遇害。或云罵不絶口而死。聞之錯愕矣。及尹咸平宗儀。以其遺疏及其日記而來。始破前日之疑。自後見杖。則思其人。不忍褻慢。故以他杖代之。歸時置上沙壁藏中。【追補】○初七日。朝起觀潮。待津侯。因吟五言四律。茅簷天欲曙。潮氣入窓來。白旆先鋒至。綠槍後殿開。中流鋪練帶。兩岸聽晴雷。安得長風帆。一巡天地回。巳時渡津。遇江都居人韓姓人。終日同行。夕次浦內店。○初八日。早發與韓姓人同入城。韓頗有人情。昨日出袖飯分喫。今朝買餠勸之。出脚則每逢如是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通津塗中贈景叔 君如丹渥我華顚。千里聯行定有綠。畵餠功名無入手。靈區風物不論錢。英姿稟賦桑弧日。壯志蹉跎竹杖年。五嶽名山知在邇。歸家讀破子長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安氏四賢閣韻 仁里攸居遠市城。四賢忠孝可能名。尤陶門下淵源學。成惠家中繼述情。泮館抄升由縕袍。春闈默禱感神明。滿庭梧竹留風韻。峙鵠停鸞摠世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龍洙勉强齋韻 行遠工夫自近求。養存省察摠吾由。山從簣土巖巖立。泉必盈科混混流。豪傑陳良猶北學。文章漢史更南遊。自家閒境隨占取。回笑奔忙宦海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和金丈琮鉉自號浪子韻 翁於實地着跟堅。高臥林泉送暮年。南國湖山曾有約。東溪風月更無邊。敎導後生三樂在。闡揚先蹟一心虔。非浪而浪非放放。悲歌今亦古之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襄平公忌祀病未進參 六月初三是諱辰。年年將事採江蘋。如今情禮伸難得。白首孱孫感愴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난와유고(難窩遺稿) 17卷 8冊 難窩遺稿 難窩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難窩遺稿 吳繼洙 木活字本 8 有界 10行21字 한자 內向三葉花紋魚尾 미상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오계수(吳繼洙, 1843∼1915)의 시문집. ■ 형태서지 권수제 難窩遺稿 판심제 難窩遺稿 간종 목활자본(木活字本) 간행년 미상, 1916년跋 권책 17권 8책 행자 10행 21자 어미 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소장처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선간집수 ■ 저자 성명 오계수(吳繼洙) 생년 1843년(헌종 9) 몰년 1915년 자 중함(重涵) 호 난와(難窩) 본관 나주(羅州) 특기사항 기우만과 함께 을미년, 을사년 의병활동을 했음. ■ 가계도 吳淑珪 進士 吳偃 中郎將 吳穎達 益山郡事 吳愼 吏參, 錦城君 吳自治 兵曹參判, 襄平公 吳世勳 府使, 左贊成 吳謜 府尹, 參議 吳彦彪 參奉 吳希一 樂正 吳以久 左承旨 吳孝錫 吳大亨 進士 吳洙源 高祖 吳正相 曾祖 吳榮昊 祖 吳德基 吳甲善 羅州鄭氏 鄭時爀의 女 吳桂秀 吳根厚 長田李氏 李奎彦의 女 女 鄭寅岳 女 李炳軾 女 林贊圭 女 崔潤德 洪州宋氏 宋洛賢의 女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헌종 9 1843 癸卯 道光 23 1 8월 13일 나주 도림리에서 태어났다 철종 2 1851 辛亥 咸豐 1 8 臨履齋 吳泰圭에게서 수학하였다. 철종 10 1859 己未 咸豐 9 16 長田李氏 李奎彦의 딸과 혼인하였다. 고종 7 1870 庚午 同治 1 27 蘆沙 奇正鎭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고종 10 1873 癸酉 同治 12 31 어머니의 상을 당하였다. 고종 16 1879 己卯 光緖 5 37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다. 고종 31 1894 甲午 光緖 20 52 招討使) 閔種烈의 동학운동에 관한 방략에 답하다. 고종 32 1895 乙未 光緖 21 53 송사 기우만과 함께 을미의병에 참가하다. 제국 9 1905 乙巳 光武 9 63 聳珍山 서쪽 기슭에서 은거를 결심하다.○송사 기우만과 함께 창의하고 항일활동에 참가하다. 1910 庚戌 宣統 2 68 경술국치를 당하여 세상에 뜻을 끊고 은거하다 1911 辛亥 宣統 3 69 5월 恩賜金 받지 않은 일로 장성 헌병대에 끌려가 십여 일간 옥고를 치르다. 1912 壬子 70 永思齋에 들어가 은거하며 후학들을 가르치다. 1915 己卯 73 3월 1일 향년 73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 도림리 帝堂山에서 장사지내다. 1916 丙辰 吳駿善·吳禎善·吳在洙 등 문인에 의해 문집이 간행되다.(吳在洙의 跋 ■ 생애 『난와유고(難窩遺稿)』는 오계수(吳繼洙 : 1843∼1915)의 시문집이다. 17권 8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오계수의 자는 중함(重涵), 호는 난와(難窩),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시조는 고려 때 진사였던 휘 숙규(淑珪)로 세조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으로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지낸 휘 자치(自治), 선조 때 한성부서윤(漢城府庶尹)을 지낸 휘 원(謜), 병자·정묘 양란에 참전하고 충의위(忠義衛)까지 지내다 북벌이 좌절되자 귀향하여 후진양성을 했던 대명처사(大明處士)로 불렸던 생로당(生老堂) 휘 효석(孝錫) 등이 그의 선조이다. 우의정을 지낸 금양군(錦陽君) 휘 겸(謙)의 아우 휘 원의 후손들이 나주로 내려와 살면서 세거하였다. 고조의 휘는 정상(正相), 증조의 휘는 영호(榮昊), 조부의 휘는 덕기(德基)이다. 아버지의 휘는 갑선(甲善)이고, 어머니는 나주정씨(羅州鄭氏)로 시혁(時爀)의 딸이다. 아버지 휘 갑선은 호가 지곡(止谷)이며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인으로 임리재(臨履齋) 휘 태규(泰圭)의 소생이나 종숙부의 양자로 들어가 종사(宗事)를 이었다. 오계수는 1843년(헌종 9) 8월 13일 나주 도림리(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에서 태어났다. 8세 때 공부를 시작하여 조부인 임리재(臨履齋) 휘 태규(泰圭)에게 배웠는데 매우 총명하여 "필시 이 아이는 우리 가문을 흥성하게 할 크게 될 아이다[必是兒也 昌吾門甫成童]"라고 했다. 일찍이 선조 생로당 휘 효석이 은거했던 대명동(大明洞) 소재 영사재(永思齋)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오계수는 가문을 위한 계책으로 공령(功令: 科文)공부를 계속하고 있었는데, 부친이 훈계하기를 "학자는 마땅히 실지(實地)에 마음을 써야 하거늘 과업은 겉껍질일 뿐이다. 입양현친(立揚顯親)이 절로 그 도(道)가 있으니, 모름지기 사문장덕(斯文長德)에 종사(從事)하여 나아갈 길을 헤매지 않은 후에야 성인(成人)이라 할 수 있다[學者 當用心實地 如科業乃外耳 立揚顯親 自有其道 須從事於斯文長德 不迷趨嚮 而後可以成人矣]"라고 하였다. 이에 과업을 접고 아버지의 가르침을 따라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그 때 나이가 27세였다. 노사의 훈회(訓誨)를 이어서 권권복응(眷眷服膺)하며 전심을 다해 정진하고 돌아와 서신으로 질의하니 노사가 직접 편지를 써 "공자께서 '어려운 일을 먼저하고 보답을 뒤에 얻는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보답을 뒤에 하여 스스로 얻은 연후라야 진실로 얻은 것이니, 주공이 어찌 우리를 속였겠는가." 이 한 구절로 책려(策勵)한다면 얻지 못할까 근심하지 않을 것이니 힘쓰고 힘쓰라.[聖人不云先難而後獲乎 後獲而自獲然後 是眞實獲 周公豈欺我哉 但以此一句策勵則不患無所得 勉之勉之]" 이에 오계수는 이 가르침을 받아 「삼난시(三難韻)」 2수를 지어 노사에게 올리고 노사 또한 답시 1수를 지어 화답하였다. 노사의 손자 송사 기우만이 "삼난"의 뜻을 미루어 "난와(難窩)라고 편액을 써주고 또 「난와기(難窩記)」를 지었다. 이때부터 세간의 사람들이 난와공(難窩公)이라고 칭하기 시작하였다. 후에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도 「난와기(難窩記)」를 지어 그를 추후(推詡)하고, 동문인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 또한 기문을 지어주었다. 30세 되던 해에 목사 김병우(金炳遇)가 향교에서 강학할 유사를 뽑는데 으뜸이 되었다. 31세 되던 해인 1873년에 어머니의 상을 당하고 37세 되던 해인 1879년에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다. 1894년 갑오 동학운동이 일어났을 때 초절사(招討使) 민종렬(閔種烈)이 오계수에게 방략(方略)을 물었는데, 지리(地利)와 인화(人和)로 답변하였고, 평정된 뒤에는 거괴(巨魁)만 처단하고 나머지 농민들을 귀화시켜 유신(維新)케 하면 백성들이 부월(斧鉞)보다 더 위압을 당할 것이라고 조언하니 민종렬이 그의 말대로 하였다. 그 다음해인 1895년 봄에 용진산(聳珍山) 서쪽 기슭에 작은 모옥(茅屋)을 짓고 '서벽(棲碧)'이라고 편액을 걸고 기문과 시를 짓고 은거하였다. 그러나 그해 8월 20일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송사가 의병을 일으켜 각 읍에 창의(倡義)하고 나주에 이르니 오계수도 즉시 나주로 가서 합류하였다. 또한 고종에 상소를 올려 나라를 바로 세우기를 읍소하였으며 「호가행(浩歌行」, 「狂歌行」 2편을 지어 비분강개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1905년 을사조약 때에도 송사와 함께 창의하여 김준(金準)과 전수용(全垂鏞)을 도와 항일운동을 하였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를 맞이하여 나라가 망하자 비분하며 세상에 뜻을 끊고 은거하였다. 경술국치를 당한 이듬해인 1911년 5월에 은사금(恩賜金) 받지 않은 일로 장성 헌병대에 끌려가 십여 일간 옥에 갇히는 고초를 당하였으나 굴하지 않았다. 1912년부터는 영사재(永思齋)에 들어가 남은 생을 독서만 하며 살기로 결심하였는데 많은 학자들이 그의 뒤를 따랐다. 1915년 3월 1일 향년 73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도림리 제당산(帝堂山)에서 장사 지내고 문인들에 의해 도림사(道林祠)에 제향되었다. 부인은 장전이씨(長田李氏)로 이규언(李奎彦)의 딸과 홍주송씨(洪州宋氏) 송낙현(宋洛賢)의 딸이다. 아들은 근후(根厚), 딸은 정인악(鄭寅岳), 이병식(李炳軾), 임찬규(林贊圭), 최윤덕(崔潤德)에게 출가하였다. ■ 구성과 내용 『난와유고(難窩遺稿)』는 1916년 그의 문인들인 오준선(吳駿善)·오정선(吳禎善)·오재수(吳在洙)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17권 8책 목활자본이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오재수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 되어있다. 권1부터 권4에는 시 473수가 실려 있고, 권5는 소(疏) 2편, 서(書) 23편 권 6에는 서(書) 51편, 권7에는 기(記) 79편, 권8에는 서(序) 59편, 권9에는 발(跋) 22편, 권10에는 행장(行狀) 18편, 권11에는 행장(行狀) 16편, 전(傳) 7편, 권12에는 묘갈명(墓碣銘) 18편, 권13에는 묘갈명(墓碣銘) 4편, 묘표(墓表) 27편, 권14에는 비명(碑銘) 19편이 실려 있고, 권15에는 잡저(雜著)로 논(論) 2편, 설(說) 7편, 잠(箴) 2편, 명(銘) 1편, 혼서(婚書) 2편, 표전(表箋) 2편, 제문(祭文) 9편, 축문(祝文) 7편, 권16은 상량문(上樑文) 27편이 실려 있으며, 권17은 부록으로 「난와기(難窩記)」 3편, 행장, 묘갈명, 제문, 각금실기(却金實記)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4는 시집인데 권1에는 375수, 권2에는 96수, 권3에는 80수, 권4에는 160수가 실려 있다. 대체로 「기선악(幾善惡)」, 「태극(太極)」, 송사에게 보낸 「삼난시(三難韻)」등과 같은 유가의 도학에 관한 시나, 「정송심석(呈宋心石)」, 「증최광규이계림(贈崔光奎李啓林)」 같은 동문이나 스승 등과 같은 교유인에게 보내거나 화답하는 시들이 많으며, 이들의 거처에 들러 쓴 누정 및 기행시들도 많다. 이외에도 수연시나 만시 종류도 많이 보인다. 특히 주목할 것은 난세에 비분하는 우국충정을 노래한 시들인데, 을사조약 때 자결한 민영환을 정몽주(鄭夢周)에 비유하여 쓴 「문민계정영환충혈화죽감제(聞閔桂庭泳煥忠血化竹感題)」 2수나, 을미사변, 을사조약, 경술국치 등을 거치면서 비분강개함을 나타냈던 「호가행(浩歌行)」과 「광가행(狂歌行)」, 을사조약 이후 의거하여 순국한 고광순(高光淳), 기삼연(奇參衍), 김준(金準)을 추모한 시인 「만고록천(挽高鹿川)」, 「만기성재(挽奇省齋)」, 「애김준(哀金準)」, 경술국치 후 음독자결한 황현(黃玹)의 「절필시(絶筆詩)」에 차운한 「차황매천현절필시(次黃梅泉鉉絶筆詩)」, 그리고 1911년 5월 은사금을 받지 않은 이유로 장성 헌병대에 끌려가 10여 일 동안 옥사를 했던 때 심경과 절개를 밝힌「상부음(孀婦吟)」 등이 그것이다. 권5에는 소(疏) 2편과 서(書) 23편, 권6에는 서(書) 51편이 실려 있는데, 소는 선조인 명곡(明谷) 오희도(吳希道)의 인조반정 모의와 문과급제를 사유로 시호를 청하는 소인 「명곡공청시소(明谷公請諡疏)」와 1905년 을사늑약을 당하여 권신을 내쫓고 중신을 임명하여 조정의 위신을 높이고 폐단을 바로잡고 병폐를 제거하며 금광을 봉쇄하여 어질고 의로운 정사를 청하는 소인 「의소(擬疏)」가 있으며, 서(書)는 기정진(奇正鎭), 최익현(崔益鉉), 송근수(宋近洙), 송병선(宋秉璿), 김병우(金炳愚), 조병택(趙炳宅), 윤태원(尹泰元), 민종렬(閔種烈), 이병문(이병문), 박사과(朴司果), 이봉조(李鳳朝), 이최선(李最善), 이규형(李奎亨), 나도규(羅燾圭), 정재규(鄭載圭), 송철헌(宋哲憲), 최영조(崔永祚) 등에게 보낸 편지인데, 대체로 스승인 기우만에게는 도학이나 경학에 대한 질의가 많고, 최익현, 송근수, 송병선 등에게는 묘문이나, 서문을 부탁한 것이 많다. 민종렬에게는 향약의 시행에 대한 것이나 동학과 관련한 치사의 내용이 담겨있는 편지가 있다. 또한 장성 헌병분대장과 삼거리 헌병대장에게 은사금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의 편지도 있다. 권7에는 기(記) 79편이 있는데, 대체로 「대은재기(大隱齋記)」, 「강로재기(講魯齋記)」, 「돈학재기(敦學齋記)」, 「만취정기(晩翠亭記)」와 같은 동문이나 유생들의 서실이나 누정 등을 방문한 기문들이 다수이며, 「처사김공실기(處士金公實記)」, 「유생김씨효열기(孺人金氏孝烈記)」와 같은 인물에 대한 기문도 있다. 특히 첫 번째 기문은 노사선생을 배알한 뒤의 그 가르침을 적은 「알노사선생후추기(謁蘆沙先生後追記)」이다. 권8에는 서(序) 59편으로 대체로 파보, 족보, 가첩, 유고, 실록 등에 쓴 서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권9에는 역시 유집, 유고, 행적 등에 쓴 발문 22편이 수록되어있다. 권10과 권 11에는 행장이 각각 18편과 16편이 실려 있고 권 11에는 전(傳) 7편, 권12에는 묘갈명(墓碣銘) 18편, 권13에는 묘갈명(墓碣銘) 4편, 묘표(墓表) 27편, 권14에는 비명(碑銘) 19편이 있는데, 대체로 부친, 조부 등 집안사람이나, 교유하던 인물들의 부탁으로 쓴 것들이 다수이다. 권 15에는 잡저로 논(論) 2편, 설(說) 7편, 잠(箴) 2편, 명(銘) 1편, 혼서(婚書) 2편, 표전(表箋) 2편, 제문(祭文) 9편, 축문(祝文) 7편 수록되어있다. 특히 논과 설에는 오계수의 사상이 잘 드러나 있는데, 「정명분립기강론(正名分立紀綱論)」은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는 명분을 바로하고 기강을 세우는 것이 근본이니, 임금이 이 근본 세움을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기심성설(理氣心性說)」,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심체답심서해설(心體答心字解說)」 등에서는 이기설에 대한 저술로 이와 기가 선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이는 본성이고 기는 기형(器形)이므로 둘은 겉과 안처럼 한 몸에 같이 존재하는 '불리부잡(不離不雜)'한 것이라는 일물론(一物論)을 주장했던 오계서의 사상이 드러나 있다. 이외에도 자신의 호를 설명하는 「난와명(難窩銘)」, 아들이나 딸 등 집안의 혼인 시 썼던 혼서 및 표전, 교유했던 인물들을 기리는 제문 등이 실려 있다. 권16에는 상량문(上樑文) 27편이 실려 있는데, 집안뿐 아니라 다른 문중의 사당, 및 효자, 효열, 유현 등의 사당 및 사우에 썼던 상량문들이 다수이다. 권17은 최익현, 나도규, 기우만이 쓴 「난와기(難窩記」 3편을 비롯하여, 오준선이 쓴 행장, 기우만이 쓴 묘갈명, 아들 오근후가 쓴 「각금실기(却金實記)」 등이 있다. 발문은 1916년 족제 오재수가 썼는데 오계수가 타계한 이듬해 문인 오정선 등이 유집을 만들고 발문을 요청해 와서 썼다고 되어있으며, 시와 문이 평담온아(平淡溫雅)하여 세속에 휩쓸리지 않고 옛것에 빠지지도 않았다[所著詩若文 率皆平淡溫雅 不靡於俗 不泥於古]"고 평가하였다. 세부목차 卷1 詩 : 太極, 窮達, 耕讀, 感物偶成, 客至, 處世, 春日書懷, 夏日卽事, 秋齋獨坐, 偶吟, 戒兒讀書, 寫字, 存心, 主敬, 誠敬, 言戒, 酒戒, 色戒, 祭先, 睦宗, 養親, 事君, 交朋, 閒居偶題, 傷時, 三難韻, 附蘆沙先生次韻, 附勉菴先生次韻, 幾善惡, 上蘆沙先生, 畏省堂次韻, 上勉菴先生, 次宋相國保晩齋韻, 上淵齋先生, 呈宋心石, 呈奇松沙, 附次松沙, 次晦翁韻呈松沙, 附次松沙, 次李菊圃寄惠, 謝呈松沙, 次宋海士韻, 贈柳道有, 次後石韻贈尹秋塘, 四時吟, 四友吟, 端陽日永思齋感題, 翌日拈歸字, 夢見後石族叔, 雨中懷竹史族弟, 憶次孫顯烈, 感題, 偶成, 謝竹史送酒, 待族孫振烈殷烈, 書懷, 贈崔光奎李啓林, 晩菊, 見玉秫成實憶龍甲, 永思齋雅會, 月岳路中, 淸夜懷故人, 客室書懷, 無題, 贈別雲齋畏軒, 次鄭在弼薇齋韻, 澹對軒講會夕感題, 次後石韻呈松沙, 呈梁栢下, 四梅堂次寒水齋韻, 謹次金侯寄接儒韻, 聖廟重修後賀雨田, 謹次雨田最高亭韻, 謝雨田送節扇, 奉別雨田歸楊州, 謹次梁校理回甲韻, 次金 監役象外亭韻, 山齋書懷, 次藏溪鳴玉軒雜詠, 冬夜書懷, 詠晩菊, 冬至夜, 棲碧庵自怡四絶, 附次尹晦山泰元, 次三山九曲, 次三山嘉卉十絶, 三山唱酬, 附次松沙, 聯句三十韻, 玉潭呼韻, 又步潭字贈雲齋, 壇享後追賦呈松沙, 謹次晩圃韻呈進士, 尹侯晦山莅任本州, 晦山生朝奉賀, 奉別晦山歸鰲山, 謹呈閔侯芝潭種烈, 長篇十五韻呈芝潭, 削平東匪後賀芝潭, 次芝翁西域志喜韻, 和芝潭夢得褒題韻, 又次芝翁詠松菊, 奉 別芝潭歸潭州, 過襄平公舊址有感, 龍馬巖, 觀魚臺, 歸路拈鄕字, 呈石田李上舍最善, 呈李石井允善, 贈李菊圃, 次箕山倅鄭雲齋韻, 次奇校理栢石堂韻, 次朴承旨蘭石堂韻, 謹次蘭石贈別韻, 附原韻蘭石, 謹呈蘭石, 族祖夏圭回甲韻, 觀圃隱集敬題一絶, 謹呈竹圃朴司諫, 謹次竹圃山亭卽事, 次永嘉亭韻, 次遊山亭韻, 謹次廳一齋韻, 伏次家嚴止谷韻, 伏讀御製贈崔參判, 謹次宋一賢湖隱韻, 次鄭國豊習靜齋韻, 贈別錦樵族兄光洙, 謹次志於齋原韻, 次朴珍東草蘆韻, 次石泉贈職時感題, 次八烈婦望祭韻, 次廳一齋回婚禮韻, 林相輔回甲, 次林西湖壽宴韻, 和栢下晬席韻 卷2 詩 : 家嚴回甲生朝志喜, 叔父回甲晬席, 敬次叔父晩谷原韻, 次柳魯岡晬宴韻, 次奇進士大人回甲, 次白進士慈闈生朝, 梅湖羅英漢回甲, 族祖士圭壽席, 族叔致善回甲, 奇琮鉉壽席, 六十一晬日志感, 附松沙次韻, 賀呈松沙回甲壽席, 和金進士回甲韻, 次錦樵族兄壽宴韻, 和杏隱族侄壽宴韻, 寄李小山回甲晬席, 羅德巖搬移後, 謹呈林西湖, 謹次李敦亨櫟窩韻, 次鄭敏采田荷韻, 次李鐸憲南坡亭韻, 和金國衡鼎溪韻, 三山與松沙同賦, 用寄松沙韻呈石叔, 題羅氏新洞齋, 次羅進士松石軒韻, 和愚堂李敦晟寄惠, 敬次勉菴唱和詩, 敬次淵齋楚山講會, 吟呈栢下, 行年四十吟, 自笑, 春日偶成, 修譜後宗會拈韻, 次金龍洙勉强齋韻, 和金琮鉉放浪子韻, 襄平公忌祀病未參, 謹次安氏四賢閣韻, 次五柳精舍韻, 不換亭醉題, 謹次勉庵贈父琴軒, 秋夜山齋次晦翁韻, 蘆沙先生挽, 淵齋先生挽, 勉庵先生挽, 溪樓逢一二知己, 次矗石樓原韻, 閔桂庭忠血化竹, 淵齋從容就義感題, 錦山從容堂, 浩歌行, 狂歌行, 和栢下歎世 吟, 次朴純汝韻, 次勉庵集刊所韻, 挽松坡林公邁鎭, 挽西湖林公近鎭, 挽長田李公鵬善, 挽石田李公, 朴侯奎東挽, 挽德巖羅公, 挽校理梁公, 挽蘭石朴公, 挽槐陰李都事奎亨, 挽竹圃朴公, 挽族祖泰基, 挽羅都正相守, 挽錦沙族祖, 輓李樂圃集誠, 挽丹谷柳斗鉉, 輓族祖夏圭, 挽溪亭羅有煥, 輓梁蕙坡相鉉, 輓黑石奇琮鉉, 輓朴草廬珍東, 挽李承喆, 輓李菊圃, 挽族祖士圭, 輓李石井, 挽柳紹巖寅元, 輓族祖信圭, 挽族祖相英, 挽朴農窩鼎鉉, 挽鄭伯仁碩朝, 輓梁子重, 挽春齋族祖, 輓族祖鉉圭, 挽族叔貞善, 輓李龍石後九, 梁栢下, 輓奇白水, 挽林小草魯源, 挽崔竹坡羽鉉, 梁聖則哀辭, 挽鄭海南錫珍 卷3 詩 : 次李晩睡送惠韻, 次金士洋橘隱韻, 呈石叔, 追和石叔韻, 輓羅士集, 輓族叔尙善, 次臥龍巖韻呈松沙, 次龜巖韻, 輓族叔裕善, 輓族祖蠊, 輓金君五, 六言, 書贈族侄亨根, 冬夜偶成, 立春日次晦翁韻, 三五七言, 棲碧庵有懷卽題, 讀白湖集, 送友, 久雨, 流頭日同友人登樓, 謹次傳春齋韻, 三山齋二絶, 送梁重吾歸長里, 聞蟬聲懷松沙, 次尹敬庵韻, 次顧菴韻, 次鄭洙賢師竹軒韻, 次尹恒植秋塘韻, 月岳書室拈寒字, 又步前韻贈鄭昌裕, 次松沙韻贈鄭錫珍, 除夕書懷, 老病吟, 示學徒, 次栢下韻呈李石井, 淸湖路中, 過息營亭, 和枕泉齋韻 和栢下箕山記行, 敬次勉庵河南講會, 四月十七日, 復用前韻, 次愚翁寄惠, 栢下以相思一夜, 次東塢四十歲韻, 三三與友人步月, 看書有感, 聞鶯蟬戱題, 蕩詞, 夢見孺人宋氏, 檜軒公墓碑改竪時, 元堂與栢下拈韻, 明谷共西湖同賦, 次文孝子蓮愚堂韻, 次鄭海朝回甲韻, 攬古感懷, 次三恨堂韻, 次李珪憲滄洲亭韻, 次樂山齋韻, 次宋海士止齋韻, 次李國瑞雙石軒韻, 次夙夜齋韻, 次崔羽鉉竹坡韻, 次梁逸永梧軒韻, 次李上舍農谷韻, 次李恒榮釣隱韻, 次金永澤回甲, 次柳東根回甲韻, 次奇周鉉回甲, 次羅英集回甲韻, 志於齋開硯, 參奉公墓碑重竪時, 從弟士涵回甲韻, 次筠陰慈闈生朝, 次林昌瑞回甲韻, 次白蓮書室韻, 和黙和堂原韻, 次鄭海南蘭坡韻, 和具有述小梅韻, 山齋書懷, 梧山歌贈別梁老人, 次雙石堂韻, 次朴應瑞歲寒亭, 次柳春伯睡堂韻, 贈別鄭貫一, 次願豊亭韻, 次竹翠亭韻, 次朴處仁松塢韻, 和奇應三云庵韻, 和林溪窩晬宴韻, 追和黙軒原韻, 次洪聖奎筠軒韻, 挽林敎官炳澤, 朴琳相大人回甲, 次栢下述懷, 次蘭石韻, 月岳書齋, 次栢下中字韻, 蘭石堂雅會, 聯句, 再聯, 登永慕亭, 登伏巖寺, 贈李石田炳壽, 和栢下立春吟, 謹呈德巖, 吟呈德巖, 筠陰第二胤, 趙錦史留多寶寺, 齋居偶吟, 庸心字韻呈石叔, 夏和心字呈春齋, 謹次先集韻呈栢下, 和呈進士族丈, 松沙贈馬檟木, 族叔準善回甲韻, 和李注書心鮮韻, 和李注書所東韻, 次鄭道源東谷韻 卷4. 詩 : 五聖, 三賢, 張良, 望洛城, 贈金炳淑, 贈別趙聖勳, 過凰山敬題, 夢拜勉菴先生, 從嫂李氏回甲韻, 奉別松沙悵然追題, 大雨, 雨後聞楸齋消息, 見邱木稀疎悵題, 觀漲, 次黃梅泉絶筆詩, 效東岳先生朝暮吟, 訪草湖朴汶容, 贈金昌文, 次不換亭原韻, 雨後見月, 落齒, 釣翁, 四街滯中偶成, 又次梅竹先生韻, 鰲山滯中偶成, 過卵山亭, 次奇植齋寄惠韻, 和奇進士東準, 和金炳淑, 壬子冬至夜偶吟, 除夕, 元日, 人日客至, 穀日, 閒居書懷示諸益, 春夜偶吟, 淸和登珍岳, 索居窮巷, 石門唱酬, 移題高巖永補齋, 自章山到永思齋, 次栢下年字韻, 又步前韻贈林錦愚, 不換亭詩會, 章山丙舍雅會, 石門滯雨, 族弟德三家敍懷, 次栢下元日韻, 林錦愚家雅會, 林龜瑞示余求和, 與春齋作綿城行, 臨別呼韻, 留淸湖拈秋字, 石門詩會, 梁花隱家雅會, 臨別呼韻, 完營歸路, 四街途中, 與柏下海岡同賦, 永思齋雅集, 與小栢拈韻, 別小栢無聯獨吟, 挽族祖埉, 贈金剛上人三雨, 次錦陽齋韻, 族弟竹史家雅會, 次里仁亭原韻, 奇國賓家雅會, 菊秋作堂村行, 謹次永慕堂韻, 宋進士金省庵同賦, 又用前韻別二友, 次族弟利顯回甲韻, 臘月十九日夜, 雙溪樓次圃隱韻, 茅廬獨坐, 志於齋除夜, 元日又次唐律, 歎老, 上元夕志於齋會話, 和秋山主人, 次李松石回甲韻, 次靜梧回甲韻, 和隱居自樂韻, 不換亭雅會, 次族叔致遠回甲韻, 次箕山諸賢, 次松窩回甲韻, 次金氏醉歌亭韻, 次李重權敦學齋韻, 吳博士惠枉共賦, 次范光國時隱堂韻, 次麓室韻, 次栢下述懷韻, 次三和齋唱酬, 和永思齋酬唱, 次李後明回甲韻, 和石叔寄惠遲字, 孀婦吟, 次李學淳五生字, 難字與錦愚, 敬次靜庵集藏板閣, 次奉彩圭醉亭韻, 次金永彩斗南韻, 次歸樂齋韻, 和晩晦堂韻, 次上谷祠壇享韻, 敬題金氏感古齋, 次梅松堂原韻, 謹次勿欺齋重修韻, 次月潭幽居韻, 次永思亭原韻, 次後溪韻, 次李國瑞回甲, 鄭致裕惠枉拈韻, 次族弟亮洙回甲, 襄平公影幀移奉時, 奉賀後石回甲韻, 謹次老圃堂原韻, 次沙軒金公寶硯韻, 次箕隱韻, 追和歸瀕齋, 次宋處安龍庵韻, 和石叔除夕, 次沈仲振晩翠亭韻 和金景儒書示, 別尹雅哲成泰丞, 次忠烈祠雪筍, 和止可堂韻, 多寶寺贈智峯僧, 登山口號, 逢秋感懷, 傷時, 悼亡兒龍甲, 次梅庵原韻, 次族弟權洙石峯韻, 次鄭承八釣隱韻, 次閔侯重修校宮, 次金剛亭韻, 和挹爽亭韻, 次十景, 次金得壽湖隱亭, 贈李生啓林, 題羅氏磻溪亭, 自笑, 贈鄭生寅岳, 追和洪錦川回甲, 臨履齋示諸生, 贈別友人, 贈李春坡, 挽族祖馥圭, 次朴廷奎野隱韻, 謹次永慕齋原韻, 和鄭斗鉉回甲韻, 送族弟榮洙, 次百花亭韻, 挽高鹿川, 挽奇省齋, 哀金準, 寄全垂鏞 卷5 疏 : 明谷公請謚疏, 擬疏 書 : 上蘆沙先生(五), 附答書(二), 別紙, 上勉庵崔先生(五), 附答書(三), 上立齋宋相國(三), 附答書(二), 上淵齋宋先生(五), 附答書(二), 謝金侯雨田炳愚(二), 上趙侯秉老, 謝尹侯晦山泰元(三), 與箕山倅鄭雲齋, 上閔侯芝潭種烈(五), 附答書, 別紙, 上觀察使李公秉文, 謝觀察使金公世基, 謝竹圃朴司諫淇種(三), 與李監役鳳朝, 候莘湖金監役祿休, 候石田李上舍(二), 候槐陰李都事奎亨 卷6 書 : 候心石宋公秉珣(二), 答羅德巖燾圭(三), 與梁栢下相衡(三), 與李石井允善 (二), 與李菊圃承爀, 澹對軒護喪所慰狀, 與奇松沙宇萬(與十二答三), 與宋約齋炳華, 與閔進士在天, 與奇白水宇蒙, 與鄭艾山載圭, 與新安刊所僉賢, 答盧進士近壽, 慰尹判書容植別紙, 答雲史族丈鎭龍, 答錦樵族兄光洙, 與金進士永喆, 答鄭斯文海翊, 與崔雲齋永祚, 慰崔雲齋別紙, 慰宋進士哲憲別紙, 慰崔上舍永窩別紙, 與趙錦史景熙, 與凰山碑役所僉賢, 與朴魯源, 答鄭生寅岳, 與崔順明(二), 答林國珍, 答羅正彬(二), 與朴生春求, 答鄭經源, 答沈鍾大, 答家兒根厚, 與竹史族弟在洙, 與筠陰族叔禎善, 答林伯元, 答金炳淑, 與崔生光奎(與一答一), 答朴舜相, 與崔生潤德, 答朴琳相, 答范善中, 答朴秉相, 答趙澈鏞, 答朴秉夏, 答范瑗植, 與族叔文善, 答朴淇禹, 答本郡守朴潤東, 示長城憲兵分隊長, 示三巨里憲兵所長 卷7 記 : 謁蘆沙先生後追記, 棲碧庵記, 恭友齋記, 栢下記, 竹圃記, 蓮塘記, 孝子崔公旌閭記, 烈婦金氏旌閭追記, 崇禎通寶記, 聽一齋記, 紹巖記, 竹史記, 筠陰記, 西湖記, 小草記, 晦窩記, 止齋記, 玉蓮亭記, 石峯記, 八賢亭移建記, 睡堂記, 守愚堂記, 筠軒記, 素安齋記, 石峯記, 斗南記, 永慕齋記, 永補齋記, 晩晦堂記, 暎荷亭記, 詠四亭記, 孺人文氏孝烈記, 洗心堂記, 咏花亭記, 愚堂記, 澹齋記, 甘泉記, 秋塘記, 大隱齋記, 效菴記, 性庵記, 醉石後記, 琴隱記, 晦山記, 一心齋記, 慕軒金公實記, 講魯齋記, 守齋後記, 思厚齋記, 晩翠亭記, 敦學齋記, 夢心軒記, 後溪記, 歸樂軒記, 野隱記, 永貽堂記, 存齋記, 白蓮書室記, 後松記, 息巖記, 錦西記, 師竹軒記, 孝子徐公實記, 永慕齋記, 蘭會軒記, 孝烈婦金氏實記, 竹林堂記, 遠巖記, 學孔齋記, 令人李氏烈行實記, 孝婦金氏事實記, 酉谷醉軒後記, 白峯記, 溪山齋記, 處士金公實記, 養性堂記, 學生公設享時實記, 蓮庵記, 孺人金氏孝烈記 卷8 序 : 送尹侯晦山序, 上閔侯芝潭序, 送芝潭序, 三九會序, 鄕約序, 錦里詩會序, 觀善禊序, 陽山金公遺事序, 鼎溪序, 送李錦西歸鬱島序, 羅州吳氏派譜序, 商山金氏派譜序, 金海金氏族譜序, 順興安氏派譜序, 羅州吳氏家牒序, 金海金氏派譜序, 花雪堂三世遺蹟序, 碧梧亭酬唱遺蹟序, 五宜齋洪公遺稿序, 勿軒序, 從弟士涵晬席小序, 豊山洪氏節義錄序, 金沙軒寶硯詩集序, 思軒處士遺稿序, 老坡尹公實記序, 海史李公詩集序, 恥恥庵遺稿序, 贈鄭海南序, 巖隱集序, 金海金氏派譜序, 隱愚序, 存誠齋遺稿序, 習靜齋鄭公遺稿序, 慕述齋忘笑錄序, 南坡朴公遺稿序, 奉賀後石壽筵序, 贈鄭敬賓序, 贈梅史金瑀澤小序, 贈族弟子春序, 贈安君允行序, 贈族弟子正序, 贈崔生光奎序, 送朴斐卿序, 春秋契序, 贈金樂三小序, 贈鄭道源東谷小序, 贈金昌文序, 金海金氏派譜序, 贈二安生序, 贈朴二秀士序, 玄風郭氏實蹟序, 送羅友起甫序, 贈金志學序, 海逸李公詩稿序, 釣隱序, 月溪序, 密城朴氏派譜序, 里仁契序, 敎信契序 卷9 跋 : 書菊齋先生遺集後, 謹書先王考遺稿後, 謹書先考遺稿後, 竹陰先生遺集後, 盤桓洪先生遺集後, 書蓮江公遺稿後, 書羅氏家藏簡帖後, 謹書都事公遺稿後, 石泉金公遺事跋, 遞庵羅公行蹟跋, 謹書晩松行錄後, 謹書杏亭世稿後, 餘力齋遺集跋, 守庵李公遺稿後, 莎隱李公遺稿跋, 孺人鄭氏實記後, 野隱遺稿跋, 羅州吳氏世譜跋, 書文孝子傳後, 書金孝子行狀後, 跋農隱朴公誌狀, 利川徐氏新譜後 卷10 行狀 : 侶魚亭府君家狀, 祖考臨履齋公家狀, 先考止谷府君家狀, 進士七松吳公行狀, 司諫竹圃朴公行狀, 孝子吳公行狀, 養性齋吳公行狀, 恭人朴氏行狀, 菊軒吳公行狀, 羞下堂金公行狀, 慕庵鄭公行狀, 成均生員柳公行狀, 通德郞鄭公行狀, 孝子柳公行狀, 訓導鄭公行錄, 遯庵金公行狀, 松雲吳公行狀, 忍齋安公行狀 卷11 行狀 : 敬齋柳公行狀, 小栢羅公行狀, 菊圃柳公行狀, 醉亭奉公行狀, 孝子羅公行狀, 蓮谷李公行狀, 迎月堂羅公行狀, 效庵安君狀錄, 野隱柳公行狀, 菊坡尹公行狀, 贈參判朴公行狀, 華南金公行狀, 湖隱金公行狀, 贈童敎金公行狀, 崔公行錄, 北隱吳公行狀 傳 : 湖山鄭公忠孝傳, 孺人曺氏傳, 孝烈婦朴氏傳, 孝烈婦金氏傳, 孺人鄭氏傳, 孝烈婦吳氏傳, 烈婦李氏傳 卷12 墓碣銘 : 郡守朴公墓碣銘, 逸軒鄭先生墓碣, 磻溪李公墓碣銘, 最樂金公墓碣, 心齋牟公墓碣銘, 別侍衛文公墓碣, 學軒奇公墓碣銘, 吳上舍墓碣, 海南郡守鄭公墓碣, 草堂鄭公墓碣, 省堂高公墓碣銘, 羅公墓碣, 鷗亭金公墓碣銘, 參奉吳公墓碣, 孝軒兪公墓碣銘, 藏閒亭金公墓碣, 崔參奉墓碣銘, 梅竹堂朴公墓銘 卷13 墓誌銘 : 監察朴公墓誌, 學生李公墓誌, 湖隱宋公墓誌, 朴孝子墓誌 墓表 : 察訪朴公墓表, 北靑府使吳公墓表, 長連縣監吳公墓表, 質實齋金公墓表, 濟州牧使金公墓表, 芝峯吳公墓表, 老隱金公墓表, 錦溪李公墓表, 梅竹堂金公墓表, 愼黙齋崔公墓表, 拙軒金公墓表, 隱庵金公墓表, 曺司果墓表, 孺人鄭氏墓表, 海沙尹公墓表, 晩悟趙公墓表, 善養齋沈公墓表, 慕義齋尹公墓表, 竹潭金公墓表, 蒙窩金公墓表, 朴監察墓表, 孝子鄭公墓表, 農山柳公墓表, 李公敦律墓表, 金梅隱墓表, 贈監察金公墓表, 副護軍陳公墓表 卷14 碑銘 : 鰲峯金公墓碑銘, 金海金氏三綱碑銘, 孺人柳氏墓碑銘, 竹齋羅公墓碑銘, 學生權公墓碑銘, 金松石墓碑銘, 判官金公墓碑, 迂軒朴公壇享碑, 望軒金公遺墟碑, 贈參判朴公墓碑, 烈婦林氏實蹟碑, 咸平牟氏世葬碑, 孺人李氏實蹟碑, 坡平尹氏世葬碑, 慕軒金公墓碑, 車孝子墓碑, 竹圃姜公墓碑 卷15 論 : 正名分立紀綱論, 躋民於仁壽之域論 說 : 先難說, 理氣心性說, 人心道心說, 心體答心字解說, 行年四十說, 簡靜審重說, 立志說贈崔潤魯 箴 : 操心箴, 存性箴 銘 : 難窩銘 婚書 : 家兒婚書, 從侄東根婚書, 孫兒婚書 表箋 : 周雖舊邦其命維新 正朝賀箋 祭文 : 祭蘆沙先生文, 祭勉菴崔先生文, 祭淵齋宋先生文, 祭叔父晩谷公文, 祭石井李公文, 祭亡室孺人李氏文, 祭亡室孺人宋氏文, 悼亡兒根春文, 挽栢下梁公文 祝文 : 王考贈職時焚黃文, 襄平公影閣開土祝, 祠堂開基祝文, 寶山祠設壇告由文, 烈婦吳氏望祭祝文, 祈雨祭文, 廣山坪堤堰祝文 卷16 上樑文 : 中郞公祭閣上樑文, 錦城君祭閣上樑文, 參議公祭閣上樑文, 襄平公影閣上樑文, 永思齋重修上樑文, 體舍重建上樑文, 遠慕齋上樑文, 李氏祭閣上樑文, 惕然齋上樑文, 三山齋上樑文, 四賢閣上樑文, 忠義堂上樑文, 棲碧庵上樑文, 奇仁伯正寢上樑文, 族孫殷烈體舍上樑文, 蓮庵上樑文, 伏巖 上樑文, 紫荊亭上樑文, 金海金氏祭閣上樑文, 申孝子祭閣上樑文, 尹孝子旌閭上樑文, 願豊亭上樑文, 永思亭上樑文 儷文 : 聖廟重修後奉賀文, 修譜後宗會文, 奉賀奇松沙回甲文 卷17 附錄 : 難窩記(德岩 羅燾圭, 松沙 奇宇萬 等 撰), 行狀(族從 吳駿善 撰), 墓碣銘, 祭文, 却金實記(子 吳根厚 撰), 跋(族弟 吳在洙 撰, 1976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懷【二首】 書劍當年志。蕭條此日身。蓬萊何處是。怊悵首回頻。白鶴巢松樹。綿禽下栢枝。機心渾忘却。來去不相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贈崔生光奎雅啓林 錦西兩妙少。眉宇照人明。自慚孤陋者。難副遠來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菊 問爾庭前菊。胡爲落木時。羞作春風面。貞姿獨自持。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