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允性【大源】 天之酷禍善人久矣。豈謂吾兄罹此慘毒耶。百千慟割之狀。不須更提。而竊以古人處變觀之。東門不憂。過乎中庸。而西河喪明。不免譏誚。以吾兄疏通。想必有處之之道。而安之若命之外。第復何言哉。自聞此報。卽欲赴慰。而弟比去年對兄時。又是別人㨾子。謂之喘䖝可也。謂之枯木可也。况時在僑舍。又迫辛寒。不能自致筋力。而尙今無一紙相問。平昔相交之誼。果安在哉。伏審兄體僅得支衛。而服前有螟兒云。可慰可幸。弟故山之行。于今三年。搬移之計。勢所不已。未知造物者之意。則更何地。而此歲內不得奉晤。瞻望南雲。秪切沖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元朝 歲歲年年經歲歲。年年歲歲又年年。往古來今通一日。欲將此理問靑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輪嚴宋兄 童穉情親到老翁。浮沈對作一雙鴻。羨君鶴氅夌飛雪。病我龜藏畏震風。西舍東鄰燈不息。疏松凍竹歲乖終。天涯春色知不遠。更把藜筇踏世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松史金聖則【義鉉】移鰲山 桑弧遠志卜鄰芳。十載鰲山是故鄕。變夏陳良曾北學。懷秋張翰更南翔。烏頭無力前功薄。驥尾違心半道橫。此去便成君子里。不將離別淚盈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懷以示金大受【命鉉】 鰲山卜宅負初心。獨立徘徊欲斷琴。出谷遷喬成冷跡。引高刻羽少知音。蘆沙浩氣騎箕去。梧月精神滿屋臨。白首未知歸泊處。風泉懷抱費長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初度吟 丙丁不死到今年。天道周星倍悵然。自料餘生無報德。從玆廢閣蓼莪篇。勸學當年遠大期。一門長老莫先之。立揚初志歸虛境。病席不禁出涕頤。乙酉彭孫走我先。吾門零落綴旈懸。一雙覊貫依形在。成立前期只待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立春 地近東維迎早春。年過七耋愧陳人。平生未體一仁字。願學東君德日新。玄冥北去梅先橋。靑帝東巡柳早朝。四海如逢干戚舞。陰崖草木花頑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朝 兩鬂蕭條八十年。桑弧志業落先天。聖人所疾歸何處。沒世無稱眞可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留海史安進士登聞一亭 可是黃梅雨霽初。感君高躅入吾廬。窮耽詩境思猶苦。行到溪山興復餘。一杖尙懸謀醉酒。百城未及且看書。農歌互答豊年像。數畝生涯正不虛。征衣挽得日將西。坐見風簾落燕泥留。待東山初月上。不愁前路暮雲低。碧梧葉大傾空砌。白鳥群飛隔小溪。晩向窮途多磽确。莫辭此地共提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好惡 見善而好。君子能之。無惡而惡。少人所爲。維好維惡。君子是則。福可以進。禍可以息。對彼渥丹。其中難諶。無是無非。平正我心。心與身謀。自持如愚。罔或敢忘。庶幾免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難 曰寡好不遵。道燥招敗。寬無違。察未形。審其幾。宜知懲。莫害能。孜孜焉。蓋以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安季玉奇松友二益登勿染亭 西風携手若爲情。來看名亭摠署名。滿壁紗籠塵半沒。幾人名字自分明。滄浪之水去無情。盃酒生前身後名。一片莬裘江上岸。後人何以說分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望美亭韻 降仙臺下鶴南飛。赤壁江空映落輝。月冷欄干無夢寐。惟應更見翩翩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甯遊松廣寺 遊人慣識此溪山。不見狂塵境自閒。丹雘玲瓏流殿脚。華扁輝映着堂顔。名花幽鳥依巖畔。白石遊魚淺瀨間。法雨諸天寒食節。三年重到却忘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牛峰諸益宿松廣寺 薄暮綠溪上碧峰。鍾聲遙落接秋容。龍華堂外通霄雨。萬瓦高鳴隔幾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名敎解 名敎者。聖人之所植。而常人之所賴而生者。爲治世具莫大焉。乃化民成俗之本。不可以一日無也。一日無。則天下貿貿。莫知所從矣。曰禮樂壞崩。刑政紊亂。而其不絶如綫者。其維名敎乎。其明其晦。治亂之候繫焉。人之終身由之。而不知者。聖人之慮之也。其深且遠矣。自我扶之雖難。自我敗之不可。凡此含生。是誰之力。大哉名敎。斯其至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視解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