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松昌寧華閥有賢人和氣長生座上春矝式鄊隣高地位敦和宗族樂天倫諸孫餘慶由乎德八耋遐㱓必也仁未得近來陪笑語今朝何事遽歸眞 <지명>臨瀛</지명>后人<인명>崔兌植</인명> 謹拜哭輓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이규헌(李圭憲) 만사(輓詞) 고문서-시문류-만사 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李圭憲 李殷弼 李圭憲 김제 만경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이규헌(李圭憲)이 이은필(李殷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만사(輓詞). 이규헌(李圭憲)이 이은필(李殷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는 죽은 사람이 살았을 때의 공덕(公德)을 기리고, 그를 좋은 곳으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만장에서의 '만(輓)'은 끈다는 의미인데, 이는 망자의 상여(喪輿)가 장지(葬地)로 나갈 때 만장을 앞세워 인도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말이다. 만사는 어떤 정형화된 형태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오언절구(五言絶句)와 오언율시(五言律詩) 또는 칠언절구(七言絶句)나 칠언율시(七言律詩)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간혹 고시체(古詩體)를 본떠서 장문(長文)의 시(詩)의 짓거나 혹은 4자체(字體)로 쓰는 예도 있다. 이 만사는 글자의 수로 보아 칠언율시 한 수와 사언시(四言詩)가 있다. 위에서 만사의 대상자를 이은필이라고 밝혔지만, 사실 이를 알아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대부분의 만사가 그러하듯, 이 만사에서도 만사의 주인공 이름을 직접 거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 만사와 함께 묶어져 있던 115건의 만사의 그 어디에서도 이은필의 이름은 보이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위의 만사 등 중에서, 만사 작성자 스스로가 이은필의 친척이라고 적은 것을 모은 후,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이은필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은필(李殷弼)은 본관이 전주(全州)였으며, 1891년(고종 28)에 실시한 신묘식년시(辛卯式年試)의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 불과 17세였다. 이후 문과(文科)에는 급제하지는 않았지만, 대한제국관원이력서에 따르면 그는 영릉참봉(寧陵參奉), 영희전참봉(永禧殿參奉), 의릉참봉(懿陵參奉), 원구단사제서참봉(圜丘壇祠祭署參奉), 목릉참봉(穆陵參奉), 경릉참봉(景陵參奉) 등을 지낸 것으로 나온다. 그런데 이은필의 거주지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다. 신묘식년시 사마방목(司馬榜目)에 의하면 그의 거주지는 서울이었다. 그러나 조사과정에서 확인한 이은필의 거주지는 서울이 아니라 충청북도 제천(堤川)이었다. 그렇다면 이은필은, 소과 합격 당시에는 서울에 살았지만, 나중에 충청도로 이주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아니면 소과 합격 당시의 실제 거주지도 제천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조선 시대의 과거는 그것이 문과든, 무과든, 소과든 관계없이 본향(本鄕)만이 아니라 삼향(三鄕), 즉 본향, 처향(妻鄕), 외향(外鄕)에서 시험을 치를 수 있었고, 시권(試券)이나 방목에도 역시 시험을 치른 곳을 적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은필에게 서울은 처향이나 외향이었을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었다. 궁금한 점은 또 있다. 이 만사를 접한 장소는 충청도가 아니라 전라북도 김제였다. 그러니까 만사들이 원래는 충청도에 있다가 김제로 오게 되었다는 이야기인데, 그 이유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이은필의 후손 누군가 김제로 이주하면서 본 만사들을 가지고 온 것이 아닐까 하는 막연한 추측을 할 뿐이다. 이은필은 생원시에 합격한 뒤에 능참봉을 지냈을 뿐이지만, 그가 죽었을 때 전국 각지의 유림이 다투어 만시(輓詩)를 보낸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유학자(儒學者)로서 상당한 명망을 누린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광복 이후 어느 땐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만장을 지은 이규헌은 유학자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그는 자신을 족종손(族從孫)라고 적고 있는데, 족종손란 가족의 종손을 이르는 말이다. 따라서 이규헌은 망자와 가까운 친족(親族)관계 임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松淳厚平生德器深居今之世古人心園棣早年先下淚庭蘭嘗日自成抹魂氣應隨天上向 典形可得夢中尋桃花二月丹㫌去剰水靑山左右臨 又 未聞病報訃先隨非夢非眞半所疑門內如公云復幾悲懷片輓書難詞陽界族從孫 <인명>圭憲</인명> 謹再拜哭輓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정찬영(鄭粲永) 만사(輓詞) 고문서-시문류-만사 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정찬영 李殷弼 김제 만경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정찬영(鄭粲永)이 이은필(李殷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만사(輓詞) 정찬영(鄭粲永)이 이은필(李殷弼)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만사(輓詞)이다. 만사는 죽은 사람이 살았을 때의 공덕(公德)을 기리고, 그를 좋은 곳으로 인도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만사에서의 '만(輓)'은 끈다는 의미인데, 이는 망자의 상여(喪輿)가 장지(葬地)로 나갈 때 만사를 앞세워 인도하게 한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말이다. 만사는 어떤 정형화된 형태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오언절구(五言絶句)와 오언율시(五言律詩) 또는 칠언절구(七言絶句)나 칠언율시(七言律詩)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간혹 고시체(古詩體)를 본떠서 장문(長文)의 시(詩)의 짓거나 혹은 4자체(字體)로 쓰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만사의 대상자를 이은필이라고 밝혔지만, 사실 이를 알아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대부분의 만사가 그러하듯, 이 만사에서도 만사의 주인공 이름을 직접 거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만사와 함께 묶어져 있던 115건의 만사의 그 어디에서도 이은필의 이름은 보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위의 만사들 중에서, 만사 작성자 스스로가 이은필의 친척이라고 적은 것을 모은 후,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이은필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은필(李殷弼)은 본관이 전주(全州)였으며, 1891년(고종 28)에 실시한 신묘식년시(辛卯式年試)의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 불과 17세였다. 이후 문과(文科)에는 급제하지는 않았지만, 대한제국관원이력서에 따르면 그는 영릉참봉(寧陵參奉), 영희전참봉(永禧殿參奉), 의릉참봉(懿陵參奉), 원구단사제서참봉(圜丘壇祠祭署參奉), 목릉참봉(穆陵參奉), 경릉참봉(景陵參奉) 등을 지낸 것으로 나온다. 그런데 이은필의 거주지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다. 신묘식년시 사마방목(司馬榜目)에 의하면 그의 거주지는 서울이었다. 그러나 조사과정에서 확인한 이은필의 거주지는 서울이 아니라 충청도 제천(堤川)이었다. 그렇다면 이은필은, 소과 합격 당시에는 서울에 살았지만 나중에 충청도로 이주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아니면 소과 합격 당시의 실제 거주지도 제천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조선시대에의 과거는 그것이 문과든, 무과든, 소과든 관계없이 본향(本鄕)만이 아니라 삼향(三鄕), 즉 본향, 처향(妻鄕), 외향(外鄕)에서 시험을 치를 수 있었고, 시권(試券)이나 방목에도 역시 시험을 치른 곳을 적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이은필에게 서울은 처향이나 외향이었을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었던 것이다. 궁금한 점은 또 있다. 이 만사를 접한 장소는 충청도가 아니라 전라도 김제였다. 그러니까 만사들이 원래는 충청도에 있다가 김제로 오게 되었다는 이야기인데, 그 이유는 알 수가 없다. 다만 이은필의 후손 누군가 김제로 이주하면서 본 만사들을 가지고 온 것이 아닐까 하는 막연한 추측을 할 뿐이다. 이은필은 생원시에 합격한 뒤에 능참봉을 지냈을 뿐이지만, 그가 죽었을 때 전국 각지의 유림들이 다투어 만시(輓詩)를 보낸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유학자(儒學者)로서 상당한 명망을 누린 인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광복 이후 어느 땐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만사를 지은 정찬영은 오천(烏川)정씨의 후손이었다.○ 원문 텍스트 雲 雲公在塵間九十秋幾時爲樂幾時憂一生萬事都抛去白兩寒山孰與儔 烏川后人鄭粲永謹拜哭輓 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연도>戊戌</연도>十二月十五日右標事<지명>一道鳳凰里</지명>后麓行翠山所在埋標處折價錢文五拾兩許賣爲去乎以此然后俾無爻象爲乎乙事埋標主 <인명>辛士賢</인명>[着名]證人 <인명>金致道</인명>[着名]丙午四節田艮壬坑龍甲卯一節㣟咽起頭壬入首子哇午向乙得戊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5년 김명여(金明汝)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光武九年乙巳九月十六日 金明汝 光武九年乙巳九月十六日 金明汝 전북 부안군 [着名] 2개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부안 동도 전주이씨가 1905년 9월 16일에 유학(幼學) 김명여(金明汝)가 부안군(扶安郡) 상동면(上東面) 상리(上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05년 9월 16일에 유학(幼學) 김명여(金明汝)가 부안군(扶安郡) 상동면(上東面) 상리(上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김명여는 긴히 돈을 쓸 데가 있어서 상리 전평(前坪)에 있는 궐자답(闕字畓) 3마지기와 5마지기를 합하여 총 700냥에 팔았다. 3마지기 논은 부수(負數)로 4부 4속이 되는 곳이었고, 5마지기 논은 9복 9속이 되는 곳이었다. 매매 당시 구문기 2장과 신문기 1장을 매입자에게 건네주며 나중에 만약 다른 말이 있으면 이 문서로 증빙하라고 하였다. 이 거래에는 벼(禾穀) 3석(石) 10두(斗)도 포함되어 있다. 당시 논 주인 김명여와 증인(證人)으로 유학 김원겸(金元謙)이 참여하여 함께 서명하였다. 문서 말미에 상리 전평 김명여 7마지기 문권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 문서가 소장된 부안의 선은동 전주이씨가에는 19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 작성되었던 명문 5백여 점이 전하고 있어서 이 가문이 당시에 경제적으로 상당한 기반을 축적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명문 뿐만 아니라 산송(山訟) 관련 소지(所志)도 다수 소장되어 있다. 한편 이 가문의 것으로 추정되는 호적문서 31건이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의 고문서DB로 구축되어 있어서 작성연대가 간지로만 적혀 있는 명문과 소지의 정확한 작성연대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호적문서는 1801년부터 1888년까지 부안 동도면 선은동에서 계속 작성되었는데, 여기에 기재된 호주들의 이름은 이양호(李養灝), 이양락(李養洛), 이양순(李養淳), 이양식(李養湜), 이익용(李翼容), 이겸용(李謙容), 이규함(李圭咸), 이규정(李奎井) 등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연도>光武九年乙巳</연도>九月十六日 前明文右明文事切有緊用處故伏在<지명>上東上里</지명>前坪闕字畓參斗落所耕四負四束庫果闕字畓伍斗落所耕九卜九束庫乙價折錢文柒佰兩依數捧上是遣以舊文記二張新文一張右人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異言持此文記憑考事此亦中倂禾穀三石十斗事畓主 幼學 <인명>金明汝</인명>[着名]訂人 幼學 <인명>金元謙</인명>[着名]<지명>上里</지명>前坪<인명>金明汝</인명>七斗落文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契案序 嗚呼。吾先君子。有不肖子五人。曰承鶴承龜。曰承瑞。曰承漢承唐。是也。五子者。皆生晩。先君又不得壽。不能久侍于世。以承志于義方。所謂有子五人莫知父心者也。其當崩天之日。長焉者年僅二十有七。居末者甫八歲。次仲之皆幼。可知先君。季年嘗言曰。吾幸而壽。則吾當鼓陸生之瑟。天不佑德。遽禍吾家。蓼莪痛切。風樹深憾。無生乃已也。先君以許大力。量道理抱經濟醫國手。未試小展。而死生之際。不少曁見。知天知命後。必有報。而奈此五子者。蒙且痴何也。長又失學貿貿焉。不知先志之所在。豈曰有子而修子職乎哉。爲是之惧思。有以爲久遠謀。則又有一層深感者。何也。以吾先君一己血肉分而有五。五而爲百千。百千則爲路人。理之常也。理之反推。則本係于祖宗一身。猶葉係枝。枝係幹也。理之不得不然者。則張公之同居九世而止。理之所以然者。則韋園之花樹百世一室。此皆爲深遠之感。而以五昆季。分形而連氣雖本于一。而有前後之分。出后者又有二焉。五各母三分而五裂。如河圖之天。一生之五。五成之數也。如五行之生。各一其性。各具一太極也。有五其身。以先子觀之。曰五房。以五身之各分曰五家。以子孫言之曰五。門五身成家五。家分門則又各有五事。此五數之不可勝窮。而有生有家之不可闕者曰財用。是以曾傳言之。但處之有道。道則人道之盡。養生送死被服飮食之節。惟此衣食之大原。亦不可不察。而況乎蚩蚩蠢蠢。以食爲天。不知餘事者。有此則粗通人道。無此則喪其廉隅。非復知有天倫之厚。又安責其人道之盡。故人家族丁一熾則難於人人俱足不足者行亦不足者多有之。自侮受侮。往往爲鄕里所棄者。甚可寒心。凡吾先君之后。其可忽諸。於是出若干斛石。爲拮据之方。名之曰五契。卽五家作統之義而契者。非如時人立契取財。卽五家共之。別有期待。其綱有二。尊祖也重宗也。其目有十。用于先事者有五。用于子孫者有五。亦五五成之者。而其目在立例中。以字義則五邊有人。卽五兄弟。分而成伍。五下有口。卽吾五人。各爲吾事。無伍則孤立。五人各知吾事。事必相須。猶五殊二實。而無餘欠也。此吾家裕後之遠謀。而先子當日之志。亦寓其中。伸於萬世。其在來裔之賢不肖。而此契之盛衰。亦關吾家之興替。噫。爲吾先子之裔者。母徒以財爲契。以義爲先。亦無陷溺於溫飽之計。外此而知有許多事業。則可謂紹述先志。不然則雖盈金積玉。亦奚爲哉。是契也。非宗則不得主管。以寓尊祖重宗之意。雖主管。亦不可自專。支亦共揆。勿使有失。出納則五房中公平能幹者。任之而一遵約束。以爲成規。則五家之後。其知其免乎。知其免矣。先子在天之靈。豈無默相。後來者。知吾今日用心之苦矣。盍各思。盍各勉。噫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而有吟 詩存今日篋。人作去年塵。虛夜空樑月。猶疑顔色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警 知非欽伯玉。覺是慕淵明。所以古人學。戰兢保一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錫齋偶吟 短髮千莖白。晩花百日紅。平生辛苦地。畵柱愧成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元日雨 微雨祟朝下。胚胎萬物生。淸塵驅沴氣。潤屋報豊聲。古墓莎初濕。高山雪益明。今年春色早。歸雁已離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獨坐 獨處寬無事。柴扉盡日關。閒中心似水。靜裏意如山。當戶鳥啼下。隔籬人往還。仙鄕不離室。忘却損宋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劉屛山韻 風摩空壁去。月入小窓來。中有一寒叟。擁衾古昔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月十五夜藜村獨宿 歷雲閃炙轂。映谷入秋毫。誰識明窓裏。幽人枕獨高。湧海魚驚眼。亂河免濕毫。今宵天下白。談笑幾人高。至圓難犯手。太白不加毫。晦朔何曾缺。世人見未高。啣盃忝白玉。揮筆失彤毫。起視江南夜。群山突兀高。寒梅粧舊影。瘦鶴浴新毫。耿耿刀頭意。碧天穿眼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曺南溟有詩云。翠竹披風偃。蒼松冒雪折。所以主人心。愛松不愛竹。余惜其厚於松。而薄於竹因步其韻。聊爲竹解嘲。 風竹從容偃。雪松感慨折。若尋難易辨。松自讓頭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愛菊吟 籬有淵明菊。樽空翟氏酒。孤負重陽節。皤然一禿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日對菊 菊爲霜下傑。晩節容顔好。我作書中蠹。枯腸亦足保。淵明一愛菊。天下莫能爭。我雖百番愛。家人不識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覽菊思古人 遠思牛醫兒。近憶尨村老。出處雖不同。天機中自保。常思陶靖節。搴菊悵無酒。苟食非吾心。一朝棄五斗。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