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往玄洞拜艮翁墓 行李由車自有期 蓮亭日午亦無遲山川殆若忙奔去 行旅相爭升降時百里黃嶝如展尺 一區玄洞卽齊眉墓齋方有斯文事 多士逢迎惜別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立春日次族孫載和春字韻 【丁未 五首】 淵明底意不知春 五柳年年春復春農人告以西疇春 歸去來兮彭澤春見今光景是何春 春到年年不似春非無花草不如春 昨夜狂風減却春從今無復舊時春 到此深思物外春漁舟誤入武陵春 流水桃花不辨春幽人偏愛山林春 養得胸中和氣春眼前雨露桑麻春 心上風烟花柳春客中今日喜陽春 暫醉梅罇無量春高歌白雪熙熙春 坐了窮冬逢立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戊戌秋訪奇松沙【宇萬】留三山齋次壁上十絶韻 三聖山高最有靈 一流九曲本原淸主翁識得山林樂 十絶歌中動玉聲奇巖俯壑大如船 可使遊人利涉川竟日尋眞玉洞下 降仙臺上鎻雲煙前有嵂然保道峯 令人仰止自從容知應此處多奇觀 努力躋攀問幾重玉井可容太乙船 芙蓉采采夢玄玄源頭活水淸如許 快洗塵膓堪自憐一路中通左右巖 長蘿覃葛共㲯毿緣溪扶杖漸前進 石壁四圍水滿潭攀木緣崖漸入深 暮烟愁殺滿平林倚笻晩對南山立 靜裏蒼峭太古心屋下源泉對碧巒 柴門無事日常關鳥音花氣春風暖 山客來眠意自閒與子招招上碧灘 箇中佳景與誰看無邊落木蕭條裏 只有靑松見歲寒重鎻柴關次第開 綠溪一路自縈回西山依有采薇洞 怊悵夷齊尙不來擧眼敍懷便豁然 方春花柳滿前川直須窮得原頭理 開落榮枯總是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姪文國【碩基 七首】 孝奉二親母也亡 至情罔極淚滂滂新松山下封塋在 省埽歸來更上堂上堂拜起無聲立 翁曰靈魂倘有言我謂斯翁非耄語 憐君事死一心存怡色愉聲和氣溢 自然無一貽親憂却恐堂中時寂寞 爲留長老喜同遊重聽言語人難告 每事將行必稟于晨昏敬問衣寒燠 朝夕勤監饌有無蘆花飛盡納禾初 閒日打魚淸淺水此時健飯全家欣 不下王祥得雙鯉事親誠孝奉先思 表隧貞珉祭以時探祖遺文謀入梓 訥窩成德世皆知養志如君能有幾 鄕閭贊美共言論和日中天邦有道 天恩應表石湖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有感而題 【丙寅從姪時權悶余家乏自七月一日進食 余非取其飮食之甘只美其仁愛之心而賦此四絶】 悶我老癃家食艱 時時饋餉是仁愛此心直出彛倫上 不似他人拘慾昧却看妻子萬端愁 爲是家貧不供職勉爾勿憂須竭力 盡誠敦厚共歸德仁於心德爲慈愛 敷施彛倫日用閒孝悌出來稟賦上 惟天所命未曾艱人能推極此心存 萬事本乎忠孝內爲子爲臣所當然 莫非造物賦仁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23년 남원(南原) 유학(幼學) 최준(崔濬)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국왕/왕실-보고-상서 癸未八月 南原幼學崔濬梁復軫等 巡相 癸未八月 전북 남원시 [署押] 1개, [官印] 3개 8.0*8.0(정방형) 적색 3개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1823년(순조 23) 8월에 남원(南原)에 사는 유학(幼學) 최준(崔濬) 등 27명이 순상(巡相)에게 올린 상서(上書). 1823년(순조 23) 8월에 남원(南原)에 사는 유학(幼學) 최준(崔濬) 등 27명이 남원 기지방(機池坊)에 사는 동몽(童蒙) 박인필(朴仁弼)의 효행을 조정에 알려 정려(旌閭)의 특전을 받게 해달라면서순상(巡相)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밀양박씨(密陽朴氏) 강수공(江叟公)의 9대손인 박인필은 충효(忠孝)의 가문에서 태어나 일찍부터 효심이 깊었다. 부친이 알 수 없는 병으로 수년 동안 병석에 있었으나 증세가 악화되어 온몸이 부풀어 오르고 사지가 마비되었는가 하면 가래와 기침으로 목구멍이 막혀 꼼짝도 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박인필은 백방으로 약을 구했으나 효과가 없었다. 급기야 부친이 사경을 헤매게 되자 박인필은 밤낮으로 하늘에 기도를 올리며 자기를 대신 데려가라고 빌었다. 급기야는 자신의 넓적다리를 베어 불에 구은 다음에 부친에게는 참새구이라고 속여서 드시게 하였다. 그러자 사경에 이르렀던 그의 부친이 점차 회복하게 되었다. 박인필의 나이 불과 17세였다. 모두가 하늘이 그의 효성에 감동한 것이라고 하였다. 또 지난 해 여름에는 모친이 괴질에 걸려 갑자기 사경을 헤매었는데, 박인필은 백방으로 약을 구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모친에게 마시게 하여 마침내 소생케 하였다. 남원의 유생들은 이러한 박인필의 행적을 조정에 알려 정려의 특전을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간청하였다. 순상은 이에 대해 참으로 가상하다고 하였으나 제사 부분이 훼손되어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박인필의 효행과 관련한 상서는 이 문서 외에도 몇 건이 더 전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박인필은 박정환(朴正煥)의 소자(小字)이다. 또 박인필 뿐만 아니라 그의 처 청풍김씨(淸風金氏)도 효열(孝烈)로 이름이 높아 여러 차례 지방 유림들이 포양(褒揚)을 청하는 상서를 관에 올리기도 하였다. 이 문서가 소장된 남원의 밀양박씨 문중에는 박인필이 작성했던 시권(試券)이 3장 전하고 있다. 문과에 급제하지 못했고, 생원 진사시에 합격한 기록도 찾아볼 수 없지만, 박인필이 효자일 뿐만 아니라 학문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던 인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원의 유생들은 이 상서 외에도 박인필의 효행과 관련하여 여러 차례 남원부사와 암행어사 등에게 상서를 올렸었다. 한편 이 문서에는 작성연대를 계미년으로만 적고 있는데, 문서의 소장처인 남원의 밀양박씨 문중에서는 이를 1883년으로 추정하여 문서에 연필로 그렇게 써놓았다. 이뿐만이 아니라, 위 박인필(朴仁弼)의 효행과 관련하여 작성된 상서들이 모두 이 시기를 전후하여 작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위 계미년은 1883년이 아니라 1823년으로 추정되며, 효행 관련 문서들도 대부분 이 시기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시기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위 박인필(朴仁弼)이 부친의 친산(親山)을 쓰기 위하여 1824년에 산지를 매입하였고("1824년 박인필(朴仁弼) 산지매매명문(山地賣買明文)" 참조), 효행 관련 통문이나 상서들이 17세 동몽(童蒙) 박인필을 언급하고 있다. 즉 부친이 죽기 직전의 박인필이 동몽으로 어린 나이였고, 그 시기를 명문에서는 도광 4년으로 명기하고 있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時有笑陶靖節者戱題 【三首】 嗟乎晉代陶元亮 何事歸來苦忍窮若乃久居五斗米 安知兼有北牕風請君莫笑陶元亮 可謂羲皇上世人歸來本意誰能識 故醉渾忘五柳春曾聞晉代文章盛 靖節先生第一人史筆猶香添菊露 誰家寫出佗心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律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示金鍾九 心是吾存性率吾 循循省察做工夫輕簾忽動風來柳 深戶猶明月到梧劒不有名誰肯買 玉將待價我須沽惟君且莫談時俗 聖戒丁寜比紫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迴鄕途中吟 尋芳稍晩已過春 春事悤悤未定身老去還爲多病客 遊來奚取遠方人路通雲裏俄穿嶺 船壓潮聲又涉津纔到芝村窮日力 幸逢故舊見情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題 檀箕遺域曰吾生 生受萬端一不成値世猖狂無與語 逢人壓制莫堪聲如何我地山川變 依舊彼天日月明氣運循還應有待 誓毋失義保身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時人論短喪 自古倫綱禮爲先 父喪母制服三年今何未及朞而短 不欲擡頭共一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戒家兒時澤 凡事必須豫則立 一心勤謹敬爲先黜今稽古從師訓 餘力看書不亦賢無恥縕袍簞食樂 欽斯子路學顔淵窮毋失義惟安分 福善丁寜降自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剛耆吟 人能立志心無慾 物上軒軒自得伸夫子所云未見者 豈非成德近於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李季潤【喜璡】書室 謀道安貧所守確 晩年容貌如丹渥賢師誨語每丁寜 已許誠身敦好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忘食看書 【李季潤】 忘食看書味有在 眼前肉菜列齊眉居常玩得心常飽 不患田家歲稔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示朴宗浩與學輩 父母乾坤生此身 玉將成汝莫憂貧一生愛物全心德 萬死從天是性眞膠固猶難粘白日 金多未易買靑春請君用力無間斷 莫負先生長者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台亨性夏務五齋韻 里有仁風美且正 奚憂入德繼家聲存心勵志下功密 窮理看書處事明月照池塘看妙理 花開庭院富春情吾師明敎何殷切 圭復多年道自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示諸生 爾亦知夫道出天 人須學問誓生前請講書中先聖訓 何求物外彼仙緣庭梧雖老多明月 園竹頗疏更晩烟今夜偶爲詩所使 寒燈凍榻不成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機池三里戶籍單子第二十統四戶幼學朴政煥 前名麟煥年五十九庚申本密陽父學生 東乘祖學生 相源曾祖學生 春城外祖學生 金五弼本盆城妻金氏年五十九庚申籍淸風父學生 守澤祖學生 光魯曾祖學生 聖海外祖學生李國柱本全州賤口婢唜丹年戊子乙卯 相準印丁巳八月 日風憲金[着名]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