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高淸汝【石鎭 四首】 一派方山特秀南 此閒生長貞忠男圖存王室終難遂 天不肯憐留勉菴激義高風吹不得 腥塵一夜滿江城歸臥孤亭寒日暮 漲天胸海熱潮生我欲慰君詩語細 歸諸天命歎如何浮雲世事忘中盡 流水光陰夢裏過自我不逢今幾年 跫音亦絶水南天深山四月聞鶯日 巧違回頭悵悵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孝子韓【龍】 離母離兄慕父者 可憐情事淚潛潛雲樹茫茫千里外 風霜苦苦七年閒祈佛禱天靈隱寺 宿巖寄嶺妙香山居僧餽贐箱骸返 追服如新所偶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李聖習【之白】 年滿七旬四歲翁 離家妄計訓兒童耳常聽蟀秋風裏 眼亦看花醉霧中專務和柔還失䫉 兼持莊敬自加功請君須學顔淵樂 莫患簞瓢或屢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良三【容奭】入白羊飮靈泉 無伴出門獨自求 幸逢知已與同遊新林鶴院仙緣近 古寺羊山道氣浮萬歲堂前僧掃石 雙溪岸上客登樓此閒惟有靈泉冽 頓滌煩襟共對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示金鍾甲 吾行欲速故遲遲 爲是前頭有所期遙指杏花非問酒 偶來松下或聞碁靜觀物理誰先覺 熟讀詩書以後知求爾放心鄒訓切 惟君加勉愼思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頑蠱 【二首】 江南春色世爭攀 嫩柳夭桃總不頑肯問遠山梅信息 平生淡素一心寬小園有桂我欲攀 不問時人也謂頑惟一惟精胸次闊 寒潭秋月見天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鎭安馬耳山 【二首】 崒嵂山頭接帝天 開顔相對結佳緣氣衝劒㦸登壇將 容削芙蓉出水仙巧逢樵者問山名 自古南州馬耳鳴早毓俊良生此國 奚憂虜騎敢橫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敬輓艮齋先生 【壬戌】 日月不留永訣天 海東秋色正悽然可憐彌勒山下墓 葬我先生道體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省 【二首】 我師必有三人行 取改分明在察精箇中如或皆其善 無閒看來總好情誠身敬事兩相宜 惟一其心在近思精察工夫須用力 誓死勇進答吾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四時吟 【四首】 帝城二月春光好 到處江山錦繡錯地遠河南夫子世 前川花柳誰能樂架簷葡蔓成陰密 能蔽炎風暑日天頓滌煩襟淸井水 更旋藜杖向林泉金井碧梧葉正飛 亂鳴蟋蟀守寒幃各得其時能盡職 人宜體認察機微朔風一夜吹無盡 江雪翻成白玉灘回看萬木蕭條裏 惟有蒼松不謝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靜居書懷 【四首】 人心所具惟天理 遏慾去私初可復從事學文日月多 靜虛動直罔非一揚何就莽許何元 偏質男兒義理昏可憐當世心身事 死後千秋秉筆論近思切問誠身事 忠信元來爲本領夙夜孜孜斃後已 欽思曾聖日三省世人亦有工夫否 夙夜馳心忠信外成就不離私意地 計功謀利自爲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94년 박경승(朴慶承) 교지(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熈二十年三月十七日 肅宗 朴慶承 康熈二十年三月十七日 肅宗 전북 남원시 [御寶] 1개 9.8*9.8(정방형) 적색 1개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1694년(숙종 20) 3월에 왕이 박경승(朴慶承)을 정헌대부(正憲大夫) 행평안도관찰사 겸 순찰사안찰사(行平安道觀察使兼巡察使按察使)로 임명(任命)하면서 내려 준 교지(敎旨). 1694년(숙종 20) 3월에 왕이 박경승(朴慶承)을 정헌대부(正憲大夫) 행평안도관찰사 겸 순찰사안찰사(行平安道觀察使兼巡察使按察使)로 임명(任命)하면서 내려 준 교지(敎旨)이다. 정헌대부는 정2품 문무관(文武官)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평안도관찰사는 중앙에서 평안도로 파견한 지방 장관으로 외관(外官) 규찰(糾察)과 도내의 군사와 민사 등 모든 업무를 지휘, 통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종2품의 문관직으로 임기는 1년이었다. 순찰사는 도내의 군무(軍務)를 순찰하는 벼슬로 각 도의 관찰사가 겸임하였다. 안찰사는 도내를 순찰하며 수령을 규찰하는 임무로 그 임기는 6개월이었다. 따라서 박경승은 정2품의 품계를 지니고 있으면서 종2품의 관직을 받은 셈이다. 이처럼 자신이 지닌 품계보다 낮은 관직에 임명되는 경우를 계고직비(階高職卑)라고 하였으며, 관직 앞에는 반드시 '행(行)'이라고 쓰도록 했다. 그리고 그와는 반대인 경우, 즉 자신이 지닌 품계보다 높을 관직에 임명되는 계비직고(階卑職高)의 경우에는 관직명 앞에 '수(守)'라고 썼다. 이를 행수법(行守法)이라고 하였다. '1801년 박태호(朴泰浩) 준호구(準戶口)'와 '1855년 박경승(朴慶承) 추증교지(追贈敎旨)'를 참고해 보면 박경승, 박기정(朴基正), 박태호는 증조부, 조부, 부의 관계이다. 즉, 박경승은 박태호의 할아버지이다. 이후 1855년(철종 6) 12월 26일에 박경승에게 추증 교지가 내려지는데 이는 박태호의 아들이 높은 관직에 올랐기 때문이다. 이때 박경승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 겸 세자좌빈객(議政府領議政兼世子左賓客)으로 증직되었다. 남원부(南原府) 기지방(機池坊)에 살고 있는 밀양박씨(密陽朴氏) 가문의 소장 문서 가운데 양주목에 살았던 밀양박씨의 준호구(凖戶口)와 교지(敎旨)들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양주목에 살았던 밀양박씨의 일부가 뒤에 남원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1년 박태호(朴泰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六年五月 楊州牧 朴泰浩 嘉慶六年五月 楊州牧 전북 남원시 [着名] 1개 6.5*6.5(정방형) 적색 1개43.3*4.4(장방형) 흑색 1개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1801년(순조 1) 양주목(楊州牧)에서 박태호(朴泰浩)에게 발급해 준 준호구(凖戶口). 1801년(순조 1) 양주목(楊州牧)에서 박태호(朴泰浩)에게 발급해 준 준호구(準戶口)이다. 문서에 따르면 이 준호구는 신유년(辛酉年), 즉 1801년에 성적한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용인현감(行龍仁縣監) 박태호의 나이는 46세로 병자생, 즉 1756년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거주지는 양주목 북면(北面) 서산리(西山里)이다. 박태호의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행황주목사(行黃州牧使) 박기정(朴基正)이다. 할아버지는 정헌대부(正憲大夫) 행평안도관찰사겸순찰사안찰사(行平安道觀察使兼巡察使按察使) 박경승(朴慶承)이다. 증조부(曾祖父)는 자헌대부(資憲大夫) 행이조판서겸경연춘추관사홍문관대제학(行吏曹判書兼經筵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 박성억(朴成億)이다. 외조부(外祖父)는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이조판서(行吏曺參判) 조단(趙㫜)으로 본관(本貫)은 풍양(豐壤)이다. 아내는 안동(安東) 김씨(金氏)로 45세이며 정축년(丁丑年), 즉 1757년에 태어났다. 처부(妻父)는 통정대부(通政大夫) 행안동목사(行安州牧使) 김이수(金履修)이다. 처의 조부(祖父)는 정헌대부(正憲大夫) 행이조판서겸경연춘추관사홍문관대제학(行吏曺判書兼經筵春秋館事弘文館大提學) 김방행(金方行)이다. 처의 증조부는 대광보국숭녹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행의정부영의정(行議政府領議政) 김시걸(金時傑)이다. 처의 외조부는 정헌대부(正憲大夫) 행황해도관찰사겸순찰사(行黃海道觀察使兼巡察使) 이약해(李若海)이며 본관은 황주(廣州)이다. 소유한 노비는 모두 11구(口)로 남자종이 7구, 여자종이 4구가 있다. 56세 노(奴) 덕재(德才)는 병인생(丙寅生)이다. 46세 비(婢) 덕심(德心)은 병자생(丙子生)이다. 덕심에게는 일소생(一所生)으로 25세 노(奴) 창위(昌緯)가 있고 창위는 정유생(丁酉生)이다. 덕심의 이소생(二所生)은 23세 노(奴) 연득(連得)으로 경자생(庚子生)이다. 덕심의 삼소생(三所生)은 18세 비(婢) 창례(昌禮)는 갑진생(甲辰生)이다. 52세 노(奴) 귀재(貴才)는 기사생(己巳生)이고 51세 노(奴) 귀▣는 계유생(癸酉生)이다. 43세 비(婢) 귀심(貴心)이는 기묘생(己卯生)이다. 귀심이의 일소생(一所生)은 노(奴) ▣▣이고 이소생(二所生)은 18세 간월(干月)이로 갑진생(甲辰生)이다. 마지막으로 55세 노(奴) 돌이(乭伊)는 정묘생(丁卯生)이다. 문서의 말미에는 무오(戊午)호구상준(戶口相準)이라 기재하여 무오년(戊午年) 즉, 1798년에 작성한 호구 문서와 비교하여 확인하였음을 밝혔다. 문서의 좌측 상단에는 행목사(行牧使)의 착명(着名)이 있다. 남원부(南原府) 기지방(機池坊)에 살고 있는 밀양박씨(密陽朴氏) 가문의 소장 문서 가운데 양주목에 살았던 밀양박씨의 준호구(凖戶口)와 교지(敎旨)들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양주목에 살았던 밀양박씨의 일부가 뒤에 남원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夏日卽事 水利平郊南北通 田村百事日悤悤麥秋纔去時多務 秧雨方來歲有功野老黃冠休息際 農隣白酒醉醒中恐或心爲饑渴害 居常祗祝比年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讀細書【聊轉一粲 將石决明沈水 熨眼取明】 居士如今大耋年 愛看相帙夜無眼 新傳九孔贏沈水 熨眼生明字了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花鳥 花鳥何知杜工部 洛城別恨天下憂西南道路穿三峽 東北風塵漲百州舊國寒聲來遠雁 江村幽景問閒鷗靑春未作還鄕伴 莫汝深愁我自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學而習之 【丙寅】 知性盡心道旣通 當然事物理當窮愛親至孝無違禮 憂國深誠願歲豊靜則不離尤用力 行猶未及更加功時時重習工夫熟 所學存吾說在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述懷 七十年如不幾年 忽驚白髮鬢邊連兒童心在思親地 老大情多對客筵忠孝嘉謨須裕後 詩書遺業必承先吾家誠有如斯者 應有福慶受帝天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