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52년 진사(進士) 노석승(盧錫升)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국왕/왕실-보고-상서 壬子四月 進士盧錫升朴正烈幼學高時雍等 巡相 壬子四月 전북 남원시 [署押] 1개, [官印] 3개 8.0*8.0(정방형) 적색 3개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1852년(철종 3) 4월에 전라도(全羅道) 진사(進士) 노석승(盧錫升)을 비롯한 32명의 도내(道內) 유생들이 순상(巡相)에게 올린 상서이다. 1852년(철종 3) 4월에 전라도(全羅道) 진사(進士) 노석승(盧錫升)을 비롯한 32명의 도내(道內) 유생들이 남원(南原) 기지방(機池坊)에 사는 효자(孝子) 박정환(朴正煥)과 그의 처 청풍김씨(淸風金氏)의 효열(孝烈)을 조정에 알려 포양(褒揚)의 특전을 내리게 해달라면서 순상(巡相)에게 올린 상서이다. 밀양박씨(密陽朴氏) 강수공(江叟公)의 9대손인 박정환은 충효(忠孝)의 가문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가법(家法)을 준수하면서 부모의 뜻을 어기지 않았기 때문에 박효자(朴孝子)로 칭송을 받았다. 그의 부친이 학질에 걸려 여러 해 동안 병석에 앓아 눕게 되자 어린 나이임에도 밤낮으로 시탕(侍湯)을 하며 정성껏 병간을 하였다. 병이 위독해지자 자신의 오른쪽 넓적다리를 베어 불에 구어 잘게 나누어 부친에게 먹여 마침내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마을사람들이 모두 그의 효행에 하늘이 감동한 것이라고 칭찬하였다. 뒤에 모친이 괴질에 걸려 숨이 끊어질 지경에 이르렀을 때에는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케 하였다. 그의 부모가 모두 아들의 효행에 힘입어 천수(天壽)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그의 효행으로 여러번 지방유림들로부터 포양(褒揚)의 천거를 받았다. 박정환의 처 청풍김씨(淸風金氏)는 좌리공신(佐理功臣)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지낸 월천군(月川君) 문평공(文平公) 김길통(金吉通)의 14세손으로, 부덕(婦德)이 뛰어난 여인이었다. 박씨가문에 시집와서는 병석에 계신 시부모를 정성껏 봉양하였으며, 남편 박정환이 갑자기 고황(膏肓)으로 여러 해 병석에 누어 있을 때 지극정성으로 남편을 병간하였다. 이에 전라도 각 지역의 유생들이 공의(公議)를 모아 이들 두 부부의 효열(孝烈)을 조정에 널리 알려 포양(褒揚)의 특전을 받게 해달라면서 순상(巡相)에게 상서를 올렸다. 순상은 이에 대하여 그 행적이 참으로 가상하기는 한 일이지만, 조정에 포향을 상신하는 일은 중요한 일이니 서둘러 처리할 수 없다는 제음(題音)을 내렸다. 박정환은 소자(小字) 박인필(朴仁弼)로도 불리웠는데, 이 문서가 소장된 남원의 밀양박씨 문중에는 박인필이 작성했던 시권(試券)이 3장 전하고 있다. 문과에 급제하지 못했고, 생원 진사시에 합격한 기록도 찾아볼 수 없지만, 박인필이 효자일 뿐만 아니라 학문에도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던 인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羊寺 聞說白羊好 年前一見之雙溪樓上景 四壁板閒詩玩客來無絶 慢僧坐不移洞天深邃地 淺見莫能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稟質 【物性有近人性者如相乳之猫 人性有近物性者如昏癡之人】 稟其淸正人惟貴 受厥昏偏物則卑物性近人人近物 秪緣一氣不能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夜 痛楚在身思不齊 欲眠未得待鳴雞月明杜宇來相近 分我春愁徹夜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菊 可憐十月堂前菊 不爲重陽花滿枝不是爲人改素節 元來早晩在天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嘲 【二首】 病夫何事苦吟詩 拙手摩挲下字遲徒費神精無用處 强顔題出慢撚髭爾本空踈述作才 從來未得聲名價莫將詩句向人言 反受侮嘲不若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秋齋幽懷 遙看漢水未曾淸 千里邦無一片城落木聲邊秋雨暮 寒山影裏夕陽明孤松雖老丈夫節 老菊猶殘處士名何幸晉家餘半壁 謝安倘起濟蒼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重陽聽琴 抱琴行客任西東 靜處聽松或撫桐徘徊明月淸風際 指點靑山綠水中爲言留去多情友 不問從來宿面童自許知音詩欲和 其何佳節酒罇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古群山2) 【時先生在此山】 海外一山睟面開 幾多明月白雲來此閒知有安陽室 焉得浮槎任去迴 정서본에는 "古君山"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는 "古群山"의 오기라고 판단되어 바로 잡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 【二首】 不知鬱鬱松生籟 錯認山風吹雨來出戶整頓場上物 斗牛明月下徘徊在山樹木應無數 晩翠君子愛惜看流水棊邊陰自爽 淸風琴上聲猶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養鶴室 山郭園林接翠微 客留松館鶴敲扉坐花飮酒豪情發 啖菜論詩逸興飛溪水有聲添宿雨 村煙生色帶斜暉留連數日安身在 只欠家鄕信息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成 不遇男兒尙志高 窮無失義是云豪雖開寶鑑能茹物 那泛虛舟利涉濤處世如將蹈虎尾 致身猶可擲鴻毛歸來元亮眞堪友 或傲南窓或嘯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安梧亭秉榮韻 萬樹繁陰時 老松世莫知葉底幽禽在 欲鳴過別枝無與聲相應 安巢尙不離梧陰白鶴在 倘或來棲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言絶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關北詩杜綠陰韻 【二首】 芳草斜陽雨乍晴 千林萬樹各含情偏憐葉底新涼積 可畏枝閒酷暑橫花落鳥啼猶故事 樹高蟬語亦新聲北關詩杜多佳士 題品其人必不輕萬樹風曛又雨晴 綠陰隨處最多情須繁嘉木亭猶在 或隱空洲舟自橫凝勝烟光看有影 凉如水氣聽無聲勝花時節成詩格 關北新製品不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禮齋晴景 終宵其雨及晨晴 蘇復斯民病渴情十里烟光白鳥沒 一樓霽色碧山橫是時喜誌飛甘澍 幾處歌傳樂稔聲孤客留來多感物 悠悠歸思問前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昏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子時澤 昏書 【甲辰十月二十五日】 昏姻之道 合二姓之歡 所以附遠配匹之際 是萬福之源 在謹其始 易貴乾坤 詩首關雎 伏惟華閥 實爲兹鄉之望 懿德 尤非凡品之偶 豈期自卑 有此嘉命 况尊門娘子 德性貞淑 又有執麻執籩之敎 鄙家長子 年雖長盛 未成學禮學詩之功 貺室寔出 不較之盛 念承命實 有難喩之欣感 異日宜家幸 遂私分之願 吉辰奉幣 謹行先人之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族兄南岡公行錄 公天性淳實 凡言動不爲矯餙 家貧親老 每以甘腰 莫致爲憂 丁丑五月丁內艱 歉荒之餘 送終之節 雖儉薄而哀毁踰制焉 至於宗族冠昏喪葬及大小忌 必發私事而參焉 敎誨不倦 雖祁寒暑兩 來往山齋 誘掖門子姪 雖外姓子弟 亦諄如也 每與松坡奎魯公 協議竭力 置宗土祭先墓 平日無疾言遽色 不攻人之惡 但以家兒輩學不成爲憂 其孫鍾坤 能承其先業 此豈非公之心德之所執也歟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