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蔡欽卿東建大人回甲韻 【二首】 喜親無恙回庚年 請我賡詩已日連惟主惟賓團會地 乃肴乃酒宴酣筵十分和氣同老幼 一樣優遊爭後先知是人人難得事 賀君福慶受諸天載回花甲是生年 壽宴經營數日連老少逢迎談笑地 主賓酬酌醉醒筵祝岡禮數彬彬後 定座威儀棣棣先聊識斯翁多孝感 慨然罔極劬勞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之晬宴其父喜之 子曾祝父壽如岡 八耋遐齡健且康謀有盡已人多祐 請以生辰客滿堂顧余老大前期近 見爾兒孫後分長其喜洋洋春酒溢 願言明日更遊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從姪婦柳氏晬宴吟 【丙寅 二首】 婦人還甲世多侶 亦罕如今是婦人琴瑟好音百年友 芝蘭寶樹四鄰春前日食艱或常事 後來享福更佳眞祝岡拜手斑衣舞 可見閨門淑德新今日回庚是婦人 女中婉娩慈惠眞言必聽夫家道進 心常愛物世稱仁兒孫騎竹開三逕 禽鳥啼花接四隣祝岡朋酒渾和氣 凝作無壃鐵樹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輓勉菴崔丈 一擧春秋大義起 媚狐鴂舌敢何喧生前未雪廟堂恥 死後殊蒙聖主恩偏愛芙蓉君子宅 長辭桃李貴公門漢波風亂歸雲斷 曲曲忠腸泣九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樂要堂金友【洛進 己酉】 齋曰樂要諱洛進 碧苔山下是幽居上堂問候兼箴子 在野明農又讀書芝蘭院落春常滿 風月湖窓客不虛乃生乃化惟天命 勿恨今朝就彩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遺命 卷之十1)附錄記遺命○ 若我氣盡則 汝須淨潔沐浴櫛髮然後 襲焉○ 初終凡節 只是稱家有無而己 不可爲一毫過分之事焉○ 汝素甚貧 襲歛衣服 澣濯常時所著 用之 道袍一件 隨宜雯裁焉○ 襲殮2)時 衣衾帶履 方正端莊 以無損我平日莊 敬之威儀焉○ 銘旌書以精毅齋李處士之柩○ 初葬則 就書堂山先山汝之前妣金氏墓左雙兆 待乾淨改葬焉○ 葬地則 於下西面書堂洞 十三代祖司直公墓後左岡 己爲造墳 勿他求○ 世俗 吊慰賓客 或待之以酒肉 又有衰經而親勸者 非禮3)之甚也 汝須毋至越 禮犯禁焉○ 祭需豊儉 稱家有無 淨潔與否 在誠敬 有其誠則有其神 無其誠則無其神 先 聖之訓也 然則與其豊備 寧誠敬○ 冠昏喪祭 一依朱文公家禮行之 今世降俗頹 四禮之廢 久矣 行之者 無幾人 可勝歎哉 汝須勿從俗○ 祭品 不用油果與油物 先賢之所定也 又有六代祖遺訓 勿泛勿泛○ 居喪者 非有甚不得已之故則 絶不出入 可也 今禮坊4)大壞 身著衰經 赴人 喪葬 以爲常例 汝須謹身遵禮 毋使循俗 或有服親喪 不可不往慰 然故待卒 哭後 可也○ 余於前日居憂時 巧値歉年 初終凡節 多不稱意 是爲徹骨之恨 我死後 愼勿 豊厚過度也○ 人家子姪 爲聖爲凡 只是學與不學而已 不係於才之有無 苟有好資質 可以敎 矣 汝之二子 才雖鈍拙 俱有温良厚重之資質 可以爲儒業矣 善爲敎導 以成 其器 詩曰 温温恭人 惟德之基○ 汝性偏急 不容人細過 故常被人譏剌 余常所憂也 須從忠厚 上做工夫 其於 人過 寬恕十分 其於己能 退藏十分 母少相持 詩曰 式相好矣 無相猶矣二十三日 疾革 家人男女 遑遑在側 府君收歛精神曰 吾命似在二十五日 歛襲之 儀 營葬之節 一切凖備焉二十四日 夕陽 第三女來自龍湖侍側 府君曰 雖平時 婦女不得至丈夫之室 况疾革之時乎 禮云 男子 不絕於婦人之手 婦人不絕於男子之手 卽入内室 可也二十五日 晷已晡矣 府君精神自若 俄而問曰 今日 何日耶 對曰 正月二十五日 戌時 命曰 去舊衣 著新衣 藥水少許進乎 余口遂進藥水 自一匙二匙 至三匙而不復進 痛哭痛哭 何言何言 時澤5)謹錄 원래는 "卷之六"으로 나오나 순서에 따라 이렇게 고쳤다. 정서본에는 "歛"으로 나오나 이는 "殮"의 오기임으로 바로 잡았다. "禮"는 정서본이 완성된 후 누군가가 써넣은 것이다. 정서본에는 "坊"으로 나오나 이는 "方"의 오기가 아닌가 한다. 정서본을 보면 "時澤" 옆에 "出出"이라는 글자가 써 있다. "時澤"을 "出出"로 바꾸라는 의미가 아닌가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錄 公諱驥魯 字德夫 號精毅齋 姓李氏 瀛州人 李氏胄于高麗文憲公諱敬祖 本朝諱伯膽 執義 光廟改玉後 棄官自靖 是爲中顯 八傳而有諱克守 號小心齋 師事尤菴宋先生 動容周旋 必中規矩 學問思辨 得其要領 於公爲六代祖 曰長春 曰崇 曰鎭燁 是小心齋後三世 而俱有德行文章 祖諱萬祿 有特孝之行 命旌 考諱東益號直齋質直勤儉 事親極其忠養之禮 事兄盡其友于之道 妣扶寧金氏奉珏之女 哲廟辛亥五月三日生公 幼而端雅 異乎常兒 稍長深重寡默 惟以書籍翰墨爲事 始學於三從叔山塢公 及長 復從南岡公講磨 湥有資益 南岡即山塢之子也 丙寅丁母喪 俱盡情禮 戊子丁外艱 年饑勢艱 不能稱意 以送終之儉薄 爲一生之恨 兩親墓俱在百里之外 不能省掃之數數 移葬于先山下 間日拜墓 不以老而少弛也 自少至老 教誨族子姪及隣里少輩 因其才而導之 平居無親踈貴賤 皆以和顔接之 未嘗見其疾言遽色 或言及時政得失人物長短 嘿然少無和焉 時運不幸 天地閉塞 國步艱難 羣醜媒孼 乃寒後二子 扁其堂 盖欲所守之貞 亭亭然如窮冬之松柏 乙已艮齋田先生南駕于本鄉 納贄請學 以正其所有 補其所闕 先生以精毅二字 扁其所居之室 盖取君子之學不精則德不進 不毅則業不廣也 時仁說多岐 先生每深慮焉 於是集合洛閩諸賢 言仁之說 以究其肯綮 若其著述 無非忠憤所發 能使讀者 凜然髮直骨冷 座揭切要之言 以爲警省之資 庭列羣芳之物 亦爲養性之需 憫時輩謀利之太酷 歎殘民保生之無由 每對門子姪 以純古仁厚之事 反覆敎誘 家庭之奴僕 先墓之守護者 亦皆要其厚也 以老患 長在呻吟 自丙寅臘月以來 疾祟轉革 翌年正月望間 命諸子 使備送終之具 至于二十五日 命家人曰 今日 卽吾符到之日也 因屏女 去舊衣着新衣 更命殮襲之儀 營葬之節 果是日悠然而殁 享年七十七 葬于扶安郡下西面書堂洞先塋負丁原 配義城6)金璜載女 無育而卒 繼配高興7)柳煥奎女 有婦德 克配君子 生三男三女 男長 時澤 師艮齋田先生 有剛直之行 次 時寬 時? 時? 出后仲父 女適義城金鏞采 淳昌薛載澤8) 延安李東寧 時澤 娶扶寧金淵述女 有四男 鍾珍 鍾熺 元鍾9) 僩鍾10) 時寬 娶全州李容馥女 一男 鍾奎 金壻男 升洛11) 臻洛 宗洛12) 薛壻男 啓錄13) 李壻男 義七 凡內外孫畧于人 公旣受天賦之美 加以謹思明辨之功 養以守死善道知命敦仁之趣 然不見知於世而終老林泉 譬如芝蘭 瘁于窮谷也 鍾坤受學于門下 薰灸者 已厚且久矣 詳如其本末終始之如何 故乃敢敘述其梗概 若其所造之深 所尙之高 果非淺量之所及 豈可容易言哉 丁卯三月下澣 族孫鍾坤謹撰 이 "城"字는 정서본이 완성된 후에 누군가가 써넣은 것이다. 정서본에는 이 "興"이 두 번 나온다. 하지만 이는 오류임이 분명하여 바로 잡았다. 정서본을 보면 원래는 "薛仁鎬"로 되어 있었으나 나중에 "薛載澤"으로 수정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정서본을 보면 원래는 "鉉中"으로 적었다가 나중에 "元鍾"으로 바꾼 것으로 되어 있다. 정서본을 보면 원래는 "鉉萬"으로 적었다가 나중에 "僩鍾"으로 바꾼 것으로 되어 있다. 정서본을 보면 원래는 "鼎洛"으로 적었다가 나중에 "升洛"으로 바꾼 것으로 되어 있다. 정서본을 보면 원래는 "元洛"으로 적었다가 나중에 "宗洛"으로 바꾼 것으로 되어 있다. 정서본을 보면 원래는 "永泰"로 적었다가 나중에 "啓錄"으로 바꾼 것으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五代祖鏡湖公行狀 公諱長春 字亨仲 號鏡湖 瀛州之李 始於高麗文憲公諱敬祖 自後世襲軒冕 入 本朝 有諱伯膽 以翰林注晝 出按金海茂珍兩府 復入爲司憲府執義 光廟初 授佐理功臣錄券 不受 退老以遂自靖之志 司直諱錫祉 郡守 諱長孫 進士 諱壹 參奉 諱雲齡 是執義後四世 而參奉 於公爲五世祖也 高祖諱承宗 僉中樞 曾祖諱培 祖諱鮮白 俱有隱德 考諱克守 號小心齋 師事尤菴宋先生 律已崇禮 言動有法 妣全州崔克季之女 參奉廣淵玄孫 以肅廟辛酉九月十六日舉公 自幼天資沈重 不好戲謔 謹守庭訓 未嘗少違 材器明敏 早事舉業 文藝日進 竟因俗尚 從事場屋 十六得捷鄉解 終見屈於有司 自後全廢擧業 歛跡林樊 潛心經傳 父傳子受 以爲一生受用之計 若將終身焉 戊戌己亥 連丁内外艱 哀慽踰禮 守制謹嚴 處事方直 接人和敬 兄弟湛樂之情 宗族敦睦之風 人無間言 而多有感化者 處心白直 持身清淨 案無雜書 座無外客 惟以繼家學敎後進爲己任 逐日早起 正衣冠 對方策 聖賢格言至論 揭諸左右 以爲警省之資 尤好尙書 反復推論 裦成卷秩3) 藏于家 德望振于鄉坊 差爲本道都講長 及其講論經義 支分篩解 莫不明白 多士咸仰慕之請 益盈庭 因其材而篤之成就者 多 英祖庚辰五月十八日卒 享年八十 葬于乾先面木上後壬坐 從先兆也 配咸豊李永紀女 甲子生 丙子卒 墓合窆 有四男二女 旵巙嵣男也 羅州羅道貫 光山金某 壻也 孫男鎭琰 鎭默 鎭衡 壻柳百和 李載遠 白師珪 長房出壻李台圭 次房出鎭燁 壻宋光魯 金諭 金巇 朴瀅寛 宋昕 三房出 壻成胤粲 金基休 四房出而取姪鎭衡爲嗣 曾玄以下 總若干人 噫 國朝取士以科 士者營營逐逐於榮利塲中 而公能早見大義 志儒術而上以繼先業 下以啓後進 盖其天稟之粹美 可以類推 而庭訓之有所受 亦不可誣也 정서본에는 이렇게 나오는데, "裦"는 "寫"의 오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夜歎辭 恭惟堯舜 天大亭午 蕩蕩巍巍 德施斯普 大哉仲尼 祖述其道 噫今之人 胡不稽考 惟遵新式 不由舊章 弛廢九法 頹斁三網 欺父敗家 豈非賊子 邦畿千里 民失所止 當此變亂 言念涕滋 邪詖盈世 君子道東 今此何時 吁嗟昏夜 明剛困惱 宵 小肆詫 夜何其長 夢寐支離 關雞不嗚 蜀鵑㤪誰 久不見日 何處長安 世方五季 人則三韓 顧余賤齒 晉公之吁 雖欲秉燭 世遠程朱 何其凄凄 風雨不輟 百爾思之 無他妙訣 惟天道常 運往有復 少停幾刻 太陽必出 不寐而待 喚惺昏睡 存此一心 事天不貳 父子夫婦 君臣倫正 體認斯理 善養厥性 施諸四海 吾道明休 儻或及見 夕死何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琴谷遺稿後 余自八九歲 受學子三從权山塢公 公每言其大人上舍公事親之節 而歎曰 眞出天之孝子 孝子之後 理必昌大而不然 是豈天理哉 此歎其後孫無有穀似者也 余生也晚 雖不獲承其顔 惟其風韻之未泯者則 於先父兄 猶洋洋盈耳耳5) 每恨不得見其遺蹟 後孫鍾坤 誠心所至 偶得詩文二冊於塵箱 來示余曰 此未知何代遺稿 雙手繙閱則 乃上舍公手筆也 於是奉讀再三 其淳雅 近古殊異乎俗詩取妍惑人者之伍也 昔日 山塢公 每恨後無穀似者 今鍾坤能紹述其緖餘 綴拾其遺迹於斷爛之餘 以爲不朽之文 其志不小 無乃上舍公德義所蘊之厚報歟 정서본에는 "猶洋洋盈耳耳"로 나오나 이는 "猶洋洋盈耳而"의 오기로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警銘 卷之九1)銘自警銘聖賢敎人千言萬語 載經載傳 旨義明著 學而習之 一貫至道 孔子所悅 顔淵所好 惟其大綱 明善誠身 從事於斯 立己立人 爾何不講 灾己壞名 刻苦工夫 可期高明 不務精毅 未免麁淺 氣拘慾蔽 爲人所賤 六十四歲 雖曰老昏 覺悟做去 可入聖門 若復因循 雖悔何企 新凉警汝 誓天爲矣 원래는 "卷之五"로 나와 있으나 순서에 따라 이렇게 고쳤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伯六代祖處士公行狀 公姓李 諱克寛 字德裕 貫古阜 高麗有諱敬祖 官至僉議政丞 謚文憲公 封礪山君 是爲臭祖 十四傳 有諱文守 歴左右衛保勝郎將平壤庶尹2) 三傳 有諱伯膽 永樂甲午中生員 己亥文科 歷翰林副正府使司憲府執義 令名著於世 有諱錫祂 司直 有諱長孫 瑞山郡守 有諱臺 進士授宣務郞 有諱雲齡 才儁行篤 授禮賓寺參奉 頣齋黃公撰墓表 是於公爲高祖也 曾祖諱承宗 僉知 祖諱培 考諱鮮白 俱有隱德不仕 妣全州崔氏訓鍊院奉事巘之女 舉公于扶安縣乾先坊木中里第 公自齠齔 資質異凡 器字寬厚 平生無疾言遽色 日間侍奉 極其愉惋 凡所以順適志體者 無不備至 有二弟 甚愛之 日夕相對 以爲湛樂敎之義 方成就其器 睦宗族 婣親戚 雖踈遠宗族 咸得其歡心 待朋友盡己之情 見貧乏傾囷而恤 性好儉素 不喜華靡 鄕黨咸稱其德行 葬于本縣蟹寺洞負艮之原 從先兆也 配長澤高氏士人屹之女 墓同岡而祔上 有二男一女 長曰遇春 有古人風 次曰之春 誨子姪以孝悌 誘宗族以雍睦 憂宗家貧乏而獻祭田 悶親戚飢餓而通假借 女適東萊鄭台先 遇春生四男一女 曰崙 曰嶙 曰嶷 曰集 男也 咸豊李白再 女壻也 之春生二男二女 長曰峽僉知 事親克孝 親有宿患 侍湯十年 祭天祝廟 願以身代 知舊相對 必露肝膽 以孝聞 上特命旌閭 艮齋田先生撰旌閭記 次曰巏 亦有文名 女適南陽房挺玄 鄭有三男 始英 始雄 始弼 男也 柳聖翼 女也 内外曾玄 縏不能盡記 嗚呼 距公之世 殆二百有餘年矣 文獻羅于回祿 生卒不詳 實蹟亦難盡記 然其之德之行 鄉黨尙今傳誦 而且頤齋黃公 撰公之高祖墓文曰 玄孫某 淳素寬容 六行咸備 此可謂不朽矣 噫 今日 何日 公之墓 不可闕表碣 而文亦不可不具 故宗議齊發 俾余記實 玆構行治之畧 以求文於當時立言君子云爾 정서본에는 "左右衛保勝郎將平壤庶尹歴"으로 나오나 이는 "歴左右衛保勝郎將平壤庶尹"의 오기로 판단되어 바로 잡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윤 사군(尹使君)137)【종지(宗之)】가 부쳐온 시에 차운하다 酬尹使君【宗之】寄詩韻 언덕가의 서리 맞은 대나무 골짜기에 자란 난초집 두른 푸른 소나무 세한(歲寒)에 늙었구나138)세 달 동안 문 닫고 지내느라 찾아오는 이139) 없었는데소부(召父)140)가 보내준 평안하다는 소식 기쁜 마음으로 듣네 岸邊霜竹谷中蘭繞屋靑松老歲寒三月閉門無剝啄喜聞召父報平安 윤 사군(尹使君) 윤종지(尹宗之, 1597~?)를 가리킨다.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임종(林宗), 호는 백봉(白篷), 자호(自號)는 송월정(松月亭)·소수주인(小睡主人)이다. 1618년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대과(大科)에는 급제하지 못하였다. 호란 때 난리를 만나 영남으로 피신, 유리(流離)생활을 하다가 효종 즉위년에 다시 음직(蔭職)에 발탁되어 남평 현감(南平縣監), 곡산 군수(谷山郡守), 대구 부사(大邱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푸른……늙었구나 소나무는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논어》 〈자한(子罕)〉에, "날씨가 추운 뒤에야 송백이 뒤늦게 시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찾아오는 이 원문은 '박탁(剝啄)'이다. 손님이 찾아와 문을 두드리는 소리다. 당나라의 한유(韓愈)의 〈박탁행(剝啄行)〉에, "쾅쾅 대문을 두드리니, 손님이 문에 이르렀네.[剝剝啄啄 有客至門]"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소부(召父) 윤종지(尹宗之)를 소부에 비긴 것이다. 소부는 한(漢)나라 때 사람 소신신(召信臣)을 말하는데, 남양 태수(南陽太守)로 있을 때 선정을 베풀어서 백성으로부터 '소부(召父)'라 불렸다. 《漢書 召信臣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김생(金生)에게 부쳐 국화를 부탁하다 寄金生倩菊 가을 이미 저물어 날씨 쌀쌀하니들밖엔 들리는 소리 없고 은자의 향기뿐이네동쪽 울타리에서 풍로(風露) 젖은 잎 따다160)부쳐주어 병든 시상(柴桑)161) 위로해 주기를 三秋已暮氣凄凉野外無聞隱者香採得東籬風露葉寄來須慰病柴桑 동쪽……따다 국화를 따는 것을 말한다. 도연명(陶淵明)의 시 〈음주(飮酒)〉에, "동쪽 울타리 아래에서 국화를 따다가, 유연히 남쪽 산을 바라보누나.[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 하였다. 《陶淵明集 卷3 飮酒》 시상(柴桑) 도연명(陶淵明)을 가리킨다. 시상은 도연명이 만년에 돌아가서 은거한 고향의 이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용호 주인(龍湖主人)에게 부치다 寄龍湖主人 호숫가의 원정(園亭) 절기는 늦봄이니계곡의 꽃과 숲 속의 새 은거하는 이 부르네멀리서 알겠네 홀로 술 따라 은근히 취한 뒤에한가히 거문고와 술잔에 의지하는 흥 적지 않음을 湖上園亭節晩春磵花林鳥管幽人遙知獨酌微醺後閒倚琴樽興不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광곡주인(廣谷主人)214)이 동자 두세 명으로 하여금 배를 저어 나를 맞이하게 하니, 내가 배 안에서 입으로 시 한 수를 읊다 廣谷主人令童子數三。棹艇邀余。余於舟中。口占一律。 흰 적삼 푸른 지팡이에 세종관 쓰고조각배 노 저으며 금강 여울을 내려오네여울가 작은 정자의 옥 같은 사람나를 맞이하여 서로 짝하고서 물가 난초 캐려 하네 白衫靑杖細騣冠一棹扁舟下錦灘灘上小亭人似玉爲邀相伴採汀蘭 광곡주인(廣谷主人) 김만영의 종제 김해영(金海英)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금강(金剛) 시에 차운하다 次金剛韻 신선의 산 높이가 사만 팔천 장(丈)이니우뚝 솟은 은색 빛깔 모습과 형세가 같네어느 날에나 가장 높은 봉우리 위에 서서손으로 밝은 아침 해 떠받치고 붉은 구름에 기대볼까 仙山四萬八千丈立立銀光面勢同何日最高巓上立手扶明旭倚雲紅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