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親盡祖墓 歲一祭 祝文式【尤菴所著】 維年號幾年 歲次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幾代孫 某官某 敢昭告于 幾代祖考【或先祖考 或始祖考 或幾代祖妣 或先祖妣 或始祖妣】 某官府君【或某封 某氏 ❍合窆位 則列書】之墓 歲薦一祭 禮有中制 雨露旣濡【❍秋則云 履玆霜露】 彌增感慕 謹以淸酌 時羞祗薦歲事尙饗遂祭后土 布席陳餻【❍更設肉魚餠麵菜果 各一大盤 ❍遂祭后土於先祖墓左北 ❍祭土神條 但不設燭及爐盒 而只酹酒於地 ❍同春曰 家禮 無焚香一節 后土及地神 故只求之於陰 而不求之於陽也】降神 ❍ 参神 ❍ 初獻 ❍ 亞獻 ❍ 終獻 ❍ 辭神 ❍ 乃徹11)而退 정서본에는 "徹"로 되어 있으나 이는 "撤"의 誤字로 판단되어 바로 잡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吏曺爲差定事嘉慶十六年九月初八日同副承旨臣安廷善次知口傳權知承文院副正字未差本龍祜戈只進叱使內良如爲口傳施行爲有置有等以合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帖下文科新及第從仕郎朴龍祜准此嘉慶十六年九月 日差定判書 叅判 叅判[署押] 正郎 佐郞(背面)吏吏 李基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정사년(丁巳年) 박정환(朴政煥)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丁巳八月 朴政煥 南原府 丁巳八月 朴政煥 전북 남원시 [着名] 1개 7.0*7.0 (정방형) 적색 1개15.3*4.2(장방형) 흑색 1개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남원 금지 밀양박씨가 정사년(丁巳年)에 남원부(南原府) 기지방(機池坊)에 사는 박정환(朴政煥)이 작성하여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정사년(丁巳年)에 남원부(南原府) 기지방(機池坊)에 사는 박정환(朴政煥)이 작성하여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이다. 이 문서에는 호(戶)의 주소와 박정환, 박정환의 4조(四祖), 처(妻), 처의 4조, 노비(奴婢)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기지삼리(機池三里) 제24통 4호에 사는 유학(幼學) 박정환은 올해 59세로 경신년(庚申年)생이며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정환은 개명(改名)을 했으며 이전의 이름은 박인환(朴麟煥)이었다. 박정환의 4조를 살펴보면 부친(父親)은 학생(學生) 박동승(朴東乘), 조부(祖父)는 학생 박상원(朴相源), 증조부(曾祖父)는 학생 박춘성(朴春城), 외조부(外祖父)는 학생 김오필(金五弼)이다. 외조부의 본관(本貫)은 분성(盆城)이다. 박정환의 처(妻)는 청풍김씨(淸風金氏)이며 나이는 59세로 경신년(庚申年)생이다. 처의 4조를 살펴보면 처부(妻父)는 학생 김수택(金守澤), 조부는 학생 김광노(金光魯), 증조부는 학생 김성해(金聖海), 외조부는 학생 이국주(李國柱)이다. 외조부의 본관(本貫)은 전주(全州)이다. 계집 종 1구(口)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름은 말단(唜丹)이고, 무자년(戊子年)생이다. 노비를 기재한 행 마지막에는 '乙卯 相準印'이라고 적혀있어 이 문서는 3년 전인 을묘년(乙卯年)에 작성된 호구 문서와 대조하여 발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丙寅八月三日 族孫鍾坤與家兒時澤入濟州之島 【二首】 八月高風向濟州 漲天碧海汽船浮何事遠行千里外 一心只在譜乘修派分府使下潭陽 忠孝文章世德昌亂離南入濟州島 百行源深二樂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除夕 是夜已深又滿催 星光燈影下徘徊老妻浩嘆餘年少 稚子浪欣名日回到曉猶餘經夜燭 待朝聊奠迓新盃偶然百感渾身集 坐了殘宵酒裏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繼志堂韻 擇處里仁肯構堂 小心繼志家聲長接人以禮兼和氣 敎子由經是義方秋熱可觀平野勢 月明若對全川光此閒時有良朋會 一詠話情又一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留靈光壯山從甥金鵬基家 飄然巾屐任西東 到此相求志氣同昨雨暫晴今又雨 午風已過夜來風偏憐鬢髪星星白 固守腔心箭箭紅爲客一旬春半去 故園花鳥幾多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心性 惟天無外大 人性稟其全喚做吾心體 靜中理自然苟能存且養 庶可不違天克盡修治力 奚拘氣質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警 堂前滿盎水 淸靜風不飄近見靑天遠 照看白日昭煩腸聊可滌 熱手亦將澆一物休敎着 着時恐動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種菊 靑靑葉似艾 弱幹不勝枝九月花開日 千山木落時屈生餐澤畔 陶子採東籬只恨無君子 未能冶貌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礱巖金公遺稿 奉見礱巖集 胸中便灑然志貞宜介石 性孝是根天契託諸君子 學求古聖賢遺編今始刻 從此壽其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忍飢渴勗兒曹 爾亦人中饑渴者 易爲飮食是常情到此猶甘非正味 恐成心害誤平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戒飮食勗兒曹 油然雲作上天行 施雨四海萬物生取舍熊魚良有以 所存義理自分明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