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임술) 六日 壬戌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병인) 十二日 丙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정묘) 十三日 丁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17년 강여홍(姜汝洪)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陸年 契約主 姜汝洪 大正陸年 姜汝洪 전북 남원시 [印] 1.0*1.0 3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7년 음력 4월 24일에 강여홍(姜汝洪)이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1917년 음력 4월 24일에 강여홍(姜汝洪)이 작성한 계약서(契約書)이다. 1원 60전을 빌리고, 이 돈은 가을 추수 후에 갚는다는 내용이다. 그리고 월 4리의 이자를 부담한다는 점도 포함되었다. 그런데 강여홍이 실제로 돈을 빌린 것은 아니었다. 양식을 얻으면서 그 양식의 돈으로 환산한 것이 1원 60전이었던 것이다. 당시 강여홍의 생활이 매우 궁핍한 처지에 놓여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7년 이래(李來) 영증(領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六年丁巳陰十一月十五日 李來 大正六年丁巳陰十一月十五日 李來 전북 남원시 [印] 4개 1.0*1.0 6개(적색, 원형), 1.2*0.8 2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7년 음력 11월 15일에 이래(李來)가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도룡리(道龍里)에 있는 논을 팔고 돈을 받은 뒤에 작성한 영수증(領收證). 1917년 음력 11월 15일에 이래(李來)가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寶節面) 도룡리(道龍里)에 있는 논을 방매한 후 돈을 받고 작성한 영수증(領收證)이다. 이래는 남원군 보절면 도룡리에 있는 신자(晨字) 36번 논 5두지(斗只)를 32원(圓)에 팔았다. 문서 말미에 또 다른 영수증이 첨부되어 있는데, 위와 같은 논, 즉 남원군 보절면 도룡리 신자 36번 5두지 매매가격으로 일금 20원을 잘 받았다는 내용이다. 원래 첫 번째 매매값은 32원이었는데 또 다른 영증에는 20원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매입자와 방매자가 첫 번째와 두 번째가 모두 같은데 금액만 다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첫 번째는 거래일자가 그 해 11월 15일이며, 두 번째는 그 해 11월 6일이다. 당시 영증답주 이래와 증참대표주(証叅代俵主)로 정창두(丁昌斗)가 참여하여 함께 날인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9년 강기동(康基東) 방매(放賣)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大韓隆熙二年 家垈主 幼學 康基東 大韓隆熙二年 康基東 전북 남원시 [手決] 2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09년 3월 10일 강기동(康基東)이 작성한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1909년 3월 10일 강기동(康基東)이 작성한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이다. 남원군 보현면(宝玄面) 황죽촌(黃竹村) 수자(樹字)에 있는 3칸(間)짜리 단독 가사(家舍)를 10량을 받고 매도한다는 내용이다. 이 집은 강기동이 몇 년 동안 살던 곳이었는데, 강기동이 왜 이 집을 팔게 되었는지 그 이유는 알 수 없다. 한편 강기동은 스스로의 신분을 유학(幼學)이라고 칭하고 있다. 유학이란 일반적으로 관직(官職)이나 품계(品階)를 지니지 못한 양반을 지칭하는데, 조선시대에는 양반이 어떤 물품의 거래에 직접 이름을 적는 예가 흔치 않았다. 하지만 이런 관행은 일제 강점기 시기를 즈음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7년 양칠한(梁七漢) 영증(領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六年 梁七漢 大正六年 梁七漢 전북 남원시 [印] 3개 1.0*1.0 3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7년 윤2월 14일에 양칠한(梁七漢)이 작성한 영수증 1917년 윤2월 14일에 양칠한(梁七漢)이 작성한 영증(領證)이다. 하지만 누구에게 써 준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내용은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宝節面) 신파리(新波里) 심곡평(深谷坪)에 있는 답(畓) 3두지(斗只)를 매도하는 데 있어, 우선 선금(先金)으로 15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선금은 일반적으로 전체 매도 금액의 10%를 받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체 거래 금액은 150원이라는 점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한량(閑良) 강준석(姜俊石)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경제-회계/금융-수기 光緖十一年乙酉四月六日 姜俊石 光緖十一年乙酉四月六日 姜俊石 전북 남원시 [左章] 1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885년(고종 22) 4월 6일에 한량(閑良) 강준석(姜俊石)이 돈을 빌리면서 작성한 수기(手記) 1885년(고종 22) 4월 6일에 한량(閑良) 강준석(姜俊石)이 돈을 빌리면서 작성한 수기(手記)이다. 강준석의 형은 흉년이 들어서 생활이 몹시 어려운 형편이었는데, 조카가 염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었으나 구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자 형의 딸이 우댁(右宅)에 자매(自賣)를 하겠다고 나서서 문서를 작성하려고 하였다. 우댁에서는 이를 애처롭게 여기면서 압량위천(壓良爲賤)은 애초부터 생각했던 바가 아니라면서 그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고 40냥을 빌려주면서 나중에 본전과 이자를 갚으라고 하였다. 조카딸은 빚을 갚기 전에 우선 병을 치료하는데 전념하겠다고 하였으며, 형제는 우댁의 호의에 감사하였다. 그리고 만일 빚을 갚지 못하고 미루게 된다면 조카딸을 자매(自賣)하겠다고 약속하면서 이 수기를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8년 이철수(李喆壽)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 졸업증서(卒業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교육/문화-근대교육-졸업장 昭和三年三月卄三日 寶節公立普通學校長 金東和 李喆儔 昭和三年三月卄三日 寶節公立普通學校長 金東和 李喆儔 전북 남원시 3.6*3.6 1개(적색, 정방형), 1.8*1.8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8년 3월에 남원(南原)의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에서 이철수(李喆壽)에게 발급한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 졸업증서(卒業證書). 1928년 3월 23일에 남원(南原)의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에서 이철수(李喆壽)에게 발급한 졸업증서(卒業證書)이다. 보통학교 수업연한 4개년 전교과를 졸업하였음을 증명하는 졸업증서이다. 학교장 김동화(金東和)의 이름으로 발급되었다. 그러나 이 졸업증서는 오늘날과 같은 의미의 초등학교 졸업장이 아니라, 보통학교 6년 과정 중에서 4학년까지 과정을 마쳤음을 뜻하는 수료증서이다. 이철수가 1933년에 같은 남원 지역의 사매공립보통학교에서 6학년 때 받은 통신부(通信簿)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보절공립보통학교에서 4학년 과정을 마치고 사매공립보통학교로 전학(轉學)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병술) 二十九日 丙戌 -유조엄무(柔兆閹茂)-. 맑음. 종친 진성(鎭成)이 "상제(喪祭) 때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은 어째서인가?"라고 물었다는 것을 듣고 답하여 가로되, "율곡(栗谷) 선생께서 말씀하기를 '기일(忌日)에는 소례(蔬禮)를 행한다'고 하셨으니, 가만히 생각건대 사람이 죽음에 혼기(魂氣)는 하늘로 올라가고 정백(精魄)은 땅으로 내려온다. 신체가 없어진 것 같아 차마 그 비슷한 것을 먹지 않는다. 자로(子路)가 죽자 위(衛)나라 사람들이 그를 젓갈로 만들었다. 공자가 그것을 듣고 젓갈을 엎어버리라고 명한 것은118) 차마 그 비슷한 것을 먹지 못하셔서이다."라고 하였다. 【柔兆閹茂】。陽。聞。 宗鎭成問。 "喪祭不食肉何也?"。 答曰。 "栗谷先生曰。 '忌日行蔬禮也。' 切想。 人之死也。 魂氣上天。 精魄下地。 身體似罔。 不忍食其似也。子路死。 衛人醢之。孔子聞之。 命覆醢。 不忍食其似也。 공자가 …… 명했다 《예기》 〈단궁 상(檀弓上)〉에, 공자가 자로의 죽음에 대해 곡을 한 뒤에 "어떤 사람이 와서 조문하는 이가 있어 공자는 그에게 절하였다. 곡을 마치고 사자에게 나아가 자로가 죽은 까닭을 물으니, 사자는, '젓 담가졌습니다.'라고 했다. 공자가 마침내 주방에 있던 젓갈을 엎어 버리라고 했다.[有人弔者而夫子拜之. 旣哭, 進使者而問故, 使者曰醢之矣. 遂命覆醢.]"라고 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신미) 十日 辛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席洞聚星齋 來叩聚星門。滿山立立松。源源先世誼。其奈白頭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按。龍溪遺稿中。傷時一律。尤爲氣豪意健。扶植綱紀底意。溢於言外。擊節朗誦。不覺興作。仍步其韻 嗟哉聞者立。烈烈尙餘風。寒後挺松翠。昏中秉燭紅。乃知扶正脉。可擬抑洪。功潔龍溪水。十分畵出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野居閒話 近得田園趣。柴扉盡日關。古石曾論志。微雲更悅顔。有術觀於水。爲仁得者山。前期藏不盡。愼勿看花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侍讀 月前賜枉。一宵娓娓。亦不易得底事。其感也。若未曾有。但贈別之悵沈。隱侯先獲此心。迨庸耿耿。胤友委顧。敬探玆辰。靖體康福。諸儀純迪。仰慰慥慥。克庸叶禱。弟宿疾賤狀。益不掩醜。無足更評。而惟兄及弟矣。晨夕鼎坐。把作家計。此可謂一樂歟。第吾兄尊號。號以卵齋。十分稱停。而有其號合有文矣。世間能手。必多其人。而惟吾兩地。無鹽之醜。自不讓西施之美。故露拙仰呈。淸鑑後卽爲毁除。更求其人而文之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신미) 十三日 辛未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기미) 初一日 己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신축) 十五日 辛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병진) 二十九日 丙辰 맑음. 오늘은 입춘(立春)이다.199) 陽。是日立(春)。 일기원문에는 '是日立'만 기록되어 있는데, 음력 29일은 양력 1913년 2월 4일로 입춘이었다. 따라서 원문에 '春'이 빠진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경자) 十八日 庚子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