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계미) 初三日 癸未 흐림. 장동(獐洞)으로 돌아왔다. 陰。還獐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기미) 六日 己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경신) 七日 庚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을유) 五日 乙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병술) 六日 丙戌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갑자) 六日 甲子 흐림. 근래에 한가한 날에 하서(河西) 선정(先正)의 ≪유집(遺集)≫을 열람하였는데, 오늘 우연히 하나의 절구를 지었다.〈하서 선정의 유고를 읽고 읊조리다(讀河西先正遺稿吟)〉빛나는 하서 선생의 유고는(昭昭河西編)지극한 이치를 포함하고 있네(包含至理存)현과 미를 곡진하게 하셨고(顯微曲盡意)본과 말을 분명하게 말씀하셨네(本末分明言)만 가지 선은 성을 주로 삼고(萬善誠爲主)하늘은 도의 큰 근원이라네(一天道大原)찬연히 성학을 밝히시고(粲然明聖學)후학의 뿌리를 북돋우셨네(後學以培根) 陰。近以暇日。 閱覽河西先正遺集。 是日也。 偶成一絶。讀河西先正遺稿吟昭昭河西編。包含至理存。顯微曲盡意。本末分明言。萬善誠爲主。一天道大原。粲然明聖學。後學以培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정묘) 九日 丁卯 맑았다가 흐려짐. 배우는 아이들이 익히는 싯구로 시를 지어 홍주(鴻柱)에게 주었다.박괘가 가고 복괘가 올 때라185)(際玆剝往復來時)천지의 마음을 증험하기에 마땅하네(天地之心驗得宜)불쑥 나타난 바가 소리와 냄새도 없는데(闖然所見無聲臭)만화의 발생을 이제부터 기약한다네(萬化發生從此期) 陽而陰。以學兒習句韻。 示鴻柱。際玆剝往復來時。天地之心驗得宜。闖然所見無聲臭。萬化發生從此期。 박괘가 …… 때라 10월 순음인 산지박(山地剝)괘가 지나면 11월 일양이 생겨나니 양이 회복하는 지뢰복(地雷復)괘가 된다. 이때가 동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병오) 二十一日 丙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정미) 二十二日 丁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무신) 二十三日 戊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기유) 二十四日 己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경진) 十七日 庚辰 잠깐 맑다가 다시 흐림. 아들이 점을 쳐서 태괘(兌卦)10) 구이(九二)의 '미더워해서 기뻐함이니 길하고 뉘우침이 없으리라.[孚兌吉悔亡]'를 얻었는데, 상전(象傳)에 이르길, '믿어서 기뻐함의 길함은 뜻이 믿음을 주기 때문이다.[孚兌之吉, 信之志也]'라고 했다. 때문에 '사람은 성신(誠信, 성실)하지 않을 때가 없어야 하나, 금년은 유독 성신해야 한다.'는 말로 경계하였다. 오늘은 조부의 기일인데, 가고(家故)에 구애되어 달려가 참여하지 못하고 한갓 한탄만 할 따름이다. 며느리가 산후통이 있어서 목단탕(牧丹湯) 두 첩을 썼다. 乍陽復陰。家兒得卦兌之九二。 '孚兌吉悔亡'。 象曰。 '孚兌之吉。 信之也。'。 故戒以人無時不誠信。 今年惟篤誠信也。是日卽祖考忌辰。 拘於家故。 末由趨參。 徒切愾然而已。媳婦産後症。 用牧丹湯二貼。 태괘(兌卦) 주역 64괘 중 58번째 괘인 중택태(重澤兌)괘를 말한다. 태는 기쁘다는 뜻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임진) 二十九日 壬辰 흐림. 쌀값이 너무 올랐다. 매 냥 당 겨우 2되 5홉을 주는 것에 그쳐, 어쩔 수 없이 오십 명에게만 주고 파하였다. 계곡(稧穀, 곗쌀)은 문성칠(文成七)과 정대옥(程大玉)이 이름을 불러 분급하니, 지극히 공평하고 시끄러움이 없었으므로 기록한다. 陰。米價太高。 每兩頭纔給二升五合。 不得已罷給五十名。稧穀。 文成七程大玉呼名分給。 至公無擾。 故記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계미) 二十二日 癸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기묘) 二十一日 己卯 맑음. 하서(河西) 선생의 〈문인에게 보이다〉190)의 "천지 중간에 두 사람 계시나니, 중니[공자]가 원기라면 자양[주자]은 진기로세. 잠심하고 딴 길에 미혹되지 말아서, 늙은 이 몸을 위로케 하여다오[天地中間有二人, 仲尼元氣紫陽眞。潛心勿向他岐惑, 慰此摧頹一病身]"라는 구절의 운(韻)을 가지고 차운시를 완성하였다.성(誠)과 경(敬)은 옛 성인에서 나왔으니(誠敬由來古聖人)잘 따르고 잃지 않음이 천진일세(遵而勿失是天眞)도를 분명하게 봄이 이와 같다면(分明見道如斯已)천지의 중간에 확정된 몸이로다(天地中間確定身) 陽。因河西先生〈示門人〉。 "天地中間有二人。 仲尼元氣紫陽眞。潛心勿向他岐惑。 慰此摧頹一病身。" 句韻而成之。誠敬由來古聖人。遵而勿失是天眞。分明見道如斯已。天地中間確定身。 문인에게 보이다[示門人] 이 시는 김인후 문집인 ≪하서전집(河西全集)≫ 권7에 나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갑진) 二十三日 甲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무진) 十七日 戊辰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기사) 十八日 己巳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을축) 十四日 乙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병인) 十五日 丙寅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