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기묘) 二十二日 己卯 반은 흐리고 반은 맑음. 半陰半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경진) 二十三日 庚辰 맑음. 밤에 비. 陽。夜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신사) 二十四日 辛巳 아침에 흐리고 비가 오다가 저녁에 개더니 다시 비.〈송환준의 '행로음(行路吟)'시에 답함(答宋雅行路吟)〉이번에 가는 길은 어디로 향하는지요(伊間行路向何開)주옥같은 글 주신 뒤론 오질 않구려(自錄瓊琚後未來)시흥(詩興)은 몇 번이나 꽃이 만발할 때를 거쳤고(詩興幾經花爛界)금심(琴心)은 마땅히 달 밝은 누대에 올랐을 것이리(琴心宜上月明臺)혹시 기수(沂水)에서 증점(曾點)이 말한 뜻43) 이루었는지(倘成沂水點言志)또는 위성(渭城)에서 원(元)이 들었던 술잔44) 씻는지(且洗渭城元進盃)오래 기다린 마음에 매달린 걸상을 풀어두니45)(久待留情懸榻解)이번에 돌아오시면 얼마나 즐거움 있을까나(有何所樂以今回) 朝陰雨。 夕暉而雨。答宋雅行路吟【煥俊】伊間行路向何開。自錄瓊琚後未來。詩興幾經花爛界。琴心宜上月明臺。倘成沂水點言志。且洗渭城元進盃。久待留情懸榻解。有何所樂以今回。 증점(曾點)이 …… 뜻 공자의 제자 증점(曾點)이 "늦은 봄에 봄옷이 만들어지면 관을 쓴 벗 대여섯 명과 아이들 예닐곱 명을 데리고 기수에 가서 목욕을 하고 기우제 드리는 무우에서 바람을 쏘인 뒤에 노래하며 돌아오겠다.[暮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라고 자신의 뜻을 밝히자, 공자가 감탄하며 허여한 내용이 ≪논어≫ 〈선진(先進)〉에 나온다. 위성(渭城)에서 …… 술잔 석별의 노래를 뜻한다. 당나라 왕유(王維)의 〈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에 "위성의 아침 비 가벼운 먼지 적시니, 객사에는 푸릇푸릇 버들 빛도 싱그럽네. 그대에게 권하노니 다시 한 잔 드시오. 서쪽으로 양관을 나서면 친구가 없다오.[渭城朝雨浥輕塵, 客舍靑靑柳色新, 勸君更進一杯酒, 西出陽關無故人.]"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매달린 …… 두고 정이 깊다는 의미이다. 후한 때의 예장 태수(豫章太守) 진번(陳蕃)이 빈객(賓客)을 전혀 접대하지 않았으되, 다만 당대의 고사였던 서치(徐穉)가 찾아오면 특별히 걸상 하나를 내려 그를 정중히 접대하고, 그가 떠난 뒤에는 다시 그 걸상을 걸어두곤 했던 데서 온 말이다.(≪후한서≫ 권53 〈서치열전(徐穉列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임오) 二十五日 壬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갑신) 二十七日 甲申 맑음. 돌아왔다. 陽。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갑신) 三十日 甲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菊史還鄕序 我國先賢。尊慕朱子。謂草間蜘蛛。亦當敬之。以其字傍有朱也。蜘蛛猶然。況後孫乎。蓋退溪先生。我東朱子也。凡見先生後孫。人孰無屋烏之愛。而不佞自有別於人。昔我先祖文憲公。於先生之門。道義之契。衣鉢之傳。若聖門之顏曾。則爲我兩家後承者。心志之相照。怳若燭照數計。而但恨嶺湖相間。或得其一面亦幸耳。今夫先生後孫。相鎬基八。訪我於牛山敝廬。數月相守。慇懃之誼。鄭重之交。詩所謂如切如磋。如琢如磨。正道得實際也。離合有數。白駒未繫。江文通之賦。自不禁別離之情。吾以一轉語相慰。曰男兒生世。當以志業相期。苟能各自弩力。不虛負此生。則雖千百世之相後先者。猶如朝暮遇。況少別何足道哉。吾子之不虛負此生。於其菊史自號。可槩矣。嚴霜寒天。百草萎黃。而獨能保其傲霜之志者。是乃所以爲菊也。方今蹄跡交中。蒲目蕭瑟。不啻如嚴霜之天。願言益勵其志。能自爲眞黃花眞淵明。則優優爲先生肖孫也。而如吾樗櫟杇材。亦當挹其香。而相應於孚陰和鶴。千里可以爲密隣。然則今日之別。不必謂別也。請以是爲惜別之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何人記 何之爲義。有擔負而勇往底意。顔淵曰舜何予何是也。有不知而問人底意。五柳先生傳。曰先生不知何許人者是矣。然則何之一字。顔淵得之。而爲顏淵。陶潛得之而爲陶潛。噫。吾友前寢郞申曼雨甫。早解書劒。出遊四方。眉宇上帶靑霞。腔子裡抱丹忠。庶幾乎遇其時而展布其才矣。起視四境。山河異古。滄桑變今。此是仁人志士之淚。從古而不乾者也。於是乎歸卧故山。潛其名而尙其志。自號曰何人。蓋以顔淵舜何之意。學陶潛何許之何歟。何人之意深且切焉。必有知者知之。余嘗入其室。北窓之下。淸風颯爽。尺堦之上。菊花羅列。依然是潔淨淨地。其外如此。則其室中人可知。自謂曰不知何人。而吾以一言破的曰。何人乎何人乎。惟陶是侶。向所謂淸風也眞黃花也。眞對眞淸風眞黃花。而做得眞陶潛。則其有補於名敎者。曷可少耶。吾於何人。不足爲知己。而妄以蕪辭記之。恐不諧於何人之琴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杏壇記 草木之中。異草嘉木。何限其類。而杏壇之杏。特出於萬古。令人愛敬。以爲模楷者。其非聖人之澤。與天地而不斬者歟。惟願學聖人於杏之外。不失其種子者。故楓菴文先生是也。公早摳衣於退陶先生。親炙熏沐。得見理學之蘊。講磨於寒岡諸賢。切偲推重。究得禮說之詳。嘗侍溪上先生。出示孔明八陣圖。敎以格致之一端。蓋於此。于以見師門寄意之遠也。及夫壬辰之燹。率五子一姪。倡義討賊。嘗湖嶺賴安。自聖祖而喜動天顔。連除縣紱。終不就。退居于冠山之下。訓迪後生。講禮誦詩。竪赤幟於一堂。來靑衿於遠方。而公所居之里曰勒龍里。里之一帿地。有巖臺。臺是天作。而名以思君。寔出於公之丹忠。嘗有詩曰。前川秋月引閑步。步上巖臺望紫微。北闕迢迢消息斷。終南渭水夢依依。誦公之詩。想公之忠。巖巖之臺。與秋色爭高。臺之西有二株杏。一是先乎公之世。而有之。己蒙公之精采。爲講習之壇。而今則只餘古根。一卽公手植也。閱三百餘載。而尙無恙。植根固枝葉茂。公之後承及鄕里章甫。愛而敬之。封而壇之。會於斯講於斯。遺芳餘蔭。大庇多士。第念是杏也。先得其根於陶山立雪之日。培之以仁義。養之以忠信。累經滄華。而不受摧折。上所謂願學聖人於杏之外者。得乎否。噫。今吾道。己陽九。耳目所及。無非稂莠。苟使冠山之諸君子。立志之固如根之深。修身之潔如枝之達。扶得碩果於衆陰之中。壇杏之種。承承於來百。而公之道。庶幾不墜於地矣。壇之地卽月川祠。祠卽公所亭。而祠之遺址。尙設壇以寓存羊之禮。且山水淑靈之氣。盤礡委積於壇之前後云。公之後孫致烈甫。趼足訪我。謂吾有同門先誼。請其記。以文下敢辭。而終不敢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巫夫林元吉妻。崔判徹節行狀後 人而參三才。以其有三綱五常。而賦性之初。不以古今貴賤而有間。惟其氣質之禀。不能一於純秀之會。而形旣生矣則蔽交。情勝而不能失其天性者絶無而僅有。若巫夫林元吉妻崔判徹。儘乎廑有中一人。盖判徹。幼而伶俐。孝于父母。及歸于元吉。恭執婦道。及元吉身嬰無名苦疾。殫誠醫藥。連斫三指注血。晝以擧扶。夜以露禱。請以身代。靡不用極。二十年如一日。夢得藥泉。藥泉之傚。終使夫病。雲消霧除。快作平人。盖夢是不容僞處。而以誠而夢。夢而泉。泉而醫。醫其難醫之疾。此莫非誠意中得來。尤非人之所能及也。近自鄕里而膾炙人口。至有長昌光三郡校通之閳掦。則其實行之感人心者。果如是歟。長城士人邊東日林炳顥狀中。曰如此節行。宜置諸雪裏孤山。湖上扁舟。申甥耕植抵書。曰判徹之烈行卓異。已無可言。而元吉之家道。曰孝曰悌。先義後利。吾嘗目擊耳熟。之孝之烈。不可任他埋却。願叔氏。著數行文掦美之。其非陶徵君野乘所著之義耶。奇東準。摠括諸人之言而論曰。嗚呼。今日世塗汙下。綱紀掃地。言念平日貴家大族。視判徹輩。不啻若壤蟲。而及今所就。反不啻人獸之懸。秉彛之天。豈可以貴賤論哉。然則判徹之行。當續書于馮道傳後。使遺親後君之輩知愧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高春岡。金剛行錄後 高承宣春岡令。才藝發越。志氣卓犖。早登靑雲。選於翰院舘閣。近侍玉樓。其爲寵榮。可謂蓬山不遠。及夫萬事傷心。遯跡鄕里。作梅福之隱。一日㐿鋏歌慷慨。遠遊金剛。費数個月而還。盖其一萬二千峰之無限勝景。盡入于錄中。歷歷如畵。覽之興作。如入武陵仙源。顧此病蟄若籠鶴者。颯爽奮迅。便可蘇矣。觀其錄而猶能如此。況目擊實地者耶。令之衿懷。無塵埃心。源無涯岸。不待問而可知。然而目之見。只見金剛之皮毛。心之見。能見金剛之骨子。此則在於自家之嘿會。而不可容易道得也。古人以終南崇華之於山。見對敵於歐陽永叔之於人。賴有歐陽永叔。使終南崇華。不寂寂於千載之下。嗚呼。左海之金剛。不啻若中州之終南崇華。而但山有金剛之見。人無永叔之見。久使金剛獨立而太寂寂。佇待春岡隱几工夫。大繼此而遊金剛者。見山之金剛於金剛。必見人之金剛於春岡。而使前日之獨立寂寂者。不孤有隣然後。乃許實見得金剛眞面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을축) 八日 乙丑 흐림. 다시 문암리에 성묘를 갔다. 순창(淳昌)을 지나다가 금동(金洞)에서 점심을 먹고 남계(南溪)에 이르러 유숙했다. 陰。復作門岩省楸之行。 過淳昌金洞午飯。 到南溪留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갑자) 七日 甲子 흐리고 추움. 옥과(玉果)에 성묘를 갔다가 이감역(李監役)의 사랑(舍廊)에서 유숙하였다. 陰冷。作玉果省楸之行。 留宿李監役舍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계해) 六日 癸亥 흐리고 추움. 陰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임술) 五日 壬戌 흐림. 눈과 바람. 陰。雪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신유) 四日 辛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경신) 三日 庚申 흐림. 아침부터 백설이 어지럽게 내렸다. 陰。自朝至白雪紛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경오) 十三日 庚午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기사) 十二日 己巳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