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을해) 十八日 乙亥 비. 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경신) 三日 庚申 맑음. 채신지우(採薪之憂)가 있어서 학도를 내보내고 정양(靜養)하였다. 밤에 소쩍새[杜宇] 소리를 듣고 생각이 일어 잠들지 못했다. 陽。有採薪之憂。 放學徒靜養。夜聞杜宇之聲。 懷之不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신유) 四日 辛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임술) 五日 壬戌 흐림. 밤에 비. 陰。夜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계해) 六日 癸亥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갑자) 七日 甲子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병인) 九日 丙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정묘) 十日 丁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기사) 十二日 己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경오) 十三日 庚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신미) 十四日 辛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갑술) 十七日 甲戌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高致仲 昔者一幅書。忽墜於病枕。問我病慰我情。慇懃之誼。洋溢於言辭之表。幾乎使踏閻羅者。回頭于世間。是乃吾兄愛人以德之好家計。而此漢之有今日再生者。雖謂兄之賜。可矣其所感。篆難以寸舌盡底。但修謝是緩。掩不得偃蹇貌樣。托以一病字。自處乎知罪之間。而兄其包荒而厚宥之否。又有一辭。昻懇兄能費一日程。賁然賜枉。則草木之精釆猶屬。第二使此隔歲病蟄者。一倍生氣。賢人之一動。不啻爲壽民丹矣。更祝湛體葆重。仁庇勻禧。弟功服人。去月哭仲姊喪。痛摧罙極。而若言賤狀。則與馬卿同歸。有何嘉況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林錦愚【相熙】 十里程途。不拜吾兄。今幾年矣。是乃七尺賤軀。活理塵裡。墜了遠道之窠。匪圖好風吹到。大函墜案。珍重也慇懃也。奚啻尺蔡爲寶。伏維比令。昔者所愼。與春暄幷蘇。仰祝區區。繼之以仰慰。弟黑窣窣本色。已浼於第一行。自笑龍鍾。而惟眷免大何耳。盖向者。見新年新月。不禁戚戚鬱紆。策短笻向去滿山深處。曰瑞石蕭寺也。雖然徒然去徒然來。不免遭北山移文。還庸騂顔。而恨不陪先生杖屨。學晦翁之朗唫飛下祝融峯耳。第示意謹悉。而顧此拙手。不能於廣且厚矣。然而兄之言。寔出於肝膽相照。不敢曰外之。亦不敢曰恝然乎矣。其於當捧之筭上。特減一石。未知於兄意。得無笑。此拙䂓。則我當曰知我惟兄。罪我惟兄云耳。臨貺之示。預掃榻塵。蹲坐恭侯。餘泓穎不解人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炳大 閉戶呵凍。便作寒呼蟲。非意德音。奚啻鄒律生春。曩所爲蟲。不待見陽而欣躍。況柏實三朶。惠以情貺。物微意長。豈非賢者胸中。見得歲寒之志。推及陋巷。同作後淍之林歟。徒玆以往。樗散不才。謀餘生於松柏。勿歸於賤場師。則是皆賢者之賜也。感固極矣。悚且極矣。謹惟窮沍。定省體節萬旺。餘力佔{亻+畢}慥慥。何等仰祝。何等仰慰。所示不贍云云。家貧親老。安得不然。古人傷貧。良有以也。雖然。顔巷之貧。自古有眞樂。內重而外自輕。世下風樹之感。歲暮益切。而門外索吏。式日斯生。始覺苦海無{氵+庠}。如船無柁。自顧自笑。惟迷督病餘。頗能學步於戶庭。甚慰甚慰。黑石近節平安云。幸爲賢閤從妹。詳說之如何。隣比月谷宅與正言宅。俱得平安耳。餘爲頌萊衣。餞迓百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安文哉【圭福】 前書未復。自訟甚慢。而荐承惠椷重重。作案上寶。感倍別時。矧維宬履。矧翔百福。餘力之工。斐然於幅面。使此霧眼。怳然得明矣。自修之道。不可與世俱亡等語。何處見得他精透妙旨耶。爲之僕僕。而繼以敷而演之。以貢愚意可耶。蓋知之非艱。行之惟艱。今日行之。明日行之。無時無處不行。則千里長程。皆吾眼下。伊川先生曰。人事不敎人做。更責誰做。惟高明。益加其工。做得所當做。如何如何。世末。一是前日病圈中人。而諸君之誤爲逐臭者。或有之矣。然而而我木居士。不能助得一臂。只自忸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安文哉 正月中。惠椷何處得來。有時披閱。如見顔範。不覺霧眼自明。更詢邇天。湯患趁復常度。而省餘經履保重耶。馳{氵+庠}之擎。尤倍別時。每得盛札。眷眷於学問之意。溢於幅上。惟我聾瞽。雖不能補其五音之咸英。五色之黼黻。然聲光之及。爲之擊節者。不一而足。但未有餘力一句語。無乃見未透處歟。蓋於吾夫子所謂。則以學文之則字。見得其意。則餘力之餘。日綽綽有餘矣。朱子嘗有訓曰。學者最怕因循。直須料擻精神。如救火。治病不可悠悠歲月。此爲對證良劑。爲君誦之。幸勿爲苦口而卽服之如何。疑窟難開云云。此是貫通消息。蓋天下事。初無不疑而能通之理。以其疑而益窮之。則一朝豁然。亦可握筭俟之矣。別楮之問。忽忽不暇。當俟後貢愚。世拙。雖無新疴之侵。舊疾粘身不袪。苦苦何言。惟兒曺不言病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友洞詩社禊序 江南風月。遇李白而益淸。西蜀花鳥。遇杜子而亟稱。幸風月花鳥。雖無古今之異。詩無其人。則宜乎寥寥於數千載之下矣。光之瑞石。傑然特立。爲湖南之望。其下有孝友一坊。風月之佳。花鳥之勝。不必多讓於江南西蜀。而聞其坊內諸君子。刱立詩禊。每以翰墨遊戱。便成數軸。噫。今風雨長夜。令人聽晨鍾者也。不佞。於詩爲魚魯。雖未知其格之爲唐爲宋。蓋其牢騷慷慨。憂國愛君之忠。扶正斥邪之氣。發越於長篇短律。此可爲同一轍於李杜者非歟。然則雲裡瑞石。更高一層。其爲山水光也。奚但江南西蜀也。立赤幟於詩壇。鼓動後生者。尹氏諸公爲主。而嶠南韻士金相燮。以寒暄先生後孫。自遠相尋。同修禊案。亦一奇事。相燮氏。托不佞以弁卷。敢辭而不敢辭。曰大張旗鼓之傍。有一方外聾瞽東準者。可爲詩中一格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友洞講禊序 一日。寒暄先生後孫金相燮。訪我於牛山之下。講舊誼而話間。有言曰。挽近聖遠敎弛。邪說橫流。非一葦可杭。而吾自嶠南。客寓於光州孝友洞尹氏書室。坊內諸君子。以仁義爲遺業。以經子敎後學。儼立講案。蓋倣朱夫子白鹿洞古規。春秋一會。講所讀之書。究所行之義。勸善懲惡。井井規模。言足聽聞。子盍名其禊而序之耶。余曰嗚呼。讀書種子。幾乎絶矣。而惟此一方。屹立砥柱於狂瀾之中。此足以範俗垂敎。苟名其禊。則千般佳名。不如孝友二字。有子有言。曰孝悌也者。其爲仁之本。蓋本立則末之不治未之有也。且夫村名勝母。曾子回車。水爲盗泉。君子不飮。則地名之關於人亦大矣。願言洞中諸生。顧名而充其實。恒恐使我或不孝不友。而貽累於洞名。則其於遠者大者。思過半矣。吾於尹氏門中。有源源世敎。久知其家範。不外乎孝友。而且聞崔洛汝甫。亦以誠意修禊。輪翼相資云。日後相面。不問可知爲孝友禊中人乎。東準。亦具彝性者。其於是。終不以不文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갑신) 二十六日 甲申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