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갑진) 十七日 甲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기유) 二十二日 己酉 사백을 장례 지냈다. 葬舍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경술) 二十三日 庚戌 집에 돌아와 점심을 먹은 후 장동(獐洞)에 도착했다. 還巢。 午飯後到獐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신해) 二十四日 辛亥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임자) 二十五日 壬子 맑음. 백숙모의 장례에 갔다. 장지는 장동 서당골 서쪽 기슭 유좌(酉坐) 언덕이다. 陽。赴伯叔母葬於獐洞書堂谷西麓酉坐之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계축) 二十六日 癸丑 흐림. 오전에 가는 비가 내렸다. 陰。細雨於午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갑인) 二十七日 甲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을묘) 二十八日 乙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병진) 二十九日 丙辰 흐림. 잠깐 비가 오다 잠깐 갬. 또 잠깐 비가 옴. 乍雨乍晴。又乍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정사) 三十日 丁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초 1일(무오) 初一日 戊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林錦愚 菊秋賁枉。尙聞餘香。而每仰不換亭額。高出世外。獨占潔淨淨地。願言從子者。靡日不三周顧。此尸居餘生。可望不可親。倍切耿耿。伏請線陽漸長。經體震艮。撫辰康福。諸儀亨貞。晴窓棐几。所得日富。眞不換世人之曰公曰卿矣。爲之傾頌。不止一再。弟善病陋狀。己爲十分於向所謂尸居二字。而維眷不言大何耳。第錦愚記。能文健筆。世自有其人。況主人爲子雲。則必待子雲然後可矣。而以吾膚淺。何敢焉何敢焉然而難負珍重其命。畵此葫蘆。仰塵淸鑑。還覺愧愧。望須卽爲滅棄。勿使汙於尊號。如何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潁波亭序【竝銘】 君子之所能者道也。所不能者時也。或出或處。酌其時而不失其義者。必信道篤而不惑然後。可以議到矣。惟我莊陵之末。亦忠臣義士。所遇之不幸也。三相與生死六臣。所立之卓犖光明者。其非時之所以成就者歟。潁波亭李公先生。早負令望。出仕於莊陵無事時。時則家於京都矣。忽然炳幾。遐遯於南州。亭於箕潁之間。名以潁波。沒其身而隱其名。蓋其義則同三相六臣之義。而所處則願從巢許於潁波之上。以掩其跡。是豈先生之所欲哉。酌時處義。甚有不得己▼(已)而然者。以潁波二字反覆推究。則先生之風。當與山高而水長。君子之出處。不失乎規榘。遇其時之不得已。箕子明夷。取諸古潁波洋洋。潔其志。先生遺風百世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忠孝錄序 臣而忠。子而孝。職耳苟修其職。則人皆可爲者。若蒭豢之於口。裘褐之於身。而氣質偏焉。人欲害之。能不失其職者。絶無而僅有。僅有之中。苟有一焉。則足以賁飾邦國。蔚爲風敎。況玉川趙氏四世忠孝。編成一錄。以其若忠若孝。把作一家之靑氊。天之降性。殆若偏厚於趙氏也已。蓋東方道學。圃隱爲之倡。聖朝節義。六臣爲之首。而農隱副正道。圃冶之道。志與之協。竹村龜川義。六臣之義。死與之同。無乃我國一治之運。天將使趙氏四世。兆之於前而然歟。趙氏後孫。方重刋是錄。命余弁文。敢辭而終不敢辭。而起而言曰。是錄也。非趙氏之私。廣布於世間。以勸忠孝。則庶幾乎挽回頹俗矣。竊爲世塗。翹首仰俟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泉石亭記 泉石無古今。主人不常有。夫荒江寂寞之濱。泉之潔石之奇者何限。而不遇其人而主之。則反如寶玉之混於瓦礫。良馬之困於奴隷。及遇主人而泉石爲泉石。古云徐川一曲。曼卿居之然後。惹名滿世間者是已。余嘗聞山陽者。湖南之勝。龜山。尤山陽之勝。疑其有隱君子。木食澗飮於此山此水之間。而願言求之者久矣。日高雅在鳳甫。訪我於牛山之下。盛說龜山之泉石。而繼以言。泉石之間有亭。亭之上有主人。主人卽任泰禎。蓋隱居守道。所講者經子。所求者仁義。此地之靈淑淸和之氣。其曰相符於斯人之襟懷者得矣。願丈丈。惠之以亭記。余辭以筆力萎弱。不敢汚泉石而終不獲辭。因以蕪辭記之。曰向之疑其有木食澗飮之君子者。斯人也是歟。噫。大陸昏墊。蹄跡交中。獨能坐於潔淨淨地。濯斯泉而修行之潔。枕斯石而立志之堅。使數間茅亭。把作天下之廣居。則泉石乎是主人。主人乎是泉石。而足以愧世人之不求本原。而徒爲役役於亭觀之美者矣。余將膏車秣馬。從子于盤。而先以此寄聲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晴簑記 李斯文秉鎬。惟我退陶先生後孫也。人品粹美。文章夙就。早年才藝出而需世。則一日長安花。是分內事。而不此之爲。隱居行義於陶山溪水之間。講先生之道讀先生之書。見人之所不見。味人之所不味。嘗有言曰。簑之爲物。雨則有用。晴則無用。吾之與世相違。與晴簑。若因以爲號。以寓其意。噫。方今天下。甚於洪水猛獸。無人不䧟溺於頹波狂瀾之中。而惟翁一身。獨自晴焉。坐了潔淨淨地。其非向所謂。無用之簑。有用於今日歟。未知是簑也。何處得來。以仁義禮智。爲簑之經。以忠信篤敬。爲簑之緯。一簑之大。大於東海西山。於是乎翁可謂天下士。苟使時人。學翁之簑。則不患其雨而立見其晴矣。其有輔於世敎也。曷可少哉。吾於翁。白首相逢。灑落襟懷。作然有霽月意思。命余以記文。下敢辭而終不敢者。以寓千里相思之資。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瓠亭記 永之山水。名於我東魯。而賢儒碩德。鍾毓於其間。今李斯文運鎬氏。起一小亭於永之瓠谷。加大字於瓠之上。名亭以大瓠。蓋其水石之奇絶。雲林之瀟灑。猶屬第二。翁之卓犖志氣。洞豁胸懷。隱隱若充積於亭矣。五石之瓠。不族爲大。而南華老人。以其大而無用棄之一坊之瓠。非不大於五石之瓠。而翁能以大而有用取之。是知南華之見見其虛。翁之見見其實。嗚呼。翁以陶山夫子肖孫。篤守先訓。見得瓠之種子於顔巷簟瓢。靑年聞道。白首窮經。以小學之灑掃應對爲間架。大學之誠意正心。爲房闥。扶正脈闢異端。不出於欄檻之外。而繼賢祖也。以是開後學也。以是屹然一亭。立立於士君子之口。於是乎亭瓠之大。將不朽於天下後世矣。不佞於昨冬。遊陶山洛江之濱。而適有所碍。不得訪翁於亭之上。自恨賤踪。不能到得眞境。翁乃不棄。千里尺書。託之以記。顧此蹇淺之筆。不敢塵穢好江山。而其或以此。爲後登亭之堦梯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경자) 十三日 庚子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무술) 十一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