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임자) 二十四日 壬子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계축) 二十五日 癸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을유) 二十八日 乙酉 맑음. 계속 머물렀다. 陽。留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병술) 二十九日 丙戌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四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정해) 初一日 丁亥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을해) 十九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병자) 二十日 丙子 약간 맑음. 미암선생 사당을 봉심(奉審)하였다. 陽微。奉審眉巖先生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무자) 二日 戊子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임인) 十七日 壬寅 갬. 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갑술) 十一日 甲戌 흐리고 간혹 가랑비 옴. 지나온 자취를 보며 상서로움을 살폈다.6) 박모(薄暮, 저물녘)부터 평명(平明, 새벽)까지 비가 내렸다. 陰而或微雨。視履考祥。自薄暮至平明而雨。 시리고상(視履考祥) ≪주역≫ 〈이괘(履卦)〉 상구(上九)에 "행동을 살펴보아 길흉을 상고하되, 주선한 것이 완벽하면 크게 길하리라.[視履考祥, 其旋元吉]"라는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임술) 三十日 壬戌 맑음. 아침밥을 먹은 뒤에 화석(火石)86)을 지나다가 정봉현(鄭鳳鉉)을 방문하여 잠시 얼굴을 대했다. 청단리(靑丹里)87)에 이르러서 주영묵과 기약대로 만나 함께 연실촌(蓮實村)88)으로 갔다. 점심을 김석오(金石五) 집에서 먹고 고개를 넘으면서 앵무봉(鸚鵡峯)89)을 완상하고, 침치협(砧峙峽)을 거쳐 학동(學洞)90)의 종인 희천(希天)을 방문했으며, 주영묵의 집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주영묵에게 주부자 영당을 지어 사문의 맥을 부지하라고 권하였다. 陽。朝飯後。 過火石。 訪鄭鳳鉉。 暫面。到靑丹里。 與朱永默。 會期。 同行蓮實村。午飯於金石五家。 踰嶺翫鸚鵡峯。 歷砧峙峽。 而訪學洞宗人希天。 到朱永黙家留宿。勸永黙。 建朱夫子影堂。 以扶斯文之脈。 화석(火石) 옥과 화석면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곡성군 오산면에 해당된다. 청단리(靑丹里) 현재 곡성군 오산면 청단리에 해당된다. 연실촌(蓮實村) 곡성군 오산면 연화리에 있는 마을 이름이다. 앵무봉(鸚鵡峯) 담양군 대덕면 용대리에 있는 꾀꼬리봉을 말한 듯하다. 학동(學洞) 담양군 대덕면 문학리 학동마을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초1일(계사) 初一日 癸巳 맑음. 당촌(堂村)91)을 지나가다가 이문안(李文案)을 방문했다. 앞서 다만 얼굴만 알았는데, 지금 자세히 물어보니, 바로 가정(稼亭) 이곡(李穀)선생의 19세손이고, 목은(牧隱) 이색(李穡) 선생의 18세손이다. 이름은 한직(漢稙)이고, 문안은 그 관직명이니, 바로 군부(軍部)의 초사(初仕)직이다. 반나절을 지체하였다. 陽。過堂村。 訪李文案。先時。 但知面。 今詳問。 乃稼亭先生十九世孫。 牧隱先生十八世孫。名漢稙。 文案其官也。 卽軍部之初仕也。遲滯半日。 당촌(堂村) 담양군 대덕면 금산리 당촌마을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병오) 十八日 丙午 맑음. 삼가 정이암(鄭李菴)182)시에 차운하였다.〈삼가 정이암 시를 차운하다(謹次鄭李菴原韻)〉정이암은 높아 저토록 우뚝하고(鄭李菴高彼截然)이옹(二翁)의 우덕(友德)은 지금까지 전하네(二翁友德至今傳)청풍은 도를 논하던 날 그대로이고(淸風依舊論道日)명월은 의를 강명하던 자리 길게 비추네(明月長輝講義筵)정양(靜養)하는 공부가 진실한 곳에서(靜養工夫眞實地)보인(輔仁)183)의 유택으로 현인이 이어지네(輔仁流澤繼來賢)천륜은 오직 이처럼 독실한 곳에서 펼쳐지니(天倫惟敍固斯篤)명성을 길이 세우는 데 어찌 연한이 있겠는가(永樹風聲豈限年) 陽。謹次鄭李菴韻。謹次鄭李菴原韻鄭李菴高彼截然。二翁友德至今傳。淸風依舊論道日。明月長輝講義筵。靜養工夫眞實地。輔仁流澤繼來賢。天倫惟敍固斯篤 永樹風聲豈限年。 정이암(鄭李菴) 장성읍 유탕리 서골 불대산에 있었다.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과 석탄(石灘) 이기남(李箕南)이 이곳에서 강학하던 것을 인연하여 두 사람의 성을 따서 이름을 정이암이라 하였다. 6.25 전쟁 때 소실되어 최근 마을 가까이 옮겨 신축했다. 보인(輔仁) 상대방을 통해 자신의 인덕(仁德)을 보강하는 것이다. ≪논어≫ 〈안연(顔淵)〉에 "군자는 학문을 통해서 벗을 모으고, 벗을 통해서 자신의 인덕을 보강한다.[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라는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신유) 三日 辛酉 맑음. 오늘 지기(知己) 2~3인과 보룡(普龍)184)에 놀러 갔다가 돌아왔다. 陽。是日也。 與二三知己。 遊普龍以還。 보룡(普龍) 장성군 황룡면(黃龍面) 아곡리(阿谷里)에 있는 보룡산(普龍山)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高素齋文 謹以淸酌魚。哭告于素齋高公之靈。曰惟靈禀氣精淑。才高質美。早歲文藝。名播遠邇。元白餘氣。蘇黃遺舌。和者其寡。陽春高闋。少試場屋。爲親而屈。然非素志。心中無物。勇撤擧業。趲進爲已。白首屹屹。左經右史。衰世人物。孰能其似起視山河。淚洒風泉。却彼醜金。義大志堅。西山薇綠。發爲浩歌。東海水白。寧死靡他。挻然松栢。歲寒獨翠。安素一亭。之綱之紀。霽峰肖孫。儒林高士。而我倥倥。猥托餘輝。先誼源源。臭味相依。鵠忠雖懸。靈犀則照。自顧醉夢。庶期得曉。豈意訃車。不虛而信。難諶者天。胡不遺憗。痛徹于心。驚呼者久。公年七耋。非曰不壽。其在後學。孰能牖之。其在頹俗。孰能扶之。扶之牖之。更無其人。嗟呼在世。溢目腥塵。公應浩然。樂其返眞。修文地下。賢哲爲隣。倀倀余懷。有淚如河。風悽烟收。考槃之阿。痛哭何限。非徒哭私。靈其有知。庶幾格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雲庵趙公墓誌銘 子夏曰。事父母能竭其力。事君能致其身。與朋友交。言而有信。雖曰未學。吾必謂之學矣。子朱子釋之曰。人固有姿禀自好。不待學而自能盡。此數者。蓋叔季以來。其有生質之美者。絶無而僅有。以愚所聞。近故僉知雲庵趙公光圭。其殆庶幾乎。自幼孝友根天。奉二親志體極養。事兩兄湛樂旣翕。家甚貧窶。饔飱不繼。一日語其伯兄。曰耕讀是一理。而學文。是兄之職。稼穡是弟之職。硬着精力。終使其伯兄三願堂。學識之富贍。筆法之精詣。膾炙人口而人皆稱。某也之若文若筆。寔由於乃弟之誠力。于以見公言之不誣。及遭前後喪。情文備摯。三年之內。日日往省墳墓。不以風雨寒暑而有闕。往必號擗。淚若泣血。每當喪餘。滌器之節。烹餁之具。無不身親莅之。盡其誠孝。自中歲以後。家勢稍饒。而以先義後利。爲本領。及其晩境偏愛山水。荷衣蕙帶。瀟灑於林下。依然若神仙中人。海男之落星山。是名勝。而其下有雲臺庵古基。嘗買以爲別業。偃仰其間。因自號以雲庵。平生好施與賙恤。自族黨至於鄕里。一辭推以爲厚德君子。臨沒。命其諸子出其所捧債券燒之。曰夫事有不可忘。或有不可不忘。人有德於我。不可忘。我有德於人。不可不忘。況財利之下。必伏危機。豈可遺子孫以危機耶。嗚呼。德爲本財爲末。而凡今之人。舍本趍末。遺子孫以禍機者。滔滔皆是。而公獨超然。見人之所不見。吾欲表出。以勵頹俗。公漢陽人。字英局。生於正廟己亥。卒於乙卯。壽七十七。葬在落星山艮坐。卽蒐裘而牛眠也。趙氏源流甚長。而公於靜庵先生爲姓孫也。有諱春生官承旨。以直道賦鵬珍島。蒙恩賜環。仍居于康津。是於公爲六世祖也。其後兩世諱曰海奉。曰仁九。曾祖諱漢寶。祖諱廷老。考諱尙浩。妣□□□氏。夫人密陽朴氏墓□坐。後夫人全州李氏墓□坐。二男鍾祿鍾甲。後夫人所生。婿姜日翊。側室男鍾采。婿李元輔金有善。孫有發長房男。兌元靈元翼元。二女適朴宗燮。任正模。二房男。旻元一女適金碩順。側室孫男復元兌元。聿修祖德。撮公之事行。紹介于金斯文準煥氏。請東準銘其隧。辭不獲。惟孝友于本乎。行仁勤學推兄。躬耕養親。賙窮恤貧。先義後利。未學謂學。咸誦君子燒卷薛陵。善哉。有是世皆遺危。公獨遺安。非今而古。處之閑閑。靜翁遺澤。旁枝亦達。是庸爲銘。有所敬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同樞奇公墓誌銘 公諱瑞益字士徵奇氏幸州人。入我朝。有諱逞官監司。是生諱以亨晉士。曰世民曰獻晉士。曰應龍贈掌樂院正。曰說工曺參議。曰讚宗武科丙子。扈駕南漢。於公考也。妣贈貞夫人水原崔氏主簿嶻女。以仁祖辛酉六月初六日生公。公生有異質。其在髫齡。聰穎絶凡兒。孝友也不失其天性。學曾子之養志。擬楊津之長枕。家雖冷淡。而自族黨至於鄕里。其於所識窮乏。必須傾槖而賙恤之。聲聞所及。知不知。交口譽之。是其實地之仁發於外。而感於人者也。風神灑落。氣像飄然。若獨立乎塵埃之外。人之見之者。以爲去神仙不遠。福善之天聽。其善言美行。肅廟丁酉。以壽爵陞同樞。其敎文略。曰壽則多辱。斯人壽而康寧。多男子。則多懼斯人多男子而無一夭折。此眞稀世之福人也。大哉煌煌御墨。動乎宇宙。輝乎日月。當與三韓山色相終始。凡世之人。誦敎文而知公之壽福。又知其所以致此者。由乎人。而古所謂仁者必壽之語。如執左契。興作於爲善。則公之善豈止於獨善其身哉。以庚子九月二十三日卒。壽一百歲。墓城垣石巖峰艮坐 配貞夫人。昆陽裵氏縣監以龍女。賢有婦德。式配君子。偕老而至於回巹。戊子四月初四日沒雙窆。男震龜震鳳震麟震星震雲震亮震傅。女閔重亮黃應明。側室子。震桓震休。孫曾不盡錄。公之旁八代孫昌衍。示其狀而謁其銘。辭非其人而終不獲辭。銘曰嗟哉孝友。篤守世業。風骨特秀。瀅然如玉。天爵爲榮。不世之色。誦若雅頌。煌煌御墨。松栢春秋。數至于百。福以勸善。孰不興作。銘之于石。百世可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梅巢 嚮日庚席速命。擬與敬弟。聯造參末。聽高論濯淸風矣。適有掣肘叢身。末由圖焉。始知浮生之一行一止。有數存於其間。而迄庸作喉中物。歎咄不己者。是曷故焉。無乃吾兄顔巷高標。自然令人心醉而然矣。如作江南翁。必不速我。雖使速之。不往不必存諸心。而兄其以貧富作話頭垂責。實非十分責善底道也。雖然。以此而益修交際。則其爲受賜大矣。或可裨補世塗歟。語到于此。感而且悚。悚而又感。矧伏維經體。撫時萬裕。欣慰愜祝。功服弟。困於秋熱。課遊松亭。恨不携吾兄詩手。與之述作同遊耳。尊先府公狀德。未得厚紙。不得草呈。諒俟之如何。明史顧此鈍根。尙未熟看。弟當熟覆后。還瓻計也。仰念兄作山房高風。弟欲作食字蠧於明史。而蠧亦豈易學哉。仰呵仰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本倅【金敬圭】書 秋風撼樹。仰慕冞篤。伏聞方啓衡軸云。猥請還衙在那間。不勝下情耿耿。聞卽走奚。仰達徵悃矣。伏不審視箋體候萬安。以副輿情。伏哀{氵+庠}區區。無任遠誠。罪民頑忍不死。奄經常朞。冠裳就練。而維幸老慈觕保耳。胤兄上舍。詩禮家人。一面托禊。大期斯文之望。千里神交眞是朝暮遇。罪民之遭故。前爲備文房一具。妄引小記。送情而物劣。不穪其情。搆拙不可曰文。伏望鑑垂郢斤置諸巾衍。恐未知如何。卽當修再拜禮於路左。而罪躬末由遂忱。負罪負罪。頫敎高峯先集。亦閤下尊賢之一道。豈或敢忘。考諸板本。板或刓缺。方修補印。出數十帙。分于京鄕淵源家計。則事巨不可卒卒責{交+欠}矣。第俟秋冬間。另圖仰副仰副計。以此下諒。伏望耳。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