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杜齋記 齋而有門戶。門戶而有開闔。卽陰陽動靜之理也。安居士。杜齋之畫於杜。而曰杜齋其有說乎。噫。今天下夷狄亂華。山河異古。溢目者不欲見。聒耳者不欲聞。開口而無可言。欲動而無可往。忠臣義士之淚。殆無乾日。而漆室之女。褰裳而入山中者。此日光景也。居士。於是杜其齋。而超然獨立於潔淨淨地。使此數間之齋。保箕聖東封之土。講夫子春秋之義。以忠信爲鎻鑰。杜之益固。有似乎至日閉關。商族不行。一線陽脈。日長於齋之中矣。蓋以居士之齋。想居士之意。杜於杜。不杜於不杜。夢見晋之淵明。往來於齋。論其門雖設。而常關之志者非歟。苟天意祚宋。若有子夜一聲雷則杜齋之門必先開於萬戶千門矣余須日夜傾耳。俟其開門消息。而將入其門。與討娓娓。先以此寄聲。居士名錫煥。牛山先生後孫。於齋之號。尤見其家學之有所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循齋記 循齋。安君景禹書室也。景禹卽牛山先生後孫。宋心石翁門弟。有志學問。篤守先訓。大荷師門之奬。與會於立雪之日。以朱夫子所訓謹勤二字。循之以上有無限好事。反之以下有無限不好事之語。提耳敎之。親手書之。表出循之之循字號其齋。其寄意之深遠。於此可槩。妄以爲謹勤二字。比如大路。由此而做去。則無遠不到。從古賢聖之爲賢聖者。由此路也。小人之爲小人者。反此路也。然則君於今日。擔負大矣。蓋他人之好不好。在於謹勤循反之間。君之好不好在於師訓循反之間。一節深一節。苟爲君謀。以謹勤把作一身之體用於心。常常念如是。則循師訓。不如是則反師訓。食息動靜。未嘗或墜其訓。則第見數椽之齋。廣於天下。大庇英材之抽關啓鍵者。立立而無限好事。次第等待於門外矣。竊爲世塗。恭俟循齋之能爲循齋耳。余於二字反之而坐在黑窣窣地。何敢道好事。然而他山之石。不妨爲攻玉故。將此蕪辭。以表世好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松沙先生文 恭惟先生禀得間氣。繼作於蘆沙先生脚下。道德之精微。文章之光輝。世皆擬諸聖門之思孫。而不幸身當百六之運。以夷齊淵明合爲一人。扶植倫綱。樂育後學。使中國免於夷狄。人類免於禽獸者。此皆先生之志節也。而譬如窮冬大寒。昻然爲獨靑之松栢者是也。甚矣吾道之衰也。天不憗遺。遽至于斯。道脉將誰使之扶。後學將誰使之覺耶。嗚呼。不肖無狀。非徒以族誼。而特蒙至恩。免我坎險。示我坦夷。警我牑我。不啻若烏頭之力。悅澤顔色。强盛筋力矣。已矣已矣。今也則無。痛哭痛哭。不自知此身之生而存也。先生之寢疾也。往問動靜。卽溫且喜。俯賜酬酌。而語到于尊周大義。凜然辭氣。無異平昔。此尤以誅時輩之腸肚。而標準於後百世者也。妄謂不喪斯文之天。當見無妄之喜。言旋告歸。豈料此日。永作千古。遽爾易簀耶。忽聞訃聲。匍匐二日。痛哭于靈前。莫接儀形。彼蒼者天胡寧忍此。今於窀穸。義當臨壙而訣。小洩此恨。而夙疾闖作。敗我鄙悃。茫茫天地。徒增摧裂。自不禁傾河之淚。嗚呼。舂陵霽月。泗水春風。不可得以復見也歟。緘辭寓哀。遙奠永訣。一以哭世塗。一以哭吾私。悲不能實我之情也。靈其有知。庶鑑斯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石陰朴【魯述】文 嗚呼惟靈。天資精明。衿懷灑落。早熏陶於蘆翁之門。力學講道。見得他尊王黜覇。先義後利。卓乎爲士林之模楷。嗚呼。今日何日。天地之大倫斁矣。公能篤守。朱夫子所謂。忍痛含寃。迫不得已八字。以存天下之防。淸風窓下。彷彿乎復見淵明先生。則一線之陽。庶幾乎扶樹。而嗚呼。斯文運否。往在丙辰。松翁云亡。今公又不淑。吾黨之小子後生。於何考德而問業也。東準蔑裂輕淺。不啻若鵠虫之懸絶。而十世鄕井。世誼源源。自結髮而猥托交契。倚以爲瞽之有相。遽至於斯。公以哭私以慟。固非一端。吟病四載。二竪誤了。拜哭後人。東坡所謂。愧古人以忸怩者此也。公其逝矣。音容永閟。不可得以復見。悠悠此恨。有淚如雨。靈其有知。庶鑑斯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계묘) 十三 癸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병진) 二十七日 丙辰 약간 맑고 추움. 微陽而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정사) 二十八日 丁巳 맑다가 밤에 잠깐 비. 陽夜乍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병오) 二十九日 丙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월 九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무인) 十六日 戊寅 맑음. 아침에 푸른 안개가 사방에 자욱하였는데, 궁한 백성들은 보리 수확에 이롭지 않을 것을 근심했다. 몸소 면화를 파종했다. 陽。朝靑霧四塞。 窮民憂麥不利。躬播棉花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기묘) 十七日 己卯 먼저는 맑다가 뒤에는 흐림. 석양에 비가 흡족히 내렸다. 읍내 사는 국채준(鞠埰俊) -자(字)가 치숙(致叔)- 이 비를 뚫고 왔다. 先陽後陰。夕陽雨洽注。邑鞠埰俊【字致叔】。 冒雨以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경진) 十八日 庚辰 맑음. 평신기(平新基)에 사는 나규운(羅奎運)의 부인인 -17일에 죽음- 설씨(偰氏)의 부음이 왔다. 陽。平新基羅奎運室內夫人【十七棄世】偰氏訃音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정미) 十七日 丁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무신) 十八日 戊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기유) 十九日 己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경술) 二十日 庚戌 맑음. 맑음. 陽。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을미) 六日 乙未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병신) 七日 丙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경술) 二十二日 庚戌 흐림. 밤에 비가 왔다. 陰。夜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신해) 二十三日 辛亥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