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東愚 浹旬酬唱。自以爲天下眞樂。莫勝於此。而其奈於離合昨昨也。江上之分依然。是文通賦中景也。悵缺之懷。當夜入夢。怳若復對顔光說盡。臨別怱怱不盡之語矣。覺來是夢。安得不一倍耿耿乎。蓋人生無非夢也。夢者是覺歟。覺者是夢歟。竊念來時聯笻。去時獨駕。長亭短亭。得無陽關。無故人之歎否。謹伏維衡軸。似不當日了辦矣。知留於何處。而體度保無貽惱。寶覃齊禧。草堂梅鶴。欣迎先生。奏其無限物態也耶。爲之欽艶。爲之頂祝者。奚止一再。玆不勝區區之忱。曉起走伻。仰探行邁之平安。整告此漢惜別之情狀耳。弟今吾昨吾。何矣更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甥基直基德 外叔。自纏風樹。惟同氣是依。而先姉主。年齡不隆耊。氣力尙爲康騭。且哀之誠孝。宜獲神佑。恒恃無疆遐壽矣。豈意承此訃車歟。痛哭摧裂。不自知此身之生而存也。窃維孝心純至。思慕號絶。何可堪居。想時勢所拘。權經襄奉。而附身附棺之事。何以措手而無憾於孝子之心歟。幽堂忽閉。儀形永閟。悠悠此恨。無處吿訴。未知哀履。不至疚毁。而諸節何如。惟冀强加疏食。勿至傷孝。是孝子之道也。以是企企。外叔。昨年十月。以退溪先生及門錄事。往陶山書院。回路得痰喘。輿疾還家。累入鬼關。今才擡頭。厪厪爲戶庭行步。以是之故。尙未趍哭。只恨奮飛無翼。恨結徒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甥【基直】 今日何日。尺地猶化參啇。況越宿眷之地。委伻惠墨。苟非盡心力。難乎有此。節節感感。莫之勝道。以諳晩熱。萱堂姉主。氣力康寧。萊衣承歡。若兄若弟。俱得佳迪。諸議隨宜。克慰愜願而其爲喜信。孰過於此。外叔奄當先考諱辰。風樹之痛。尤爲彌中。而若言自春至今。經歷。則語當更僕。書當禿筆矣。蓋稍立門戶。不安其所者比比矣。吾亦春間。率眷寓於宗山。草枝。則寓於長城苟洞。可謂東西奔竄。吾之還宅。己在數月前。草枝尙未還巢。這間苦苦之狀。居可知矣。且迷督宿疾。自昨臘復發。多方用藥。今雖小瘳。餘戒尙爾。尤是促白。但餘外則免警耳。拜候姉主。今幾月于玆。慕庸鬱懷。豈其不然耶。若或道路不甚阻絶。則擬諸絆秋晋拜。而未知如意否耶。汝亦待風聞之小歇。一者來顧。則何幸如之。而此皆不由我者。豈可望其必然。徒亂意緖。不須長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柳甥【基直】 路夐矣。世亂矣。消息之漠然。固其所也。而悵悵沖沖。靡時可弭。未暗春暯。慈天姉主。氣力康寧。且汝之若見若弟。定省安旺。胤孩從兄弟。俱得充實。可提可抱。必爲咨主掌上珠矣。爲之馳{氵+庠}不些。外叔朞降人。本二月。奄卒叔父襄禮。摧痛罔涯。而近狀厪免他病。大少眷。亦無見警矣。長兒自昨冬爲時騷所驅。往留于三川。而且服藥餌。宿祟似爲夬瘳。甚奇甚幸耳。若言時像。則汝之所居。非海濱耶。風頭之潮。善刑容光景矣。刧刧苦苦。身安豈曰安也。言之徒亂意緖。不如却之那中。或者獨得淸淨耶。願聞切切。第現順八之不淑。尙忍言哉。尙忍言哉。欲言哽塞。尙未往焉。哭其死問其生。此身之㥘於風浪。居可知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思齋記 永思齋在光府之西十里白蓮洞。光山金農隱公墓下芬苾之所也。謹按。公諱信學。麗朝文正公諱台鉉後孫也。光山氏。以簪纓蟬聯。著于湖南。而公天資超倫。孝友根天。早廢擧業。從事學問。吾夫子謂子夏曰。汝爲君子儒。無爲小人儒。君子儒小人儒之分。在於爲己爲人之間。而如公者。實就己分上做工夫。其於君子儒。殆庶幾矣。生而爲蓍龜於鄕黨。沒而貽燕謨於後孫。孫於公者。尙以文行。不墜緒業。公之玄孫喜洙。爲其墓祀齊潔以爲齋。經紀有年。戊午秋始克有成。而掲其額。使其從弟洙來謀其記。余曰曷不休哉。永思之意至矣盡矣。凡墟墓之間。未施哀而民哀之。況於先祖衣履之藏。上山拜墓。下山入齋。豈不有思乎。然而思亦有道理。必思先祖之美行懿德。承先啓後。使其遺澤。百世不斬然後。正合于詩所謂永言孝思孝思維則。而庶不負其額矣。洙起而對曰。願歸與諸族黨謀之。余於金氏有先誼。不以文下而辭其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을묘) 二十六日 乙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을해) 十七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병자) 十八日 丙子 맑음. 밤에 비가 내렸다. 陽。夜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정축) 十九日 丁丑 흐리다 비가 옴. 陰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무인) 二十日 戊寅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병자) 十四日 丙子 비가 정오까지 개지 않았다. 반은 흐리고 반은 맑았다. 雨未霽至午。半陰半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정축) 十五日 丁丑 반은 흐리고 반은 맑음. 석양에 비가 조금 뿌렸다. 半陰半陽。夕陽雨少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계유) 十一日 癸酉 맑다가 바람. 陽而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갑술) 十二日 甲戌 반쯤 흐리다 반쯤 맑음. 저물녘에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밤새도록 내렸다. 半陰半陽。斜陽雨通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경자) 十日 更子 흐리고 비가 흡족히 내림. 陰雨洽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신축) 十一日(辛丑) 맑음. -동풍이 불었다- 주영묵(朱永黙)이 왔다. 陽【東風】。朱永黙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임인) 十二日 壬寅 맑다가 다시 흐려짐. 陽復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기유) 二十一日 己酉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을사) 十七日 乙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정미) 十九日 丁未 맑음. 陽。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