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기해) 六日 己亥 맑음. 삼을 심었다. 산아(産兒, 갓난아기)가 두독증(斗毒症)이 있어서 의원에게 침을 놓게 하고, 멀리 나가 달걀을 칠했더니 흰줄이 사라졌다. 陽。種麻。産兒有斗毒症。 令醫針刺。 出逈塗鷄卵白條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신축) 八日 辛丑 맑았다가 다시 흐려짐. 온종일 아들을 간호했다. 陽復陰。終日護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계유) 十二日 癸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맑음, 오후에 소나기가 내려 먼지를 적셨다. 陽。午後驟雨浥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병자) 十五日 丙子 맑음. 천둥이 크게 울었으며, 밤에는 소나기가 내렸다. 陽。雷大發聲。 夜驟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병인) 十六日 丁丑 맑음. 북동쪽에 소나기가 내렸다. 陽。北東驟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무자) 二十八日 戊子 반나절은 흐리고, 반나절은 맑음. 누룩을 만들었다. 半陰半陽。造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기축) 二十九日 己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월 八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임진) 三日 壬辰 맑음. 집으로 돌아왔다. 陽。還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무신) 二十日 戊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계사) 八日 癸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갑오) 九日 甲午 아침에 햇무리가 생기더니 저녁에 흐려졌다. 朝暈夕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을미) 十日 乙未 아침에 흐리다가 저녁에 비가 흔적만 남겼다. 朝陰有雨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병신) 十一日 丙申 비. 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병인) 三日 丙寅 맑음. 손님을 접대했다. 오늘은 우수(雨水)3)입춘(立春) 【1월 절】우수(雨水) 【1월 중】경칩(驚蟄) 【2월 절】춘분(春分) 【2월 중】청명(淸明) 【3월 절】곡우(穀雨) 【3월 중】입하(立夏) 【4월 절】소만(小滿) 【4월 중】망종(芒種) 【5월 절】하지(夏至) 【5월 중】소서(小暑) 【6월 절】대서(大暑) 【6월 중】입추(立秋) 【7월 절】처서(處暑) 【7월 중】백로(白露) 【8월 절】추분(秋分) 【8월 중】한로(寒露) 【9월 절】상강(霜降) 【9월 중】입동(立冬) 【10월 절】소설(小雪) 【10월 중】대설(大雪) 【11월 절】동지(冬至) 【11월 중】소한(小寒) 【12월 절】대한(大寒) 【12월 중】로, 1월 중(中)이다. 陽。應接賓客。是日雨水正月中。 우수(雨水)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2월 19일 무렵이다. 일 년 중 겨울이 지나 비가 오고 얼음이 녹는다는 날이다. 1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24절기라 하는데, 절기는 1달 중 월초에 해당하며, 중기는 월중에 해당한다. 24절기는 다음과 같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경인) 二十八日 庚寅 맑음. 장동(獐洞)81)에 이르러 종가의 안부를 묻고, 이어서 두루 옛 친구를 방문하고 왔다. 陽。到獐洞宗家問候。 歷訪故舊而來。 장동(獐洞) 전라남도 담양군 대덕면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뒷산이 노루형상이라 하여 장동이라 칭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 부르고 있는 노랑골은 노루골에서 변형된 이름이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말 정승을 지낸 고성군 채문무의 태생지이며 조선 선조 때 미암일기를 저술한 미암 유희춘이 기거했던 곳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신묘) 二十九日 辛卯 흐린 뒤에 맑음. 신안동(新安洞)82)의 김인식(金璘植)을 위문하고, 주영묵(朱永黙)에게 청하여 산놀이를 하기로 기약했다. 다음날의 담녕와(淡寧窩) 성묘를 위해 옥과 가곡(柯谷)83)의 청룡산 가지봉으로 향했다. 가는 도중에 눈을 들어보니 밭 가운데에 우뚝하게 하나의 정려문이 있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바로 동몽교관 조봉대부 허서(許瑞)84)의 정려로, 호는 후송(後松)이고, 태산군(泰山君)의 후예이다. 석양에 성묘한 뒤에 응곡(鷹谷)85)의 박진식(朴鎭植) 집에 이르러서 유숙하였다. 포옹(圃翁, 정몽주)의 문집을 보았다. 先陰後陽。慰問新安洞金璘植。請朱永黙遊山次期矣。明日淡寧窩省楸次。 向玉果柯谷靑龍柯支峯。中路擧目。 有田中兀然一閭門。詳察。 乃許童蒙敎官朝奉大夫許瑞之閭。 號後松。 泰山君后也。夕陽省楸後。 到鷹谷朴鎭植家。 留宿。覽圃翁文集。 신안동(新安洞) 담양군 정면 신안동으로, 현재 담양군 무정면 안평리 신안동에 해당된다. 서암일기에서는 이곳 지명이 신안동, 또는 신안(新安)으로 나온다. 가곡(柯谷) 현재 곡성군 오산면 가곡리 가곡마을에 해당된다. 허서(許瑞) 자는 성휴(聖休), 호는 후송정(後松亭), 본관은 시산(詩山, 태인)이다. 도봉(道峰) 계(繼)의 현손으로, 효자이며, 교관(敎官)에 증직되고 정려가 내려졌다. 병자호란 때 옥과현감으로서 창의한 운암(雲巖) 이흥발(李興浡)과 도의로서 사귀었다. 정려는 연화리에 있다. 응곡(鷹谷) 현재 곡성군 오산면 가곡리 응곡마을에 해당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農隱齋記 余於農隱之隱有疑。曰夫士窮而在下。則隱於山林。惟恐山之不深。林之不密。而今翁之隱。隱於農。其有說乎。有解之者。曰樊遲請學稼。蓋樊遲。遊聖人之門。所學者。不在於禮義信而只在稼圃。則其志陋矣。宜有夫子之深斥。而噫今聖人之世遠矣。亂道莠言。甚於蟊賊之害嘉穀。喪失其心田者。滔滔皆是。翁嘗以是爲憂。寧隱農之農。以寓非農之農。以仁義爲黍稷。以勤謹爲栽培。以經子爲灌沃。以禮信爲耒耟。願使自家一箇心。有若浡然苖興。而不入於蕪穢。是其農隱之本意也。解之者。李生在馨。在馨。非阿好者。余乃聞而艶之。曰翁是今人而古人。如農隱者。何處得來。若得如農隱之隱。廣置於世間。則庶可醫頹俗之痼瘴云。翁謂誰。咸平人李孰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進于 行客纔歸。寶緘留案上。圭復以回。尤見其心。令人歛衽而敬者。扶陽之意。溢於辭旨。滔滔今天下。眞不易得之高論也。曷勝仰荷。但奬詡太過。愧不能承當。撝謙自牧。覷其所養者至矣。謹詢比內旅體度。硏經萬穆。昻禱候候。弟杇株冷灰。便作五十無聞。不足仰溷。而苟以此把作後學之鑑車。則或可爲攻玉之石歟。忸怩忸怩。來書中。寄食之術云云。何其誤耶。古所謂四益尊能。盡其責矣。蓋繩墨之傍。不棄杇材。扁倉之門。不拒病夫。固其所也。惟願益竪赤幟。以爲諸生之倡如何。第見時月之間。不聞可知爲先生弟子也。預賀預賀。餘楮毫不解人意。姑閣。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