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을유) 二十三日 乙酉 맑음. 정준원(鄭俊源)의 점차(苫次)76)에 들어가서 만사(挽辭)77)를 열람하였다. 녹실장이 손녀 근친78)으로 술을 성대하게 차렸다고 하므로, 얼른 녹실댁에 이르러서 술을 마셨다. 녹실장을 따라서 함께 계당(溪堂)79)에 임하여 하루를 보내고, 정종원(鄭琮源)이 저녁밥을 이바지한다고 하기에 정종원의 집에 들어갔다. 밤이 깊어지자 돌아와 참봉의 우사에서 묵었다. 陽。入鄭俊源苫次。 考閱挽辭。綠室丈以孫女近親酒盛。 速到綠室宅。 飮酒。隨綠室丈。 同臨溪堂竟日。 而鄭琮源供夕飯。 入琮源宅。夜深而歸。 宿于參奉寓舍。 점차(苫次) 거적자리로, 상주가 거주하는 여막을 말한다. 만사(挽辭) 만사(挽詞). 죽은 사람을 애도하여 지은 글. 근친 원문에서의 '근친(近親)'은 근친(覲親)의 오기로 보인다. 근친은 시집간 딸이 친정에 와서 친부모를 뵙는 것을 말한다. 계당(溪堂) 정철(鄭澈)의 4남인 기암(畸庵) 정홍명(鄭弘溟, 1582~1650)이 1616년에 낙향하여 지은 집으로,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정해) 卄五日 丁亥 흐림. 가는 비가 내렸다.〈정저암의 육십 회갑 잔치시에 차운하다(次鄭樗菴六十華甲晬宴韻)〉육십년의 세월을 지낸 저하당이라(六十光陰樗下堂)지나온 자취로 상서로움을 살핀다는 명성 향기롭네(考祥素履以名香)【맑은 이름 퍼진 곳에 말하는 사람마다 향기롭네.】(淸名播處口先香)누대 위에는 성옹(醒翁)께서 한결같이 덕을 닦고(坮上醒翁修一德)뜰 앞에는 보배 나무가 삼광80)에 응하네(庭前寶樹應三光)많은 선비 축하하는 마음 시축에 가득하고(多士賀情詩滿軸)여러 손자들 헌수하는 마음 술잔에 가득하네(衆孫上壽酒盈觴)문청공의 남은 음덕이 이에 증험되니(文淸餘蔭於時驗)처음 회복된 일양이 점점 자라는 것 보겠네(初復一陽漸看長) 陰。微雨。次鄭樗菴六十華甲晬宴韻六十光陰樗下堂。考祥素履以名香。淸名播處口先香。坮上醒翁修一德。庭前寶樹應三光。多士賀情詩滿軸。衆孫上壽酒盈觴。文淸餘蔭於時驗。初復一陽漸看長。 삼광(三光) 해, 달, 별을 말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기축) 初一日 己丑 흐림. 밤에 눈이 내렸다. 용산(龍山)과 담론을 하다가 말이 자기 집안 세계(世系)에 미쳤다. 하서 선정신으로부터 청재공(淸齋公) 장환(章煥)177)까지가 10대인데, 14살 손자 대중(大中)에게 전하는 시가 있다고 하는데, 다음과 같다.집에 소장된 옛 책이 삼천 질이요(家藏舊籍三千秩)대대로 일궈온 땅이 수십 이랑이라(世業荒田數十畝)열네 살 어린 손자에게 물려주나니(付予穉孫年十四)밭갈고 독서하며 뒤를 잘 이어갈 수 있겠지(渠能耕讀繼賢後)또 돌아가신 어머니의 선산을 살 때 지은 시 한 수가 있어서 암송을 하기에, 기록해 둔다.산은 요순 때의 사물이지만(山是唐虞物)사람은 요순 때의 마음이 아니라네(人非堯舜心)선실에는 백안178)이 많고(禪室多白眼)객탑에는 황금이 적다네(客榻少黃金) 陰。夜雨雪。與龍山談論。 語及自家先世系。自河西先正。 至淸齋公諱章煥十世。 有傳十四歲孫大中詩之句。家藏舊籍三千秩。世業荒田數十畝。付予穉孫年十四。渠能耕讀繼賢後。又有先妣山地買得時。 所作一絶誦之。 記之。山是唐虞物。人非堯舜心。禪室多白眼。客榻少黃金。 장환(章煥) 김장환(金章煥, 1761~?)으로, 자는 치문(稚文), 김인후의 10대손이며, 아버지는 군수 김직휴(金直休)이다. 1819년에 영릉(寧陵)참봉을 지냈다. 백안(白眼) 경멸하게 대함. 삼국 시대 위(魏)나라 완적(阮籍)이 속된 사람을 만나면 백안(白眼) 즉 흰 눈자위를 드러내어 경멸하는 뜻을 보이고, 의기투합하는 사람을 만나면 청안(靑眼) 즉 검은 눈동자로 대하여 반가운 뜻을 드러낸 고사가 전한다.(≪세설신어・간오(簡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경인) 初二日 庚寅 흐림. 지관 한명오(韓明午)가 와서 밤늦도록 담론하였는데, 다음날 아침에 용산(龍山)의 말을 들었다. 용산이 말하기를 "지난밤에 여러 손님들과 놀다가 밤이 깊어지니 요기(饒飢)를 하지 않을 수 없어서 집에 들어가 아내에게 먹을 것을 부탁했는데 아내가 말하기를 '집에 술이 아직 안 익었다.'고 하였소. 또 과실을 청하자, 아내가 말하기를 '군자는 항상 무속인에게 집안이 미혹될까 단속해야 하거늘, 지금 지관에게 미혹되어 그것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알지 못하고 독실하게 믿는 것이 이와 같군요.'라고 하였소. 들으니 말은 비록 옳지만 손님을 대접하는 것을 그만둘 수 없기 때문에 지관의 도가 저명하다는 말로 대답하니, 금시(錦柹) 한 쟁반을 내주어 손님을 대접하였소."라고 했다. 듣고서 노래를 지었다.진실이여, 진실이여(眞實眞實兮)말은 마음의 소리가 되니 소리로서 알아야 하고(言爲心聲 聲以知)가정을 다스리고 가정을 다스림이여(齊家齊家兮)가정을 다스리는 것은 몸에 근본 하니 솔선수범 해야 하리(齊家本身 身先之) 陰。地師韓明午來。 至夜半談論。 翌朝聞龍山說。龍山曰 "去夜。 與衆賓遊。 夜深則不得不饒飢。 故入宅內謀諸婦。 婦曰 '家釀未熟'。又請實果。 婦曰 '君子常責宅內之惑於巫尼徒。 今惑於地師。 不知其眞僞。 篤信如此'。聞則言雖是。 不得不待賓乃已。 故言以地師之道著。 對之。 則出錦柹一槃。 故待賓"云爾。聞而作歌。眞實眞實兮。言爲心聲 聲以知。齊家齊家兮。齊家本身 身先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菊圃李公墓誌銘 公姓李氏。諱奎緖字賢汝號菊圃。咸豊著姓。顯於勝國。其遠祖諱彦官神武衛大將軍。累世冠冕不絶。書於麗史。入我朝。有諱玄雨。文直長。是生諱自寶。贈參議。是生諱貽。生員蔭縣監。是生諱伯棠。生員蔭縣監。是生諱根宗。生員蔭縣監。是生諱從愚。中司馬。以將才登薦武節度使。與李晦齋奇服齋宋俛仰諸先生同年。而有道義交。時人榮之。且熏炙於思齋金先生之門。爲其高足。眉巖柳先生狀其行。三傳至諱百春。以文行著。登司馬蔭奉事。龍蛇之亂。大駕西幸。公恨不得扈駕。曰死於職。卽臣子之分也。恭守職事。及其遇賊。罵不絶口。見磔於狂猘。取熊義蹟。昭著於光之邑誌。於公爲八世。曰景立。進士蔭明川訓導。曰時蓋。曰萬標奉事。以下三世諱。高祖諱厚植。曾祖諱恒垕。祖諱在運。考諱儒碩號野軒。妣淸安李氏陽燮女。以純祖十一月二十四日。生公于光州赤芾里第。天資淸爽。哭宇端慤。年八歲入小學。一經敎導。便自成誦。見者許以神才。尤爲立志篤實。而事親敬長之道。不失繩墨。及出讀于山房。喫菜攻苦。厭飫於黃卷上滋味。晝而至夜。夜而繼朝。終無倦意。雖參禪老釋。自以爲不可及。治家有法。而以孝敬事父母。父母安焉。以睦婣處族戚。族戚和焉。以誠信接朋友。朋友服焉。家雖貧窶。於其事親。漁樵耕讀。未嘗或闕甘旨。此可與董生同其行。及其遭故。易戚備摯。三年之內。日日省楸。雖有暴風雨雪。不曾尼之。每當忌辰。致其如在之誠。與其弟友于甚篤。至老同其居處。隣里之公言。擬諸姜肱之長枕大被。平居寡言。未嘗以人之長短入於唇舌。而至於義利之辨。明白剴切。如割兩叚。晩年構一小齋。扁以鳳鳴。使其子姪。講習詩禮。而式穀之念。發於外。遠近來學者。不拒而勤誨。常訓子曰。吾費巨諸於擧業。而於格致誠正之工。不得着力。眞是舍本取末。暮年追悔而將無及焉。汝輩當以此爲鑑。從事於本焉。蓋自號以菊圃而著說。曰輒思陶靖節。籬下氣味於此一句語。可見其意之不爲威武勢利之所可奪也。以上皇丙寅十二月十五日卒。初葬于某坐原。後移葬于光州之花山露積峰上頂。向巽之原。夫人天安全氏父聖益。墓某坐之原。生五男。敏甲敏乙敏化敏永敏壽。孫男敬憲。女幸州奇東奎。順天朴魯洙。長房出。邦憲。順天朴兌東。全義李泰。二房出。光山金公植。全州李仁凡。幸州奇寬燮三房出也。錫憲。光山李根鎬。光山李容重四房出。宗憲。長興高永鎭五房出。曾玄以下不盡錄。公之曾孫啓萬。來謁余銘辭。以識淺而終不獲辭。銘曰直在胸中。澹泊安貧。自號菊圃。不染俗塵。願學伊誰。淵明其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朴老圃墓誌銘 日長之三水居士。竹川先生後孫朴昇鉉。岐峰先生傍孫白景寅。訪我於牛山之下。一見可知其雅飭爲法家人也。朴昇鉉。抱其從叔老圃公行錄。而景寅亦在傍。艶誦公之平生。誤以幽誌見托。余起而敢辭。曰余非其人且文下。雖欲爲謀。曷能荷公萬年事耶。第念吾先祖文憲公。於竹川翁。同爲傳鉢於退門。則兩家世好。十世如一日。其敢辭而終不敢辭者此也。謹按。公諱重淳。字致敬。姓朴氏。本珍原人。鼻祖。新羅宗姓八大君之一。中祖諱進文。四傳至諱瞻。佐命功臣。封益陽伯。四傳至諱熙中。以淸白官直提學。享于鶴林院。至諱光前。道學文章。爲世儒宗。是爲竹川先生於公。爲九世祖。曰根孝進士號晩圃。壬辰倡義。贈執義。曰春秀進士號我誰。丙子擧義。贈左承旨。曰蒙亨通德郞。曰萬厦參奉。是五世以上。考挺煥壽爵大護軍。潔行高義。著於鄕邦。號三湖。祖章根贈戶曺參判。曾祖守遠贈左承旨。高祖武錫贈司僕寺正。妣貞夫人長興魏氏。以憲廟丁酉生。壬寅蒙優老恩資嘉善。聖上丁未六月二十二日卒。享年七十一。葬于某山某坐之原。公生有異質。在齠齔便若成人。才藝出等夷。纔學語一敎。文字輒解。及出外傅。知其律身繩墨。在於小學。終身實踐。皆從這裡得來。孝友天性。養親志體盡誠。後遭故。情文備摯。三年不肉時在衰齡。而終無疾病。隣里以爲誠孝所致。嘗入科場。與主司有禊而不爲圖囑。曰科第外耳。心志內耳。不可以外而失其內也。其立志篤厚蓋如此。所不言人之長短得失。所酷愛在於山椒水涯。琴書自樂。逈出塵表。當荒年。薄於自奉厚於及人。賴以得活者甚衆。晩年講讀朱書節要。曰六經以後。莫如朱書。而節要。是陶山之所節次。則尋先祖之淵源者。豈不在玆耶。省內儒林。採其孝友學行。發文於校中。公追後聞知。奪狀付火。宋淵齋崔勉菴兩翁。爲儒林大宗師。而以其子摳衣。且以書取正。其學文之肯。肇於淵門。仰質未發己發之氣像於勉門。皆極荷奬詡。及夫世級滔滔。甚於洪水。而公之疾祟。在於病俗。不許用藥。奄奄而盡。此殆庶幾於得正矣。公室貞夫人南平文氏基業女。有古女士風。克配君子。有一男二女。男奉鎬有志行克家。女婿南平文箕浩。水原白永潤。奉鎬男。泰位泰俊。文箕浩男秉鎭秉元。白永潤男正寅福寅云。銘曰孝友天植。可移於忠。綱紀宇宙。文在其中。憂國悶俗。獨一翁翁。用銘于竁。髣髴淸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吳竹史 一陽添線。君子道長之時。景仰底懷。於斯尤極。伏問靖養體候。對時康福。各儀享貞。伏禱區區。而賢彧克承詩禮家學。優有時望。其爲世路賀。不一而足。望須益加講學。到底成就如何。小弟夙疾賤狀。當翰益肆。便是枯木光景。不足爲愛我者道。就鄙族嫉瑞玉之胤氷說。己通于貴隣羅門。未知或爲關聽否。窃念尊執之一言。不啻爲梁楚之一諾。這這言及于那邊。好作月姥手線如何。斯歲亦不多期於快諾。使之歲前設行焉。蓋瑞玉之胤。文學凡百。大爲鄙門後生之翹楚。且以家樣言之。門前水畓。足以絲身穀腹。又有其姻家之別庄惠分。其爲便且穩者。果不下於時俗所謂江南翁矣。以此俯諒。另爲析薪。切仰切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계유) 十五日 癸酉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경오) 八日 庚午 반쯤 흐리고, 반쯤 맑음. 半陰半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임신) 十日 壬申 맑다가 바람. 陽而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갑인) 二十五日 甲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정묘) 五日 丁卯 큰비가 내려 계곡물이 넘쳐흘렀다. 大雨。 溪水漲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무진) 六日 戊辰 흐림. 이슬비가 내렸다. 陰。微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병신) 六日 丙申 흐림. 비가 올 듯 했으나 오지 않았다. 농사를 감독하고 송아지에게 풀을 뜯겼다. 陰。欲雨未雨。管耕餘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정유) 七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무술) 八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기해) 九日 己亥 약간 맑음. 微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신해) 二十二日 辛亥 흐리고 잠깐 비. 陰乍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계축) 二十四日 癸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정유) 初四日 丁酉 맑은 후 바람. 손자들을 데리고 놀면서 지냈다. 陽而風。弄兒孫而過。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