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무술) 十日 戊戌 반은 흐리고 반은 맑음. 半陰半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신묘) 初三日 辛卯 맑고 흐림. 陽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을미) 七日 乙未 흐림. 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기축) 二十六日 己丑 반쯤 흐리고 반쯤 맑음. 半陰半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신묘) 二十八日 辛卯 흐림. 대나무 울타리를 쳤다. 陰。結竹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월 二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정해) 二十九日 丁亥 흐림. 갑자기 추워졌다. 경상도 진주(晉州)의 인천(仁川)리에서 김석규(金錫圭)・김상완(金浣相)이 왔는데, 모두가 하서(河西)174) 선정신(先正臣)175)의 후예이다. 다음날 선조의 묘에서 시제를 지내기 위해 명정(鳴鼎)176)으로 향해 갔다. 陰。猝寒。慶尙晉州仁川。 金錫圭・金浣相來。 皆河西先正後裔也。翌日以先墓時祠次。 向鳴鼎而去。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1510~1560)의 호이다. 자는 후지(厚之)이고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1540년(중종35) 별시 문과에 급제하고 홍문관 부수찬으로 세자를 가르치는 직임을 맡았다. 1545년(인종1) 인종이 승하하고 곧이어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병을 칭탁하고 향리로 돌아가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전념하였다. 시호는 문정(文正)이고 문묘(文廟)에 배향되었다. 선정신(先正臣) 유현(儒賢)으로서 학덕(學德)이 높았으나, 현재는 작고한 신하를 말한다. 명정(鳴鼎) 장성군 북이면 명정리를 말한다. 여기에는 울산김씨 중시조비(中始祖妣)인 여흥민씨(麗興閔氏)의 묘소가 있다. 복부혈(伏釜穴) 명당자리로 유명하며 하서선생의 5대조 직계조모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기축) 四日 己丑 맑음. 집에 돌아왔다. 손녀의 병을 진맥해 보았다. 陽。歸巢。診孫女所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경인) 五日 庚寅 다시 장동으로 돌아왔다. 저물녘에 비가 내렸다. 復還章洞。日夕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신묘) 初六日 辛卯 갬. 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임진) 七日 壬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신축) 十七日 辛丑 맑음. 옥과에 성묘를 갔다가 장동(獐洞)으로 돌아왔다. 陽。玉果省墓之行。 回還獐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임인) 十八日 壬寅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계묘) 十九日 癸卯 흐림. 저물녘에 비가 흡족하게 내렸다. 陰。日仄雨洽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갑진) 二十日 甲辰 날이 갬. 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悅雲亭記 亭在長沙之鼓山。前寢郞姜君大直。於吾爲世交家子也。嶄出頭角。克紹故家遺範。日以書來曰。生之所居有小山一區。壑邃峯奇。溪淸石瘐。隔絶喧卑。正合藏修。而近構小亭。名以悅雲。此卽先人遺志也。渠雖不肖。惟亭於斯。小慰風樹之情。願丈丈記以惠之。余乃閱而反復曰。噫。今天下。華而夷。人而獸。其能有意於繼志述事者。絶無而僅有。君是僅有中一人。然則欂櫨侏儒。無非孝思之藹然。忖其心而究其悅雲之微意。而得其說焉。古云嗜欲深者天機淺。愚以爲天機深者。啫欲淺蓋天機澹然者。莫雲若也。世皆熱閙君能不以世人之所悅。爲悅而所悅者。只是雲。俛仰也飮食也。不出乎雲。而嶺上之雲。沒輸於亭。君是雲歟。雲是君歟。咫尺閭閻。塵埃不入。坐亭上而讀古書。步堦下而消世慮。無心出峀。想陶令之志。淡雲午天。尋程子樂。是乃悅雲之實際。而一个心斷斷兮無他。使其賢父嘉遯之志。寓於亭。而英英焉。{愛+雲}{愛+雲}焉。屹然於世間。登斯亭者。不以亭觀亭。以孝觀亭。孝悌之心。油然而生。如雲之觸石而起。其曰一小亭有補於世敎者未歟。願君益勉。其所勉使悅雲之名。勿爲雲散。則庶幾矣。且其泉石之美。風煙之勝。雖有可記。作亭之本意。不在於此。故不必及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巖記 伊川先生。謫于涪州。而涪州名。賢人所過。山川草木。猶有精采者是也。南州之智島。卽古之涪州。重菴金公先生。尊花攘夷。扶正斥邪。不幸當陽九之運。賦鵩是島。嘗葛巾蘭佩。携同志洪遜志。逍遙于島之黃芩村。三巖之上。村俗之淳古。巖樣之奇絶。入於詩而歷歷作畫中景矣。蓋此地此巖。鴻濛判後。始遇先生。而闡其太古之容。抑古所謂子美之不幸。西蜀江山之幸者非歟。巖可泐。而先生之令聞令望。不泐於後百世。則巖之名。亦與之久長矣。金斯文志學甫。以先生門徒。白首窮經。刻先生遺躅於巖面。以寓秋陽之懷。其事一之誠。可以警頹俗。一日。䕥足訪余于龍江之上。請之以記。辭以不能。而終不辭者。先生詩曰。物外桃源知在此。漁郞誰復泊煙洲。妄以蕪辭。寄聲于桃源。以爲後日泊煙洲之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歸厚齋記 謹按。五代祖通德公狀德略。曰公天資純粹。文章夙就。早廢擧業。從事爲己。以詩禮而繼先世之塗轍。課忠孝而開後學之模範。遠近諸生之及門熏炙者。各充河腹。遺風餘韻。烔烔于山椒水涯云云矣。墓在於牛山之沙店嶝。卽先祖存齋先生賜山之南麓也。其於霜露之感。宜有墓祀。有墓祀則不可無齋潔之齋。故積歲經紀。乙卯春始役。至秋乃成。芬苾於斯。聚族於斯。上山拜墓。下山入齋。孝悌之心。油然而生矣。一日門長老有命。曰齋而扁固矣。盍以好題目。佩服於身。傳之於後。使棟樑柱礎。增輝於來百歟。東準起而對曰。敢不惟命。嗚呼。今日民俗之薄。入於膏盲。忽略於喪祭。不至於背死忘生者幾希。苟藥其病。則曾子所謂愼終追遠。不啻爲對證於今日也。額以歸厚。得無可耶。雖然。額外耳。心內耳。愼終上尤加愼終。追遠上尤加追遠。銘諸心而存其誠。則齋之爲歸厚。庶不虛矣。諸族皆曰。唯唯。願相與勉之。謹爲之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梧山亭上樑文 述夫。碩人之在澗考槃。永矢不吿之樂。孝子之斯干築室。以著似續之能。謨是燕貽。地因龜食。謹惟梧山李居士。咸豊著名家。熏德問仁克。稱藘門高弟。誦詩學禮。允爲挹翁肖孫。斤邪說十悔箴。寔學問之實地。修身詩齊家句。乃性命之率天。養梧而爲良師。久擬霽月之榭。畵圖而相奧境。宜結春風之楹。濯纓慮溪。景仰濂翁之飄灑。結茅藘頂。願學晦老之藏修。誰知經綸之未成。遽被造物之顚倒。嗟人事之多妨。或天意之待時。天上文章。俄催玉樓之記。江左令望。俱傳峴山之名。韻自昔而有餘。彷彿田園之趣。芬至今而未沫。溯洄杖屨之踪。迺有令嗣寢郞。惟伸賢父遺志。桐栢鷄狗。皆稱董氏孝慈。梧竹鵠鸞。奚但馬家賢秀。反初服而肯堂構。警頹俗而爲楷模。招工人而子來。成功也孔易。列峰巒而孫立。開址亦何難。花溪上草堂。曾有子美之高致。芒碭間樹屋。復見申屠之遺風。八隅而一間。川陸改色。申坐而寅向。林巒增光。瞻瑞石之巍峨。慕鉅人之畜德。挹洞庭之浩渺。想道家之㴱源。左史右經。存心乎箕裘之業。種花排石。寓目而羮墻之思。允爲爰處爰居。正是善繼善述。斯陳善誦。助擧脩樑。兒郞偉抛樑東。聳出三峯入半空。八景四時幽興富。天公不負主人翁。兒郞偉抛樑南。野色無涯海氣㴠。掃盡頑雲眞面露。簾間新月照寒潭。兒郞偉抛樑西。桂樹枝稠也碧捿。醫俗時時閒採藥。暮歸林下聽烏啼。兒郞偉抛樑北。架上圖書一太極。靜裏默探賢聖旨。此間此樂有誰識。兒郞偉抛樑上。美村牛山苟得養。手植梧桐如許大。鳳兮君子問其像。兒郞偉抛樑下。活潑襟懷自爾雅。時撫瑤琴還不彈。穴然留待知音者。伏願上樑之後。猿鳥不驚。虎豹遠跡。課忠責孝。不墜古家之風。刻意存心。俾垂後生之戒。非徒石益幽而棟彌鎭。宜其山與高而地不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蓮坡亭上樑文 遐擧而尙肥隱。久傳林居風。肯構而不棄基。爰起蓮坡榭。地不忍廢。境與情通。緬惟金居士聾窩。樂濱高踪。光山華閥。繼文正瑞軒之緖。曰孝曰忠。結樵叟漁翁之隣。惟勤惟約。願學顔氏之四勿。允合乎聾。不換世人之三公。所尙者志。心上之經綸每起。胸中之邱壑不忘。言念賢父藏修之。方必有是子繼述之地武夷山上。每仰晦翁之茅棟成。浣花溪頭。尙說杜老之楠堂起。相彼一區之古洞。結此數間之新亭。愛蓮說兮。古著周子之意。登皐嘯矣。復舒陶公之情。天乎降祥。當此戊年戌月之吉。地亦爲利。卜他亥坐巳向之居。翠盖飜葉心。或者錢塘是也。紅荷泛水面。疑其玉井然乎。超工人而爭來。離婁繩公輸削。擇良材而必取。新甫柏徂徠松。奚但軒外之玲瓏。遽見眼前乎突兀。講詩學禮。不墜靑氊之遺䂓。飮水樂飢。可見素志之固守。愛彼花中之君子。誰同亭上之主翁。集芙蓉爲裳。問屈子之騷客。駕葉舟泛水。伴太乙之眞人。別有象外之乾坤。剩得閒中之日月。以蕙蘭而爲佩。聞淸香於遠方。詠兼葭而有懷。溯賢人於中沚。肆述短引。助擧脩樑。兒郞偉抛樑東。三角山頭曉日紅。君子蓮兮誰愛者。融融和氣坐春風。抛樑西。起看霞{牧/鳥}與飛齊。洋洋江水平如鏡。自此行人路不迷。抛樑南。忽瞻瑞石石巖巖。談碁携酒無塵俗。盡日北窓幽興酣。抛樑北。峯有蓮花高且直。轉轉荷珠如一貫。箇中至理定難識。抛樑上。嶺松園竹也相向。太冬雪裏猶含翠。爲說高人這氣像。抛樑下。架上遺書古董賈。蓮以爲名名不偶。淸閒意味少知者。伏願上樑之後。千靈陰護。百祥幷臻。爰處爰居。正合斯干之頌。在阿在澗。永矢考槃之詩。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