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무오) 二十六日 戊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기미) 二十七日 己未 맑음. 보리를 베도록 명령하고 손자아이를 돌봤다. 陽。命刈麥。 護抱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경신) 二十八日 庚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신유) 二十九日 辛酉 먼저 맑다가 나중에 흐림. 보리타작을 명했다. 先陽後陰。命打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을해) 十五日 乙亥 반나절은 흐리고 반나절은 맑았다. 이한직과 국기용이 함께 왔고, 엄지순도 왔다. 半陰半陽。漢稙・基瑢同來。 嚴之淳又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정축) 十七日 丁丑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기사) 七日 己巳 반쯤 흐리고 반쯤 맑음. 〈군석(君奭)〉편을 읽었는데, '고인은 질박함을 숭상하기 때문에 이름을 많이 불렀다.[古人尙質, 故多名之]'51)라는 구절을 읽고서 지금 세상에서 서로 이름을 부르는 것이 반드시 장래에 질박함을 숭상하는 기미가 될 것임을 알겠다. 半陰半陽。讀〈君奭〉篇。 見'古人尙質。 故多名之'語。 知今世相稱名。 必將來之尙質之幾。 고인은 …… 불렀다 ≪서경(書經)≫ 〈주서(周書)・군석(君奭)〉편 제1장에서 '주공이 대략 말씀하시길 군석아![周公若曰君奭]'의 전(傳)에 "군(君)이란 높이는 칭호이고, 석은 소공(召公)의 이름이니, 고인상질하여 상여어에 다명지하였다.[君者, 尊之之稱, 奭, 召公名也. 古人尙質, 相與語, 多名之.]"라는 내용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을사) 十六日 乙巳 맑음. 미륵동(彌勒洞)171)에 있는 선산에 성묘하러 갔다가 해질녘에 집으로 돌아왔다. 이날 이병규(李秉圭)가 관광으로 일본을 가는데 어엿하게 시가 이루어져서 일본에 전하고자 하였다.한 하늘 아래에는 천자를 두었으니(一天之下作元后)제후의 등급인 우리나라는 사대하는 것이 이치였네(候等吾邦事大理)만국(萬國)이 개화함에 동열이 된 것이 의인데(萬國開和同列義)우리 임금을 자리에서 밀어내니 이 무슨 이치인가(擠我君位是何理)병규(秉圭)가 이미 먼저 출발해버렸기 때문에 전할 수 없으니, 다만 통한스러움이 끝이 없다. 陽。 作彌勒洞先山省楸之行。 斜陽還巢。卽日李秉圭。 觀光日本之行。 居然成句。 欲傳日本。一天之下作元后。候等吾邦事大理。萬國開和同列義。擠我君位是何理。秉圭已先發行未及。 而但痛恨不已。 미륵동(彌勒洞) 광주광역시 서구 미륵동을 말한 것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경진) 二十四日 庚辰 흐림. 비가 올 것 같더니 오지 않았다. 陰。欲雨而未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신사) 二十五日 辛巳 맑더니 일리(一犂)의 비가 내렸다. 陽而雨一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임오) 二十六日 壬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갑신) 二十八日 甲申 맑음. 장동에 도착했다. 밤에 비가 내렸다. 陽。到章洞。夕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신묘) 七日 辛卯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임진) 八日 壬辰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계사) 九日 癸巳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갑오) 十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松齋銘 【並小序】 鳴呼。今日何日。讀書種子。幾乎絶矣。而故愼窩姜翁。與其里中同志。剙立村塾。月松齋是也。村之後生。不墜翁之志。講讀之聲。尙洋洋乎不絶。苟使齋中諸生。益加其工。則齋可以不朽。較諸月而月與之長。在問諸松而松與之不變矣。吾將握筭俟之。而以蕪語勉之。綿城之西。有塾屹然。村秀才子。耕斯硯田。展葉之蕉。聞香之蓮。實地立脚。顧名思義。如月之白。如松之翠。征邁交勉。爾我同志。勿爲搖奪。已立赤幟。醫此病俗。架上有書。風雨長夜。晨鷄起余。曰後十年。入室其人。嗟哉冠童。却坐了春。使齋益高。願入于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南精舍上樑文 自天作之靈境。超人世之囂塵。獨見昭曠之原。亦寓窈窕之趣。非今伊始。在古猶然。別業南康而誦茂叔之光霽。爲窩安樂則仲卲子之挻豪。伊川溯龍門八節灘。晦菴歌武夷九曲水。乃有海東高士。實是石南主人。爲石翁之肖孫。傳詩禮之訓。及藘門之高弟。尋道德之源。覔古寺之遺墟。神護鬼秘。待碩人之高隱。境與情通。非直肥遯之資。以爲講道之所。惟我泉石地。卜此山之南。樂爾英材。人學中國之北。扄以碧峀。正宜養眞。蔭以白茅。不欲盡美。子趍父事不日經營。祖抱孫枝太古峯嶽。午向而子坐。納吉祥之無窮。左控而右旋。合藏修之有道。思吾道之南矣。南望錦城。戒異端之西兮。西指佛甲。龍江之水活活東馳。魚登之山峨峨伴立。周遭騰踔於北曰。聳珍之秀光。慇懃都會於斯。見扶輿之淑氣。西河絳帳。古有端干木之廬。北海靑衿。今復鄭康成之宅。掃蹄跡於義路。看麋鹿於道場。薇蕨偏生。可救伯夷之餓。松栢獨秀。靜聽康俟之風。衛風考盤之詩。爲著賢人之室。秦代桃源之水。不辨漁郞之舟。山當益爲深。西屏東郭。書當益有味。左史右經。是知非絲非竹之歡。偏得樂山樂水之志。討丹安素。未知無懷氏葛天氏之民歟。掃黛排靑。不譲方丈山蓬萊山之靈矣。載贊虹樑之擧。爰伸燕賀之辭。兒郞偉抛樑東。睡覺睛窓照日紅。不換三公惟一樂。名山韻水在其中。兒郞偉抛樑西。銘有橫渠耿不迷。靜梩深思這箇意。暮鹽無妨又朝虀。兒郞偉抛樑南。活潑鳶魚萬理㴠。枕下流泉頻洗耳。塵間消息不相參。兒郞偉抛樑北。時習諸生有矝式。花落花開推古曆。三韓山古倍生色。兒郞偉抛樑上。開闔風烟千萬狀。庶或遇之仙子跡。猶聞笙鶴時來往。兒郞偉抛樑下。石友竹君同結社。佛界遺塵淸且潔。松燈永夜誦詩雅。伏願上樑之後。簷宇惟精。林巒增采。說詩敦禮。立堂室之䂓模。居仁由義。與山水之長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安君文哉序 安君文哉。牛山先生裔孫。而篤守遺範。以妙年而頗有志於學問。方讀中庸。文理己透。所見卓然。醴泉有源。正謂此耳。曰示我以其意。曰河海之廣大。始於細流。山岳之高峻。由於拳土。善哉斯言。凡物莫不皆然。而其於讀書之道。尤爲切譬。細流而至河。拳土而爲山者。都在於至誠無息。曷嘗有不菑而畬。不耕而穫哉。雖然君己見大旨。當實心做去。如飢而思食。寒而思衣。今日如此。明日又如此。今年如此。明年又如此。無所間斷。俾作平生家計。則今日之細流拳土者。不期河而爲河。不期山而爲山。之河也可以充群飲之腹。之山也可以副仰止之首。蓋是難仰他人。惟在自己之用力如何。朱夫子嘗曰。少日粗有時望。晚年往往不滿人意。正坐講學不明。不見聖門廣大規摸。此爲喚惺人處。故爲君誦之。君其勉乎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本立齋記 恭惟我靜菴趙先生。接洙泗洛閩之統。爲道學首倡。以啓東方斯文之運於無彊。蓋得先生一言之褒者。榮於華袞矣。故月影朴公。貫咸陽。諱以洪。中正德生員。先生嘗以用心醇謹。孝弟夙著八字。入於薦目。於是乎。公之爲公。可槩。當時之譽望。昭乎若日星。而戈至于今。尤以簮纓閥閱。詩禮古家。望于湖南。則其非月影公之餘敎。閱千秋而不晦者歟。本立齋。在昌平縣鷹峯之下桐江之上。卽月影公七代孫諱璨公墓下也。公孝友天植。早廢擧業。隱居養親。樵山漁水。有古董生之風。而嘗曰古人一日養。不以三公換者。正道得奉老之歡。殫竭誠力。克養志體。與其弟兄至老白首。同居一室。藹然和氣。合儔於姜肱之長枕大被。藉藉於鄕里之公評。久而猶傳。令聞彰著。山與之高。水與之長。是齋也。爲其墓祀齊潔。且爲聚族講業之所經紀非一日。而乙卯秋。始克有成。朴君在環甫。奉其門長老致翰氏。及其宗孫映鎬氏之命。來謀記以傳後。余重其題目曰。本立之意大矣。人苟從事於孝弟。則爲人。不能從事於孝弟。則難爲人矣。今朴氏之門。以孝弟爲實地。其先祖焉以是傳之於子孫。子孫焉以是受之於先祖。不匱錫類。本立乎本立乎。春秋霜露之感。衆人所同。而能立其本。有補於世敎者。朴氏所獨也。不佞於朴氏。旣有先誼。且於映鎬氏及在環甫。尤托新禊。終不以文下辭其請。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