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2년 정한규(丁漢圭)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壬戌 丁漢圭 이원창(李元暢) 壬戌 丁漢圭 전북 남원시 [印] 1.3*1.1 1개(적색, 타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2년 1월 20일에 정한규(丁漢圭)가 이원창(李元暢) 앞으로 써 준 계약서 1922년 1월 20일에 정한규(丁漢圭)가 이원창(李元暢) 앞으로 써 준 계약서(契約書)이다. 정한규가 이원석으로부터 백미 40두(斗)를 빌리면서 작성한 것인데, 정한규가 이 백미를 차용하게 된 이유는 분명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한다. 물론 정한규가 이 백미를 빌린 후, 이 백미와 본인이 필요한 다른 물건과 교환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하지만 본 계약서를 작성한 시점이, 이른바 보리고개로 불리는 1월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럴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한편 정한규는 이원석으로부터 백미 40석을 빌리면서 4부의 이자를 부담하겠다는 약속을 하게 되는데, 40석의 4부라고 하면 4승(升)이 되는 듯하다. 하지만 이 4승이 매달 부담해야 하는 이자인지 아니면 갚을 때까지의 전체 이자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전체 이자를 가능성이 많다. 만약 위 4승이 매달 부담해야 하는 몫이라면 분명 "월사리(月四利)"라고 적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본 계약서의 내용에서 한 가지 궁금한 대목이 있다. 그것은 정한규가 이원석으로부터 차용하는 백미를 언제까지 갚겠다고 약조(約條)한 부분이 없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계약서를 보면 상환 기일을 분명히 명기하는 것이 관례인데, 본 계약서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9년 정원백(丁元白)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八年 賣渡人丁昌斗父丁元白 大正八年 丁元白 전북 남원시 [印]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9년 음력 11월 18일 정원백(丁元白)이 작성해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1919년 음력 11월 18일 정원백(丁元白)이 작성해 준 영수증(領收證)이다. 전북 남원군(南原郡) 보절면(宝節面) 도룡리(道龍里) 488번지에 있는 전(田) 477평(坪)과 남원군 보절면 도룡리에 석침(石砧) 1개의 값으로 받았다는 내용이다. 석침이란 다듬이 돌을 흔히 말하는데, 여기서는 그게 아니라 상석(床石)과 같은 커다란 돌을 의미하는 것 같다. 한편 본 영수증을 써 준 정원백은 스스로를 정창두(丁昌斗)의 아버지라고 적고 있는데, 정창두가 직접 영수증을 작성하지 않고 아버지 정원백이 대신 써 준 이유가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추측컨대 정창두가 본 계약서를 작성하는 날, 어떤 사정으로 인해 현장에 나오지 못하였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촉석루운(矗石樓韻) 고문서-시문류-시 교육/문화-문학/저술-시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진주 촉석루에 대하여 누군가 지은 7언 율시 경상남도 진주(晉州)에 있는 촉석루(矗石樓)에 대해 읊은 7언 율시(律詩)이다. 당연히 전체 56자로 이루어져 있다. 작자(作者)는 알 수 없다. 완성된 작품은 아니고, 초고(草稿)인 듯하다. 특히 뒷면에 다른 시 구절이 적혀 있는 점을 보아 더욱 그렇다는 느낌이 든다. 아닌 것 같고, 초고를 옮겨 쓴 것으로 추측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22년 정창두(丁昌斗) 계약서(契約書)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十年 丁昌斗 이주사(李主事) 大正十年 丁昌斗 전북 남원시 [印]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2년 음력 11월 6일에 정창두(丁昌斗)가 이주사(李主事) 앞으로 작성하여 준 계약서 1922년 음력 11월 6일에 정창두(丁昌斗)가 이주사(李主事) 앞으로 작성하여 준 계약서(契約書)이다. 계약 내용은 올해, 그러니까 1922년의 소작료(小作料) 15두(斗) 4승(升) 5홉(合)을 내년 9월 회일(晦日)까지 갚겠다는 것이었다. 앞으로 10달 후에 주겠다는 말인데, 그 시점에 정창두가 이주사에게 주어야 할 도미는 이자를 포함하여 21두 6승이었다. 이자가 거의 6두에 육박한 셈이다. 결코 낮지 않은, 비상식적인 이율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한편 정창두가 올해 도미를 제 때 해결하지 못하고 내년으로 미룬 이유는 전혀 알 수가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16년 소병옥(蘇秉玉) 계약서(契約書) 1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五年 契約主 蘇秉玉 大正五年 蘇秉玉 전북 남원시 [印] 1.0*1.0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6년 8월 21일 소병옥(蘇秉玉)이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1 1916년 8월 21일 소병옥(蘇秉玉)이 작성한 계약서(契約書)이다. 먹을 식량이 부족하여, 본 계약서를 받게 되는 상대방으로부터 대맥(大麥) 15승(升)을 빌리면서, 이를 한 달 후인 9월 28일가지 갚기로 한다는 내용이었다. 다만 빌렸던 대맥으로 갚는 것이 아니었다. 대맥을 돈으로 환산하여 3량(兩) 7전(錢) 5분(分)을 지불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계약서에 나오는 "이가상득(以加上得)"이라는 표현이 보이는데, 이는 "추가로 얻어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소병옥은 이전에도 본 계약서의 상대방으로부터 곡식을 빌렸다고 보아야 한다. 그렇다면 이번에 소병옥이 지불하기로 한 3량 7전 5분은 이제까지 빌린 모든 곡식의 값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11년 한현모(韓賢模) 영수증(領收證) 고문서-증빙류-영수증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明治四十四年 證主 韓賢模 明治四十四年 韓賢模 전북 남원시 [印] 1.0*1.0 3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1년 1월 1일 한현모(韓賢模)가 작성한 영수증(領收證) 1911년 1월 1일 한현모(韓賢模)가 작성한 영수증(領收證)이다. 이교정(李敎政)으로부터 150원을 천천면(天川面) 춘동리(春洞里) 천잠평(天蠶坪)에 있는 수참(水砧) 값으로 수령한다는 내용이다. 수참이란 물레방아를 말한다. 한편 천천면은 장수군(長水郡)에 속한 지역인데, 본 수참을 매입한 이교정은 남원 거주자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교정의 이름이 호적대장(戶籍台帳)에는 성관(成寬)으로 적혀 있다는 내용도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14년 김남석(金南石)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大正三年甲寅陰十月十三日 金南石 大正三年甲寅陰十月十三日 金南石 전북 남원시 [指章] 1개 1.0*1.0 1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4년 음력 10월 13일에 김남석(金南石)이 장수군(長水郡) 상번암면(上番岩面) 상북리(上北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914년 음력 10월 13일에 김남석(金南石)이 장수군(長水郡) 상번암면(上番岩面) 상북리(上北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김남석은 자신이 매득한 장수군 상번암면 상북리 장치평(長峙坪) 주자(宙字) 40번지 논으로 6야미(夜味)되는 곳과, 장척평(長尺坪) 주자(宙字) 천이(天二)번지 논으로 4야미되는 곳, 그리고 치동평(峙洞坪) 주자(宙字) 38번지 논으로 3야미되는 곳을 모두 30원 40전에 팔았다. 매매 당시 매득 문기 2장을 매입자에게 건네주면서 나중에 이 논을 두고 다툼이 있으면 이 문서로 바로 잡으라고 하였다. 문서 작성할 때 논주인 김남석과 장수군에서 대표로 김성진(金成辰), 보증인으로 김광칠(金光七) 등 3인이 참여하였다. 논이 거래된 상북리는 오늘날의 장수군 번암면 국포리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冬至曉。梅巢先有一詩。即席和吟。 閱盡風霜八齒酸。孤燈耿耿語辛艱。仁者爲山須惜簣。高人樂水必觀瀾。杯中酌酒淸而淡。地底聞雷咏復嘆。從此微陽消息至。也知一智長於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松沙先生 師門繩祖武。德業廣而醇。學則羲軒古。源尋閩洛眞。大義援時溺。高風掃俗嗔。松栢康侯節。簞瓢顔氏貧。沙上淸湖水。諸生坐了春。更把淵明筆。寫來菊露晨。吾道將隳緖。嗚呼喪哲人。已矣蓍龜失。其何世路屯。哀我愚昏質。非徒族誼親。念昔秋陽曝。隔江好接隣。倥倥未卒學。白首病淹身。山頹無所賴。哀淚只沾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七言古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魯仲連 窮廬歷數古今史。千萬人中無一士。日暮人間何世界。縱橫六國頹綱紀。片言能却帝秦說。惟有魯連子崛起。捨生爲國辨魚熊。先義尊君分尺咫。鳥飛雲漢高擧矣。豹在山林長嘯耳。東海水兮萬古濶。死賢於生長不死。乃獸乃禽富貴客。朱門桃李片時紫。懷中明月長無晦。棄彼五城脫如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揚雄 人心危處道心微。惟一惟精戰勝肥。平生妄謂聖人似。毫釐差之千里違。太玄經著尙爲白。可笑僭王吳楚歸。假仁飾邪背繩墨。捨正不由歎脂韋。還畏威焰爲鳳誣。徒貪香餌死魚磯。晦翁直筆詔千載。一部春秋同日輝。子雲當世逢子雲。覆瓿其言先識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2)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參奉【甲寅】 心交在前。面討在後。昨冬造穩兩地。情誼深於一節。況高明之儀表言論。望實俱隆。優以爲老先生脚下有賢孫矣。歛衽庸有旣乎。謹不審經體萬寧。令胤弟兄。怡愉安侍。竊念胤友。才藝超凡。文詞炫耀。于以見詩禮之訓。加於人一等者矣。欽艶欽艶。雖然益加鞭策。期圖大成。就使吾黨後生。有所模範。如何如何。世弟。素是善病。添得一病於自那回路。今始擡頭。餘戒尙存。悶人悶人。嶺湖雖云相間。以尺牘源源。則千里可以隣比。望須惠以德音。警此寂寞之懷。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承旨 月正北樓下別依然。是文通賦中景。而其特賜枉之約。不啻丁寧日日。翹首望望。尙跫音寂然。只因便聞信。古所謂不見其人。隔墻鳴珮者耶。悵誦忉忉。伏維比內令體。視饍萬腴。普覃勻休。仰祝慥慥。弟賤格本態。日遊於睡鄕。眞朽木而已。望須速惠一枉。勿至食言之肥如何。若爾。則當設醴恭俟矣。勿之作食肥金承宣焉。仰呵仰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承旨 昨冬至月。因郵聯寄。令族起巖兄。書修呈。未知入鑑否。歲已獻春。戀德之懷。倍蓰于異時。謹不審令體上康福。鄕候種種承安。貴門諸節。濟濟告寧。仰溯之忱。不以山川間之。弟添一年。而鬢益絲。有何善狀也。惟一門粗無顯警。是慰是慰耳。第悅亭韻。令兄所惠。膾炙于湖省。不啻若金石聲矣。且托于令宗孫寢郞請其韻若序矣。過一年而尙無回柬。鬱鬱若未爬癢。起巖兄。亦無答矣。若逢筵。爲佈平安字。而俾圖韻若序如何。亭主人有累囑。故玆不免再瀆耳。餘非楮毫可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參奉【胄煥】 室邇人遐。詩人先獲我心。曷禁悵悵。謹請炎天。棣度崇衛。仁庇勻禧。昻禱之忱。食息靡間。弟昔者賤劣。無容更評。第中伏之枉。兄旣諾矣。每每念到。足使病暑者。濯淸而蘇矣。屈指算日。伏也在邇。爲此仰瀆。望須陪令仲氏丈。伴梅仙。賁然之。以圖一日淸遊。則亦可爲缺界一樂事。另圖之。千千仰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參奉 昨冬惠書。問我病者。非吾兄歟。繾眷之誼。字字可掬。而顧此過境風浪。去死一髮。未暇修謝。雖在厚恕。而亦不可以恃此而自宥其過。謹審邇天。菽水康騭。省棣候怡愉湛旺。令胤安侍勤做。昻禱之私。不須少弭。弟功服人。去月哭仲姊喪。痛摧到底。而昔疾尙未快袪。活埋于藥裹中。是豈陽界況味耶。只自任之而已。因便聞信。非不種種。而面討已隔歲。古所謂隔壁聽論者。非是之謂耶。望須賜枉。以紓襞懷。則庶可我心卽悅。掃榻企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挹爽樓韻【二首幷十景】 峩峩錦岳最雄州。勝在濚江又一樓。鷗夢三更通北極。鵬圖萬里下南洲。客能醉後同其樂。士則知先必曰憂。自顧煩襟遙覺爽。願言羾濯共君留。高潔襟懷㧞俗流。仰爲山色俯長洲。醉樽月下人如玉。漁笛聲中客倚樓。獨立仙緣惟適志。偏來爽氣輒消愁。江湖風物今如古。應使子長學子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主事【堯重】 日昨惠幅。如獲金鎞。霧眼忽明。仰認南極老人。偏照於春堂。回甲晬辰隔宵。草誠根天。彩舞稱慶。其爲賀也孰大於是。弟當造賀於壽斝之筵。而適有些碍。竊爲追賀計耳。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