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美人 漢水寒梅入夢頻。昔年醉過杏園春。範公不是江湖志。北斗蒼蒼望美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瑞石晴雲 石氣淸凉擁小廬。無心過處太徐徐。箇中識得山翁跡。淡淡衿懷世與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堂暮雨 金波忽洗玉山靑。斜日石門不辨形。行止無端關雨脚。伊今始覺世人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巖松濤 中夜波濤忽送雨。却疑變化在淵龍。遲遲澗畔靑如許。噴雪挺然秀大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淸溪柳煙 遲遲麗景日欣然。風際垂絲細織烟。精彩千年猶不滅。程翁曾是所過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高春岡【鼎柱】波字韻 苦海無涯或起波。須從道柁戒如何。重陽佳興誰先着。八斗文章子獨多。良金不入庸工化。驥馬終成伯樂過。方夜讀書頻擊節。秋風蕭瑟發爲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梅巢陶軒【尹秉】共話 襟懷放曠若披雲。論史談經日已醺。美玉誰知藏櫝寶。淸風忽覺纈簾紋。無端釰學吾今老。有意琴須子與分。秣馬膏車留後約。城南茶酒預謀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長城倅金演夏先稿刊出時志感【二首】 子雲必待子雲推。存髓去毛以後辭。蠖步已伸燕野日。牛刀少試武城時。櫝中寶玉光無晦。谷裏幽蘭發不遲。賢父基成肖子構。縹箱貯處㧾知之。蠹魚不蝕已經年。臠味從知一鼎全。短句沉吟長句續。前篇櫽括後篇廷。緖謨遺業多餘地。濟美深誠見率天。石室蘭臺從此富。剞工如畵壽其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元團會【二首】 上元佳節不曾空。淸潔家家已送窮。俗尙踏橋傳有古。歌登賣暑曲何終。高樓誰愛三更月。大壑偏憎盡日風。白首相逢頻促膝。開聾喜付酒杯中。賞雪前山化雪峰。風光何似少留龍。老松經歲猶論志。古木新春必敷容。貯史君爲千古服。耽吟我到五更鍾。梅翁蘆弟爭相和。仙在蓬萊不遠踪。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野老 僻地吾廬路且回。梧桐樹下竹扉開。酒兵有力良辰會。詩令難違甲乙來。五月疑秋風在扇。三更如晝月盈臺。無端釀出新淚。畵角聲中志士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江村 山自峨峨水自流。龍江一曲轉爲幽。曾聞遠害看遊鹿。更欲忘機愛泛鷗。雄志應多同蠖屈。高才愧乏釣鰲鉤。讀書學稼猶云足。好事何須此外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鄕校重修韻【二首】 聖廟煥然壁水涯。吾州近古誦家家。老梧增價欣迎月。講樹留香自在花。靑蓮詩品無雙會。黃覇治行第一衙。芹曝深誠遙望北。堯天舜日復光華。良時文會復城西。風月無邊暮柳低。曾聞美玉藏於櫝。更沂眞源渡盡溪。殘蘂粘泥宜蝶掠。繁陰如海許鶯啼。勝事何妨千日醉。未愁天際路俙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閔輔國【泳煥】殉節吟 但知有國此身輕。就義從容見道明。英魂千秋長不死。孤忠一代賢於生。其摧樑木無窮淚。應作星辰更仰情。庶幾吾皇匡復業。泉臺也報再昇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咏桃 領略繁華立小溪。探春歸客醉魂迷。風和盡日聞香襲。雨洗淸晨掛錦低。芳姿特地能傾國。無語邀人踏盡蹊。灼灼園中非所取。著書曾入范公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奎軒共吟 謾學南豊不解詩。喜開靑眼有如期。從古賣氷堪自笑。三年抱瑟愧無知。樹裏風微鶯夢穩。溪邊泥滑客來遲。行到竿頭須更步。好將義理仰思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外舅 歲窮寒緊。下懷慕仰。於斯尤深。伏未審辰下。靖養體候康寧。諸度靖謐伏禱。外甥身免疾恙。而以外縮眉之事。式日踏至。無乃苦海中茶飯。不必仰達。就先集續刊之役。年前告畢。而爲時騷所礙。今玆一帙仰呈。鑑納如何。每讀至先外祖忠烈公詩句。發揮於敘述。篇上。一唱三嘆。令人興起。秋陽江漢之思。藹然而生。兩家。因勿替世好於來百。則何幸何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外舅 省禮言。曩日拜違門墻。下懷愴悢。迄未祛于中也。伏未審朝晡屢禪。服中氣體候。不瑕有損於震撼之餘。而諸儀勻宜。伏溸區區切。伏念襄期算在是月中。每庸蔔其地吉擇其日良。爲之默禱者至矣。願聞者切矣。似聞於內簡轉便。則今月三十日擇行襄禮云。敢問卜地在何地。吉否付之不知。而不知之中。卜云其吉否。伊時當會葬。以哭以慰。而果未知遂忱無魔矣。外甥老親。恒多不安節焦悶。而惟以二兒不病爲慰耳。謹上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外舅【壬寅】 省禮言。尊仲氏監役公。襄禮筮日迫爾。伏想哀痛孔懷之情。尤難堪遣矣。伏不審服中體候康保。伏忱倍品。外甥慈顔。恒多欠寧。焦悶而身。亦不可曰不病乎而已。擬諸奔慰執紼。而勢如右。末由遂素。撫躬忉怛。負負大矣。伏祝寬喩自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宋止齋 離索久矣。頹乎無聊。適有黃鳥止于邱隅。慇懃喚友。砭此俗耳。旣而惠翰與瓊章一軸。翩然入門。是乃止齋文兄。不忘春潭損友而然歟。仰感且荷。向所謂止邱之鳥。曷嘗及此德音之珍重耶。但以陋巷之春。百花之潭。擬比於百無似之一春潭。此是君子一言不知矣。而媿汗沾衣。仰維族窓所做。漸入眞境。尼岳月亭。更高一層。古云西蜀江山之幸。非此之謂歟。竊爲昌平山水。賀賀不已。蘆沙先生墓道碑役之議。儘是斯文盛論。風雨長夜。晨鷄消息。但克終爲難。其非相勸勉處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오년(庚午年) 윤종호(尹宗鎬)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午二月三日 尹宗鎬 庚午二月三日 尹宗鎬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경오년(庚午年) 2월 3일 윤종호(尹宗鎬)가 보낸 서간(書簡). 경오년(庚午年) 2월 3일 윤종호(尹宗鎬)가 보낸 서간(書簡)이다. 서로 가깝고 반악(潘岳)과 양씨(楊氏)처럼 교분이 있어 두 집안이 봄바람 같은데 더구나 아껴주니 매우 감사하다며, 자신은 부모님을 모시고 그럭저럭 편안하다고 하였다. 옥 같은 상대방의 아들은 부러움을 사고 후의(厚意)로 보내준 물품은 자신에게는 사치스럽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