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丈文才 哀我先妣小祥。伏蒙俯賜慰問。執疏以感。繼之以泣。罪矣罪矣。厥翌省楸。適有事先壟。因留山下數個日而還。德也徑發。不得上謝。陡覺悚恨。迄庸不瘳。今玆追達。不敢曰贖。謹伏問養德體候。燕息康騭。寶覃齊禧。仰慕區區。不任哀忱。孤哀子頑命不絶。冠裳業已就練。忍見秋露釀霜。尤極痛霣耳。就年事見聞均登。貴庄消息。不聞而已卜矣。玆送家少輩趨候床下。望垂頂訓。恐未知如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梁草史 東準。自纏風樹。仰念先人同志。惟下執事。巋然爲矝式。平昔仰止。奚啻百倍。況於先妣襄時。枉屈尊德。筋力下吊。大事頼以克襄。感泐哀腔。愈久愈深。擬卽趨謝。而淺誠。兼又魔障。因循失圖。於焉歲暮。嚮慕之極。繼之悚息。伏不審難老體候。衛道康騭。胤君弟兄。亦得怡愉勤課耶。聞他副詩禮篤訓。優優於鳳毛。苟能充之。其進可量。伏禱區區。何等仰賀。孤哀子一縷頑命。不滅不生。叩呌靡及而眷則不言故耳。謹探安節。以達寸悃。尺紙曷能盡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日新【義林】 夙仰望實俱隆。柯則吾黨。敢獻勘校。望紙。日俟下風矣。伏拜翰命珍重。慕賢之誠。扶陽之道。溢於幅上。俯讀仰思。服膺無斁。生等百無肖似。猶有秉彝。上不全泯者存焉。從事于刊役。一年于玆。而人微誠淺。尙遲告畢。悚汗沾背。第念君子一言。能使警頑立懦。今以後奉以周旋。終不虧一簣功。則其受賜。奚啻大哉。伏望時惠明敎。以幸吾道。恐未知如何。伏惟比令。經體損節。知是旡五。而仰祝速喜康福。以副遠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 招招謝眺心千古。缺屐時登屋後山。司馬老生淸福厚。居然泉石此心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五言四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梁元淑【會甲幷小序】 嘗讀我先祖高峰先生。挽管押使梁公章。惟公熊豹之姿。山河之量。百世之下。不覺景慕而欽誦矣。日公之後孫元淑。訪我於龍江之濱。年少而行高。瑰瑋卓犖。不問可知其丹穴零毛。聖人所謂後生可畏者。非此之謂歟。且惠我以四韻一首。笙簧厥聲。逈出於塵埃之外。玆以蕪辭二絶續和。學圃曾爲經學祖。遺風餘韻入人深。醴源不竭君承繼。佇見芭蕉日展心。善學先生何處是。亭亭門柳欲成林。且須磨盡匡山杵。每到風情莫浪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君景儒。贈我以二絶。語甚瀏亮。以登程發軔之晚。以寓其意。蓋自知其晚。則可知其前路有無限好意思。強爾傚嚬。以供一粲。 惟君不棄病頽身。刮眼欣逢際暮春。魚躍鳶飛隨處好。天機活潑示爲人。報客山門起此身。開懷爛熳座生春。願君更進竿頭步。道在於斯不遠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拈韻代話 衣冠眞率會於玆。言志依如皷瑟遲。范老安爲湖上樂。袁安倍切雪中悲。剪紅帷燭更深報。含翠庭松歲暮知。不及非徒三十里。君詩絶妙較娥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7년 이홍기(李泓器) 방매(放賣)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光武十一年 家垈主 幼學 李泓器 光武十一年 李泓器 전북 남원시 [手決]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07년 11월 6일 이홍기(李泓器)가 작성한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1907년 11월 6일 이홍기(李泓器)가 작성한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이다. 집안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가대(家垈)와 체사(體舍) 3칸(間), 곳간(庫間) 2칸(間), 호저(護邸) 3칸(間), 몇 그루의 대나무와 뽕나무 그리고 망자(忘字) 들판에 있는 전답 등을 170량에 매도한다는 내용이다. 다만 누구에게 판다는 것인지, 다시 말해서 이홍기가 파는 위의 물건들을 사들이는 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가 없다. 한편 이홍기는 스스로의 신분을 유학(幼學)이라고 칭하고 있다. 유학이란 일반적으로 관직(官職)이나 품계(品階)를 지니지 못한 양반을 지칭하는데, 조선시대에는 양반이 어떤 물품의 거래에 직접 이름을 적는 예가 흔치 않았다. 하지만 이런 관행은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점차 사라지고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6년 박경칠(朴敬七) 표(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丙午十二月初二日 朴敬七 丙午十二月初二日 1906 朴敬七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06년 12월 2일에 박경칠(朴敬七)이 작성한 표(標). 1906년 12월 2일에 박경칠(朴敬七)이 작성한 표(標)이다. 박경칠이 갑오년 이후부터 밀린 도조(賭租) 484냥 8전과 그동안 연체한 129냥 4전 5푼을 낼 방법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가대(家垈)와 시장(柴場) 일부분을 담보로 하여 전당을 잡혔다. 문서 작성 당시 표주 박경칠과 증인으로 박경필(朴敬弼)이 참석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1916년 소병옥(蘇秉玉) 계약서(契約書) 2 고문서-명문문기류-계약서 경제-매매/교역-계약서 大正五年一月卄六日 蘇秉玉 大正五年一月卄六日 蘇秉玉 전북 남원시 [指章] 2개 1.0*1.0 3개(적색, 원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16년 1월 26일에 소병옥(蘇秉玉)이 작성한 계약서(契約書). 1916년 1월 26일에 소병옥(蘇秉玉)이 작성한 계약서(契約書)이다. 남원의 덕과면 금촌리 흑운평 2두지의 도조(賭租)와 빚 27냥 6전을 매년 30두씩 3년 안에 모두 갚겠다면서 작성한 계약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인년(甲寅年) 민홍식(閔洪植)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甲寅流火月初旬日 閔洪植 甲寅流火月初旬日 閔洪植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갑인년(甲寅年) 6월 초순에 사하생(査下生) 민홍식(閔洪植)이 보낸 서간(書簡). 갑인년 6월 초순에 사하생(査下生) 민홍식(閔洪植)이 보낸 서간(書簡)이다. 여름이 다 가고 가을이 다가왔는데 소식이 묘연(墓然)하니 그리움이 더욱 간절하다며 늦더위에 벼슬살이하는 상대방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그런대로 지낸다며 여름철에도 공부는 진전이 있겠지만 서늘한 기운이 생기면 하고 한번 명하여 보내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계약서

契約書 <연도>壬子</연도>陰三月三十日右契約事은右前非但<연도>戊申</연도>債條을不爲報給이라右前畓三斗落只을以原定參拾陸升으로耕作인바再昨年<연도>庚戌</연도>賭米을爲自逋야未給이고昨年<연도>辛亥</연도>賭米을亦爲自逋야干今兩年에賭米一升을未給야迄間催督이不知幾次이고又此畓土을亦爲移作야使不得秧板故로更爲懇請야昨年賭米條을不得不行秋成後에報上으로爲言고至於<연도>庚戌</연도>賭米야依昨年七月價야合價金伍拾兩肆戔을限十日報給이되如過限인면非但未得耕作이라雖爲秧坂이라도糞草價稱子價及自金을移作之費之日에不爲擧論이고兩年賭米價은一從畓示決處야報給홈契約主 <인명>蘇秉玉</인명>[印][印]土地所在面[官着啣]之廳[官着啣] 蘇秉阡</인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5년 이금강산(李金剛山)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 2학년 수업증서(修業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교육/문화-근대교육-졸업장 大正十四年三月二十七日 寶節公立普通學校 李金剛山 大正十四年三月二十七日 寶節公立普通學校 李金剛山 전북 남원시 3.5*3.5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25년 3월에 남원(南原)의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에서 이금강산(李金剛山)에게 발급한 2학년 수업증서(修業證書). 1925년 3월 27일에 남원(南原)의 보절공립보통학교(寶節公立普通學校)에서 이금강산(李金剛山)에게 발급한 2학년 수업증서(修業證書)이다. 2학년의 전과정의 수료하였음을 증명하는 수료증명서인 셈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31년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 졸업증서(卒業證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교육/문화-근대교육-졸업장 昭和六年三月二十四日 巳梅公立普通學校長 菱田齊治郞 昭和六年三月二十四日 巳梅公立普通學校長 菱田齊治郞 전북 남원시 1.7*1.7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1931년 3월에 남원(南原)의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에서 발급한 졸업증서(卒業證書). 1931년 3월 24일에 남원(南原)의 사매공립보통학교(巳梅公立普通學校)에서 발급한 졸업증서(卒業證書)이다. 문서의 앞쪽 반절이 훼손되어 받은 사람의 이름을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남원(南原)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 기미일기(己未日記)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己未 己未 1920 南原 全州李氏家 전북 남원시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南原)에 거주하는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에서 기미년(己未年)에 작성한 일기(日記) 남원(南原)에 거주하는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에서 기미년(己未年)에 작성한 일기(日記)이다. 표지를 보면 기미일기(己未日記)라는 제목이 적혀 있는데, 기미년이란 1919년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일기는, "남원(南原) 전주이씨가(全州李氏家) 작농일기(作農日記)"보다 한 해 앞서 쓰인 것이다. 위 작농일기는 1920년에 작성된 일기이다. 본 일기, 그러니까 1919년에 작성된 일기는, 바로 앞서 소개한 1920년 일기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일기와는 그 성격이 전혀 다르다. 보통 일기라고 하면 거기에는 매일매일 일어나는 일을 기록한 것인데, 본 남원이씨 일기는 그것이 아니라. 소작인으로부터 받은 도조(賭租)를 정리하거나 혹은 소작인과의 금전 거래에 관한 내역이 정리되어 있다. 그러한 점은 제 8면에 보이는 "서학봉 태가 사량 오전 세금 육량구전육복(徐學鳳 太價 四兩五戔 稅金 六兩九戔六卜)"이라고 나오는 부분을 통하여 짐작할 수가 있다. 본 일기에 적힌 기록의 대부분이 이러한 내용이라고 보면 된다. 다만 한 가지 유념할 점은 하나의 면에 한 사람의 소작인에 관한 내용이 기재된 형태는 아니다. 한 면에 여러 사람의 일을 기록한 곳도 많다. 아무튼 본 일기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형태의 일기가 아니라 소작인들과의 거래 관계를 정리한 자료인데, 그런 면에서 본다면 본 일기는 소작기(小作記)라도 불러도 좋지 않을까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高良汝 疇昔金剛回。惠以數夜話。洗此十丈俗塵。尙此感鏤。感鏤之極。開此俗人口氣。唐突著數行文。五言長篇。必見斥於高眼。而萬物肖中。置此一不肖。或可爲一格歟。伏請秋潦。經體萬裕。各儀勻謐。昻祝者摯。弟昔吾今吾而已。美弟近遭菌慽。亦添愁緖之一端。俟晴日。修人事於仁里長老。而退與吾儕。徜徉於尼丘峯下計。而恐或與兄相違。故玆仰告。未知金剛仙官。肯納俗客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寸草心 寸草偏蒙雨露濡。色怡庭下又聲愉。可士可農爲一致。豈如宋野揠苗枯。是知忠孝可爲人。忠事其君孝事親。近思一物聊相贈。蕉葉庭前日日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踰松峙 流水潺潺又古松。短笻化羽挾登峰。吾人詩債藏之久。行到名區始啓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依柳於于蠧魚韻 嗟爾不爲丙穴魚。無端侵蝕古今書。其中悖說惟當食。更勿人間種子餘。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