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金晚惺 吳市欣尋梅福家。慇懃鄕語牛陰斜。盤中活水賢於酒。階上寒葩淡欲花。稀世英才藏櫪驥。暮年墨跡占衣鴉。天涯風俗同西域。髠髪痴人沙復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淸陰亭韻【附十景】 篔簹舘後又爲亭。歲暮登臨計晚成。詩禮後天能繼述。門庭長夜獨分明。風塵淆世誰同趣。嘯啄平生也暢情。白首滄桑空想像。襟懷猶自十分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塔立夜話 短笻彳亍踏懸崖。山海觀於漸入佳。白首重逢疑面鏡。靑年始許講心齋。新荀根固園全美。臥柳枝低水與偕。梅翁遺宅香無斷。精采依依被四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梅巢徃松汀停車場。搭火車向木淃。車中口占 宇內殘生氣鬱蒸。行行車路噴波興。堪歎世間奔六驥。其何秋後轉多蠅。眼前碧海還成沫。山裏黃昏忽露稜。千里非難如一里。自其變者揔爲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詠庭前紅桃 漁郞再繫武陵船。那識斯間別有天。暗使題詩成句艶。爭言掛錦滿枝牽。無加盡美靑春景。不斷生香白酒筵。看勿離披知食實。如論其價貨流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孔可隱原韻 溪山可隱日如年。仰止彌高聖廟前。綱利孜孜人苦海。洗心潔潔我甘泉。雲深何處言師去。月滿西湖伴鶴眠。九煎丹爈消息至。合於醫俗好相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向雲門庵冒雪而行 沙門曾啓上天雲。故使金剛捋與分。雪花着樹留龍計。䕺桂成林佯鹿羣。斯人憵合貪佳句。勝地遊宜解飮文。妙少緇衣能說法。始知實處不虛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何人亭韻 不侫於亭主人。雖無宿契。聞其亭號之何人。知其人之爲何人。鄒孟氏有言曰。鷄鳴而起。孳孳爲善者。舜之徒也。何人之爲濂溪徒者優矣。蓋以蓮之蓮會。得不蓮之蓮。蓮是無情之翁。翁是有情之蓮。可以醫俗之病於牧丹之富貴者。翁之從者愚植。示其原韻。請余和之。強以蕪辭副之。而詩云乎哉。灑落襟懷㧞俗流。飄然亭子小塘頭。曾同蔣詡開三逕。又下西湖駕一舟。展學方看蕉蔕葉日。爲隣好得菊花秋。露珠轉轉眞知愛。滿室淸香聞遠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次三賢亭韻【幷小序】 尹氏一門三賢。百世有光。而亭於嶽降之地。雖是雲仍之私。可以有補於世教者。報國之忠。尊師之道。不出亭外而廣於天下矣。蘇東坡有言。世有足恃者。而不在乎臺之存亡。先以足恃者。爲棟宇柱礎。則此亭之不朽。奚但山高而水長。老坡公後孫勇植甫。有原韻而使其胤炳祐及夢坡公後孫哲成。請余賡和。吾先子涵齋公。於老夢兩公。同義於龍蛇之燹。尤有感焉。強傚薄忱。一致三賢正路同。巋然亭額不磨功。水而益潔山而屹。仰止千秋聽下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拈退陶先生。贈吾先子文憲公韻。送別先生後孫上舍鳳棲齋。 送君今日欲消魂。江樹蒼蒼掩洞門。溪上眞源流不竭。願言充腹洗塵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生文哉。顧我於寂寞之濱。示以一絶。其遣語惻怛。頗有憂世之意。令人若聽晨鍾。不可無和。故強爾傚嚬。 寥寥消息斷虹橋。孰學鵠飛摩遠霄。惟子能知明德理。願言努力破昏宵。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幕府 混混溪流出洞淸。知時一雨過江城。古松特立軒昴志。夭草偏憐接續生。願學高人談義理。羞稱小智說陰晴。盟深邱壑甘爲樂。實地子平從有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堂成 雨脚支離穿屋茅。西疇有事又南郊。梧桐價送三更月。楊柳情含第一梢。伏櫪老騏將展足。借林小鳥必安巢。我才不及楊雄遠。欲作解嘲難解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卜居 松亭挺立洞之頭。十世遺風擅僻幽。陋卷堪爲顔氏樂。澄江足洗杜翁愁。樹陰上下鳥能語。山勢嵯峨雲與浮。也識世情眞苦海。令人對處泛虛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狂夫 盡日依冠坐小堂。鳴鳴一曲卽滄浪。澗松意思方論節。庭菊精神㧾在香。綱設蛛絲誰跡隱。飢無鳳啄我心凉。年過五十難爲適。疎放江湖不妨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梅巢共吟【三首】 擧目駸駸雨雪侵。松燈剪盡有朋尋。人情皆是山輕重。世路無非水淺深。臨履一生難毀髮。柁船萬古在傳心。蹉跎書釰還無賴。但說線陽掃衆陰。崎嶇世路纏如茅。雨索相連遠遠郊。風急鳥藏高擧翼。歲寒松秀最長梢。堪憐樗散難成器。久聞梅香共化巢。疎放老夫多見棄。無心作解受甘嘲。年忽知非雪打頭。不妨小屋又荒幽。一生瓢飮堪顔樂。萬國眉攢亦杜愁。微雨添溪看氣潔。老梅入室聞香浮。分明來夜山陰月。乘興前江泛泛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次宋後海【延默】壽宴韻 宋斯文後海。吾黨之望也。今年回甲壽辰。可驗仁者必壽而足以爲爲善者。勸其頌禱也。慶賀也。溢軸綺語。不待菲薄之頌。而於吾有十載舊契。琳琅叢裏。不辭爲一頑石。可愧也已。不可曰詩乎爾。鐵樹花開復見春。斯翁今日得年新。豫占遐算身康健。誠供貧廚禮野眞。彩舞欣瞻雙肖子。霞觴團作一佳辰。古家義氣猶傳說。已識由來慷慨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沈參奉【遠夏】 雲裏望瑞石。不見吾友石。可望不可親。瑞石卽友石。朶雲抵阿季。披慰點頭石。石兄知此否。愧我一頑石。送情無所有。嶺上雲起石。裏送薄襪子。領情不泐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松沙 阻候經歲。瞻慕彌切。㐲問道體康寧。族從近病司視。霧花曚曚。掩醜不得。自憐自憐。而若因以盲廢。不見所不欲見。則足可爲幸福耳。三從兄仁山丈。以老患累日呻吟。今初八日棄世。其年雖高。其情慽矣。嗚泣難禁。臨終時蹶起。願見吾從松沙者。非止一再。平昔情誼之厚。於此可槩。而亦可謂得正矣。以此仰告。不必別作訃車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병오년(丙午年) 남원군수(南原郡守) 전령(傳令)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정치/행정-명령-전령 丙午 宝玄坊長 丙午 전북 남원시 [印] 4.0*4.0 3개(적색, 정방형), 2.5*2.5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남원 보절 전주이씨가 병오년(丙午年)에 남원군수(南原郡守)가 보현방장(宝玄坊長)에게 보낸 전령(傳令) 병오년(丙午年)에 남원군수(南原郡守)가 보현방장(宝玄坊長)에게 보낸 전령(傳令)이다. 병오년은 1906년이었으며, 보현방장은 보현방의 방장이라는 의미이다. 보현방은 남원 48방(坊) 가운데 하나이다. 남원군수가 본 전령을 보낸 이유는 보현방에 사는 이원석의 결세(結稅) 면제에 관한 내용을 알리기 위해서였다. 결세란 토지세를 말하는데, 이원석이 이러한 혜택을 받게 된 이유는 그가 정려(旌閭)를 받은 자의 후예(後裔)였기 때문이다.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